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본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본사는 491년 극달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해 있다. 갓바위(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를 소유하고 있으며, 1970년 대법원 판결을 통해 소유권을 확정했다. 대웅전, 유리광전, 만불대원탑 등의 전각과 문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 7월 조계종 직영사찰에서 해제되어 은해사 관할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은해사의 말사 - 거조사
거조사는 신라 효성왕 때 원참대사가 창건하여 고려 시대 영산전 건립 후 오백나한을 모셨고, 조선 시대에는 영산회상도 조성 및 나한상에 이름을 붙였으며, 국보 제14호 영산전과 삼층석탑이 있다.
선본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사찰 이름 | 선본사 |
별칭 | 해동 제일 기도성지(海東 第一 祈禱聖地) |
일반 정보 | |
건립 연대 | 삼국시대 491년(소지왕 13년) |
창건자 | 극달화상 |
종파 | 대한불교 조계종 |
소재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 699 |
2. 역사
491년(신라 소지왕 3년) 극달화상이 선본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638년(신라 선덕여왕 7년) 의현 스님이 관봉 약사여래좌상(갓바위 부처님)을 조성하였다. 조선 시대 1614년(조선 인조 19년) 수청스님, 1766년(조선 영조 41년) 기성화상이 각각 사찰을 중건하였다. 1820년(조선 순조 20년) 운암화상, 1877년(조선 고종 14년) 낙허화상과 월인화상이 사찰을 중수하였다.
1962년 동아일보에 갓바위 부처님이 소개되면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이후 갓바위 불상 소유권을 두고 대한불교 태고종 관암사와 분쟁이 있었으나, 1970년 대법원 판결로 선본사 소유로 인정받았다.[5] 1994년 대한불교 조계종 직영사찰이 되었다가 2020년 해제되어 제10교구 본사 은해사 관할이 되었다.[7]
2. 1. 창건과 중건
491년 (신라 소지왕 3년) 극달화상이 선본사를 창건하였다.[3]638년 (신라 선덕여왕 7년) 의현 스님이 관봉의 약사여래좌상(갓바위 부처님)을 조성하였다.
1614년 (조선 인조 19년) 수청스님이 선본사를 중건하였다.
1766년 (조선 영조 41년) 기성화상이 사찰을 중건하였다.
1820년 (조선 순조 20년) 운암화상이 사찰을 중수하였다.
1877년 (조선 고종 14년) 낙허화상이 사찰을 중수하였다. 이후 월인화상이 다시 사찰을 중수하였다.
2. 2. 근현대
1957년 사찰을 일부 수리하였다. 1962년 동아일보 10월 2일자에 '갓바위 부처님'이 소개되면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4] 1962년부터 1970년까지 갓바위 불상 소유권을 두고 분쟁이 있었다. 당시 국유였던 갓바위 불상은 대한불교 태고종 관암사 주지가 관리하고 있었으나, 선본사 주지 도수스님이 '소유권 확인 소송'을 제기하여 국가와 소송을 시작하였다.[4] 1970년 9월 22일 대법원에서 갓바위 불상은 선본사 소유라는 최종 판결이 내려졌다.[5] 이때 결정적인 증거는 '선본사 사적기'였다. 장마로 극락전이 물에 잠기자 도수스님이 불상을 옮기다가 '선본사 사적기'를 발견하였다.[6] 1985년 극락전을 중창하고, 선방 및 산신각을 신축하였다. 1990년 칠성각을 개축하였다. 1994년 10월 대한불교 조계종 직영사찰이 되었다. 2020년 7월 조계종 직영사찰에서 해제되어 제10교구 본사 은해사의 관할이 되었다.[7]3. 주요 전각 및 문화재
- 만불대원탑은 대웅전 바로 앞에 있으며, 2009년 7월 15일에 조성되었다.[2]
- 삼성각에는 칠성, 산왕대신, 용왕대신을 모시고 있다.
종목 | 명칭 | 시대 | 지정일 |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5호 | 선본암 삼층석탑 | 통일신라 | 1979년 1월 25일 |
3. 1. 대웅전
갓바위 아래쪽에 위치하며, 갓바위에서 조금 아래쪽 계단이 만나는 곳에 지어져 있다.[1] 내부에 삼존불(보현보살, 석가모니불, 문수보살)과 십육나한도, 신중탱화가 봉안되어 있다.[1] 갓바위를 조성한 의현대사와 선본사를 창건한 극달화상의 진영이 모셔져 있다.[1]3. 2. 유리광전
갓바위 아래쪽에 지하실처럼 조성된 전각이다. 갓바위 불상을 모방하여 만든 불상이 있다. 바닥 일부가 자연바위로 되어 있다.3. 3. 갓바위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갓바위(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불교 기도처 중 하나이다.[2] 보물 제431호인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정성껏 빌면 한 가지 소원은 꼭 들어준다는 속설이 있어 전국 각지에서 기도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종목 | 명칭 | 시대 | 지정일 | 비고 |
---|---|---|---|---|
보물 제431호 |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 신라 | 1965.09.01 |
3. 4. 기타
- 만불대원탑: 대웅전 바로 앞에 있다. 2009년 7월 15일에 조성되었다.[2]
- 삼성각: 칠성, 산왕대신, 용왕대신을 모시고 있다.
종목 | 명칭 | 시대 | 지정일 |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5호 | 선본암 삼층석탑 | 통일신라 | 1979년 1월 25일 |
4. 교통
참조
[1]
웹인용
선본사 (禪本寺)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4-22
[2]
웹인용
세상 모든 서원 담은 탑 갓바위에 서다
http://m.bulgyonews.[...]
주간불
2023-04-22
[3]
웹인용
선본사는 창건과 연혁
http://www.seonbonsa[...]
대한불교조계종 선본사
2023-04-22
[4]
웹인용
"[남기고 싶은 이야기] 갓바위와 선본사, 그리고 도수 스님②"
http://www.seniormae[...]
(주)시니어 매일
2023-04-23
[5]
웹인용
"[남기고 싶은 이야기] 갓바위와 선본사, 그리고 도수 스님⑥"
http://www.seniormae[...]
(주)시니어 매일
2023-04-23
[6]
웹인용
남기고 싶은 이야기] 갓바위와 선본사, 그리고 도수 스님④
http://www.seniormae[...]
(주)시니어 매일
2023-04-23
[7]
웹인용
조계종, 보시금 많은 연주암·선본사 직영해제…“다시 권승들 사금고 되나”
https://www.hani.co.[...]
한계레 신문
2023-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