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해안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해안고속도로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는 고속도로이다. 1991년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총 연장 340.81km이다. 주요 분기점 및 나들목으로는 죽림 분기점, 함평 분기점, 고창 분기점, 동서천 분기점, 당진 분기점, 서평택 분기점, 팔탄 분기점, 안산 분기점, 일직 분기점 등이 있다. 서해대교를 포함한 주요 구간에서 차로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06년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 2016년 광천 나들목 부근 17중 추돌 사고 등 잦은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천군의 도로 - 충절로
    충절로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홍성군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백제의 계백 장군과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2009년 8월에 명명되었으며 각 지역의 주요 읍·면 중심지를 연결한다.
  • 서천군의 도로 - 대백제로
    대백제로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논산시를 잇는 도로로, 서천군의 동백대교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을 거쳐 논산시 광석면까지 이어지며 국도 제4호선, 제21호선, 제77호선과 연결되어 충청남도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 광명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광명시의 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안양시의 도로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안양시의 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도로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15
노선명서해안고속도로
노선 번호명고속국도 제15호선
다른 이름서해안고속도로
로마자 표기Seohaean Gosok Doro
가나 표기ソヘアン=コソクトロ
영어 표기Seohaean Expressway
총 연장336.65 km
개통일1994년 7월 7일 (능해 ~ 안산)
1995년 12월 28일 (일직 ~ 안산)
1996년 12월 17일 (안산 ~ 포승)
1998년 8월 25일 (무안 ~ 목포)
1998년 10월 30일 (서천 ~ 동군산)
1998년 11월 25일 (금천 ~ 일직)
2000년 11월 10일 (서평택 ~ 당진)
2001년 9월 27일 (당진 ~ 서천)
2001년 12월 21일 (동군산 ~ 무안)
2002년 12월 12일 (서평택JCT)
폐지일2011년 12월 23일(전라남도 목포시~전라남도 무안군)
방향남북
기점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목포IC)
종점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금천IC)
주요 경유지
경유 도시김제시
군산시
보령시
서산시
당진시
평택시
화성시
안산시
안양시
노선 정보
주요 교차 도로남해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주요 교차 국도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기타 정보
관련 뉴스물류비용 절감 연간 5천 6백억

2. 역사

1991년 12월 인천 ~ 목포 나들목 구간 건설이 시작되었고,[5] 1993년 5월에는 서해대교 건설이 시작되었다.[12] 1994년 7월 6일 서울 ~ 안산 구간이 개통되었으며,[29] 1996년 12월 17일 안산 ~ 평택 구간이 개통되었다.[52] 1998년에는 8월 25일 목포 ~ 무안,[38] 10월 30일 군산 ~ 서천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39]

2000년 11월 10일 서해대교 구간 및 평택 ~ 당진 구간이 개통되었고,[53] 2001년 9월 27일 당진 ~ 서천 구간이,[58][59] 12월 21일에 군산 ~ 무안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61]

2010년 7월 30일 안산 ~ 일직 분기점 구간 8차선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으며,[75] 2011년 11월 23일 정남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4년 10월 서해대교서평택 분기점 구간 (10.3km) 도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고,[82] 같은 해 11월 안산 분기점조남 분기점 (2.9km) 구간 10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2015년에는 6월 조남 분기점목감 나들목 (3.2km) 구간, 12월 23일 목감 나들목일직 분기점 (3.8km) 구간 10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87] 2016년 7월 3일에는 서해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1년 8월 24일까지는 현재의 제2경인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서해안고속도로 노선으로 지정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당시 서울안산고속도로를 편입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57] 2011년부터는 남해고속도로와 연결되는 국도 제2호선과의 연결 도로 개통으로 목포 나들목에서 죽림 분기점 구간을 고속국도에서 해제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편입하여 현재에 이른다.[79]

경기도 구간은 부분 개통 시점부터 이미 하루 5만 대 이상의 교통량을 기록하였고, 전 구간 개통 이후 산업단지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상시 정체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회 노선으로 평택시흥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등의 노선이 정비되고 있다.

2. 1.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 이전 (1991년 ~ 2001년)


  • 1991년 7월 25일: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1호선 서해안고속도로(서해안선)'''으로 지정하였다.
  • 1991년 8월 3일: 당진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영천리 ~ 반촌리 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군산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산월리 ~ 죽산리 9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3], 목포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1.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4], 서해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2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5]
  • 1991년 12월: 능해 나들목 ~ 목포 나들목 전 구간 착공.
  • 1992년 4월 29일: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 안산시 양상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6호선 시흥 ~ 안산고속도로(시흥 ~ 안산선)'''으로 지정[6]
  • 1992년 5월 8일: 시흥 ~ 안산고속도로 논곡 ~ 안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 장하동 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7]
  • 1992년 12월 1일: 양상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7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8], 시흥 ~ 안산고속도로 시흥 ~ 논곡 구간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흥동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0.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
  • 1992년 12월 31일: 서해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59.3km 구간,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23.8km 구간,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 함평군 엄다면 2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0]
  • 1993년 2월 5일: 군자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로 구조 변경에 의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2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
  • 1993년 11월: 서해대교 착공
  • 1994년 7월 7일: 능해 나들목 ~ 안산 분기점 27.2km 구간 개통[12]
  • 1994년 8월 30일: 1996년 4월까지 목포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250m 구간 도로구역 결정[13]
  • 1995년 4월 1일: 1995년 12월까지 목감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 9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1995년 9월 1일: 1998년 12월까지 송악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복운리 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초대2육교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초대리 1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16]
  • 1995년 12월 11일: 1997년 12월까지 일로 나들목 구조 변경으로 인해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지장리 ~ 삼향면 맥포리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1995년 12월 28일: 안산 분기점 ~ 일직 분기점 9.1km 구간 개통[18]
  • 1996년 1월 12일: 1996년 12월까지 서서울 요금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장하동 942m 구간 도로구역 변경[19], 안산 분기점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 부곡동 3.5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0]
  • 1996년 1월 26일: 군산 나들목 국도 제26호선 접속부 입체화 공사로 인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산월리 9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1]
  • 1996년 3월 7일: 1996년 12월까지 신갈 ~ 안산 고속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팔곡 분기점 ~ 둔대 분기점 연결도로(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 ~ 안산시 건건동) 8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1996년 3월 9일: 1996년 12월까지 매송 나들목 요금소 건설로 인해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원리 ~ 송라리 5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3]
  • 1996년 7월 1일: 기점을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에서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으로 변경, 시흥 ~ 안산고속도로의 기점을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으로 연장하면서 '''서울 ~ 안산고속도로(서울 ~ 안산선)'''으로 노선명 변경[24]
  • 1996년 7월 9일: 금천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4.4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5]
  • 1996년 7월 26일: 2000년 12월까지 행담도휴게소 주차장 설치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매산리 5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
  • 1996년 11월 8일: 1999년 12월까지 군산 나들목을 익산 ~ 전주고속도로 연결을 대비한 북군산 분기점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 성산면 여방리 2.0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7][28]
  • 1996년 12월 17일: 안산 분기점 ~ 포승 나들목 44.4km 구간 개통 및 팔곡 분기점 개통[29]
  • 1996년 12월 19일: 월곶 나들목 개량 공사로 인해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478m 구간을 947.3m로 도로구역 변경[30]
  • 1997년 1월 6일: 서서울 요금소 신설과 함께 통행료 징수 개시[31]
  • 1997년 5월 26일: 2002년 12월까지 당진 나들목 ~ 서천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2]
  • 1997년 5월 27일: 1998년 12월까지 군산휴게소 (상행) 설치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 성산면 여방리 1.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3]
  • 1997년 10월 25일: 2001년 12월까지 서울 ~ 안산고속도로 일직 분기점 ~ 목감 나들목 구간 확장 및 남서울역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 시흥시 목감동 3.02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4]
  • 1998년 4월 3일: 2000년 12월까지 당진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1.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5]
  • 1998년 5월 4일: 2002년 12월까지 군산 나들목 ~ 무안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6]
  • 1998년 8월 6일: 2001년 12월까지 안산 나들목 이설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1.5km 구간을 안산시 양상동 ~ 화정동 1.5km로 도로구역 변경[37]
  • 1998년 8월 25일: 무안 나들목 ~ 목포 나들목 23.2km 구간 개통[38]
  • 1998년 10월 30일: 서천 나들목 ~ 동군산 나들목 23.6km 구간 개통[39]
  • 1998년 11월 12일: 2000년 12월까지 매송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원리 ~ 안산시 팔곡2동 5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0]
  • 1998년 11월 25일: 일직 분기점 ~ 금천 나들목 5.2km 구간 개통[41]
  • 1998년 12월 1일: 목감 나들목 개통[42]
  • 1999년 5월 7일: 2001년 12월까지 남동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촌동 9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3]
  • 1999년 7월 6일: 2001년 12월까지 부안휴게소, 대산휴게소 (상행), 함평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4]
  • 1999년 9월 10일: 2001년 12월까지 대천휴게소 (상행), 서천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45], 서안산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및 요금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6]
  • 1999년 10월 19일: 2001년 12월까지 대산휴게소 (하행), 함평휴게소 (하행)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7]
  • 1999년 11월 26일: 조남 분기점 개통
  • 2000년 3월 7일: 2001년 12월까지 고창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8]
  • 2000년 6월 1일: 서해대교를 포함한 서평택 나들목 ~ 송악 나들목 구간과 직결을 위해 포승 나들목 폐쇄[49][50]
  • 2000년 6월 5일: 2001년 12월까지 웅천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1]
  • 2000년 11월 10일: 서해대교를 포함한 포승 나들목 ~ 당진 나들목 18.8km 구간 개통[52][53]
  • 2000년 12월 9일: 2001년 12월까지 당진 ~ 서천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3.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4]
  • 2001년 4월 20일: 2001년 12월까지 군산 ~ 무안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5]
  • 2001년 8월 24일: 2001년 12월까지 줄포 나들목 접속부 확장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6]
  • 2001년 8월 25일: 기존 서울 ~ 안산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 기존 능해 나들목 ~ 서창 분기점 구간은 제2경인고속도로로,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은 영동고속도로로 이관. 기점과 종점을 각각 인천 → 목포에서 목포 → 광명/서울 (경기도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로 변경. 노선번호를 제11호에서 '''제15호'''로 변경.[57]

2. 2.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 이후 (2001년 ~ 현재)

3. 구성

서해대교


금천고가교 표지판(하행)


번호이름로마자 이름구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직결
목포기점-0.00국도 제1호선 (고하대로)
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전라남도목포시구 기점
1목포Mokpo0.260.26국도 제1호선 (영산로)
2-1죽림 분기점Jungnim JC3.904.16국도 제2호선 (무영로)무안군남악방향 진출 시 남해고속도로 (영암~순천 구간) 간접 연결
서해안고속도로 직결


3. 1. 차로수

구간차로수
죽림 분기점 ~ 당진 분기점[102], 소하 분기점 ~ 서울종점왕복 4차로
당진 분기점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서평택 분기점 ~ 비봉 나들목, 매송 나들목 ~ 안산 분기점왕복 6차로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 서평택 나들목, 비봉 나들목 ~ 매송 나들목, 일직 분기점 ~ 소하 분기점왕복 8차로
서평택 나들목 ~ 서평택 분기점, 안산 분기점 ~ 일직 분기점왕복 10차로


3. 2. 총 연장

336.65km

3. 3. 제한 속도

3. 4. 터널

550 (목포 방면)1998년몽탄2터널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구산리540 (서울 방면)
550 (목포 방면)1998년몽탄1터널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내리280 (서울 방면)
290 (목포 방면)1998년무안4터널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다산리280 (서울 방면)
310 (목포 방면)1998년무안3터널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암리2801998년무안2터널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암리310 (서울 방면)
320 (목포 방면)1998년무안1터널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4801998년함평터널전라남도 함평군 신광면 계천리440 (서울 방면)
450 (목포 방면)2001년영광2터널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 보라리590 (서울 방면)
560 (목포 방면)2001년영광1터널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영양리860 (서울 방면)
870 (목포 방면)2001년대명터널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성산면 대명리3301998년종천터널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당정리819 (서울 방면)
879 (목포 방면)2001년비인터널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776 (서울 방면)
790 (목포 방면)2001년웅천터널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증산리500 (서울 방면)
520 (목포 방면)2001년운산터널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802001년용담터널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766 (서울 방면)
853 (목포 방면)1996년팔곡터널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351 (서울 방면)
336 (목포 방면)1996년순산터널경기도 군포시 둔대동684 (서울 방면)
627 (목포 방면)1996년


3. 5. 구간 과속 단속

3. 6.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목포시 ~ 죽림 분기점)

목포시와 죽림 분기점 사이 4.8km 구간은 1998년 8월 25일 무안 ~ 목포 간 23.2km 구간의 일부로 개통되어 본래 서해안고속도로에 속했다. 2011년 12월 23일, 무안군 삼향읍에서 영암군 삼호면 서호리 구간을 잇는 국도 제2호선무영로가 개통되고 죽림 분기점이 신설되면서, 기존의 목포시 ~ 죽림 분기점 구간은 국도 제2호선으로 편입되었다. 이에 따라 서해안고속도로의 기점은 죽림 분기점으로 단축되었으나, 도로명은 여전히 '서해안고속도로'로 유지되고 있다.[1]

번호이름로마자 이름구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직결
목포기점-0.00국도 제1호선 (고하대로)
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전라남도목포시구 기점
1목포Mokpo0.260.26국도 제1호선 (영산로)
2-1죽림 분기점Jungnim JC3.904.16국도 제2호선 (무영로)무안군남악방향 진출 시 남해고속도로 (영암~순천 구간) 간접 연결
서해안고속도로 직결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국도 제2호선 서해안고속도로 직결죽림 분기점Jungnim JC-4.16[105]국도 제2호선 (서해안고속도로, 무영로)
(10호선 남해고속도로)전라남도무안군남악방향 진출 시 남해고속도로 간접 연결2일로Illo2.106.26지방도 제815호선 (문화로)
지방도 제820호선 (삼일로·임성로)무안방향 진입 서울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TG목포 요금소Mokpo TG본선요금소3무안Muan17.2823.54국도 제1호선 (영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영산로)
지방도 제811호선 (영산로)함평군 엄다면과의 경계에 있음4함평 분기점Hampyeong JC2.4626.0012호선 무안광주고속도로함평군SA함평천지휴게소Hampyeong Cheonji SA목포방향5함평Hampyeong7.8133.81국도 제23호선 (함영로)SA함평천지휴게소Hampyeong Cheonji SA서울방향5-1
SA불갑산
영광휴게소Bulgapsan
Yeonggwang SA영광군무안방향(임시 휴게소)
(주유소 없음)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6영광Yeonggwang24.3358.14국도 제23호선 (영대로)7고창 분기점Gochang JC16.0674.20253호선 고창담양고속도로전북특별자치도고창군8고창Gochang2.7476.94국도 제23호선 (고인돌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동서대로)
중앙로SA고창고인돌휴게소Gochang-Goindol SA양방향9선운산Seonunsan7.9184.85국도 제22호선 (선운대로)
국도 제23호선 (고인돌대로)10줄포Julpo9.8794.72지방도 제710호선 (주을로)부안군SA부안고려청자휴게소[106]Buan Goryeo Celadon SA양방향11부안Buan16.18110.90국도 제30호선 (부령로·하원로)
지방도 제747호선 (덕신로)12서김제W.Gimje13.93124.83국도 제29호선 (금만로)
만경로·석교로김제시13동군산E.Gunsan12.55137.38국도 제21호선 (새만금북로)
국도 제26호선 (번영로)
국도 제29호선 (금만로·새만금북로)군산시SA군산휴게소Gunsan SA무안방향14군산Gunsan8.40145.78국도 제27호선 (구암로·군익로)
지방도 제706호선 (구암로·십자들로)
지방도 제709호선 (동군산로·오성로)SA군산휴게소Gunsan SA서울방향15동서천 분기점E.Seocheon JC6.23152.01151호선 서천공주고속도로충청남도서천군16서천Seocheon8.98160.99국도 제4호선 (대백제로)SA서천휴게소Seocheon SA양방향17춘장대Chunjangdae11.91172.90국도 제21호선 (충서로)
국도 제77호선 (충서로)18무창포Muchangpo8.71181.61국도 제21호선 (충서로)
국도 제77호선 (충서로)
지방도 제606호선 (무창포로)
지방도 제607호선 (남포방조제로)보령시19대천Daecheon11.99193.60국도 제36호선 (대해로)
국도 제77호선 (대해로)
지방도 제607호선 (대해로)SA대천휴게소Daecheon SA양방향20광천Gwangcheon19.72213.32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홍남로)SA홍성휴게소Hongseong SA홍성군양방향21홍성Hongseong10.80224.12국도 제29호선 (내포로)
국도 제40호선 (내포로·수덕사로)22해미Haemi13.68237.80국도 제45호선 (한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한티로)서산시SA서산휴게소Seosan SA양방향23서산Seosan10.72248.52국도 제32호선 (서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서해로·중앙로)
운암로24당진 분기점Dangjin JC6.56255.08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시25당진Dangjin9.39264.47국도 제32호선 (서해로·예당평야로)
국도 제34호선 (서해로)
반촌로26송악Songak8.07272.54국도 제38호선 (북부산업로)
국도 제77호선 (북부산업로)
지방도 제619호선 (송악로)SA행담도휴게소Haengdam Island SA양방향 통합형
회차 가능포승Poseung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경기도평택시임시 나들목
2000년 6월 1일 폐쇄27-1포승 분기점Poseung JC173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27서평택W.Pyeongtaek12.64285.18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
국도 제77호선 (포승향남로)
국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28서평택 분기점W.Pyeongtaek JC6.53291.71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153호선 평택시흥고속도로무안방향의 경우 평택시흥고속도로(시흥방향) 진출 불가능29발안Baran7.82299.53국도 제39호선 (서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삼천병마로·푸른들판로)
발안양감로·3.1만세로화성시SA화성휴게소Hwaseong SA양방향29-1팔탄 분기점Paltan JC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30비봉Bibong13.62313.15국도 제39호선 (서해로)
지방도 제313호선 (화성로)SA매송휴게소Maesong SA양방향
구 매송 요금소 부지31매송Maesong4.02317.17국도 제39호선 (수인로)
국도 제42호선 (수인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매송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매송로)
각골로·용담로
푸른들판로·해안로31-1팔곡 분기점Palgok JC3.80320.9750호선 영동고속도로안산시둔대 분기점과 연계
무안방향의 경우 영동고속도로(강릉방향) 진출 불가능32안산 분기점Ansan JC5.12326.09서울방향의 경우 영동고속도로(강릉방향) 진출 불가능TG서서울 요금소W.Seoul TG본선요금소33조남 분기점Jonam JC2.89328.98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시흥시SA목감휴게소Mokgam SA서울방향
2021년 7월 31일 임시 폐쇄34목감Mokgam3.16332.14국도 제42호선 (수인로)
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동서로35광명역Gwangmyeong Stn.1.15333.29광명역로·서독로안양시36일직 분기점Iljik JC2.67335.96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광명시37소하 분기점Soha JC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 (강남순환로)
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남광명 ~ 성채/소하 구간무안방향의 경우 강남순환로(서초방향) 진출 불가능금천Geumcheon4.20340.16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안양천로)서울특별시금천구서울방향 진입과 무안방향 진출만 가능서울종점Seoul0.65340.81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 직결


5. 통과하는 지역

서울특별시금천구 (시흥동, 독산동)
경기도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박달동) - 광명시 (소하동, 일직동, 가학동) - 시흥시 (조남동, 목감동) -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장하동, 건건동, 팔곡1동) - 군포시 (둔대동) - 화성시 (매송면, 비봉면, 팔탄면, 향남읍) - 평택시 (청북읍, 포승읍)
충청남도당진시 (송악읍, 신평면, 순성면, 면천면, 용연동, 사기소동, 정미면) - 서산시 (운산면, 해미면, 고북면) - 홍성군 (갈산면, 결성면, 은하면) - 보령시 (천북면, 청소면, 주포면, 주교면, 대천동, 내항동, 남곡동, 남포면, 웅천읍, 주산면) - 서천군 (서면, 비인면, 종천면, 서천읍, 기산면, 화양면)
전북특별자치도군산시 (나포면, 성산면, 임피면, 대야면) - 김제시 (청하면, 만경읍, 성덕면, 복죽동, 죽산면) - 부안군 (백산면, 동진면, 부안읍, 주산면, 보안면, 줄포면) - 고창군 (흥덕면, 부안면, 신림면, 고창읍, 고수면, 성송면, 무장면, 대산면)
전라남도영광군 (대마면, 묘량면, 영광읍, 군서면, 불갑면) - 함평군 (신광면, 손불면, 함평읍, 엄다면) - 무안군 (현경면, 무안읍, 몽탄면, 일로읍, 삼향읍) - 목포시


6. 교통량

2010년 기준 교통량 정보는 다음과 같다[107].

구간거리
(km)
평균 통행량 (대/일)
12시간24시간
목포 ~ 함평26.118,69024,821
함평 ~ 고창48.27,58510,604
고창 ~ 동서천77.815,70221,710
동서천 ~ 당진103.119,45527,140
당진 ~ 서평택36.647,35267,994
서평택 ~ 안산34.377,443109,507
안산 ~ 금천14.984,336126,433



최고 통행량 지점은 안산 분기점부터 조남 분기점까지의 2.9 km 구간으로, 24시간에 193,753대가 통과한다. 차선당 최고 통행량 지점은 조남 분기점부터 목감 나들목까지 3.2 km 구간으로 24시간당 차선당 22,433대가 통과한다.

'''24시간 교통량'''(대) 교통량 통계연보(수시 통계)

구간1997년2000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죽림IC - 일로IC미개통11,46016,32424,71524,83425,89527,518
일로IC - 무안IC11,15916,50824,59431,72134,06834,936
무안IC - 함평분기점미개통8,17426,66029,66135,25238,217
함평분기점 - 함평IC9,57712,94815,86815,539
함평IC - 영광IC8,57110,04410,39412,56015,130
영광IC - 고창분기점9,52811,95312,44416,21617,127
고창분기점 - 고창IC22,09823,12625,14631,656
고창IC - 선운산IC10,82921,89920,72026,77031,791
선운산IC - 숙포IC9,99021,09425,63628,96530,436
숙포IC - 부안IC10,92120,62020,86625,97231,032
부안IC - 서김제IC11,03222,85121,54328,32030,106
서김제IC - 동군산IC13,23920,33422,71332,46629,202
동군산IC - 군산IC2,04116,47221,14320,23022,04029,425
군산IC - 동서천분기점2,24318,00626,16930,13933,83734,727
동서천분기점 - 서천IC24,18025,44229,67427,081
서천IC - 춘장대IC미개통22,26323,48724,10528,17130,995
춘장대IC - 무창포IC22,72924,48922,63828,15931,289
무창포IC - 대천IC22,29022,67228,26427,75029,086
대천IC - 광천IC24,97325,10225,68430,71733,489
광천IC - 홍성IC27,75227,00428,04534,03536,000
홍성IC - 해미IC31,14230,37836,53337,97539,894
해미IC - 서산IC31,83630,58731,56234,98841,591
서산IC - 당진분기점41,914[1]43,39153,17858,06057,481
당진분기점 - 당진IC40,771[1]48,44563,94074,54278,263
당진IC - 송악IC19,71037,61457,78567,07071,25088,006
송악IC - 서평택IC31,24855,34672,01088,05089,329100,908
포승임시IC - 서평택IC19,85526,352
서평택IC - 서평택분기점27,11636,42874,13284,31299,520104,247114,774
서평택분기점 - 발안IC101,03499,56087,65393,35298,210
발안IC - 팔탄분기점42,24755,636107,11987,598110,86098,228110,613
팔탄분기점 - 비봉IC103,966
비봉IC - 매송IC48,54458,882102,193114,855113,943111,011112,190
매송IC - 팔곡분기점58,84470,494101,967114,16197,852107,254122,647
팔곡분기점 - 안산분기점97,253113,46197,697101,146109,417
안산분기점 - 조남분기점40,13085,651162,361193,753212,158188,789202,778
조남분기점 - 목감IC84,125115,276134,596143,402104,219117,566
목감IC - 광명역IC120,380117,842117,956168,175157,873178,232
광명역IC - 일직분기점116,836117,956157,522131,516164,871
일직분기점 - 소하분기점미개통100,80294,08791,300101,059110,758124,903
소하분기점 - 금천IC103,782110,138


7. 사고

2006년 10월 3일 오전 7시 50분경 (한국 표준시) 서해대교에서 짙은 안개로 29중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12명이 사망하고 50여 명이 부상당했다.[108] 이 사고는 기상 상황뿐만 아니라 운전자들의 과속, 일부 운전자들의 갓길 주행도 원인이었다. 피해액은 약 40억으로, 한국 자동차보험 역사상 가장 큰 사고로 기록되었다. 사고 이후, 서해대교 여러 구간의 안전시설이 보강되었다.

2016년 1월 3일 오전 8시 10분경 충청남도 보령시 천북면 서해안고속도로 광천 나들목 부근에서 심한 안개로 차량 17대가 추돌해 1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충남지역에 안개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가시거리가 50 m도 되지 않았다.[109] 대한민국 기상청의 기상 관측 기록에 의하면 사고 당시인 1월 3일 오전 8시 보령시의 시정은 0.1km 미만이었다.[110]

사고 당일 기상 상황 (2016년 1월 3일)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2016년 1월 3일 정오 이전
시각충청남도 보령시충청남도 부여군충청남도 서산시충청남도 천안시충청남도 금산군대전광역시경기도 수원시경기도 이천시인천광역시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8시0.1km 미만4.24.0990.3km1.71.61000.1km3.32.8972.3km1.00.7980.2km-1.3-1.7971.2km1.10.6970.1km4.84.71000.7km0.0-1.4900.1km 미만5.14.898



2020년 10월 20일 새벽 5시 20분경 서해대교 인근 서해안고속도로 당진시 송악 나들목에서 짙은 안개로 인해 10여 대의 차량이 연쇄 추돌하였다. 먼저 25톤 화물차 2대가 추돌했고, 뒤따르던 차들이 서행하다 급정거하면서 9대가 추돌했으며, 추가로 4대가 더 충돌했다. 오전 6시 30분 기준으로 일대의 가시거리는 40m~70m에 불과했다. 이날 서해대교를 비롯해 천안시, 홍성군, 인천광역시, 파주시 등 서해안과 수도권 곳곳에 안개가 발생했다.

사고 당일 기상 상황 (2020년 10월 20일)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2020년 10월 20일 정오 이전
시각충청남도 천안시충청남도 서산시충청남도 홍성군경기도 이천시경기도 수원시경기도 양평군인천광역시경기도 동두천시경기도 파주시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8시0.1km 미만7.77.61000.3km8.48.0980.1km 미만7.27.0990.1km 미만5.95.81003.2km9.99.81000.2km7.27.11000.6km12.211.7970.2km7.06.91000.2km6.36.2100



2015년 12월 3일 오후 6시 10분경 서해대교 주탑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화재가 발생해 이를 진압하던 소방관 1명이 끊어진 와이어에 맞아 순직하고 2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고로 12월 19일까지 안전 점검을 위해 대교 양방향이 전면 통제되었다.[84]

참조

[1] 일반텍스트
[2] 뉴스 물류비용 절감 연간 5천 6백억 https://news.kbs.co.[...] KBS 2001-12-21
[3]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21호 http://theme.archive[...] 1991-08-03
[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23호 http://theme.archive[...] 1991-08-03
[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24호 http://theme.archive[...] 1991-08-03
[6] 법률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2-04-29
[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217호 http://theme.archive[...] 1992-05-08
[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633호 http://theme.archive[...] 1992-12-01
[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634호 http://theme.archive[...] 1992-12-01
[1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790호 http://theme.archive[...] 1992-12-31
[1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3-25호 http://theme.archive[...] 1993-02-05
[12]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994-168호 http://theme.archive[...] 1994-07-06
[13]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309호 http://theme.archive[...] 1994-08-30
[1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06호 http://theme.archive[...] 1995-04-01
[1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298호 http://theme.archive[...] 1995-09-01
[1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72호 http://theme.archive[...] 1997-06-02
[1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400호 http://theme.archive[...] 1995-12-11
[18]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400호 http://theme.archive[...] 1995-12-28
[1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7호 http://theme.archive[...] 1996-01-12
[2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8호 http://theme.archive[...] 1996-01-12
[2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8호 http://theme.archive[...] 1996-01-26
[2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69호 http://theme.archive[...] 1996-03-07
[2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73호 http://theme.archive[...] 1996-03-09
[24] 법률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2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21호 http://theme.archive[...] 1996-07-09
[2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41호 http://theme.archive[...] 1996-07-26
[2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55호 http://theme.archive[...] 1996-11-08
[2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4호 http://theme.archive[...] 1997-01-14
[29]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327호 http://theme.archive[...] 1996-12-16
[3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97호 http://theme.archive[...] 1996-12-19
[3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355호 http://theme.archive[...] 1997-01-04
[3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60호 http://theme.archive[...] 1997-05-26
[3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63호 http://theme.archive[...] 1997-05-27
[3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36호 http://theme.archive[...] 1997-10-25
[3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02호 http://theme.archive[...] 1998-04-03
[3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33호 http://theme.archive[...] 1998-05-04
[3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55호 http://theme.archive[...] 1998-08-06
[38]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354호 http://theme.archive[...] 1998-08-22
[39]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455호 http://theme.archive[...] 1998-10-26
[4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67호 http://theme.archive[...] 1998-11-12
[4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552호 http://theme.archive[...] 1998-11-24
[42] 뉴스 서울 일직 5.2km(km) 개통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8-11-26
[4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128호 http://theme.archive[...] 1999-05-07
[4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02호 http://theme.archive[...] 1999-07-06
[4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72호 http://theme.archive[...] 1999-09-10
[4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73호 http://theme.archive[...] 1999-09-10
[4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22호 http://theme.archive[...] 1999-10-19
[4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54호 http://theme.archive[...] 2000-03-07
[49]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138호 http://theme.archive[...] 2000-05-26
[50] 뉴스 [수도권]서해안고속도 포승영업소 내달 1일 패쇄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00-05-29
[5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148호 http://theme.archive[...] 2000-06-05
[52]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283호 http://theme.archive[...] 2000-11-11
[53] 뉴스 서해대교 개통 https://news.kbs.co.[...] KBS 2000-11-10
[5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306호 http://theme.archive[...] 2000-12-09
[5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93호 http://gwanbo.mois.g[...] 2001-04-20
[5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218호 http://gwanbo.mois.g[...] 2001-08-24
[57]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5-24
[58]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71호 http://gwanbo.mois.g[...] 2001-09-24
[59] 뉴스 서해안고속도 당진~서천 개통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01-09-27
[60]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1-3호 http://gwanbo.mois.g[...] 2001-12-15
[6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49호 http://gwanbo.mois.g[...] 2001-12-20
[62]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48호 http://gwanbo.mois.g[...] 2001-12-20
[6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19호 http://gwanbo.mois.g[...] 2003-02-08
[64] 뉴스 무창포 나들목 개통식 http://www.charmnews[...] 보령신문 2003-09-08
[6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221호 http://gwanbo.mois.g[...] 2004-09-09
[66]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4-3호 http://gwanbo.mois.g[...] 2004-11-10
[6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67호 http://gwanbo.mois.g[...] 2005-06-23
[68]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7-4호 http://gwanbo.mois.g[...] 2007-11-08
[69]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200호 http://gwanbo.mois.g[...] 2008-06-03
[70]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9-2호 http://gwanbo.mois.g[...] 2009-05-27
[71]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878호 http://gwanbo.mois.g[...] 2009-09-11
[72]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961호 http://gwanbo.mois.g[...] 2009-10-09
[73]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23호 http://gwanbo.mois.g[...] 2010-03-02
[74]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60호 http://gwanbo.mois.g[...] 2010-03-31
[75] 웹사이트 한국도로공사 서해안고속도로 안산 ~ 일직간 확장공사 안내 http://www.ex.co.kr/[...]
[76]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10-2호 http://gwanbo.mois.g[...] 2010-08-31
[77]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78] 뉴스 서해안고속도로-국도2호선 연결도로 23일 개통 https://news.naver.c[...]
[79] 뉴스 목포나들목∼죽림나들목 관리권 이양 http://www.gyotongn.[...] 교통신문 2011-12-22
[8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06호 http://gwanbo.mois.g[...] 2013-10-17
[8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13-728호 http://gwanbo.mois.g[...] 2013-11-26
[82] 웹사이트 한국도로공사 서해안고속도로 서평택 ~ 평택 구간 신설 확장공사 안내 http://www.ex.co.kr/[...]
[8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84] 웹사이트 한국도로공사 서해대교 양방향 통행제한 안내 http://www.ex.co.kr/[...]
[85] 일반
[86] 뉴스 서해대교 19일 전면 개통…예상보다 작업 빨라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2-14
[87] 뉴스 서해안고속도로 안산∼일직 구간, 23일 10차로 확장·개통 http://news1.kr/arti[...] 뉴스1 2015-12-21
[88]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16-7호 http://gwanbo.mois.g[...] 2016-08-03
[89]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264호 http://gwanbo.mois.g[...] 2017-02-22
[90] 뉴스 서해안고속도로 행담도, 무정차 요금소 운영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17-02-21
[91] 뉴스 대보건설, 서해안고속도로 매송휴게소 착공 http://www.cnews.co.[...] 건설경제신문 2017-04-26
[9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538호 http://gwanbo.mois.g[...] 2017-08-21
[93]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8-1634호 http://gwanbo.mois.g[...] 2018-12-07
[94] 보도자료 서해안고속도로 서평택IC~서평택JCT 구간 27일 오후 2시 조기 개통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2018-11-26
[9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04호 http://gwanbo.mois.g[...] 2019-09-25
[96]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9-1585호 http://gwanbo.mois.g[...] 2019-11-21
[9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8호 http://gwanbo.mois.g[...] 2020-01-22
[9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193호 http://gwanbo.mois.g[...] 2020-02-07
[9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55호 http://gwanbo.mois.g[...] 2020-03-19
[10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157호 https://gwanbo.go.kr[...] 2021-10-26
[101]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21-1792호 https://gwanbo.go.kr[...] 2021-12-27
[102] 일반
[103] 뉴스 서해안고속도 ‘구간단속’15일부터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1-14
[104] 뉴스 [즐거운 한가위] 서해안고속道를 타자 .. 당진~서천 27일 개통 https://n.news.naver[...] 한국경제 2001-09-28
[105] 일반
[106] 일반
[107] 웹사이트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http://www.road.re.k[...] 한국도로공사 2014-01-06
[108] 뉴스 ‘안개’ 서해대교 참변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6-10-04
[109] 뉴스 안갯속 서해안 고속도로 연쇄 추돌…1명 사망·14명 부상 https://news.kbs.co.[...] KBS 2016-01-03
[110] 웹사이트 도시별관측 - 보령시 https://www.weather.[...] 대한민국 기상청 2016-01-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