맨위로가기

서울 SK 나이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SK 나이츠는 1997년 SK그룹이 창단한 프로 농구단으로, 청주 SK 나이츠로 시작하여 2001년 서울로 연고를 이전했다. 1999-2000, 2017-18, 2021-22 시즌에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했으며, 2012-13, 2021-22 시즌에는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주요 선수로는 서장훈, 김선형, 최준용, 자밀 워니 등이 있으며, 영구 결번으로 문경은(10번)과 전희철(13번)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SK 나이츠 - 잠실학생체육관
    서울 SK 나이츠의 홈 구장인 잠실학생체육관은 과거 아시안 게임 복싱 경기 개최지였으며, 현재는 e스포츠 대회, 프로레슬링 경기, 방송 촬영 등 다용도로 활용되고, 특히 e스포츠 팬들과 프로레슬링 부활에 중요한 장소이다.
  • 서울 SK 나이츠 - 잠실실내체육관
    잠실실내체육관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건설된 다목적 실내 경기장으로, 올림픽 농구 경기와 배구 결승전 개최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확립한 후 스포츠 경기와 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는 K팝의 상징적인 공간이자 프로농구팀 서울 삼성 썬더스의 홈 구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스포츠단 - 서울 삼성 썬더스
    서울 삼성 썬더스는 1978년 창단하여 2001년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한 한국프로농구 소속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2회 우승했으며 잠실실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서울특별시의 스포츠단 - 우리카드 우리WON
    우리카드 우리WON은 2008년 창단하여 V-리그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프로 배구단으로, 우리캐피탈 드림식스에서 팀명을 변경했으며, V-리그 준우승 1회와 KOVO컵 우승 2회를 기록했고 서울 장충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SK스포츠 - SK 와이번스
    SK 와이번스는 쌍방울 레이더스 해체 후 2000년 창단된 프로야구단으로, 2000년대 후반 김성근 감독 시절 왕조를 이루며 세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과 2018년 트레이 힐만 감독 체제에서 우승을 추가했으나, 2021년 신세계그룹에 인수되어 SSG 랜더스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 SK스포츠 - T1 (e스포츠)
    T1은 2002년 임요환에 의해 창단되어 SK텔레콤의 후원을 받으며 성장한 대한민국의 e스포츠 기업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롤드컵 4회 우승 등 세계적인 명문팀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발로란트 팀도 운영하고 있다.
서울 SK 나이츠
기본 정보
서울 SK 나이츠 로고
서울 SK 나이츠 로고
리그한국프로농구
창단1997년
연고지서울특별시
홈 경기장잠실학생체육관
수용 인원5,400명
웹사이트sksports.net/Knights
모기업SK텔레콤
구단 역사
1997년청주 진로 맥카스
1997년~2001년청주 SK 나이츠
2001년~현재서울 SK 나이츠
선수단
구단주박정호
단장오경식
감독전희철
주장허일영
영구 결번
10번문경은
13번전희철
우승 기록
KBL 리그3회

2. 역사

1997년 SK그룹은 그룹 부도로 출범이 무산된 청주 진로 맥카스를 인수하여 충청북도 청주시를 연고지로 하는 '''청주 SK 나이츠'''를 창단했다. 창단 첫 해는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1998년 서장훈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1999-2000 시즌, 현대를 꺾고 창단 첫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달성했다.

2001년 6월, 서울 삼성 썬더스와 함께 서울특별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팀명을 서울 SK 나이츠로 변경했다. 연고 이전 당시 청주시 시민들은 연고 이전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는 모기업이 신세기통신을 인수하면서 SK 농구단이 2개('''서울 SK 나이츠'''와 인천 SK 빅스)였다. 이후 인천 SK 빅스는 전자랜드에 매각되었다.

서울 연고 이전 후 첫 시즌인 2001-02 시즌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이후 서장훈서울 삼성 썬더스로 이적하면서 하향세를 겪었다. 2003-04 시즌까지 잠실실내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다가, 2004년부터 잠실학생체육관으로 홈구장을 이전했다.

2007-08 시즌, 김진 감독의 취임과 신인 김태술의 활약으로 6년 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9-10 시즌에는 주희정을 영입하며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시즌 중 김진 감독이 사퇴하고 신선우 감독이 취임하는 등 어려움을 겪으며 정규시즌 7위에 그쳤다. 2011-12 시즌에는 문경은 감독 대행이 정식 감독으로 승격했다.

2012-13 시즌, 최부경, 박상오, 애런 헤인즈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고, 정규리그 1위를 차지했다. 2012-13 시즌에 최다 연승 타이 기록인 11연승을 기록하였고, 2013년 2월 8일에는 홈 최다 연승 15연승을 작성하였다. 2013년 3월 9일에 최초로 정규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2018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에서 18년 만에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하였다.

2. 1. 창단 초기 (1997-2001)

1997년 SK그룹은 그룹 부도로 출범이 무산된 청주 진로 맥카스를 인수하여 충청북도 청주시를 연고지로 하는 '''청주 SK 나이츠'''를 창단했다. 창단 첫 해는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1998년 서장훈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1999-2000 시즌, 현대를 꺾고 창단 첫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달성했다.

2. 2. 서울 연고 이전 (2001-현재)

2001년 6월, 서울 삼성 썬더스와 함께 서울특별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팀명을 서울 SK 나이츠로 변경했다. 연고 이전 당시 청주시 시민들은 연고 이전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는 모기업이 신세기통신을 인수하면서 SK 농구단이 2개('''서울 SK 나이츠'''와 인천 SK 빅스)였다. 이후 인천 SK 빅스는 전자랜드에 매각되었다.

서울 연고 이전 후 첫 시즌인 2001-02 시즌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이후 서장훈서울 삼성 썬더스로 이적하면서 하향세를 겪었다. 2003-04 시즌까지 잠실실내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다가, 2004년부터 잠실학생체육관으로 홈구장을 이전했다.

2007-08 시즌, 김진 감독의 취임과 신인 김태술의 활약으로 6년 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9-10 시즌에는 주희정을 영입하며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시즌 중 김진 감독이 사퇴하고 신선우 감독이 취임하는 등 어려움을 겪으며 정규시즌 7위에 그쳤다. 2011-12 시즌에는 문경은 감독 대행이 정식 감독으로 승격했다.

2012-13 시즌, 최부경, 박상오, 애런 헤인즈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고, 정규리그 1위를 차지했다. 2012-13 시즌에 최다 연승 타이 기록인 11연승을 기록하였고, 2013년 2월 8일에는 홈 최다 연승 15연승을 작성하였다. 2013년 3월 9일에 최초로 정규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2018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에서 18년 만에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하였다.

3. 11번의 저주

1998-99 시즌부터 2001-02 시즌까지 서장훈이 11번을 달고 활약하면서 SK의 상징적인 번호가 되었다. 이는 모기업 SK텔레콤의 이동통신번호 011을 상징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2002년 서장훈이 FA로 서울 삼성 썬더스에 이적하면서부터 SK 나이츠는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는 징크스가 생겼다.

이후 홍사붕(시즌 중 전주 KCC 이지스로 이적), 조상현, 방성윤 등이 11번을 달았지만, 팀은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최인선 감독은 2002-03 시즌 처음으로 최하위를 기록했고, 2004-05 시즌에는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를 5년 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킨 이상윤 감독이 취임했지만 역시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5년에는 창원 LG 세이커스를 4시즌 연속 4강으로 이끈 김태환 감독이 취임했으나 9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고, 2006-07 시즌 초반에 사퇴하였다. 강양택 코치가 감독대행으로 취임했지만 그 시즌에도 7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서장훈이 전주 KCC 이지스로 이적하면서 6년 주기설로 2007-08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는 듯 했으나, 2008-09, 2009-10, 2010-11, 2011-12 시즌에는 다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12-13 시즌 정규리그 1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징크스가 깨지는 듯했으나, 2015-16 시즌 다시 9위로 추락하며 징크스가 이어졌다.

4. 우승 기록

4. 1. 국내 대회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3회)''' : 1999-2000, 2017-18, 2021-22

'''준우승 (3회)''' : 2001-02, 2012-13, 2022-23

'''KBL 정규리그 우승 (2회)''': 2012-13, 2021-22

준우승 (3회): 1999-2000, 2001-02, 2017-18

'''KBL 컵 우승 (1회)''': 2021


준우승 (1회): 2020

4. 1. 1. KBL 챔피언 결정전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3회)''' : 1999-2000, 2017-18, 2021-22

'''준우승 (3회)''' : 2001-02, 2012-13, 2022-23

4. 1. 2. KBL 정규리그

'''우승 (2회)''': 2012-13, 2021-22

준우승 (3회): 1999-2000, 2001-02, 2017-18

4. 1. 3. KBL 컵

'''우승 (1회)''': 2021


준우승 (1회): 2020

4. 2. 국제 대회

wikitext

  • '''FIBA 아시아 챔피언스컵'''

:: 3위: 2018

  • '''동아시아 슈퍼 리그'''

:: 준우승: 2019

4. 2. 1. FIBA 아시아 챔피언스컵

FIBA 아시아 챔피언스컵 3위: 2018

4. 2. 2. 동아시아 슈퍼 리그

준우승: 2019

5. 역대 감독

wikitable

순번재임 기간이름경기승률비고
1대1997.06.01 ~ 1998.11.25안준호5114370.275
2대1998.11.26 ~ 2003.04.30최인선2371281090.5401999-2000 시즌 챔프전 우승
3대2003.05.01 ~ 2005.04.05이상윤10843650.398
4대2005.04.06 ~ 2006.11.15김태환6327360.429
5대2007.05.01 ~ 2009.12.15김진13361720.4592009-10 시즌 자진사퇴
6대2009.12.25 ~ 2011.04.05신선우8028520.350
7대2011.04.06 ~ 2021.04.28문경은5292882410.5442011-12 시즌 감독대행
8대2021.04.29 ~ 현재전희철10876320.704현 감독


6. 선수단

2023-24 시즌 서울 SK 나이츠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등번호이름신장생년월일
G1우동현/禹東鉉한국어176cm1996년 9월 18일
G3최원혁183cm1992년 8월 7일
G5김선형187cm1988년 7월 1일
G7변기훈/邊基勳한국어187cm1989년 1월 26일
F9김건우/金建宇한국어194cm1989년 7월 16일
C12송창무/宋昌武한국어205cm1982년 12월 20일
F15김민수/金敏秀한국어200cm1982년 1월 16일
F17김동욱/金東昱한국어196cm1990년 5월 15일
F20박상권/朴相權한국어194cm1997년 2월 19일
G22오재현186cm1999년 11월 30일
F23김형빈201cm2000년 6월 5일
C31김승원202cm1989년 6월 2일
C38류종현/柳宗鉉한국어205cm1986년 6월 20일
F2최준용200cm1994년 4월 4일
F8안영준196cm1995년 6월 28일
C14최부경200cm1989년 6월 28일
G0양우섭185cm1985년 6월 27일
C34자밀 워니199cm1994년 1월 31일
F11허일영195cm1985년 8월 5일



국군체육부대에 입대한 최성원은 2022년 11월에 전역 예정이었고,[1] 안영준은 2022년 5월에 입대했다.[2]

서울 SK 나이츠의 영구 결번은 다음과 같다.

6. 1. 현재 선수 명단 (2023-24 시즌)

2023-24 시즌 서울 SK 나이츠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등번호이름신장생년월일
G1우동현/禹東鉉한국어176cm1996년 9월 18일
G3최원혁183cm1992년 8월 7일
G5김선형187cm1988년 7월 1일
G7변기훈/邊基勳한국어187cm1989년 1월 26일
F9김건우/金建宇한국어194cm1989년 7월 16일
C12송창무/宋昌武한국어205cm1982년 12월 20일
F15김민수/金敏秀한국어200cm1982년 1월 16일
F17김동욱/金東昱한국어196cm1990년 5월 15일
F20박상권/朴相權한국어194cm1997년 2월 19일
G22오재현186cm1999년 11월 30일
F23김형빈201cm2000년 6월 5일
C31김승원202cm1989년 6월 2일
C38류종현/柳宗鉉한국어205cm1986년 6월 20일
F2최준용200cm1994년 4월 4일
F8안영준196cm1995년 6월 28일
C14최부경200cm1989년 6월 28일
G0양우섭185cm1985년 6월 27일
C34자밀 워니199cm1994년 1월 31일
F11허일영195cm1985년 8월 5일



국군체육부대에 입대한 최성원은 2022년 11월에 전역 예정이었고,[1] 안영준은 2022년 5월에 입대했다.[2]

6. 2. 영구 결번

서울 SK 나이츠의 영구 결번은 다음과 같다.

7. 주요 선수

1998-99 시즌 KBL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청주 SK 나이츠에 지명된 서장훈은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201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2순위로 지명된 김선형은 빠른 스피드와 정확한 슛을 바탕으로 팀의 주축 선수로 성장했다. 201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2순위로 지명된 최준용은 다재다능한 포워드로 활약하고 있다. 2019-20 시즌부터 합류한 자밀 워니는 뛰어난 득점력을 바탕으로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 방성윤은 슈팅 가드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팀에 공헌했다.

8. 응원 문화

서울 SK 나이츠는 열정적인 팬덤을 보유하고 있으며, 홈 경기마다 뜨거운 응원전을 펼친다. 응원단장, 치어리더, 마스코트 등이 팬들과 함께 응원을 주도한다. 현재 응원단장은 강훈이며, 아나운서는 박종민이다. 치어리더는 박혜린, 안지현, 박기량, 송은지, 용경아, 송수지, 노혜린, 은나영, 이유미, 서가윤이다.

9. 라이벌

참조

[1] 웹사이트 프로농구 최성원·김광철 등 9명 상무 합격 https://www.newsis.c[...] 2022-09-08
[2] 웹사이트 ‘공수 겸장’ 안영준 “베스트5 무산, 아쉽지만 통합우승에 만족” https://sports.news.[...] 2022-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