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해대교는 아산만을 가로지르는 총 길이 7,310m의 왕복 6차선 도로교로, 1993년 11월에 착공하여 2000년 11월 10일에 개통되었다. 사장교, FCM교, PSM교 등 다양한 공법이 적용되었으며, 사장교 주탑의 높이는 180m이다. 개통 이후 여러 차례 사고가 발생했는데, 특히 2006년 10월 짙은 안개로 인한 29중 연쇄 추돌 사고로 12명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당했으며, 2015년 12월에는 케이블 화재 사고로 소방관 1명이 순직하는 등의 피해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교량 - 동백대교
동백대교는 전라북도 군산시와 충청남도 서천군을 연결하는 다리로, 2005년 건설이 결정되어 2018년 12월에 개통되었으며, 군산시와 서천군의 상징인 동백꽃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2000년 완공된 교량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 2000년 완공된 교량 - 행주대교
행주대교는 경기도 고양시와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잇는 다리로, 1978년 구 행주대교가 개통되었고, 교통량 증가로 신행주대교와 제2신행주대교가 건설되었다. - 경기도의 교량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 경기도의 교량 - 미사대교
미사대교는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일부로, 한강을 가로질러 하남시와 남양주시를 연결하며, 2009년 개통되어 수도권 동부 지역의 교통망 확충에 기여한다.
서해대교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서해대교 |
영어 명칭 | Seohae Grand Bridge |
한글 | 서해대교 |
한자 | 西海大橋 |
위치 | |
위치 | 경기도 평택시 - 충청남도 당진시 |
횡단 | 아산만 |
![]() | |
일반 정보 | |
종류 | 사장교 |
차선 | 6차선 고속도로 |
총 길이 | 7,310m |
폭 | 34m |
최대 경간 | 470m |
설계자 | 삼우 |
건설사 | 대림산업, LG건설 (現 GS건설), 대우엔지니어링 |
관리 | 한국도로공사 |
건설 정보 | |
착공 | 1993년 |
완공 | 2000년 |
개통 | 2000년 11월 9일 |
좌표 | |
좌표 | coord|36|56|39.9|N|126|49|23.8|E|region:KR|display=inline,title |
2. 건설
서해대교는 사장교, FCM교, PSM교 등 다양한 공법을 적용하여 건설되었다. 1993년 11월에 착공하여 2000년 11월 10일에 개통되었다. 아산만을 횡단하는 총 길이 7310m의 도로교로, 사장교 주탑의 높이는 180m이다.[4] 폭 31.4m의 상판에 왕복 6차선 도로가 설치되어 있다. 건설 비용은 6777억원이다.[5]
구분 | 연장 | 주경간장 | 주탑 높이 | 통과 높이 |
---|---|---|---|---|
사장교 | 990m | 470m | 182m | 62m (5만톤급 선박 출입 가능) |
FCM교 | 500m | 165m | - | 45m (2만톤급 선박 출입 가능) |
PSM교 | 5820m | 60m | - | - |
1996년 6월 4일 서해대교 시공 구간에서 철근 전도 사고가 발생하여 인부 1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11] 1999년 5월 7일에는 교각 작업대 추락 사고로 인부 4명이 사망했고[12], 같은 해 8월 4일에는 태풍 올가의 영향으로 교량 가시설이 붕괴되었다.[13]
3. 사고
2006년에는 서해안고속도로 서해대교 상에서 짙은 안개로 인해 29중 연쇄 추돌사고가 발생, 12명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당했다.[14] 이 사고는 운전자들의 과속과 안전 시설 미비 등이 원인이었으며, 약 40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2015년 12월 3일에는 서해대교 주탑 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 진압하던 소방관 1명이 순직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다.[22] 이 사고로 송악 나들목부터 서평택 나들목 구간이 일시 통제되었다가 12월 19일 재개통되었다.[25]
3. 1. 1996년 기초 철근 전도 사고
1996년 6월 4일 오전 8시경(한국 표준시) 서해대교 시공구간에서 설치 중이던 높이 6m의 철근이 전도되어 작업하던 인부 1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11]
3. 2. 1999년 5월 교각 작업대 사고
1999년 5월 7일 오후 2시 40분경(한국 표준시) 서해대교 시공 구간에서 작업 발판이 추락해 인부 4명이 50여m 아래로 떨어져 모두 숨졌다.[12]
3. 3. 1999년 8월 태풍에 의한 교량 가시설 붕괴
1999년 8월 4일 저녁 7시 50분경(한국 표준시) 태풍 올가의 강풍으로 시공 중이던 서해대교의 교량 가설 트러스와 상판 일부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13]
3. 4. 2006년 안개로 인한 연쇄 추돌 사고
2006년 10월 3일 오전 7시 50분경 서해안고속도로 서해대교 상에서 짙은 안개로 인해 29중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12명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했다.[14] 한국도로공사는 전광판으로 감속 운행을 안내했으나, 25톤 트럭이 이를 무시하고 추월을 시도하다 사고를 냈고, 뒤따르던 차량들이 연쇄 추돌했다.
이 사고로 약 40억원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한국 자동차보험 역사상 가장 큰 사고로 기록되었다.
3. 4. 1. 사고 당시 기상 상황
2006년 10월 3일, 서해대교에는 오전 3시부터 짙은 안개가 발생하여 시정이 100m까지 떨어졌고, 사고 당시에는 수십 미터 앞도 분간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당시 운전자는 가시거리가 불과 10~15m였다고 증언했다.[14] 장재동과 서애숙(2007)은 사고 당일 새벽 해수면 온도가 기온보다 높은 상태에서 지면에서 복사냉각이 발생하여 해수가 다량의 수증기를 공급, 상대습도를 상승시켜 서해대교 일대에 복사안개의 형태로 안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15]
대한민국 기상청의 기상 관측 기록이 있는 도시 중 서해대교에서 가장 가까운 수원시와 서산시는 10월 3일 오전 6~8시에 0.1km 미만의 시정을 기록했다.[16][17]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2006년 10월 3일 | |||||||||
---|---|---|---|---|---|---|---|---|---|
시각 | 충청남도 서산시 | 경기도 수원시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
9시 | 1.5 | 17.3 | 17.3 | 99 | 1.0 | 16.1 | 15.0 | 92 | |
8시 | 0.1 | 15.0 | - | 99 | 0.5 | 15.2 | - | 92 | |
7시 | 0.1 | 13.8 | - | 99 | 0.2 | 15.0 | - | 92 | |
6시 | 0.3 | 13.6 | 13.6 | 99 | <0.1 | 14.5 | 13.3 | 91 | |
5시 | 0.6 | 14.1 | - | 99 | 3.0 | 14.7 | - | 90 | |
4시 | 0.3 | 14.6 | - | 99 | 4.0 | 15.0 | - | 89 | |
3시 | 0.3 | 14.5 | 14.4 | 98 | 6.0 | 15.9 | 13.9 | 89 | |
2시 | 기록 없음 | 97 | 기록 없음 | 88 | |||||
1시 | 기록 없음 | 97 | 기록 없음 | 85 | |||||
0시 | 7.0 | 16.2 | 15.8 | 96 | 9.0 | 17.3 | 13.8 | 79 | |
3. 4. 2. 사고 원인 및 결과
2006년 10월 3일 오전 7시 50분경 서해안고속도로 서해대교 상에서 29중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12명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고는 짙은 안개, 운전자들의 과속, 안전시설 미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4]사고 당일 서해대교에는 오전 3시부터 짙은 안개가 발생해 시정이 100 m까지 떨어졌고, 사고 당시에는 수십 미터 앞도 분간하기 어려웠다. 당시 운전자는 가시거리가 10~15 m에 불과했다고 증언했다.[14] 장재동과 서애숙(2007)은 사고 당일 새벽 해수면 온도가 기온보다 높은 상태에서 복사냉각으로 인해 다량의 수증기가 공급되어 서해대교 일대에 복사안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15]
대한민국 기상청의 기상 관측 기록이 있는 도시 중 서해대교에서 가장 가까운 수원시와 서산시는 10월 3일 오전 6~8시에 0.1 km 미만의 시정을 기록했다.[16][17]
시각 | 충청남도 서산시 | 경기도 수원시 | ||||||
---|---|---|---|---|---|---|---|---|
시정 (km) | 기온 (°C) | 이슬점 (°C) | 습도 (%) | |||||
9시 | 1.5 | 17.3 | 17.3 | 99 | 1.0 | 16.1 | 15.0 | 92 |
8시 | 0.1 | 15.0 | - | 99 | 0.5 | 15.2 | - | 92 |
7시 | 0.1 | 13.8 | - | 99 | 0.2 | 15.0 | - | 92 |
6시 | 0.3 | 13.6 | 13.6 | 99 | <0.1 | 14.5 | 13.3 | 91 |
5시 | 0.6 | 14.1 | - | 99 | 3.0 | 14.7 | - | 90 |
4시 | 0.3 | 14.6 | - | 99 | 4.0 | 15.0 | - | 89 |
3시 | 0.3 | 14.5 | 14.4 | 98 | 6.0 | 15.9 | 13.9 | 89 |
2시 | 기록 없음 | 97 | 기록 없음 | 88 | ||||
1시 | 기록 없음 | 97 | 기록 없음 | 85 | ||||
0시 | 7.0 | 16.2 | 15.8 | 96 | 9.0 | 17.3 | 13.8 | 79 |
한국도로공사는 전광판을 통해 평소보다 절반 이하로 감속할 것을 홍보했으나, 25톤 대형 트럭이 이를 무시하고 앞서 가던 1톤 트럭을 추월하다 버스 등과 추돌하며 사고가 시작되었고, 뒤따르던 29대의 차량이 연쇄 추돌했다. 서해대교는 높은 습도로 인해 연간 30~50일 정도 해무가 발생하지만,[18] 당시 과속 단속 카메라, 안개등, 경보음 같은 안전 경고 시설이 전무했다.[19]
이 사고로 약 40억원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한국 자동차보험 역사상 가장 큰 사고로 기록되었다. 사고 이후 서해대교에는 구간단속 등 안전시설이 보강되었다.[20] 2007년부터 위험 구간에 평균 속도를 단속하는 구간단속 제도가 서해대교와 죽령터널에 도입되었다.[21]
3. 5. 2015년 서해대교 케이블 화재 사고
2015년 12월 3일 오후 6시 10분경 서해대교 주탑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화재를 진압하던 소방관 1명이 끊어진 와이어에 맞아 순직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다.[22] 사고로 인해 주탑과 와이어 복구 작업이 진행되어 12월 18일까지 송악 나들목부터 서평택 나들목까지 상하행 양방향이 통제되었다.[23][24] 이후 2015년 12월 19일에 전면 재개통되었다.[25] 프랑스 출신 낙뢰 사고 전문가 알랭 루소는 서해대교 케이블 절단 사고 현장을 조사한 뒤 "서해대교 사고의 원인은 '작은 낙뢰'"라는 의견서를 제출했다.[26]참조
[1]
웹사이트
Seohae Grand Bridge
https://web.archive.[...]
2011-04-08
[2]
뉴스
37 Spans of Seohae Bridge fall
http://newslibrary.n[...]
1999-08-06
[3]
Structurae
[4]
웹사이트
Seohae Grand Bridge
http://structurae.ne[...]
Structurae
2016-02-18
[5]
웹사이트
Seohae Grand Bridge
http://www.dangjin.g[...]
Energetic Dangjin
2016-02-18
[6]
문서
2000年末のウォン円レート、1ウォン=0.09円を元に算出。
[7]
뉴스
落雷でケーブル切断の西海大橋、24日まで通行止め…深刻な交通渋滞予想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5-12-05
[8]
뉴스인용
정책형성 과정에서의 국민 참여
http://www.asiaecono[...]
아시아경제
2007-09-17
[9]
문서
2009년 10월 인천대교가 완공되면서 순위가 한 단계씩 밀려났다.
[10]
뉴스인용
당진 볼거리·먹을거리 장고항 찾아 실치에 소주 한잔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3-01-17
[11]
뉴스인용
서해대교 구조물 붕괴 10명 부상
https://imnews.imbc.[...]
MBC뉴스
1999-05-07
[12]
뉴스인용
서해대교 공사장 인부 3명 추락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9-05-08
[13]
뉴스인용
서해대교 상판 37개 떨어져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9-08-06
[14]
뉴스인용
짙은 안개와 과속이 사고 키워
https://news.kbs.co.[...]
KBS
2006-10-03
[15]
저널인용
2006년 10월 서해대교 참사와 안개특성
https://scienceon.ki[...]
2007
[16]
웹사이트
도시별관측 - 수원시
https://www.weather.[...]
대한민국 기상청
2006-10-03
[17]
웹사이트
도시별관측 - 서산시
https://www.weather.[...]
대한민국 기상청
2006-10-03
[18]
뉴스인용
서해대교 추돌사고 왜 피해 컸나
https://news.kbs.co.[...]
KBS
2006-10-03
[19]
뉴스인용
자욱한 ‘안개’…여전한 ‘과속’
https://news.kbs.co.[...]
KBS
2006-10-03
[20]
뉴스인용
‘안개’ 서해대교 참변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6-10-04
[21]
뉴스인용
고속도로 과속, ‘평균 속도’로 단속
https://news.kbs.co.[...]
KBS
2007-01-08
[22]
뉴스인용
서해대교 주탑 꼭대기 근처 와이어에 불…"차량통제 중"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2-03
[23]
웹사이트
한국도로공사 서해대교 양방향 통행제한 안내
http://www.ex.co.kr/[...]
[24]
문서
단, 송악 나들목 ~ 행담도 휴게소 구간은 부분적으로 통행 재개를 하였음
[25]
뉴스
서해대교 19일 전면 개통…예상보다 작업 빨라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2-14
[26]
웹사이트
佛 전문가 "서해대교 사고 원인은 작은 낙뢰"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20-05-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