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해안고속도로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는 고속도로이다. 1991년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총 연장 340.81km이다. 주요 분기점 및 나들목으로는 죽림 분기점, 함평 분기점, 고창 분기점, 동서천 분기점, 당진 분기점, 서평택 분기점, 팔탄 분기점, 안산 분기점, 일직 분기점 등이 있다. 서해대교를 포함한 주요 구간에서 차로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06년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 2016년 광천 나들목 부근 17중 추돌 사고 등 잦은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천군의 도로 - 충절로
충절로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홍성군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백제의 계백 장군과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2009년 8월에 명명되었으며 각 지역의 주요 읍·면 중심지를 연결한다. - 서천군의 도로 - 대백제로
대백제로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논산시를 잇는 도로로, 서천군의 동백대교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을 거쳐 논산시 광석면까지 이어지며 국도 제4호선, 제21호선, 제77호선과 연결되어 충청남도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 광명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광명시의 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안양시의 도로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안양시의 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 | 15 |
노선명 | 서해안고속도로 |
노선 번호명 | 고속국도 제15호선 |
다른 이름 | 서해안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Seohaean Gosok Doro |
가나 표기 | ソヘアン=コソクトロ |
영어 표기 | Seohaean Expressway |
총 연장 | 336.65 km |
개통일 | 1994년 7월 7일 (능해 ~ 안산) 1995년 12월 28일 (일직 ~ 안산) 1996년 12월 17일 (안산 ~ 포승) 1998년 8월 25일 (무안 ~ 목포) 1998년 10월 30일 (서천 ~ 동군산) 1998년 11월 25일 (금천 ~ 일직) 2000년 11월 10일 (서평택 ~ 당진) 2001년 9월 27일 (당진 ~ 서천) 2001년 12월 21일 (동군산 ~ 무안) 2002년 12월 12일 (서평택JCT) |
폐지일 | 2011년 12월 23일(전라남도 목포시~전라남도 무안군) |
방향 | 남북 |
기점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목포IC) |
종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금천IC) |
주요 경유지 | |
경유 도시 | 김제시 군산시 보령시 서산시 당진시 평택시 화성시 안산시 안양시 |
노선 정보 | |
주요 교차 도로 | 남해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
주요 교차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
기타 정보 | |
관련 뉴스 | 물류비용 절감 연간 5천 6백억 |
2. 역사
1991년 12월 인천 ~ 목포 나들목 구간 건설이 시작되었고,[5] 1993년 5월에는 서해대교 건설이 시작되었다.[12] 1994년 7월 6일 서울 ~ 안산 구간이 개통되었으며,[29] 1996년 12월 17일 안산 ~ 평택 구간이 개통되었다.[52] 1998년에는 8월 25일 목포 ~ 무안,[38] 10월 30일 군산 ~ 서천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39]
2000년 11월 10일 서해대교 구간 및 평택 ~ 당진 구간이 개통되었고,[53] 2001년 9월 27일 당진 ~ 서천 구간이,[58][59] 12월 21일에 군산 ~ 무안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61]
2010년 7월 30일 안산 ~ 일직 분기점 구간 8차선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으며,[75] 2011년 11월 23일 정남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4년 10월 서해대교 – 서평택 분기점 구간 (10.3km) 도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고,[82] 같은 해 11월 안산 분기점 – 조남 분기점 (2.9km) 구간 10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2015년에는 6월 조남 분기점 – 목감 나들목 (3.2km) 구간, 12월 23일 목감 나들목 – 일직 분기점 (3.8km) 구간 10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87] 2016년 7월 3일에는 서해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1년 8월 24일까지는 현재의 제2경인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서해안고속도로 노선으로 지정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당시 서울안산고속도로를 편입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57] 2011년부터는 남해고속도로와 연결되는 국도 제2호선과의 연결 도로 개통으로 목포 나들목에서 죽림 분기점 구간을 고속국도에서 해제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편입하여 현재에 이른다.[79]
경기도 구간은 부분 개통 시점부터 이미 하루 5만 대 이상의 교통량을 기록하였고, 전 구간 개통 이후 산업단지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상시 정체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회 노선으로 평택시흥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등의 노선이 정비되고 있다.
2. 1.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 이전 (1991년 ~ 2001년)
- 1991년 7월 25일: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1호선 서해안고속도로(서해안선)'''으로 지정하였다.
- 1991년 8월 3일: 당진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영천리 ~ 반촌리 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군산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산월리 ~ 죽산리 9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3], 목포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1.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4], 서해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2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5]
- 1991년 12월: 능해 나들목 ~ 목포 나들목 전 구간 착공.
- 1992년 4월 29일: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 안산시 양상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6호선 시흥 ~ 안산고속도로(시흥 ~ 안산선)'''으로 지정[6]
- 1992년 5월 8일: 시흥 ~ 안산고속도로 논곡 ~ 안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 장하동 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7]
- 1992년 12월 1일: 양상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7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8], 시흥 ~ 안산고속도로 시흥 ~ 논곡 구간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흥동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0.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
- 1992년 12월 31일: 서해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59.3km 구간,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23.8km 구간,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 함평군 엄다면 2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0]
- 1993년 2월 5일: 군자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로 구조 변경에 의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2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
- 1993년 11월: 서해대교 착공
- 1994년 7월 7일: 능해 나들목 ~ 안산 분기점 27.2km 구간 개통[12]
- 1994년 8월 30일: 1996년 4월까지 목포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250m 구간 도로구역 결정[13]
- 1995년 4월 1일: 1995년 12월까지 목감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 9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1995년 9월 1일: 1998년 12월까지 송악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복운리 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초대2육교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초대리 1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16]
- 1995년 12월 11일: 1997년 12월까지 일로 나들목 구조 변경으로 인해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지장리 ~ 삼향면 맥포리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1995년 12월 28일: 안산 분기점 ~ 일직 분기점 9.1km 구간 개통[18]
- 1996년 1월 12일: 1996년 12월까지 서서울 요금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장하동 942m 구간 도로구역 변경[19], 안산 분기점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 부곡동 3.5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0]
- 1996년 1월 26일: 군산 나들목 국도 제26호선 접속부 입체화 공사로 인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산월리 9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1]
- 1996년 3월 7일: 1996년 12월까지 신갈 ~ 안산 고속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팔곡 분기점 ~ 둔대 분기점 연결도로(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 ~ 안산시 건건동) 8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1996년 3월 9일: 1996년 12월까지 매송 나들목 요금소 건설로 인해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원리 ~ 송라리 5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3]
- 1996년 7월 1일: 기점을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에서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으로 변경, 시흥 ~ 안산고속도로의 기점을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으로 연장하면서 '''서울 ~ 안산고속도로(서울 ~ 안산선)'''으로 노선명 변경[24]
- 1996년 7월 9일: 금천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4.4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5]
- 1996년 7월 26일: 2000년 12월까지 행담도휴게소 주차장 설치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매산리 5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
- 1996년 11월 8일: 1999년 12월까지 군산 나들목을 익산 ~ 전주고속도로 연결을 대비한 북군산 분기점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 성산면 여방리 2.0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7][28]
- 1996년 12월 17일: 안산 분기점 ~ 포승 나들목 44.4km 구간 개통 및 팔곡 분기점 개통[29]
- 1996년 12월 19일: 월곶 나들목 개량 공사로 인해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478m 구간을 947.3m로 도로구역 변경[30]
- 1997년 1월 6일: 서서울 요금소 신설과 함께 통행료 징수 개시[31]
- 1997년 5월 26일: 2002년 12월까지 당진 나들목 ~ 서천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2]
- 1997년 5월 27일: 1998년 12월까지 군산휴게소 (상행) 설치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 성산면 여방리 1.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3]
- 1997년 10월 25일: 2001년 12월까지 서울 ~ 안산고속도로 일직 분기점 ~ 목감 나들목 구간 확장 및 남서울역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 시흥시 목감동 3.02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4]
- 1998년 4월 3일: 2000년 12월까지 당진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1.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5]
- 1998년 5월 4일: 2002년 12월까지 군산 나들목 ~ 무안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6]
- 1998년 8월 6일: 2001년 12월까지 안산 나들목 이설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1.5km 구간을 안산시 양상동 ~ 화정동 1.5km로 도로구역 변경[37]
- 1998년 8월 25일: 무안 나들목 ~ 목포 나들목 23.2km 구간 개통[38]
- 1998년 10월 30일: 서천 나들목 ~ 동군산 나들목 23.6km 구간 개통[39]
- 1998년 11월 12일: 2000년 12월까지 매송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원리 ~ 안산시 팔곡2동 5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0]
- 1998년 11월 25일: 일직 분기점 ~ 금천 나들목 5.2km 구간 개통[41]
- 1998년 12월 1일: 목감 나들목 개통[42]
- 1999년 5월 7일: 2001년 12월까지 남동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촌동 9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3]
- 1999년 7월 6일: 2001년 12월까지 부안휴게소, 대산휴게소 (상행), 함평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4]
- 1999년 9월 10일: 2001년 12월까지 대천휴게소 (상행), 서천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45], 서안산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및 요금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6]
- 1999년 10월 19일: 2001년 12월까지 대산휴게소 (하행), 함평휴게소 (하행)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7]
- 1999년 11월 26일: 조남 분기점 개통
- 2000년 3월 7일: 2001년 12월까지 고창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8]
- 2000년 6월 1일: 서해대교를 포함한 서평택 나들목 ~ 송악 나들목 구간과 직결을 위해 포승 나들목 폐쇄[49][50]
- 2000년 6월 5일: 2001년 12월까지 웅천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1]
- 2000년 11월 10일: 서해대교를 포함한 포승 나들목 ~ 당진 나들목 18.8km 구간 개통[52][53]
- 2000년 12월 9일: 2001년 12월까지 당진 ~ 서천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3.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4]
- 2001년 4월 20일: 2001년 12월까지 군산 ~ 무안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5]
- 2001년 8월 24일: 2001년 12월까지 줄포 나들목 접속부 확장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6]
- 2001년 8월 25일: 기존 서울 ~ 안산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 기존 능해 나들목 ~ 서창 분기점 구간은 제2경인고속도로로,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은 영동고속도로로 이관. 기점과 종점을 각각 인천 → 목포에서 목포 → 광명/서울 (경기도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로 변경. 노선번호를 제11호에서 '''제15호'''로 변경.[57]
2. 2.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 이후 (2001년 ~ 현재)
- 2001년 9월 27일 : 당진 나들목 ~ 서천 나들목 103.7km 구간 개통[58][59]
- 2001년 12월 21일 : 동군산 나들목 ~ 무안 나들목 114.3km 구간 개통[61], 목포 요금소 폐쇄식으로 전환[62]
- 2002년 12월 12일 : 서평택 분기점 개통
- 2003년 9월 8일 : 무창포 나들목 개통[64]
- 2004년 3월 15일 : 광명역 나들목 개통
- 2006년 10월 3일 : 서해대교 29중 추돌사고 발생
- 2007년 11월 9일 : 함평 분기점 개통
- 2007년 12월 13일 : 고창 분기점 개통
- 2009년 5월 28일 : 당진대전고속도로 및 서천공주고속도로 개통, 당진 분기점, 동서천 분기점 개통
- 2010년 7월 30일 : 안산 분기점 ~ 일직 분기점 9.9km 구간 왕복 8~10차선 확장 공사 착공[75]
- 2011년 12월 23일 : 죽림 분기점 개통[78], 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4.8km 구간 국도 제2호선으로 변경 (도로명 '''서해안고속도로''' 유지)[79]
- 2014년 10월 : 서해대교 ~ 서평택 분기점 10.3km 구간 왕복 8~10차선 확장 공사 착공[82]
- 2014년 11월 : 안산 분기점 ~ 조남 분기점 2.9km 구간 왕복 10차선 확장 개통
- 2015년 6월 : 조남 분기점 ~ 목감 나들목 3.2km 구간 왕복 10차선 조기 확장 개통
- 2015년 12월 3일 : 서해대교 주탑 연결 와이어 화재 발생, 서해대교 및 송악 나들목 ~ 서평택 나들목 구간 2015년 12월 18일까지 통제[84][85]
- 2015년 12월 19일 : 서해대교 및 송악 나들목 ~ 서평택 나들목 구간 재개통[86]
- 2015년 12월 23일 : 목감 나들목 ~ 일직 분기점 3.8km 구간 왕복 10차선 확장 개통[75][87]
- 2016년 7월 3일 : 소하 분기점 개통
- 2017년 4월 21일 : 구 매송 요금소 부지 매송휴게소 신설 착공[91]
- 2018년 4월 20일 : 매송휴게소 개장[91]
- 2018년 11월 27일 : 서평택 나들목 ~ 서평택 분기점 6.5km 구간 왕복 10차로 확장 개통[93][94]
- 2019년 11월 28일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 서평택 나들목 2.5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개통[96]
- 2021년 4월 28일 : 팔탄 분기점 개통
- 2021년 7월 31일 : 목감휴게소 임시 폐쇄 (휴게소 확장 공사)
- 2021년 12월 29일 : 불갑산 나들목 목포 방향 진출입로 개통[101]
- 2024년 12월 10일 : 포승 분기점 개통
3. 구성
- 제한 속도
- 죽림 분기점 ~ 매송 나들목: 최고 110km/h, 최저 50km/h
- 매송 나들목 ~ 금천 나들목: 최고 100km/h, 최저 50km/h
- 구간 과속 단속
- 서해대교 (상·하행 9.07km) 구간은 2008년 1월 15일부터 구간단속이 시행되고 있다.[103]
- 서울 방향 서김제 나들목 ~ 동군산 나들목 9.8km 구간은 2015년 12월부터 구간단속이 시행되고 있다.
-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목포시 ~ 죽림 분기점)
- 1998년 8월 25일 무안 ~ 목포 간 23.2km 구간의 일부로 개통된 목포시와 죽림 분기점 사이 4.8km 구간은 본래 서해안고속도로에 속했다.
- 2011년 12월 23일, 국도 제2호선의 무영로 개통 및 죽림 분기점 신설로 기존 목포시 ~ 죽림 분기점 구간은 국도 제2호선으로 편입되었다.
- 서해안고속도로의 기점은 죽림 분기점으로 단축되었으나, 도로명은 '서해안고속도로'로 유지되고 있다.[1]
- 시설물
- IC: 나들목(Interchange)
- JC: 분기점(Junction)
번호 | 이름 | 로마자 이름 | 구간 거리 (km) | 누적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직결 | ||||||||
목포기점 | - | 0.00 | 국도 제1호선 (고하대로) 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 전라남도 | 목포시 | 구 기점 | ||
1 | 목포 | Mokpo | 0.26 | 0.26 | 국도 제1호선 (영산로) | |||
2-1 | 죽림 분기점 | Jungnim JC | 3.90 | 4.16 | 국도 제2호선 (무영로) | 무안군 | 남악방향 진출 시 남해고속도로 (영암~순천 구간) 간접 연결 | |
서해안고속도로 직결 |
3. 1. 차로수
구간 | 차로수 |
---|---|
죽림 분기점 ~ 당진 분기점[102], 소하 분기점 ~ 서울종점 | 왕복 4차로 |
당진 분기점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서평택 분기점 ~ 비봉 나들목, 매송 나들목 ~ 안산 분기점 | 왕복 6차로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 서평택 나들목, 비봉 나들목 ~ 매송 나들목, 일직 분기점 ~ 소하 분기점 | 왕복 8차로 |
서평택 나들목 ~ 서평택 분기점, 안산 분기점 ~ 일직 분기점 | 왕복 10차로 |
3. 2. 총 연장
336.65km3. 3. 제한 속도
3. 4. 터널
550 (목포 방면)550 (목포 방면)
290 (목포 방면)
310 (목포 방면)
320 (목포 방면)
450 (목포 방면)
560 (목포 방면)
870 (목포 방면)
879 (목포 방면)
790 (목포 방면)
520 (목포 방면)
853 (목포 방면)
336 (목포 방면)
627 (목포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