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58년부터 1961년까지 가족과 함께 거주하며 5·16 군사 정변을 계획하고 지휘했던 곳이다.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유족들이 거주했으며, 박근혜 전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 다시 머물렀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는 육영수 여사를 기리기 위한 재단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2층 건물로 부지 123.97m², 연면적 128.93m² 규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근혜 - 친박
친박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정치 세력을 일컫는 용어로, 한때 한나라당 내 주요 계파로 성장했으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정치적 구심점을 상실하며 영향력이 축소되었다. - 박근혜 - 박지만
박지만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EG테크 회장을 역임했으며, 박정희 전 대통령의 아들이자 기업인이며, 마약 투약 혐의로 체포된 적이 있고 변호사 서향희와 결혼하여 네 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김대중을 지지했다. - 서울 중구의 문화유산 - 와룡묘
와룡묘는 제갈량을 모시는 사당으로, 조선 시대에 건립되어 화재로 소실된 후 재건되었으며, 제갈량상, 관우상, 단군상 등을 모시고 한국 토속 신앙과 결합된 무속 신앙의 형태를 띤다. - 서울 중구의 문화유산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36가길 25 |
좌표 | 37.561389, 127.019722 |
면적 | 128.93m2 (1388평방피트) |
층수 | 2 (지하 1층, 지상 1층) |
문화재 지정 번호 | 412 |
지정 날짜 | 2008년 10월 10일 |
소유 | (재)육영수여사 기념사업회 |
상세 정보 | |
종류 | 가옥 |
건축 면적 | 123.97m2 |
연면적 | 128.93m2 |
구조 | 지상 1층, 지하 1층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
2. 역사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58년 5월부터 1961년 8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관사로 이주할 때까지 가족과 함께 생활했고 1979년 10월 박정희가 10.26 사건으로 인해 서거한 이후에는 유족들이 살았던 집이다. 1961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5·16 군사 정변을 계획하고 지휘한 장소로서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있어 중요한 역사의 현장이다.
박근혜, 박근령, 박지만 남매가 어린시절을 보냈던 가옥이기도 하며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이후 청와대를 떠나서 이 곳으로 돌아오기도 하였다. 이후 박근혜는 서울 삼성동에 자택을 따로 마련하여서 육영재단 이사를 거쳐서 1997년 한나라당 정치인 생활을 시작하였고 2013년 대한민국 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청와대로 갈 때까지 이 곳에서 지냈다가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결정에 따라 다시 이 곳으로 돌아오기도 하였다가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서울구치소에 수감되고 이후 삼성동 자택을 매각하여 현재는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자택을 가지고 있다.[7][8][9]
박정희 전 대통령과 그의 딸인 박근혜를 포함한 자녀들은 1958년 5월부터 1961년 8월까지 이 집에서 거주했다.[3]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권력을 잡은 후 이 집에서 이사를 했지만, 1979년 암살될 때까지 소유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사후, 박근혜는 이 집에 돌아와 1년 동안 혼자 살았다.[4]
이 건물은 2층으로, 지상 1층과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부지는 123.97m2이며, 연면적은 128.93m2이다.[5]
2015년, 이 박물관에는 하루 평균 약 200명의 방문객이 있었으며, 주로 나이가 많은 대한민국 보수주의자들이었다고 보도되었다.[4] 현재 이 건물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재단에서 소유하고 있다.[2]
2. 1. 박정희 가족 거주 (1958~1961)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58년 5월부터 1961년 8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관사로 이주할 때까지 가족과 함께 생활한 곳이다.[3] 5·16 군사 정변을 계획하고 지휘한 장소로서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사의 현장이다. 박근혜, 박근령, 박지만 남매가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이후 박근혜가 청와대를 떠나 이 곳으로 돌아와 1년 동안 혼자 살았다.[4]건물은 2층으로, 지상 1층과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부지는 123.97m2이며, 연면적은 128.93m2이다.[5] 2015년에는 하루 평균 약 200명의 방문객이 있었으며, 주로 나이가 많은 대한민국 보수주의자들이었다.[4] 현재 이 건물은 육영수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재단에서 소유하고 있다.[2]
2. 2. 5.16 군사정변 지휘 (1961)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1년 5·16 군사 정변을 계획하고 지휘한 장소로,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사의 현장이다.[7][8][9] 1958년 5월부터 1961년 8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관사로 이주할 때까지 가족과 함께 생활했던 곳이다.2. 3. 박정희 대통령 서거와 유족의 귀환 (1979)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9년 10·26 사건으로 서거한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롯한 유족들이 이 가옥으로 돌아와 생활하였다.[7][8][9] 박근혜, 박근령, 박지만 남매는 어린 시절을 이 가옥에서 보냈으며,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청와대를 떠나 이 곳으로 돌아왔다.[7][8][9] 박근혜는 이후 서울 삼성동에 자택을 마련하여 육영재단 이사를 거쳐 1997년 한나라당 정치인 생활을 시작하였고, 2013년 대한민국 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청와대로 돌아갔다.[7][8][9] 박정희 전 대통령 사후, 박근혜는 이 집에 돌아와 1년 동안 혼자 살았다.[4]2. 4. 박근혜 전 대통령의 거주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박근혜는 청와대를 떠나 이 가옥으로 돌아왔다.[7][8][9] 1년 동안 혼자 살기도 하였다.[4] 이후 박근혜는 서울 삼성동에 자택을 마련하여 육영재단 이사를 거쳐 1997년 한나라당 정치인 생활을 시작하기 전까지 이 곳에서 거주했다.[7][8][9] 2013년 대한민국 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청와대로 가기 전까지, 그리고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결정에 따라 서울구치소 수감 전까지 이 가옥에 거주했다.[7][8][9]3. 건물의 특징
박정희 전 대통령과 그의 딸인 박근혜를 포함한 자녀들은 1958년 5월부터 1961년 8월까지 이 집에서 거주했다.[3]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권력을 잡은 후 이 집에서 이사를 했지만, 1979년 암살될 때까지 소유했다.[4] 박정희 전 대통령 사후, 박근혜는 이 집에 돌아와 1년 동안 혼자 살았다.[4]
이 건물은 2층으로, 지상 1층과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부지는 123.97m2이며, 연면적은 128.93m2이다.[5]
현재 이 건물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재단에서 소유하고 있다.[2]
3. 1. 구조 및 규모
3. 2. 소유 현황
박정희 전 대통령과 그의 딸인 박근혜를 포함한 자녀들은 1958년 5월부터 1961년 8월까지 이 집에서 거주했다.[3]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권력을 잡은 후 이 집에서 이사를 했지만, 1979년 암살될 때까지 소유했다.[4] 박정희 전 대통령 사후, 박근혜는 이 집에 돌아와 1년 동안 혼자 살았다.[4] 현재 이 건물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재단에서 소유하고 있다.[2]4. 방문객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Park Chung-hee's House in Sindang-dong, Seoul
https://english.cha.[...]
2023-08-21
[2]
웹사이트
Former dictator’s house to be opened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https://english.hani[...]
2023-08-21
[3]
웹사이트
The loneliest place on earth
https://koreajoongan[...]
Yum Tae-jung
2016-11-07
[4]
웹사이트
Nostalgic conservatives flock to home of Park Chung-hee
https://www.koreaher[...]
Korea Herald
2015-04-06
[5]
웹사이트
국가등록문화재 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 (서울 新堂洞 朴正熙 家屋)
https://www.heritage[...]
2023-08-22
[6]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08-130호(문화재 등록)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08-10-10
[7]
뉴스
박근혜 전 대통령 삼성동 자택 매각(이데일리)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8]
문서
[9]
웹인용
여성조선 박근혜 내곡동 자택 기사내용
http://pub.chosun.co[...]
2019-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