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동구 갑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동구 갑은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73년 성동구 갑, 을, 병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된 선거구이다. 1949년 고양군 뚝도면이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능동, 군자동, 잠실동, 자양동 등의 지역이 편입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지청천, 임흥순, 유성권, 조한백, 양일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동구의 정치 - 중구·성동구 을
    중구·성동구 을은 201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중구와 성동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2016년 지상욱, 2020년과 2024년에는 박성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 성동구의 정치 - 중구·성동구 갑
    중구·성동구 갑은 20대 총선을 앞두고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더불어민주당과 보수정당 간 격전지였으나 최근 더불어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성동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홍익표 의원에 이어 전현희 의원이 대표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성동구 갑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성동구 갑
의회국회
지도 연도해당 없음
연도1950
폐지1973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성동구
고양군 을
이후 선거구성동구
유권자해당 없음
의원해당 없음
정당해당 없음
지방 의회해당 없음
지방 선거구해당 없음
인구해당 없음
의원수1인

2. 역사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1949년 고양군 뚝도면이 성동구에 편입됨에 따라 능동, 군자동, 잠실동, 자양동 등의 지역들이 기존 고양군 을 지역구에서 성동구 갑 지역으로 재편성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장동, 능동, 군자동, 잠실동 등 일부 지역이 성동구 을 선거구로 넘어갔다.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지역의 선거구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황학동 등이 성동구 을 선거구로 넘어갔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갑, 을, 병 선거구가 통합되어 성동구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획정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1949년, 고양군 뚝도면이 성동구에 편입됨에 따라 능동, 군자동, 잠실동, 자양동 등의 지역들이 기존 고양군 을 지역구에서 성동구 갑 지역으로 재편성되었다.

2. 2. 선거구 변동

1949년, 고양군 뚝도면이 성동구에 편입됨에 따라 능동, 군자동, 잠실동, 자양동 등의 지역들이 기존 고양군 을 지역구에서 성동구 갑 지역으로 재편성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장동, 능동, 군자동, 잠실동 등 일부 지역이 성동구 을 선거구로 넘어갔다.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지역의 선거구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황학동 등이 성동구 을 선거구로 넘어갔다.

2. 3. 선거구 폐지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갑, 을, 병 선거구가 통합되어 성동구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2대 ~ 제8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제2대 총선지청천민주국민당10,55128.34%
김명준민족자주연맹8,66923.29%
선우훈조선민주당4,13011.09%
이규동무소속3,0958.31%
장형무소속2,8087.54%
유종남대한노동총연맹2,4586.60%
이백규무소속1,4523.90%
석의징무소속1,1743.15%
김호규대한노동총연맹9282.49%
이만규대한노동당6861.84%
정종세무소속5201.39%
최약한대한국민당3690.99%
김성률무소속2160.58%
허범극무소속1650.44%
제3대 총선임흥순무소속12,07255.50
이정우자유당3,36315.46
정필선무소속2,33410.73
유종남자유당1,7147.88
최약한조선민주당9964.57
정철영무소속8884.08
허범극무소속3811.75
제4대 총선유성권민주당26,33862.45%
임흥순자유당12,45329.53%
김사만무소속3,3788.01%
제5대 총선유성권민주당24,61845.58
전진한한국사회당13,77425.50
장이욱흥사단11,77021.79
이정우무소속1,4892.75
오승은무소속1,4532.69
김재학무소속9001.66
제6대 총선유성권민주당18,76427.90%
김제윤민정당18,57227.61%
정태중민주공화당16,26424.18%
김주흥국민의당6,3539.44%
김용성자유민주당5,5638.27%
윤경빈한국독립당1,7332.57%
제7대 총선조한백신민당32,29337.09%
정봉중민주공화당26,58330.53%
임여순자유당15,15117.40%
유성권민주당9,42510.82%
김제윤민중당1,5071.73%
한석관대중당1,4701.68%
진봉운정의당6220.71%
손진태한국독립당00%
제8대 총선양일동신민당47,59359.26
정봉중민주공화당32,08139.94
이용구국민당6310.78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국민당 지청천 후보가 28.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지청천민주국민당10,55128.34%
김명준민족자주연맹8,66923.29%
선우훈조선민주당4,13011.09%
이규동무소속3,0958.31%
장형무소속2,8087.54%
유종남대한노동총연맹2,4586.60%
이백규무소속1,4523.90%
석의징무소속1,1743.15%
김호규대한노동총연맹9282.49%
이만규대한노동당6861.84%
정종세무소속5201.39%
최약한대한국민당3690.99%
김성률무소속2160.58%
허범극무소속1650.44%
합계37,221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임흥순 후보가 55.5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임흥순무소속12,07255.50
이정우자유당3,36315.46
정필선무소속2,33410.73
유종남자유당1,7147.88
최약한조선민주당9964.57
정철영무소속8884.08
허범극무소속3811.75
합계21,748100.00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유성권민주당26,33862.45%
임흥순자유당12,45329.53%
김사만무소속3,3788.01%
합계42,169100%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서울특별시 성동구 갑에서는 민주당 유성권 후보가 62.4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유성권 후보가 45.5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유성권민주당24,61845.58
전진한한국사회당13,77425.50
장이욱흥사단11,77021.79
이정우무소속1,4892.75
오승은무소속1,4532.69
김재학무소속9001.66
합계54,004


4. 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유성권민주당18,764표27.90%당선
김제윤민정당18,572표27.61%
정태중민주공화당16,264표24.18%
김주흥국민의당6,353표9.44%
김용성자유민주당5,563표8.27%
윤경빈한국독립당1,733표2.57%
합계67,249표


4. 6.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동구 갑 선거구의 유권자는 157,146명이었다. 신민당 조한백 후보가 37.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별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조한백신민당32,29337.09%
정봉중민주공화당26,58330.53%
임여순자유당15,15117.40%
유성권민주당9,42510.82%
김제윤민중당1,5071.73%
한석관대중당1,4701.68%
진봉운정의당6220.71%
손진태한국독립당00%


4. 7.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양일동신민당47,59359.26
정봉중민주공화당32,08139.94
이용구국민당6310.78
합계80,305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