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는 국제 사이클 연맹(UCI)이 주관하는 자전거 경주 대회로, 다양한 사이클 종목의 세계 챔피언을 결정한다. 1893년 시카고에서 최초의 대회가 열렸으며, 제1, 2차 세계 대전 중단을 거쳐 현재까지 로드 사이클, 트랙 사이클, 산악 자전거, BMX 등 다양한 종목을 포함하여 개최된다. 각 종목 우승자는 금메달과 함께 다음 대회 전까지 무지개색 저지를 착용할 수 있으며, 뛰어난 성적을 거둔 선수들은 자신의 이름을 딴 레이스나 경기장을 갖는 영예를 누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계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종목 | 사이클 세계 선수권 대회 |
영어 명칭 | UCI World Championships |
프랑스어 명칭 | Championnats du monde de cyclisme |
이탈리아어 명칭 | Campionato del mondo di ciclismo |
독일어 명칭 | Weltmeisterschaft |
스페인어 명칭 | Campeonato Mundial de Ciclismo |
약칭 | 세계 선수권, 세계선, 월드 챔피언십스 |
![]() | |
주최 | UCI |
웹사이트 | UCI 공식 웹사이트 |
대회 상세 정보 | |
종류 | 사이클 세계 선수권 대회 |
참가 | 선수 |
빈도 | 매년 |
창설 | 1893년 |
종목별 개최 시기 | |
로드 레이스 | 9월 하순경 |
트랙 레이스 | 3월 하순경 |
마운틴 바이크 | 9월경 |
바이시클 모토크로스 | 7월경 |
시클로크로스 | 1월 하순경 |
실내 자전거 경기 | 11월경 |
역사 | |
트랙 | 1893년 |
로드 | 1921년 |
마운틴 바이크 | 1990년 |
시클로크로스 | 1950년 |
실내 자전거 경기 | 1956년 |
패러사이클링 | 2007년 |
기타 | |
경기 형태 (로드) | 원데이 레이스 |
2. 역사의 흐름
국제 사이클 협회(International Cycling Association, ICA)는 1892년 11월 영국,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이탈리아, 독일, 벨기에의 사이클 단체에 의해 결성된 단체이다.[1] ICA는 영국의 전국 사이클 선수 연합(National Cyclists' Union)의 주도로 결성되었으며, 당시 스포츠계는 특정 국가 단체에 독립적인 세계 선수권 대회를 필요로 했다.[1] 잡지 "The Cyclist"의 편집자이자 스터미-아처(Sturmey-Archer) 기어 회사를 설립한 헨리 스터미(Henry Sturmey)가 1892년에 국제 사이클 협회를 제안하였다.[1]
최초로 인정된 세계 선수권 대회는 1893년 시카고에서 열렸으며, 1마일, 10km 트랙 경주와 최대 6명의 선수가 탄 탠덤으로 속도를 조절하는 100km 경주가 열렸다.[2] 미국의 아서 어거스터스 짐머만(Arthur Augustus Zimmerman)이 1마일과 10km 경주에서 우승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멘트제스가 100km 경주에서 우승했다.[2] 1895년 쾰른에서 프로 선수들의 경주가 시작되었으며, 영국의 지미 마이클(Jimmy Michael)이 100km 경주에서 우승했다.
아마추어와 프로의 정의는 국제 사이클 협회에 매우 중요했는데, 1900년 경주 전에 프랑스를 포함한 다른 국가들이 경쟁 단체를 설립하면서 국제 사이클 연맹(Union Cycliste Internationale, UCI)이 세계 관리 기구가 되었고 국제 사이클 협회는 사라졌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1914년부터 1919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세계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다.
1921년 덴마크・코펜하겐 대회부터 아마추어 종목에 한해 도로 사이클이 개최되었고, 1927년 독일・뉘르부르크링 대회부터 프로 개인 도로 레이스가 추가되었다. 1950년부터 사이클로크로스가, 1990년부터 산악 자전거가 세계 선수권 대회 종목으로 추가되었다. 1958년부터 여자 종목(도로 레이스, 트랙 레이스)이 개최되었다.
1995년까지 트랙 레이스와 도로 레이스는 동일 국가에서 동시기에 개최되었으나, 현재는 도로 레이스는 매년 9월 하순, 트랙 레이스는 매년 3월 하순에 개최된다. 2000년부터 실내 사이클이, 2001년부터 BMX가, 2007년부터 패럴림픽 사이클이 각각 UCI 주관의 세계 선수권 대회가 되었다.
2023년 영국・스코틀랜드・글래스고 대회에서는 13종목을 동시기에 실시하며, UCI는 앞으로 4년에 한 번 통합된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일본에서는 나카노 코이치가 1977년 트랙 레이스 스프린트 종목에서 첫 우승을 달성한 이후 1986년까지 10연패를 달성했다. 1990년 마에바시시(트랙 레이스)와 우쓰노미야시(도로 레이스)에서 아시아 최초로 대회가 개최되었고, 가고시마현 가세다시(2001년)와 가고시마시(2011년)에서 실내 경기가 개최되었다.
2. 1. 초기 역사 (1893년 ~ 1900년)
국제 사이클 협회(International Cycling Association, ICA)는 1892년 11월 영국,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이탈리아, 독일, 벨기에의 사이클 단체에 의해 결성된 단체이다.[1] ICA는 영국의 전국 사이클 선수 연합(National Cyclists' Union)의 주도로 결성되었으며, 당시 스포츠계는 특정 국가 단체에 독립적인 세계 선수권 대회를 필요로 했다.[1] 잡지 "The Cyclist"의 편집자이자 스터미-아처(Sturmey-Archer) 기어 회사를 설립한 헨리 스터미(Henry Sturmey)가 1892년에 국제 사이클 협회를 제안하였다.[1]최초로 인정된 세계 선수권 대회는 1893년 시카고에서 열렸으며, 1마일, 10km 트랙 경주와 최대 6명의 선수가 탄 탠덤으로 속도를 조절하는 100km 경주가 열렸다.[2] 미국의 아서 어거스터스 짐머만(Arthur Augustus Zimmerman)이 1마일과 10km 경주에서 우승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멘트제스가 100km 경주에서 우승했다.[2] 1895년 쾰른에서 프로 선수들의 경주가 시작되었으며, 영국의 지미 마이클(Jimmy Michael)이 100km 경주에서 우승했다.
아마추어와 프로의 정의는 국제 사이클 협회에 매우 중요했는데, 1900년 경주 전에 프랑스를 포함한 다른 국가들이 경쟁 단체를 설립하면서 국제 사이클 연맹(Union Cycliste Internationale, UCI)이 세계 관리 기구가 되었고 국제 사이클 협회는 사라졌다.
2. 2. 세계 대전과 중단 (1914년 ~ 1919년, 1940년 ~ 1945년)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1914년부터 1919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세계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다.2. 3. 종목 확장 (1921년 ~ 현재)
1921년 덴마크・코펜하겐 대회부터 아마추어 종목에 한해 도로 사이클이 개최되었고,[3] 1927년 독일・뉘르부르크링 대회부터 프로 개인 도로 레이스가 추가되었다.[3] 1950년부터 사이클로크로스가,[3] 1990년부터 산악 자전거가[3] 세계 선수권 대회 종목으로 추가되었다. 1958년부터 여자 종목(도로 레이스, 트랙 레이스)이 개최되었다.[3]1995년까지 트랙 레이스와 도로 레이스는 동일 국가에서 동시기에 개최되었으나, 현재는 도로 레이스는 매년 9월 하순, 트랙 레이스는 매년 3월 하순에 개최된다. 2000년부터 실내 사이클이,[3] 2001년부터 BMX가,[3] 2007년부터 패럴림픽 사이클이[3] 각각 UCI 주관의 세계 선수권 대회가 되었다.
2023년 영국・스코틀랜드・글래스고 대회에서는 13종목[3]을 동시기에 실시하며, UCI는 앞으로 4년에 한 번 통합된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할 방침이다.[4]
일본에서는 나카노 코이치가 1977년 트랙 레이스 스프린트 종목에서 첫 우승을 달성한 이후 1986년까지 10연패를 달성했다. 1990년 마에바시시(트랙 레이스)와 우쓰노미야시(도로 레이스)에서 아시아 최초로 대회가 개최되었고, 가고시마현 가세다시(2001년)와 가고시마시(2011년)에서 실내 경기가 개최되었다.
3. 주요 종목
3. 1. 현재 개최 종목
UCI 로드 세계 선수권 대회, UCI 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사이클로크로스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실내 사이클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산악 자전거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산악 자전거 마라톤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산악 자전거 엘리미네이터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산악 자전거 엔듀로 세계 선수권 대회, UCI BMX 레이싱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어반 사이클링 세계 선수권 대회, UCI 펌프 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사이클링 e스포츠 세계 선수권 대회, UCI 그래블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스노우 바이크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사이클 패럴림픽 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 UCI 사이클 패럴림픽 로드 세계 선수권 대회가 현재 개최되고 있다.3. 2. 폐지 종목
UCI B 세계 선수권 대회는 1995년까지 남자 아마추어 로드 레이스를 개최하였다. 프로-아마추어 오픈화로 인해 이 종목은 폐지되었고, 별도로 U-23 종목이 개최되고 있다. 오스게 사유리는 여자 500m 타임 트라이얼 (2003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와다미 사토미는 여자 포인트 레이스와 여자 스크래치 (2007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츠쿠다 사키에는 여자 스프린트, 여자 경륜 (2007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4.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마쓰다 다카시(현: 마쓰다 다카시)……스프린트(1983년)
:* 스에마사 미오……여자 MTB 다운힐(2001년)
:* 기타즈루 츠바사……스프린트(2003년), 경륜(2003년)
; 은메달
:* 시바사키 쥰・스게타 이치도・오니시 유……팀 스프린트(2004년)
:* 모스나 유키……포인트 레이스(2009년)
; 동메달
:* 오노 토시유키……스프린트(1994년)
:* 우에노 미나미……여자 포인트 레이스(2009년)
4. 1. 로드 사이클
세계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의 로드 사이클 부문은 1975년부터 2004년까지, 그리고 2011년부터 현재까지 UCI 로드 세계 선수권 대회의 일부로 개최되고 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는 UCI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의 일부로, 2010년에는 2010년 UCI 주니어 로드 세계 선수권 대회로 개최되었다.일본은 이 대회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였다. 마쓰다 다카시는 1983년 스프린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스에마사 미오는 2001년 여자 MTB 다운힐에서, 기타즈루 츠바사는 2003년 스프린트와 경륜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시바사키 쥰, 스게타 이치도, 오니시 유는 2004년 팀 스프린트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모스나 유키는 2009년 포인트 레이스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오노 토시유키는 1994년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우에노 미나미는 2009년 여자 포인트 레이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4. 2. 트랙 사이클
UCI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의 일부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개최되었다. 2010년부터는 UCI 주니어 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로 개최되고 있다.1983년 마쓰다 다카시(현: 마쓰다 다카시)가 스프린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스에마사 미오는 2001년 여자 MTB 다운힐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3년 기타즈루 츠바사는 스프린트와 경륜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에는 시바사키 쥰, 스게타 이치도, 오니시 유가 팀 스프린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 모스나 유키는 포인트 레이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4년 오노 토시유키가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 우에노 미나미는 여자 포인트 레이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5. 대한민국과 세계 선수권 대회
5. 1. 초기 참가와 경륜 선수들의 활약
일본은 1936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데미야 준이치가 아마추어 개인 도로 경기에서 7위를 기록했다.[6]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잠시 참가가 중단되었다가, 1952년 프랑스 파리 대회부터 다시 참가하기 시작했다. 1957년에는 일본 자전거 경기 연맹(FJC)이 발족하면서, 나카이 미츠오와 나카노 야스미츠가 경륜 선수로서 처음으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6]1968년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대회에서는 이노우에 미츠지와 마누메 타카오가 아마추어 탄뎀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일본인 최초의 메달리스트가 되었다.[6] 1975년 벨기에 리에주 대회에서는 아베 료지가 프로 스크래치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경륜 선수 최초의 메달을 획득했다.[6]
1977년 베네수엘라 산크리스토발 대회에서는 나카노 코이치가 프로 스크래치에서 우승한 후, 1986년 미국 콜로라도스프링스 대회까지 10연패를 달성하는 대기록을 세웠다.[6]
5. 2. 침체기와 새로운 도약
일본인 선수들의 활약은 1990년대 이후 감소하여, 1993년 경륜의 요시오카 토시마 동메달, 2004년 산악 자전거 여자 다운힐의 스에마사 미오 은메달, 2010년 스크래치의 모리 카즈히로 동메달 획득에 그쳤다. 유럽 선수들이 성장하는 동안 일본 선수들은 침체기를 겪었으나, 도쿄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일본 자전거 경기 연맹이 브누아 베튀와 제이슨 니블렛 코치를 초빙하여 강화에 나섰다.그 결과, 2020년 독일 베를린 대회에서 카지와라 유미가 여자 옴니엄에서 우승하며 일본 여자 선수 최초로 아르캉시엘을 획득했다.[8] 2021년 프랑스 루베 대회에서는 사토 미즈나가 여자 경륜에서 2위를 차지, 단거리 종목에서 일본 여자 선수 최초의 메달리스트가 되었다.[9]
6. 기록
6. 1. 통산 10회 이상 우승자
6. 1. 1. 남자
아르노 투르낭(프랑스)은 트랙 종목에서 14회 우승했다. 세부 종목별로는 팀 스프린트에서 9회(1997~2001년, 2004년, 2006~2008년), 1km 타임 트라이얼에서 4회(1998~2001년), 스프린트에서 1회(2001년) 우승했다.크리스 호이는 트랙 종목에서 11회 우승했다. 세부 종목별로는 1km 타임트라이얼에서 4회 (2002년, 2004년, 2006~2007년), 팀 스프린트에서 2회 (2002년, 2005년), 경륜에서 3회 (2007~2008년, 2010년, 2012년), 개인 스프린트에서 1회 (2008년) 우승했다.
나카노 코이치(일본)는 트랙 종목, 프로 스프린트에서 10회(1977~1986년) 우승하여, 일본에서 독보적인 최다 우승 기록을 세웠다. 이는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에게 일제 강점기의 아픈 기억을 상기시키지만, 스포츠에서는 뛰어난 성과로 인정받고 있다.
우르스 프뢰러는 트랙 종목에서 10회 우승했다. 세부 종목별로는 프로 포인트에서 8회(1981~1987년, 1989년), 프로 경륜에서 2회(1983년, 1985년) 우승했다.
플로리앙 루소(프랑스)는 트랙 종목에서 10회 우승했다. 세부 종목별로는 팀 스프린트에서 5회(1997~2001년), 스프린트에서 3회(1996~1998년), 1km 타임 트라이얼에서 2회(1993~1994년) 우승했다.
6. 1. 2. 여자
자니 롱고 (프랑스)는 로드, 트랙 종목에서 13회 우승했다. 세부적으로는 개인 로드에서 5회(1985~1987년, 1989년, 1995년), 개인 타임 트라이얼에서 4회(1995~1997년, 2001년), 개인 추발에서 3회(1986년, 1988년, 1989년), 포인트 레이스에서 1회(1989년) 우승했다.안느-캐롤린 쇼송 (프랑스)은 MTB 종목에서 13회 우승했다. 세부적으로는 다운힐에서 9회(1996~2003년, 2005년), 듀얼 슬라롬에서 2회(2000~2001년), 포 크로스에서 2회(2002~2003년) 우승했다.
마리안느 보스는 로드, 사이클로크로스, 트랙 종목에서 12회 우승했다. 세부적으로는 개인 로드 레이스에서 3회(2006년, 2012~2013년), 사이클로크로스 엘리트에서 7회(2006년, 2009~2014년), 트랙 포인트에서 1회(2008년), 트랙 스크래치에서 1회(2011년) 우승했다.
펠리시아 발랑제 (프랑스)는 트랙 종목에서 10회 우승했다. 세부적으로는 스프린트에서 5회(1995~1999년), 500m 타임 트라이얼에서 5회(1995~1999년) 우승했다.
6. 2. 동일 종목 5연패 이상 달성자 (개인 종목)
'''나카노 코이치''' (나카노 고이치/中野浩一일본어) (일본)는 1977년부터 1986년까지 프로 스프린트 종목에서 10연패를 달성했다.종목 | 연패 횟수 | 연패 연도 |
---|---|---|
프로 스프린트 | 10 | 1977~1986년 |
'''안느-카롤린 쇼송''' (안느-카롤린 쇼송/Anne-Caroline Chausson프랑스어) (프랑스)
종목 | 연패 횟수 | 연패 연도 |
---|---|---|
MTB 다운힐 | 8 | 1996~2003년 |
'''마리안느 보스'''
종목 | 연패 횟수 | 연패 연도 |
---|---|---|
사이클로크로스 | 6 | 2009~2014년 |
6. 2. 1. 남자
'''나카노 코이치''' (나카노 고이치/中野浩一일본어) (일본)는 1977년부터 1986년까지 프로 스프린트 종목에서 10연패를 달성했다.종목 | 연패 횟수 | 연패 연도 |
---|---|---|
프로 스프린트 | 10 | 1977~1986년 |
6. 2. 2. 여자
'''안느-카롤린 쇼송''' (안느-카롤린 쇼송/Anne-Caroline Chausson프랑스어) (프랑스)종목 | 연패 횟수 | 연패 연도 |
---|---|---|
MTB 다운힐 | 8 | 1996~2003년 |
'''마리안느 보스'''
종목 | 연패 횟수 | 연패 연도 |
---|---|---|
사이클로크로스 | 6 | 2009~2014년 |
7. 우승자의 영예
각 종목에서 우승한 선수는 금메달을 수여받으며, 다음 대회 전날까지 우승한 종목의 레이스나 경기에 출전하는 경우 마이요 아르캉시엘(프랑스어)(영어로는 레인보우 저지)을 착용하고 경기에 출전하는 것이 허용된다.[5]
다음 대회에서 패권을 잃더라도 레이스나 경기 중 사용하는 자전거에 스트라이프 스티커를 붙이거나, 저지나 바지 일부에 스트라이프를 넣는 것, 혹은 스트라이프 무늬의 암밴드를 착용하는 것이 평생 허용된다.[5]
개인 스프린트 10연패를 달성한 나카노 코이치는 구루메 경륜장에서 개최되는 "나카노 컵 레이스"에 그 이름이 붙여져 있다.[5] 같은 종목 7회 제패의 제프 셰렌의 경우에는 "GP 제프 셰렌"이라는 로드 레이스가 개최되고 있으며, 안토니오 마스페스에 관해서는 밀라노에 "마스페스=비고렐리 자전거 경기장"이 존재한다.[5]
남자 엘리트 로드 레이스에서 역대 최다 타이기록인 3회 우승을 자랑하는 릭 반 스텐베르헨의 경우에는 "GP 릭 반 스텐베르헨"이라는 로드 레이스가, 오스카 프레이레의 경우에도 "오스카 프레이레 벨로드롬"이라는 명칭의 자전거 경기장이 존재한다.[5]
세계 선수권에서 역사에 이름을 남긴 선수들은 레이스나 경기장에 자신의 이름이 남는 등 오랫동안 명예를 칭송받는다. 따라서 자전거 경기 선수에게 세계 선수권에서의 우승은 때로는 올림픽에서의 우승보다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5]
참조
[1]
간행물
Scottish Cyclist
1892-11-30
[2]
간행물
The Bicycle
1946-08-14
[3]
문서
ロード、パラサイクリングロード、トラック、パラサイクリングトラック、MTBクロスカントリー、MTBダウンヒル、MTBマラソン、MTBクロスカントリーエリミネーター、トライアル、BMXフリースタイル、BMXレース、室内自転車競技、グランフォンドの13種目
[4]
웹사이트
UCI世界選手権男子エリート ロード・個人タイムトライアル
https://www.jsports.[...]
2023-08-07
[5]
문서
競輪では名選手の冠を頂くレースが少なくないが、記念開催 (GIII) で使用されているケースは2007年までは中野だけだった。
[6]
문서
1957年にプロ部門初参加を果たしたものの、イギリスの[[レジナルド・ハリス]]にプロ・スクラッチで完敗を喫した中井光雄はレース終了後、「今後しばらくは、世界選手権では歯が立たないかもしれない。しかし、世界との差を縮め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自信を持てるまで、挑戦を続けさせてほしい。」と話し、当大会の重要性を強調。その後も競輪選手の当大会への派遣は続けられた(参考文献:月刊競輪 競輪50周年記念臨時増刊号(1998年、日本自転車振興会発行))。
[7]
서적
月刊競輪 競輪50周年記念臨時増刊号
日本自転車振興会
1998
[8]
뉴스
オムニアム梶原悠未が銀メダル「取れてとてもうれしい…でもすごく悔しい」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08-08
[9]
뉴스
佐藤水菜が女子ケイリンで初の銀メダル!/自転車世界選手権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21-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