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1996년 시작되어, 매년 동계 올림픽이 열리는 해를 제외하고 개최되는 국제빙상연맹(ISU) 주관 대회이다. 19세기 말부터 여러 거리를 경주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가 선수들의 전문화 경향에 따라 올림픽과 일반 선수권 대회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남녀 500m, 1000m, 1500m, 남자 5000m, 여자 3000m, 남자 10000m, 여자 5000m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팀 추월, 매스 스타트, 팀 스프린트 종목도 포함되어 남녀 각각 8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쟁한다. 네덜란드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10개의 금메달을 포함하여 종합 9위를 기록하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여러 거리를 경주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종합 선수권 대회는 4개의 다른 거리, 스프린트 선수권 대회는 2개의 다른 거리(두 번씩)를 경주했다. 그러나 동계 올림픽의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는 항상 개인별 거리로 진행되었고, 복합 종목에 대한 메달은 없었다(예외는 1924년 동계 올림픽이다).
선수들은 다음 종목에서 경쟁한다.
2. 역사
20세기 말, 선수들이 전문화되면서 단거리와 장거리 모두에서 뛰어난 선수는 드물어졌다. 에릭 하이든은 1980년 동계 올림픽에서 5개 종목 모두 우승하며 이러한 전문화 경향 속에서도 뛰어난 기량을 보였다. 이러한 전문화와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 및 여러 국가에서 열리는 종목별 선수권 대회의 인기로 인해, 국제빙상연맹은 세계 종목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1996년 노르웨이 하마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이 대회는 매년 개최되고 있다(동계 올림픽 개최 연도는 제외). 1998년에는 세계 종목별 선수권 대회와 동계 올림픽에서 열리는 종목별 선수권 대회를 같은 해에 개최하는 것은 무리라는 판단 하에, 1999년부터 세계 종목별 선수권 대회는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는 해에는 열리지 않는다.
개최지와 개최 연도는 다음과 같다.연도 개최지 1996년 하마르 1997년 바르샤바 1998년 캘거리 1999년 헤이렌베인 2000년 나가노 2001년 솔트레이크시티 2002년 미개최 2003년 베를린 2004년 서울 2005년 인첼 2006년 미개최 2007년 솔트레이크시티 2008년 나가노 2009년 밴쿠버 2010년 미개최 2011년 인첼 2012년 헤이렌베인 2013년 소치 2014년 미개최 2015년 헤이렌베인 2016년 콜롬나 2017년 강릉 2018년 미개최 2019년 인첼 2020년 솔트레이크시티 2021년 헤이렌베인 2022년 미개최 2023년 헤이렌베인 2024년 캘거리
3. 경기 종목
남자 여자 비고 500m 500m 1,000m 1,000m 1,500m 1,500m 5,000m 3,000m 10,000m 5,000m 단체 추월 단체 추월 (2005년부터) 매스 스타트 매스 스타트 (2015년부터) 팀 스프린트 팀 스프린트 (2019–2020, 2023년부터)
3. 1. 남자
종목 비고 500m 1,000m 1,500m 5,000m 10,000m 단체 추월 (2005년부터) 매스 스타트 (2015년부터) 팀 스프린트 (2019–2020, 2023년부터)
3. 2. 여자
종목 | 메달리스트 목록 | 비고 |
---|---|---|
500m | 메달리스트 목록 | |
1,000m | 메달리스트 목록 | |
1,500m | 메달리스트 목록 | |
3,000m | 메달리스트 목록 | |
5,000m | 메달리스트 목록 | |
단체 추월 | 메달리스트 목록 | (2005년부터) |
매스 스타트 | 메달리스트 목록 | (2015년부터) |
팀 스프린트 | 메달리스트 목록 | (2019–2020, 2023년부터) |
4. 역대 개최지
연도 | 개최지 |
---|---|
1996년 | 하마르 |
1997년 | 바르샤바 |
1998년 | 캘거리 |
1999년 | 헤이렌베인 |
2000년 | 나가노 |
2001년 | 솔트레이크시티 |
2002년 |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개최 |
2003년 | 베를린 |
2004년 | 서울 |
2005년 | 인첼 |
2006년 |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개최 |
2007년 | 솔트레이크시티 |
2008년 | 나가노 |
2009년 | 리치먼드 |
2010년 |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개최 |
2011년 | 인첼 |
2012년 | 헤이렌베인 |
2013년 | 소치 |
2014년 |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개최 |
2015년 | 헤이렌베인 |
2016년 | 콜롬나 |
2017년 | 강릉 |
2018년 |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개최 |
2019년 | 인첼 |
2020년 | 솔트레이크시티 |
2021년 | 헤이렌베인 |
2022년 |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개최 |
2023년 | 헤이렌베인 |
2024년 | 캘거리 |
5. 대한민국 선수들의 주요 성적
대한민국은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여자 500m 종목에서 이상화 선수가 2012년, 2013년, 2016년에 금메달을 획득하며 강세를 보였다. 남자부에서는 모태범이 2013년에 금메달을, 이규혁이 2011년에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7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여자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이승훈은 2011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5. 1. 남자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남자부 경기 결과를 연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연도 | 500m | 1000m | 1500m | 5000m | 10000m |
---|---|---|---|---|---|
1996 | 세르게이 크레프체냐|세르게이 크레프체냐ru (러시아) | 오드네 세렌돌|오드네 쇤드롤no (노르웨이) | 이데스 포스트마 (네덜란드) | 지안니 로메 (네덜란드) | |
1997 | 오드네 세렌돌|오드네 쇤드롤no (노르웨이) | 얀 보스|얀 보스nl (네덜란드) | 린체 리츠마|린츠 릿체마nl (네덜란드) | 지안니 로메 (네덜란드) | |
1998 | 실뱅 부샤르|실뱅 부샤르영어 (캐나다) | 제레미 워더스푼|제러미 워더스푼영어 (캐나다) | 야니 로메 (네덜란드) | 지안니 로메 (네덜란드) | |
1999 | 얀 보스|얀 보스nl (네덜란드) | 시미즈 히로야스|시미즈 히로야스일본어 (일본) | 야니 로메 (네덜란드) | 밥 데 용 (네덜란드) | |
2000 | 오드네 세렌돌|오드네 쇤드롤no (노르웨이) | 얀 보스|얀 보스nl (네덜란드) | 야니 로메 (네덜란드) | 지안니 로메 (네덜란드) | |
2001 | 제레미 워더스푼|제러미 워더스푼영어 (캐나다) | 오드네 세렌돌|오드네 쇤드롤no (노르웨이) | 밥 데 용 (네덜란드) | 카를 페르헤이엔 (네덜란드) | |
2002 |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03 | 에르벤 베네마르스 (네덜란드) | 에르벤 베네마르스 (네덜란드) | 요헴 유에이트데하르 (네덜란드) | 밥 데 용 (네덜란드) | |
2004 | 에르벤 베네마르스 (네덜란드) | 제레미 워더스푼|제러미 워더스푼영어 (캐나다) | 채드 헤드릭 (미국) | 카를 페르헤이엔 (네덜란드) | |
2005 | 에벤 베텐|에번 웨튼no (노르웨이) | 얀 보스|얀 보스nl (네덜란드) | 채드 헤드릭 (미국) | 밥 데 용 (네덜란드) | |
2006 | 토리노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07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
2008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
2009 | 트레버 마르시카노 (미국) | 트레버 마르시카노 (미국)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
2010 | 밴쿠버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11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봅 데 용 (네덜란드) | 밥 데 용 (네덜란드) | |
2012 | 스테판 그로투이스 (네덜란드) | 스테판 그로투이스 (네덜란드)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밥 데 용 (네덜란드) | |
2013 | 데니스 쿠진 (카자흐스탄) | 모태범 (대한민국)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요릿 베르그스마 (네덜란드) | |
2014 | 소치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15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요릿 베르그스마 (네덜란드) | |
2016 | 파벨 쿨리즈니코프|파벨 쿨리즈니코프ru (러시아) | 파벨 쿨리즈니코프|파벨 쿨리즈니코프ru (러시아)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
2017 | 키엘트 나위스 (네덜란드) | 키엘트 나위스 (네덜란드)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스벤 크라머 (네덜란드) | |
2018 |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19 | 카이 페르바이 (네덜란드) | 카이 페르바이 (네덜란드) | 스베레 룬데 페데르센 (노르웨이) | 요릿 베르그스마 (네덜란드) | |
2020 | 파벨 쿨리즈니코프|파벨 쿨리즈니코프ru (러시아) | 파벨 쿨리즈니코프|파벨 쿨리즈니코프ru (러시아) | 테드얀 블루먼 (캐나다) | 그레이엄 피쉬 (캐나다) | |
2021 | 카이 페르바이 (네덜란드) | 카이 페르바이 (네덜란드) | 닐스 반 데르 풀 (스웨덴) | 닐스 반 데르 풀 (스웨덴) | |
2022 |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23 | 조던 스톨츠 (미국) | 조던 스톨츠 (미국) | 패트릭 루스트 (네덜란드) | 다비데 지오토 (이탈리아) | |
2024 | 조던 스톨츠 (미국) | 조던 스톨츠 (미국) | 패트릭 루스트 (네덜란드) | 다비데 지오토 (이탈리아) |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에는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5. 1. 1. 이강석
주어진 소스에 이강석 선수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비워둔다.5. 1. 2. 모태범
모태범은 이 대회에서 2012년과 2013년에 500m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5. 1. 3. 이규혁
이규혁은 2011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3]5. 1. 4. 이승훈
이승훈은 2011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매스스타트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5. 2. 여자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여자 부문은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에는 동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다음은 역대 여자 부문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연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6 | Annamarie Thomas|안나마리 토마스nl | Chris Witty|크리스 위티영어 | Emese Hunyady|에메세 후녀디de |
1997 | Marianne Timmer|마리안네 티머nl | Sandra Zwolle|산드라 츠볼레nl | Franziska Schenk|프란치스카 쉥크de |
1998 | Chris Witty|크리스 위티영어 | Catriona Le May Doan|카트리오나 르메이 돈프랑스어 | Franziska Schenk|프란치스카 쉥크de |
1999 | Marianne Timmer|마리안네 티머nl | Monique Garbrecht|모니크 가브레흐트de | Catriona Le May Doan|카트리오나 르메이 돈프랑스어 |
2000 | Monique Garbrecht|모니크 가브레흐트de | Marianne Timmer|마리안네 티머nl | Chris Witty|크리스 위티영어 |
2001 | Monique Garbrecht|모니크 가브레흐트de | Sabine Völker|사비네 푀르커de | Catriona Le May Doan|카트리오나 르메이 돈프랑스어 |
2002 |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03 | Anni Friesinger|안니 프리징어de | Jennifer Rodriguez|제니퍼 로드리게스영어 | Cindy Klassen|신디 클래슨영어 |
2004 | Anni Friesinger|안니 프리징어de | Marianne Timmer|마리안네 티머nl | Cindy Klassen|신디 클래슨영어 |
2005 | Barbara de Loor|바바라 데 로어nl | Anni Friesinger|안니 프리징어de | Marianne Timmer|마리안네 티머nl |
2006 | 토리노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07 | Ireen Wüst|이레인 뷔스트nl | Anni Friesinger|안니 프리징어de | Christine Nesbitt|크리스틴 네스빗영어 |
2008 | Anni Friesinger|안니 프리징어de | Kristina Groves|크리스티나 그로브스영어 | Annette Gerritsen|아네트 헤릿선nl |
2009 | Christine Nesbitt|크리스틴 네스빗영어 | Anni Friesinger|안니 프리징어de | Margot Boer|마르곳 보어nl |
2010 | 밴쿠버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11 | Christine Nesbitt|크리스틴 네스빗영어 | Ireen Wüst|이레인 뷔스트nl | Heather Richardson|헤더 리처드슨영어 |
2012 | Christine Nesbitt|크리스틴 네스빗영어 | Yu Jing|위징중국어 | Margot Boer|마르곳 보어nl |
2013 | Olga Fatkulina|올가 파트쿨리나ru | Ireen Wüst|이레인 뷔스트nl | Brittany Bowe|브리타니 보위영어 |
2014 | 소치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15 | Brittany Bowe|브리타니 보위영어 | Heather Richardson|헤더 리처드슨영어 | Karolína Erbanová|카롤리나 에르바노바cs |
2016 | Jorien ter Mors|요린 테르 모르스nl | Heather Richardson|헤더 리처드슨영어 | Brittany Bowe|브리타니 보위영어 |
2017 | Heather Bergsma|헤더 베르그스마영어 | 小平奈緒|고다이라 나오일본어 | Jorien ter Mors|요린 테르 모르스nl |
2018 | 평창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19 | Brittany Bowe|브리타니 보위영어 | Vanessa Herzog|바네사 헤르초크de | 小平奈緒|고다이라 나오일본어 |
2020 | Jutta Leerdam|유타 뢰르담nl | Olga Fatkulina|올가 파트쿨리나ru | 高木美帆|다카기 미호일본어 |
2021 | Brittany Bowe|브리타니 보위영어 | Jutta Leerdam|유타 뢰르담nl | Elizaveta Golubeva|엘리자베타 골루베바ru |
2022 | 베이징 올림픽 개최로 인해 미실시 | ||
2023 | Jutta Leerdam|유타 뢰르담nl | Antoinette Rijpma-de Jong|안토이네트 데 용nl | 高木美帆|다카기 미호일본어 |
2024 | 高木美帆|다카기 미호일본어 | Han Mei|한 메이중국어 | Jutta Leerdam|유타 뢰르담nl |
한국 선수로는 이상화가 500m에서 3회(2012년, 2013년, 2016년), 김보름이 2017년 대회 매스스타트에서 1회 금메달을 획득했다.
5. 2. 1. 이상화
이상화는 2012년, 2013년, 2016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5. 2. 2. 김보름
2017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매스스타트에서 김보름이 금메달을 획득했다.6.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네덜란드 | 35 | 37 | 26 | 98 |
2 | 독일 | 23 | 24 | 17 | 64 |
3 | 체코 | 19 | 4 | 11 | 34 |
4 | 캐나다 | 12 | 16 | 21 | 49 |
5 | 미국 | 12 | 6 | 12 | 30 |
6 | 러시아 | 8 | 6 | 13 | 27 |
7 | 노르웨이 | 5 | 6 | 6 | 17 |
8 | 일본 | 4 | 5 | 6 | 15 |
9 | 대한민국 | 10 | 12 | 7 | 29 |
10 | 이탈리아 | 2 | 6 | 5 | 13 |
11 | 스웨덴 | 2 | 1 | 1 | 4 |
대한민국은 금메달 10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7개로 종합 9위를 기록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SU World Single Distances Speed Skating Championships 2016, Kolomna, Russia
http://www.isu.org/m[...]
International Skating Union
[2]
웹사이트
ISU World Single Distances Speed Skating Championships 2017, Gangneung, Korea
http://www.isu.org/m[...]
International Skating Union
[3]
웹사이트
ISU World Single Distances Speed Skating Championships, 2019 Inzell, Germany
https://www.isu.org/[...]
International Skating Union
2018-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