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설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선은 눈으로 덮인 표면과 눈이 없는 표면 사이의 경계를 의미하며, 시간적, 공간적 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적도 부근에서는 높고 극지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해안선과의 거리, 대규모 해류, 지형의 경사 방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기후 변화로 인해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설선 고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며, 이는 수자원 및 식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빙하의 평형선, 유효 빙하 형성 범위 등과 관련이 있으며, 설선 아래에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은 오호스 델 살라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빙설 현상 - 빙상
    빙상은 지구에 존재하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로, 중력, 온도, 기저 강도에 의해 역학이 결정되며, 빙하류나 빙붕을 통해 얼음을 배출하고 해양 빙상 불안정성, 해양 빙벽 불안정성 등의 요인으로 붕괴되어 해수면 상승과 지구 탄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과거 빙하기-간빙기 주기에 따라 성장과 붕괴를 반복했다.
  • 빙설 현상 - 서리
    서리는 지면이 냉각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어 얇은 얼음 결정이 생기는 현상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며, 농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 눈 (날씨) - 눈송이
    눈송이는 습도가 높고 영하의 온도에서 육각형 모양으로 성장하는 얼음 결정이며, 온도와 습도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고, 크리스마스와 겨울을 상징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 눈 (날씨) -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눈축제는 1950년 삿포로시 오도리 공원에서 시작되어 육상자위대의 참여와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 눈 조각 콘테스트와 스스키노 아이스 월드를 포함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2024년 정상 규모로 개최되었다.
설선
개요
알레치 빙하의 베르크슈룬트
기후적 설선 근처에서 관찰되는 베르크슈룬트
정의눈 덮인 표면과 눈이 없는 표면 사이의 경계
설명특정 위치의 고도는 지역 기후에 따라 다르며, 강수량의 방향, 햇빛 노출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다르다.
더 나아가 경사의 정도는 설선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
극지방에 더 가까워질수록 설선 고도는 해수면까지 내려간다.
또한, 대규모 빙하의 존재는 설선을 현저히 낮춘다.
기후적 설선
설명연간 강설량과 녹는 양이 동일한 지점을 연결하는 선
특징만년설의 유무로 판별 가능
중요 경계선
종류삼림한계
설선 고도 (예시)
초오유 (히말라야 산맥, 8,201 m)6,000 m
코토팍시산 (안데스 산맥, 5,897 m)5,000 m
바이스호른 (알프스 산맥, 4,506 m)3,000 m

2. 적설선의 정의 및 측정

적설선은 눈으로 덮인 표면과 눈이 없는 표면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는 용어로, 시간적, 공간적 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2] 많은 지역에서 변화하는 적설선은 계절의 변화를 반영하며, 녹는 계절이 끝날 때 환경에서 적설선의 최종 높이는 기후 변동성에 따라 매년 달라질 수 있다.

적설선은 자동 카메라, 항공 사진, 위성 사진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접근이 어려운 원격 지역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2] 이러한 점 덕분에 적설선은 수문 모델에서 중요한 변수로 활용된다.[2]

2. 1. 기후 적설선

일시적인 적설선의 평균 고도는 "기후 적설선"이라고 하며, 기후 조건에 따라 지역을 분류하는 매개변수로 사용된다.[2] 설선 고도는 일반적으로 적도 부근에서는 높고, 극지방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다만, 중위도 지역에서는 건조 지대이기 때문에 적도 부근보다 설선 고도가 높은 등의 예외도 있다.

다른 위도에서의 설선 고도를 나타내는 스케치. 왼쪽은 남극, 중앙은 적도, 오른쪽은 북극이다. 이 그림은 알렉산더 키스 존스턴에 의해 1848년에 그려졌다.


세계 각지의 설선의 대략적인 해발고도는 다음과 같다.

지역위도해발 고도
스발바르 제도78°N300m–600m
스칸디나비아 (북극권)67°N1000m–1500m
아이슬란드65°N700m–1100m
시베리아 동부63°N2300m–2800m
스칸디나비아 남부62°N1200m–2200m
알래스카 남동부58°N1000m–1500m
캄차카 반도 (연안부)55°N700m–1500m
캄차카 반도 (내륙)55°N2000m–2800m
알프스 산맥 (북쪽 사면)48°N2500m–2800m
알프스 산맥 중앙부47°N2900m–3200m
알프스 산맥(남쪽 사면)46°N2700m–2800m
피레네 산맥43°N2600m–2900m
코르시카 섬43°N2600m–2700m
코카서스 산맥43°N2700m–3800m
폰토스 산맥42°N3800m–4300m
로키 산맥40°N3700m–4000m
카라코람 산맥36°N5400m–5800m
트란스히말라야 산맥32°N6300m–6500m
히말라야 산맥28°N6000m
오리사바 산19°N5000m–5100m
루웬조리 산지1°N4700m–4800m
케냐 산4600m–4700m
뉴기니 섬2°S4600m–4700m
안데스 산맥 (에콰도르)2°S4800m–5000m
킬리만자로 산3°S5500m–5600m
안데스 산맥 (볼리비아)18°S6000m–6500m
안데스 산맥 (칠레)30°S5800m–6500m
뉴질랜드 북섬37°S2500m–2700m
뉴질랜드 남섬43°S1600m–2700m
티에라델푸에고54°S800m–1300m
남극70°S0m–400m



또한, 설선 아래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산은 오호스 델 살라드 (해발 6893m)이다.[7]

2. 2. 연간 적설선

빙하의 축적 지역과 소모 지역 사이의 경계를 "연간 적설선"이라고 한다. 이 선 아래의 빙하 지역은 이전 계절에 녹은 흔적을 보인다.[2]

세계 각지의 설선의 대략적인 해발고도는 다음과 같다.

지역위도해발 고도
스발바르 제도78°N300m–600m
스칸디나비아 (북극권)67°N1000m–1500m
아이슬란드65°N700m–1100m
시베리아 동부63°N2300m–2800m
스칸디나비아 남부62°N1200m–2200m
알래스카 남동부58°N1000m–1500m
캄차카 반도 (연안부)55°N700m–1500m
캄차카 반도 (내륙)55°N2000m–2800m
알프스 산맥 (북쪽 사면)48°N2500m–2800m
알프스 산맥 중앙부47°N2900m–3200m
알프스 산맥(남쪽 사면)46°N2700m–2800m
피레네 산맥43°N2600m–2900m
코르시카 섬43°N2600m–2700m
코카서스 산맥43°N2700m–3800m
폰토스 산맥42°N3800m–4300m
로키 산맥40°N3700m–4000m
카라코람 산맥36°N5400m–5800m
트란스히말라야 산맥32°N6300m–6500m
히말라야 산맥28°N6000m
오리사바 산19°N5000m–5100m
루웬조리 산지1°N4700m–4800m
케냐 산4600m–4700m
뉴기니 섬2°S4600m–4700m
안데스 산맥 (에콰도르)2°S4800m–5000m
킬리만자로 산3°S5500m–5600m
안데스 산맥 (볼리비아)18°S6000m–6500m
안데스 산맥 (칠레)30°S5800m–6500m
뉴질랜드 북섬37°S2500m–2700m
뉴질랜드 남섬43°S1600m–2700m
티에라델푸에고54°S800m–1300m
남극70°S0m–400m



또한, 설선 아래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산은 오호스 델 살라드 (해발 6893m)이다.[7]

2. 3. 지형적 적설선

"지형적 적설선"이라는 용어는 빙하 이외의 표면에서 눈의 경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2]

2. 4. 지역 적설선

"지역 적설선"이라는 용어는 넓은 지역의 적설선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2]

세계 각지의 설선의 대략적인 해발고도는 다음과 같다.

지역위도해발 고도
스발바르 제도78°N300m~600m
스칸디나비아 (북극권)67°N1000m~1500m
아이슬란드65°N700m~1100m
시베리아 동부63°N2300m~2800m
스칸디나비아 남부62°N1200m~2200m
알래스카 남동부58°N1000m~1500m
캄차카 반도 (연안부)55°N700m~1500m
캄차카 반도 (내륙)55°N2000m~2800m
알프스 산맥 (북쪽 사면)48°N2500m~2800m
알프스 산맥 중앙부47°N2900m~3200m
알프스 산맥(남쪽 사면)46°N2700m~2800m
피레네 산맥43°N2600m~2900m
코르시카 섬43°N2600m~2700m
코카서스 산맥43°N2700m~3800m
폰토스 산맥42°N3800m~4300m
로키 산맥40°N3700m~4000m
카라코람 산맥36°N5400m~5800m
트란스히말라야 산맥32°N6300m~6500m
히말라야 산맥28°N6000m
오리사바 산19°N5000m~5100m
루웬조리 산지1°N4700m~4800m
케냐 산4600m~4700m
뉴기니 섬2°S4600m~4700m
안데스 산맥 (에콰도르)2°S4800m~5000m
킬리만자로 산3°S5500m~5600m
안데스 산맥 (볼리비아)18°S6000m~6500m
안데스 산맥 (칠레)30°S5800m~6500m
뉴질랜드 북섬37°S2500m~2700m
뉴질랜드 남섬43°S1600m~2700m
티에라델푸에고54°S800m~1300m
남극70°S0m~400m


2. 5. 영구 적설선

영구 적설선은 일 년 내내 눈이 쌓이는 수준을 의미한다.[3] 자동 카메라, 항공 사진 또는 위성 사진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접근하기 어렵고 원격 지역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2]

설선 고도는 일반적으로 적도 부근에서는 높고, 극지방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다만, 중위도 지역에서는 건조 지대이기 때문에 적도 부근보다 설선 고도가 높은 등의 예외도 있다.

세계 각지의 설선의 대략적인 해발고도는 다음과 같다.

지역위도해발 고도
스발바르 제도78°N300m–600m
스칸디나비아 (북극권)67°N1000m–1500m
아이슬란드65°N700m–1100m
시베리아 동부63°N2300m–2800m
스칸디나비아 남부62°N1200m–2200m
알래스카 남동부58°N1000m–1500m
캄차카 반도 (연안부)55°N700m–1500m
캄차카 반도 (내륙)55°N2000m–2800m
알프스 산맥 (북쪽 사면)48°N2500m–2800m
알프스 산맥 중앙부47°N2900m–3200m
알프스 산맥(남쪽 사면)46°N2700m–2800m
피레네 산맥43°N2600m–2900m
코르시카 섬43°N2600m–2700m
코카서스 산맥43°N2700m–3800m
폰토스 산맥42°N3800m–4300m
로키 산맥40°N3700m–4000m
카라코람 산맥36°N5400m–5800m
트란스히말라야 산맥32°N6300m–6500m
히말라야 산맥28°N6000m
오리사바 산19°N5000m–5100m
루웬조리 산지1°N4700m–4800m
케냐 산4600m–4700m
뉴기니 섬2°S4600m–4700m
안데스 산맥 (에콰도르)2°S4800m–5000m
킬리만자로 산3°S5500m–5600m
안데스 산맥 (볼리비아)18°S6000m–6500m
안데스 산맥 (칠레)30°S5800m–6500m
뉴질랜드 북섬37°S2500m–2700m
뉴질랜드 남섬43°S1600m–2700m
티에라델푸에고54°S800m–1300m
남극70°S0m–400m



또한, 설선 아래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산은 오호스 델 살라드 (해발 6893m)이다.[7]

3. 전 세계 주요 지역의 적설선

적설선의 고도는 해발 고도와 위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3] 해발고도와 위도의 상호 작용은 특정 위치의 설선 위치에 영향을 준다.

세계 각지의 설선의 대략적인 해발고도는 아래 표와 같다.

지역위도해발고도
스발바르 제도78°N300m–600m
스칸디나비아 (북극권)67°N1000m–1500m
아이슬란드65°N700m–1100m
시베리아 동부63°N2300m–2800m
스칸디나비아 남부62°N1200m–2200m
알래스카 남동부58°N1000m–1500m
캄차카 반도 (연안부)55°N700m–1500m
캄차카 반도 (내륙)55°N2000m–2800m
알프스 산맥 (북쪽 사면)48°N2500m–2800m
알프스 산맥 중앙부47°N2900m–3200m
알프스 산맥(남쪽 사면)46°N2700m–2800m
피레네 산맥43°N2600m–2900m
코르시카섬43°N2600m–2700m
코카서스 산맥43°N2700m–3800m
폰토스 산맥42°N3800m–4300m
로키 산맥40°N3700m–4000m
카라코람 산맥36°N5400m–5800m
트란스히말라야 산맥32°N6300m–6500m
히말라야 산맥28°N6000m
오리사바 산19°N5000m~5100m
루웬조리 산지1°N4700m~4800m
케냐 산4600m~4700m
뉴기니 섬2°S4600m~4700m
안데스 산맥 (에콰도르)2°S4800m~5000m
킬리만자로 산3°S5500m~5600m
안데스 산맥 (볼리비아)18°S6000m~6500m
안데스 산맥 (칠레)30°S5800m~6500m
뉴질랜드 북섬37°S2500m–2700m
뉴질랜드 남섬43°S1600m–2700m
티에라델푸에고54°S800m–1300m
남극70°S0m–400m



또한, 설선 아래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산은 오호스 델 살라드 (해발 6893m)이다.[7]

3. 1. 적도 및 열대 지역

적도 부근에서 설선은 일반적으로 해수면 위 약 4500m 정도에 위치한다.[3] 북회귀선남회귀선으로 이동하면 설선은 더 높아져서, 히말라야 산맥에서는 영구 설선이 5700m까지 올라간다.[3]

설선 고도는 일반적으로 적도 부근에서는 높고, 극지방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다만, 중위도 지역에서는 건조 지대이기 때문에 적도 부근보다 설선 고도가 높은 등의 예외도 있다.

세계 각지의 설선의 대략적인 해발고도는 다음과 같다.

지역위도해발고도
오리사바 산19°N5000m~5100m
루웬조리 산지1°N4700m~4800m
케냐 산4600m~4700m
뉴기니 섬2°S4600m~4700m
안데스 산맥 (에콰도르)2°S4800m~5000m
킬리만자로 산3°S5500m~5600m
안데스 산맥 (볼리비아)18°S6000m~6500m
안데스 산맥 (칠레)30°S5800m~6500m


3. 2. 온대 및 극지방

열대 지역을 벗어나면 위도가 높아짐에 따라 설선은 점차 낮아진다. 알프스 산맥에서는 해발 약 3000m 정도이며, 극지방의 빙모에서는 해수면까지 내려간다.[3]

북반구에서는 북향 사면의 설선이 남향 사면보다 햇빛(태양 복사)을 덜 받기 때문에 고도가 더 낮다.[3] 남반구에서는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세계 각지의 설선의 대략적인 해발고도는 다음과 같다.

지역위도해발고도
스발바르 제도78°N300m–600m
스칸디나비아 (북극권)67°N1000m–1500m
아이슬란드65°N700m–1100m
시베리아 동부63°N2300m–2800m
스칸디나비아 남부62°N1200m–2200m
알래스카 남동부58°N1000m–1500m
캄차카 반도 (연안부)55°N700m–1500m
캄차카 반도 (내륙)55°N2000m–2800m
알프스 산맥 (북쪽 사면)48°N2500m–2800m
알프스 산맥 중앙부47°N2900m–3200m
알프스 산맥(남쪽 사면)46°N2700m–2800m
피레네 산맥43°N2600m–2900m
코르시카섬43°N2600m–2700m
코카서스 산맥43°N2700m–3800m
폰토스 산맥42°N3800m–4300m
로키 산맥40°N3700m–4000m
뉴질랜드 북섬37°S2500m–2700m
뉴질랜드 남섬43°S1600m–2700m
티에라델푸에고54°S800m–1300m
남극70°S0m–400m


3. 3. 기타 요인

가장 가까운 해안선과의 상대적인 위치는 설선의 고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해안 근처 지역은 겨울 강설량이 많고, 여름 평균 기온이 내륙 지역보다 따뜻하기 때문에 같은 고도와 위도의 내륙 지역보다 설선이 더 낮을 수 있다.[3] 열대 지방에서도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은 일교차가 크고 습도가 낮아 킬리만자로 산과 메루 산의 경우처럼 더 높은 고도가 필요하다.

북대서양 해류와 같은 대규모 해류는 넓은 지역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북반구에서 북향 사면의 설선은 남향 사면보다 태양 복사를 덜 받기 때문에 고도가 더 낮다.[3] 남반구에서는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4. 빙하 평형선

빙하의 평형선은 축적 구역과 소모 구역 사이의 경계로, 두 구역의 질량이 같은 지점이다.[4]

4. 1. 평형선의 중요성

빙하의 평형선은 축적 구역과 소모 구역 사이의 전환점이다. 이 선은 두 구역의 질량이 같은 지점이다. 빙하의 두께에 따라 이 선이 한 구역으로 더 기울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 두 구역의 얼음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소모 및 빙하 얼음 축적의 비율을 사용하여 이 선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4]

빙하 평형선은 빙하가 성장하고 있는지 또는 축소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빙하 평형선이 높으면 빙하가 축소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선이 낮으면 빙하가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빙하의 빙하 말단은 이 평형선의 위치에 따라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과학자들은 전 세계 빙하에서 이 선의 위치를 더 잘 추정하기 위해 원격 감지를 사용하고 있다. 위성 이미지를 사용하여 과학자들은 빙하가 성장하고 있는지 또는 후퇴하고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5] 이는 접근하기 어려운 빙하를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여 전 세계 빙하에 대한 기후 변화의 영향을 더 잘 측정할 수 있다.

5. 유효 빙하 형성 범위

유효 빙하 형성 범위(zone of glacier formation영어)는 기후(기온, 강수량) 및 지형 조건에 따라 빙하가 형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상한은 대기 중 수증기량, 하한은 건조 지역에서는 강수량, 그 외 지역에서는 기온에 의해 결정된다. 빙하 형성을 위해서는 설빙이 퇴적 가능한 평탄한 지형이 필요하다.

5. 1. 상한

유효 빙하 형성 범위의 상한은 대기 중 수증기량에 의해 결정된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 중 수증기량은 감소한다.

5. 2. 하한

건조 지역에서는 강수량, 그 외 지역에서는 기온에 의해 하한이 결정된다. 평탄한 지형에서는 설빙(눈과 얼음의 혼합물)이 퇴적될 수 있다.

6. 한국의 적설선

雪線|설선중국어은 강설량이 승화량이나 증발량보다 많아 연중 눈이 녹지 않고 남아 있는 한계선을 말한다.

7. 관련 기록

오호스델살라도이다.[6]

참조

[1] 기타 2014-08-20
[2] 서적 Encyclopedia of Snow, Ice and Glacier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3] 서적 Geography: An Integrated Approach Nelson Thornes 2000
[4] 논문 Climate at the Equilibrium Line of Glaciers 1992
[5] 논문 Map-based methods for estimating glacier equilibrium-line altitudes 2003
[6] 간행물 Regional Climate and Snow/Glacier Distribution in Southern Upper Atacama (Ojos del Salado) – an integrated statistical, GIS and RS based approach http://www.geoimagin[...]
[7] 간행물 Regional Climate and Snow/Glacier Distribution in Southern Upper Atacama (Ojos del Salado) - an integrated statistical, GIS and RS based approach http://www.geoimag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