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균 문은 세균 분류의 주요 계통 분류 단위이다. 2023년 12월 이전에 유효하게 출판된 모든 간행물과 대부분의 추가 제안을 포함하는 세균 문의 목록은 doi:10.1099/ijsem.0.00650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균 문은 주요 세균 분류를 나타내며, 후보 문, 상위 그룹, 그리고 역사적 분류와 분자 계통 발생학, 환경 유전체학의 발전에 따른 분류 변화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균 문 | |
---|---|
설명 | |
세균 문 | 세균의 주요 분류 단계 |
상위 분류 | 세균 |
특징 | |
다양성 | 고세균과 진핵생물보다 다양성이 큼. 서식 환경, 대사, 형태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임. |
미발견 다양성 | 아직 발견되지 않은 세균 다양성이 매우 높음. |
분류의 어려움 | 분류가 어려움. 2016년에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세균 문을 제안함. 이 연구에서 26개의 후보 문과 7개의 이미 확립된 문을 확인함. |
현재 상태 | 2021년 10월 기준으로 42개의 세균 문이 유효하게 명명됨.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Hug et al. (2016) Yarza et al. (2014) Anantharaman et al. (2016) Dudek et al. (2017) Oren et al. (2021a) Oren et al. (2021b) |
2. 세균 문의 목록
wikitext
현재 정식으로 출판된 세균 문의 목록은 doi:10.1099/ijsem.0.00650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목록에는 2023년 12월 이전에 ''원핵생물 규약''에 따라 유효하게 출판된 모든 간행물과 대부분의 추가 제안이 포함되어 있다. 아래 표는 유효하게 출판되었던 세균 문들의 목록이다.
2. 1. 주요 세균 문
현재 정식으로 출판된 세균 문의 목록은 doi:10.1099/ijsem.0.00650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목록에는 2023년 12월 이전에 ''원핵생물 규약''에 따라 유효하게 출판된 모든 간행물과 대부분의 추가 제안이 포함되어 있다. 아래 표는 유효하게 출판되었던 세균 문들의 목록이다.문 | 다른 이름 | 그룹 | 배양된 대표 종 | 비고 |
---|---|---|---|---|
10bav-F6[8] | 아니요 | |||
"아바와카박테리아"[4][37] | RIF46 | CPR; Gracil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압디티박테리오타"[9] | FBP | 예[9] | ||
"압스콘디타박테리아"[10][37] | SR1 | CPR; Gracil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ABY1[45] | OD1-ABY1[11] | CPR; Parcubacteria | 아니요 | |
"바이폴라리카울로타"[12] | OP1, "Acetothermia" | |||
아시도박테리오타 | "Acidobacteria" | 예[13] | ||
방선균문 | "Actinobacteria" | Terrabacteria | 예[14] | |
"아들러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 | 아니요 | ||
"에어로포보타" / "에어로포베테스" | CD12, BHI80-139 | |||
"아메스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안데르센박테리아"[4] | RIF9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related | 아니요 | |
아르마티모나도타[12] | "Armatimonadetes", OP10 | Terrabacteria | 예[16] | |
"아미니센탄테스"[12] | OP8 | |||
AncK6[8] | ||||
Apal-E12[8] | ||||
아트리박테리오타[12] | OP9, JS1 | 아니요 | ||
아쿠이피코타 | "Aquificae" | |||
"아잠박테리아" i[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unclassified Parcubacteria | 아니요 | Anantharaman 외...에 의해 분리됨 | |
"아잠박테리아" ii[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unclassified Parcubacteria | 아니요 | ...(2016년 10월) 다계통성으로 | |
세균문 | "Bacteroidetes" | FCB 그룹 | 예 | |
발네올로타[17] | 예 | |||
별모양세균문 | ||||
"벡위스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베르켈박테리아"[18][37] | ACD58 | CPR; Sacchar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BHI80-139[8] | ||||
"블랙번박테리아"[4] | RIF35 | CPR; Microgenomates | 아니요 | |
"브레너박테리아"[4][37] | RIF18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3 | 아니요 | |
"브라운박테리아" | CPR; Parcubacteria; unclassified Parcubacteria | 아니요 | ||
"부캐넌박테리아"[4][37] | RIF37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
칼디세리코타[12] | OP5,[19] "Caldiserica" | FCB 그룹 | 예[20] | |
칼디트리코타[21] | FCB 그룹[22] | |||
"칼레스카만테스" | EM19 | |||
"캠벨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 | 아니요 | 다계통으로 보임: 두 개의 분류군 | |
캄필로박터문 | ||||
클라미디아문 | "Chlamydiae"[23] | PVC 그룹 | ||
클로로비문 | "Chlorobi" | FCB 그룹 | ||
클로로플렉수스문 | "Chloroflexi" | "Terrabacteria" | ||
치숄름박테리아[4] | RIF36 | CPR; "Microgenomates" | 아니요 | |
크리시오제노타 | "Chrysiogenetes" | |||
"클로아키모네테스"[24] | WWE1 | FCB 그룹[22] | ||
"코아테스박테리아"[4] | RIF8 | 아니요 | ||
"콜리어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콜웰박테리아"[4][37] | RIF41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3 | 아니요 | |
코프로써모박테리오타 | ||||
"커티스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CPR-1[1] | CPR | 아니요 | ||
CPR-3[1] | CPR | 아니요 | ||
"시아노박테리아" | Terrabacteria | |||
"다다박테리아"[25] | 아니요 | |||
"데이비스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델피박테리아"[5] | FCB 그룹 | 아니요 | ||
"델롱박테리아"[4] | RIF26, H-178 | 아니요 | ||
데페리박테리오타 | Deferribacteres | |||
데이너코쿠스문 | Deinococcus–Thermus | Terrabacteria | ||
"데펜덴티아이"[26] | TM6 | |||
딕티오글로마문 | Dictyoglomi[27] | |||
"도이카박테리아"[37] | WS6 | CPR; Microgenomates-related CPR | ||
"도르미박테리에오타"[28] | AD3 | 아니요 | ||
"도우드나박테리아"[15][37] | SM2F11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related | 아니요 | |
"에드워드박테리아"[61][4] | RIF29, UBP-2 [29] | 아니요 | ||
"아이젠박테리아"[4] | RIF28 | FCB 그룹 | 아니요 | |
엘루시미크로비오타 | Elusimicrobia, OP7, Termite Group 1 (TG1)[19] | 예[30] | ||
"에레미오박테리에오타"[31][28] | WPS-2, Palusbacterota[32] | 아니요 | ||
"팔코우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
"페르멘티박테리아"[33] | Hyd24-12 | 아니요 | ||
"페르타박테리아"[5] | CPR; Gracil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피브로박테리오타 | "Fibrobacteres" | FCB 그룹 | ||
"파이어스톤박테리아"[4] | RIF1 | 아니요 | ||
"페르비디박테리아" | OctSpa1-106 | |||
"피셔박테리아"[4] | RIF25 | 아니요 | ||
바실러스문 | "Firmicutes" | Terrabacteria | ||
"프레이저박테리아"[4] | RIF31 | 아니요 | ||
푸소박테리오타 | "Fusobacteria" | |||
젬마티모나도타 | Gemmatimonadetes[34] | FCB 그룹[22] | 예[34] | |
"글래스박테리아"[4] | RIF5 | 아니요 | ||
"지오반노니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related | 아니요 | ||
"고테스만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그라실리박테리아"[35][37] | GN02, BD1-5, SN-2 | CPR; Patescibacteria; Gracil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그리발도박테리아"[4][37]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2 | 아니요 | ||
"핸들스만박테리아"[4] | RIF27 | 아니요 | ||
"해리슨박테리아"[4][37] | RIF43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3 | 아니요 | |
"하울렛박테리아"[37] | CPR; Sacchar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허그박테리아" | CPR; Parcubacteria; unclassified Parcubacteria | 아니요 | ||
"하이드로제네덴테스" | NKB19 | 아니요 | ||
이그나비박테리오타 | "Ignavibacteria", ZB1 | FCB 그룹 | ||
"잭슨박테리아"[4][37] | RIF38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
"요르겐센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3 | 아니요 | ||
"카이저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 | 아니요 | ||
"카타노박테리아"[36][37] | WWE3 | CPR; Microgenomates-related | 아니요 | |
"카잔박테리아"[37][4] | Kazan | CPR; Sacchar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케르펠트박테리아"[4][37] | RIF4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
키리티마티엘로타 | ||||
"코메일리박테리아"[4][37] | RIF6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때때로 "Komelilbacteria"로 오기[4] |
"크립토니아"[38] | 아니요 | |||
KSB1 | 아니요 | |||
"크룸홀지박테리오타"[29] | ||||
"쿠에넨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
"람다프로테오박테리아"[4] | RIF24 | Proteobacteria | 아니요 | |
"라테시박테리아" | WS3 | FCB 그룹[22] | 아니요 | |
LCP-89[39] | ||||
렌티스파에로타 | "Lentisphaerae", vadinBE97 | PVC 그룹 | ||
"레비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린도우박테리아"[4] | RIF2 | CPR; Sacchar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립톤박테리아"[4][37] | RIF42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3 | 아니요 | |
"로이드박테리아"[4][37] | RIF45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 | 아니요 | |
"마가사니크박테리아"[15][40][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
"마굴리스박테리아"[4] | RIF30 | 아니요 | ||
"마리니미크로비아" | SAR406, Marine Group A | FCB 그룹[22] | 예 | |
"멜라이나박테리아"[41] | 아니요 | |||
"미크로게노마테스"[42] | OP11 | CPR; Patescibacteria | 아니요 | 상문 |
"모듈리박테리아"[35][43] | KSB3, GN06 | 아니요 | ||
"모란박테리아"[15][37] | OD1-i[15]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unclassified Parcubacteria | 아니요 | |
"뮤프로테오박테리아"[4] | RIF23 | Proteobacteria | 아니요 | |
미크소코코타 | ||||
NC10[44][45] | 아니요 | |||
"닐슨박테리아"[4][37] | RIF40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2 | 아니요 | |
"니요기박테리아"[4] | RIF11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related | 아니요 | |
니트로스피노타 | "Nitrospinae"[46] | 예[47][48] | ||
니트로스피로타 | "Nitrospirae" | 예 | ||
"노무라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
"옴니트로피카"[12] | OP3 | PVC 그룹 | 아니요 | |
"페이스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파크박테리아"[10] | OD1 | CPR | 아니요 | 상문 |
"Parcubacteria" 1[37] | CPR; Parcubacteria | 아니요 | ||
"Parcubacteria" 2[37] | CPR; Parcubacteria | 아니요 | ||
"Parcubacteria" 3[37] | CPR; Parcubacteria | 아니요 | ||
"Parcubacteria" 4[37] | CPR; Parcubacteria | 아니요 | ||
"파크니트로박테리아"[49] | CPR; Parcubacteria; unclassified Parcubacteria | 아니요 | 상문 | |
PAUC34f[50] | sponge‐associated unclassified lineage (SAUL) | FCB 그룹 | ||
"페레그리니박테리아"[51][52][53][54][37] | PER | CPR; Gracil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페리박테리아"[37] | CPR; Gracilibacteria-related CPR | 아니요 | ||
플랑크토마이세스문 | "Planctomycetes" | PVC 그룹 | ||
"포리박테리아"[55] | PVC 그룹 | |||
"포트노이박테리아"[4] | RIF22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related | 아니요 | |
프로테오박테리아 | "Proteobacteria" | |||
"레이몬드박테리아"[4] | RIF7 | 아니요 | ||
리플박테리아[4] | RIF32 | 아니요 | ||
로도써모타 | ||||
"로이즈만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로쿠박테리아"[25] | 아니요 | |||
"라이언박테리아"[4][37] | RIF10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 4-related | 아니요 | |
"사카리박테리아"[26][37] | TM7 | CPR; Saccharibacteria-related CPR | 예 | |
"살타토렐로타"[56] | ||||
"세크만박테리아"[4] | RIF3 | Proteobacteria | 아니요 | |
"샤피로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슈페크트박테리아"[4][37] | RIF19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2 | 아니요 | |
스피로헤타문 | "Spirochaetes" | |||
"스타스카비츠박테리아"[4][37] | RIF20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2 | 아니요 | |
"수메르라에오타"[57][58] | BRC1 | |||
"성박테리아"[4][37] | RIF17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related | 아니요 | |
시너지스테스문 | "Synergistetes" | |||
TA06[63] | 아니요 | |||
"타가박테리아"[4][37] | RIF12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related | 아니요 | |
"테일러박테리아"[4][37] | RIF16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 | 아니요 | |
"테크토미크로비아"[59] | ||||
마이코플라스마문 | "Tenericutes" | |||
"테리박테리아"[4][37] | RIF13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2 | 아니요 | |
데르모설포박테리오타 | "Thermodesulfobacteria" | |||
써모미크로비오타 | "Thermomicrobia" | |||
써모토가문 | "Thermotogae", OP2, EM3[19] | 예[60] | ||
"토로크박테리아"[37] | CPR; Parcubacteria; unclssified Parcubacteria | 아니요 | ||
UBP-1[61] | 아니요 | |||
UBP-3[61] | 아니요 | |||
UBP-4[61] | 아니요 | |||
UBP-5[61] | 아니요 | |||
UBP-6[61] | 아니요 | |||
UBP-7[61] | 아니요 | |||
UBP-8[61] | 아니요 | |||
UBP-9[61] | 아니요 | |||
UBP-10[61] | 아니요 | |||
UBP-11[61] | 아니요 | |||
UBP-12[61] | 아니요 | |||
UBP-13[61] | 아니요 | |||
UBP-14[61] | 아니요 | |||
UBP-15[61] | 아니요 | |||
UBP-16[61] | 아니요 | |||
UBP-17[61] | 아니요 | |||
"우르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 | 아니요 | 다계통으로 보임: 두 개의 분류군 | |
"베블렌박테리아"[4] | RIF39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1-related | 아니요 | |
베루코미크로비오타 | "Verrucomicrobia" | PVC 그룹 | ||
"보겔박테리아"[4][37] | RIF14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 | 아니요 | |
"월박테리아"[4] | RIF33 | 아니요 | ||
"와일더머스박테리아"[4][37] | RIF21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2 | 아니요 | |
"비르트박테리아"[62] | CPR-관련 세균 | 아니요 | ||
"보에세박테리아"[15] | CPR; Patescibacteria; Microgenomates | 아니요 | ||
"울프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Parcubacteria 3 | 아니요 | ||
"보이케박테리아"[4] | RIF34 | CPR; Microgenomates | 아니요 | |
WOR-1[63] | 아니요 | |||
WOR-2[63] | 아니요 | |||
WOR-3[63] | 아니요 | |||
"야노프스키박테리아"[15][37] | CPR; Patescibacteria; Parcubacteria; unclassified Parcubacteria | 아니요 | ||
"요나스박테리아"[4][37] | RIF44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 | 아니요 | |
"잠브리스키박테리아"[4][37] | RIF15 | CPR; Parcubacteria; Parcubacteria 4 | 아니요 | |
ZB2 | OD1-ZB2[11] | CPR; Parcubacteria | 아니요 | |
"지시박테리아"[64] | FCB 그룹 | 아니요 |
2. 2. 주요 상위 그룹 (Supergroups)
세균 문에 대한 분지 순서는 대부분 불분명하지만, 여러 문 그룹은 일관되게 함께 묶여 상위 그룹 또는 상위 문을 형성한다.후보 문 방사선(CPR)은 세균 영역 내에 존재하는 후보 문들의 방대한 단일 계통 방사를 지칭하는 용어이다.[65] 여기에는 Microgenomates와 Parcubacteria 그룹이 포함되며, 각 그룹에는 동명의 상위 문과 여러 개의 다른 문이 포함된다. 초고세균문 Patescibacteria는 원래 Microgenomates (OP11), Parcubacteria (OD1), 그리고 Gracilibacteria (GNO2 / BD1-5) 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22]
스핑고박테리아강 (FCB 그룹)에는 박테로이데테스, 칼디트리코타, 클로로비 등이 포함된다. Microgenomates는 원래 단일 세균 문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여러 세균 문을 포괄한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15][4] Parcubacteria는 최대 28개의 세균 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추정된다.[2]
프로테오박테리아 문(門)의 일부 강(綱)은 그 자체로 문(門)일 수 있다는 제안이 있어, 프로테오박테리아를 상위문(superphylum)으로 만들 수 있다.[68] 플랑크토박테리아 (PVC 그룹)는 클라미디애, 렌티스파에라타, 플랑크토마이세테스, 베루코마이크로비아 등을 포함한다.
제안된 상문인 테라박테리아(Terrabacteria)는 방선균(Actinomycetota),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 데오노코쿠스문(Deinococcota), 클로로플렉수스문(Chloroflexota), 바실루스문(Bacillota) 등을 포함한다.[22][67]
일부 후보 문과 인정된 문은 세균 문을 정의하는 규칙이 부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의 서열 다양성이 부족하여 문으로 잘못 묘사된 상위 문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3. 역사적 관점
세균 분류는 식물 규약의 통제를 받았으나, 현재는 세균 규약의 통제를 받으므로 "문(phylum)"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1987년, 칼 우즈는 16S 리보솜 RNA (SSU) 염기 서열을 기반으로 세균을 11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었다.[71]
- '''보라색 세균 및 그 친척''' (나중에 프로테오박테리아로 이름 변경[72])
- * 알파 세분류 (비유황 보라색 세균, 근류 세균, ''Agrobacterium'', ''리케차'', ''Nitrobacter'')
- * 베타 세분류 (''Rhodocyclus'', (일부) ''Thiobacillus'', ''Alcaligenes'', ''Spirillum'', ''Nitrosovibrio'')
- * 감마 세분류 (장내 세균, 형광성 슈도모나스, 보라색 유황 세균, ''Legionella'', (일부) ''Beggiatoa'')
- * 델타 세분류 (유황 및 황산염 환원제 (''Desulfovibrio''), 점액 세균, ''Bdellovibrio'')
- '''그람 양성 세균'''
- * High-G+C 종 (나중에 Actinobacteria로 이름 변경[76]) (''Actinomyces'', ''Streptomyces'', ''Arthrobacter'', ''Micrococcus'', ''Bifidobacterium'')
- * Low-G+C 종 (나중에 Firmicutes로 이름 변경[76]) (''Clostridium'', ''Peptococcus'', ''Bacillus'', ''Mycoplasma'')
- * 광합성 종 (''Heliobacteria'')
- * 그람 음성 벽을 가진 종 (''Megasphaera'', ''Sporomusa'')
- '''시아노박테리아 및 엽록체''' (''Aphanocapsa'', ''Oscillatoria'', ''Nostoc'', ''Synechococcus'', ''Gloeobacter'', ''Prochloron'')
- '''스피로헤타 및 친척'''
- * 스피로헤타 (''Spirochaeta'', ''Treponema'', ''Borrelia'')
- * 렙토스피라 (''Leptospira'', ''Leptonema'')
- '''녹색 유황 세균''' (''Chlorobium'', ''Chloroherpeton'')
- '''Bacteroides, 플라보박테리아 및 친척''' (나중에 Bacteroidetes로 이름 변경)
- * Bacteroides (''Bacteroides'', ''Fusobacterium'')
- * Flavobacterium 그룹 (''Flavobacterium'', ''Cytophaga'', ''Saprospira'', ''Flexibacter'')
- '''Planctomyces 및 친척''' (나중에 Planctomycetes로 이름 변경)
- * Planctomyces 그룹 (''Planctomyces'', ''Pasteuria'')
- * 열성 세균 (''Isocystis pallida'')
- '''클라미디아''' (''Chlamydia psittaci'', ''Chlamydia trachomatis'')
- '''방사선 저항성 미코쿠스 및 친척''' (나중에 Deinococcus–Thermus[77] 또는 Thermi)
- * Deinococcus 그룹 (''Deinococcus radiodurans'')
- * 열성 세균 (''Thermus aquaticus'')
- '''녹색 비유황 세균 및 친척''' (나중에 Chloroflexi로 이름 변경[81])
- * Chloroflexus 그룹 (''Chloroflexus'', ''Herpetosiphon'')
- * Thermomicrobium 그룹 (''Thermomicrobium roseum'')
- '''Thermotogae''' (''Thermotoga maritima'')
과거에는 계통 발생이 형태학 연구를 기반으로 추론되었고, 분류학이 확립되었다. 그러나 분자 계통 발생학의 출현으로 DNA와 단백질 염기 서열, 예를 들어 리보솜 DNA를 분석하여 종의 진화적 관계를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82] 분자 시퀀싱 기술의 발달은 유전체 해상 메타게노믹스 및 단일 세포 유전체학을 가능하게 하여 세균 문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빠르게 확장시켰다.
3. 1. 분자 계통 발생학의 발전
세균 분류는 식물 규약의 통제를 받았으나, 현재는 세균 규약의 통제를 받으므로 "문(phylum)"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1987년, 칼 우즈는 16S 리보솜 RNA (SSU) 염기 서열을 기반으로 세균을 11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었다.[71]
- '''보라색 세균 및 그 친척''' (나중에 프로테오박테리아로 이름 변경[72])
- * 알파 세분류 (비유황 보라색 세균, 근류 세균, ''Agrobacterium'', ''리케차'', ''Nitrobacter'')
- * 베타 세분류 (''Rhodocyclus'', (일부) ''Thiobacillus'', ''Alcaligenes'', ''Spirillum'', ''Nitrosovibrio'')
- * 감마 세분류 (장내 세균, 형광성 슈도모나스, 보라색 유황 세균, ''Legionella'', (일부) ''Beggiatoa'')
- * 델타 세분류 (유황 및 황산염 환원제 (''Desulfovibrio''), 점액 세균, ''Bdellovibrio'')
- '''그람 양성 세균'''
- * High-G+C 종 (나중에 Actinobacteria로 이름 변경[76]) (''Actinomyces'', ''Streptomyces'', ''Arthrobacter'', ''Micrococcus'', ''Bifidobacterium'')
- * Low-G+C 종 (나중에 Firmicutes로 이름 변경[76]) (''Clostridium'', ''Peptococcus'', ''Bacillus'', ''Mycoplasma'')
- * 광합성 종 (''Heliobacteria'')
- * 그람 음성 벽을 가진 종 (''Megasphaera'', ''Sporomusa'')
- '''시아노박테리아 및 엽록체''' (''Aphanocapsa'', ''Oscillatoria'', ''Nostoc'', ''Synechococcus'', ''Gloeobacter'', ''Prochloron'')
- '''스피로헤타 및 친척'''
- * 스피로헤타 (''Spirochaeta'', ''Treponema'', ''Borrelia'')
- * 렙토스피라 (''Leptospira'', ''Leptonema'')
- '''녹색 유황 세균''' (''Chlorobium'', ''Chloroherpeton'')
- '''Bacteroides, 플라보박테리아 및 친척''' (나중에 Bacteroidetes로 이름 변경)
- * Bacteroides (''Bacteroides'', ''Fusobacterium'')
- * Flavobacterium 그룹 (''Flavobacterium'', ''Cytophaga'', ''Saprospira'', ''Flexibacter'')
- '''Planctomyces 및 친척''' (나중에 Planctomycetes로 이름 변경)
- * Planctomyces 그룹 (''Planctomyces'', ''Pasteuria'')
- * 열성 세균 (''Isocystis pallida'')
- '''클라미디아''' (''Chlamydia psittaci'', ''Chlamydia trachomatis'')
- '''방사선 저항성 미코쿠스 및 친척''' (나중에 Deinococcus–Thermus[77] 또는 Thermi)
- * Deinococcus 그룹 (''Deinococcus radiodurans'')
- * 열성 세균 (''Thermus aquaticus'')
- '''녹색 비유황 세균 및 친척''' (나중에 Chloroflexi로 이름 변경[81])
- * Chloroflexus 그룹 (''Chloroflexus'', ''Herpetosiphon'')
- * Thermomicrobium 그룹 (''Thermomicrobium roseum'')
- '''Thermotogae''' (''Thermotoga maritima'')
과거에는 계통 발생이 형태학 연구를 기반으로 추론되었고, 분류학이 확립되었다. 그러나 분자 계통 발생학의 출현으로 DNA와 단백질 염기 서열, 예를 들어 리보솜 DNA를 분석하여 종의 진화적 관계를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82] 분자 시퀀싱 기술의 발달은 유전체 해상 메타게노믹스 및 단일 세포 유전체학을 가능하게 하여 세균 문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빠르게 확장시켰다.
3. 2. 환경 유전체학의 발전
칼 우즈는 분자 계통 발생 혁명의 선구자로, 1987년 16S 리보솜 RNA (SSU) 염기 서열을 기반으로 세균을 11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었다.[71] 그가 제안한 분류군은 보라색 세균(프로테오박테리아[72]), 그람 양성 세균, 시아노박테리아, 스피로헤타, 녹색 유황 세균, Bacteroides(Bacteroidetes), 플라보박테리아, Planctomyces(Planctomycetota), 클라미디아, 방사선 저항성 미코쿠스(Deinococcus–Thermus[77] 또는 Thermi[78][79][80]), 녹색 비유황 세균(Chloroflexi[81]), Thermotogae이다.계통 발생은 전통적으로 형태학 연구를 기반으로 추론되었고 분류학이 확립되었다. 그러나 분자 계통 발생학의 출현으로 DNA와 단백질 염기 서열(예: 리보솜 DNA)을 분석하여 종의 진화적 관계를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82] 칼 우즈가 언급한 ''Pseudomonas''와 같이, 분자 계통 발생학을 사용하여 많은 세균 분류군이 재분류되거나 재정의되었다.
분자 시퀀싱 기술의 출현으로, 유전체 해상 메타게노믹스 및 단일 세포 유전체학과 같은 기술을 통해 환경 샘플에서 직접 유전체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세균 문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이 빠르게 확장되었다.
참조
[1]
논문
A new view of the tree of life
2016-04-11
[2]
논문
Uniting the classification of cultured and uncultured bacteria and archaea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https://www.nature.c[...]
2014-09
[3]
웹사이트
Bacterial phyla
"-classifphyla.html"
[4]
논문
Thousands of microbial genomes shed light on interconnected biogeochemical processes in an aquifer system
2016-10-24
[5]
논문
Novel Microbial Diversity and Functional Potential in the Marine Mammal Oral Microbiome
2017-12-18
[6]
논문
Emendation of Rules 5b, 8, 15 and 22 of th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Prokaryotes to include the rank of phylum
2021-06-23
[7]
논문
Valid publication of the names of forty-two phyla of prokaryotes
2021-10-20
[8]
웹사이트
ARB-Silva: comprehensive ribosomal RNA database
http://www.arb-silva[...]
The ARB development Team
2016-01-02
[9]
논문
Abditibacterium utsteinense sp. nov., the first cultivated member of candidate phylum FBP, isolated from ice-free Antarctic soil samples
http://www.sciencedi[...]
2018-07-01
[10]
논문
New Perspective on Uncultured Bacterial Phylogenetic Division OP11
2004-02
[11]
논문
Permeable Reactive Barriers Designed To Mitigate Eutrophication Alter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and Aquifer Redox Conditions
2015-10
[12]
논문
Novel division level bacterial diversity in a Yellowstone hot spring
[13]
서적
Phylum XVII. Acidobacteria phyl. Nov.
Springer New York
2010
[14]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Springer New York
2012
[15]
논문
Unusual biology across a group comprising more than 15% of domain Bacteria
http://www.escholars[...]
[16]
논문
Armatimonas rosea gen. nov., sp. nov., of a novel bacterial phylum, Armatimonadetes phyl. nov., formally called the candidate phylum OP10
2011-06
[17]
논문
Genome-Based Taxonomic Classification of Bacteroidetes
2016
[18]
논문
Metabolic interdependencies between phylogenetically novel fermenters and respiratory organisms in an unconfined aquifer
2014-07
[19]
논문
Electing a candidate: a speculative history of the bacterial phylum OP10
2012
[20]
논문
Caldisericum exile gen. nov., sp. nov., an anaerobic, thermophilic, filamentous bacterium of a novel bacterial phylum, Caldiserica phyl. nov., originally called the candidate phylum OP5, and description of Caldisericaceae fam. nov., Caldisericales ord. nov. and Caldisericia classis nov.
2009-07-23
[21]
논문
Genomic Analysis of ''Caldithrix abyssi'', the Thermophilic Anaerobic Bacterium of the Novel Bacterial Phylum Calditrichaeota
2017-02-20
[22]
논문
Insights into the phylogeny and coding potential of microbial dark matter
[23]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001
[24]
논문
Novel Major Bacterial Candidate Division within a Municipal Anaerobic Sludge Digester
2005-04
[25]
논문
Critical biogeochemical functions in the subsurface are associated with bacteria from new phyla and little studied lineages
https://escholarship[...]
2016
[26]
논문
A molecular approach to search for diversity among bacteria in the environment
1996-09
[27]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Springer New York
2010
[28]
논문
Atmospheric trace gases support primary production in Antarctic desert surface soil
2017-12
[29]
논문
Candidatus Krumholzibacterium zodletonense gen. nov., sp nov, the first representative of the candidate phylum Krumholzibacteriota phyl. nov. recovered from an anoxic sulfidic spring using genome resolved metagenomics
2019-01-01
[30]
논문
Genomic Analysis of "Elusimicrobium minutum," the First Cultivated Representative of the Phylum "Elusimicrobia" (Formerly Termite Group 1)
2009-05-01
[31]
논문
Combined Use of 16S Ribosomal DNA and 16S rRNA To Study the Bacterial Community of Polychlorinated Biphenyl-Polluted Soil
2001-04-01
[32]
논문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Anoxygenic Phototrophy in the Bacterial Phylum Candidatus Palusbacterota (WPS-2)
2019-01-29
[33]
논문
Activity,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Sulfate Reducers and Other Bacteria in Sediments above Gas Hydrate (Cascadia Margin, Oregon)
2003-07
[34]
논문
Gemmatimonas aurantiaca gen. nov., sp. nov., a Gram-negative, aerobic, polyphosphate-accumulating micro-organism, the first cultured representative of the new bacterial phylum Gemmatimonadetes phyl. nov.
2003
[35]
논문
Unexpected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he Guerrero Negro Hypersaline Microbial Mat
2006-05-01
[36]
논문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bacterial candidate division by an anaerobic sludge digester metagenomic approach
2008-08
[37]
논문
The rise of diversity in metabolic platforms across the Candidate Phyla Radiation
https://bmcbiol.biom[...]
2020-06
[38]
논문
Global metagenomic survey reveals a new bacterial candidate phylum in geothermal springs
2016-01-27
[39]
논문
Genomic Characterization of Candidate Division LCP-89 Reveals an Atypical Cell Wall Structure, Microcompartment Production, and Dual Respiratory and Fermentative Capacities
2019-05-15
[40]
웹사이트
Candidatus Magasanikbacteria
https://www.ncbi.nlm[...]
NCBI
[41]
논문
The human gut and groundwater harbor non-photosynthetic bacteria belonging to a new candidate phylum sibling to Cyanobacteria
2013-10-01
[42]
논문
Impact of Culture-Independent Studies on the Emerging Phylogenetic View of Bacterial Diversity
1998-12-15
[43]
논문
First genomic insights into members of a candidate bacterial phylum responsible for wastewater bulking
2015-01-27
[44]
논문
Phylogenetic structure of unusual aquatic microbial formations in Nullarbor caves, Australia
2001
[45]
논문
The Uncultured Microbial Majority
[46]
논문
The Genome of Nitrospina gracilis Illuminates the Metabolism and Evolution of the Major Marine Nitrite Oxidizer
2013
[47]
논문
Genomic and kinetic analysis of novel Nitrospinae enriched by cell sorting
2021-03
[48]
논문
Characterization of a new marine nitrite oxidizing bacterium, Nitrospina watsonii sp. nov., a member of the newly proposed phylum "Nitrospinae"
https://linkinghub.e[...]
2014-05
[49]
웹사이트
Phylum "Candidatus Parcunitrobacteria"
https://lpsn.dsmz.de[...]
LPSN
[50]
논문
Phylogeny and genomics of SAUL, an enigmatic bacterial lineage frequently associated with marine sponges
http://oceanrep.geom[...]
2018
[51]
논문
Fermentation, Hydrogen, and Sulfur Metabolism in Multiple Uncultivated Bacterial Phyla
2012-09-27
[52]
웹사이트
Candidatus Peregrinibacteria
https://www.ncbi.nlm[...]
NCBI
[53]
웹사이트
Taxonomy - Candidatus Peregrinibacteria
https://www.uniprot.[...]
UniProt
[54]
논문
Analysis of five complete genome sequences for members of the class Peribacteria in the recently recognized Peregrinibacteria bacterial phylum
https://www.research[...]
2016-01
[55]
논문
Discovery of the Novel Candidate Phylum "Poribacteria" in Marine Sponges
2004-06
[56]
논문
The novel shapeshifting bacterial phylum Saltatorellota
2019-10-24
[57]
논문
Novel Bacterial Lineages at the (Sub)Division Level as Detected by Signature Nucleotide-Targeted Recovery of 16S rRNA Genes from Bulk Soil and Rice Roots of Flooded Rice Microcosms
2001-02-01
[58]
논문
Phylogeny and physiology of candidate phylum BRC1 inferred from the first complete metagenome-assembled genome obtained from deep subsurface aquifer
2019-01
[59]
논문
An environmental bacterial taxon with a large and distinct metabolic repertoire
2014-02
[60]
서적
Phylum BII. Thermotogae phy. Nov.
Springer New York
2001
[61]
논문
Recovery of nearly 8,000 metagenome-assembled genomes substantially expands the tree of life
2017-11
[62]
논문
Genomic resolution of a cold subsurface aquifer community provides metabolic insights for novel microbes adapted to high CO2 concentrations.
https://escholarship[...]
2017-02
[63]
논문
Genomic resolution of linkages in carbon, nitrogen, and sulfur cycling among widespread estuary sediment bacteria
2015-04-13
[64]
논문
Extraordinary phylogenetic diversity and metabolic versatility in aquifer sediment
2013-08-27
[65]
논문
Major New Microbial Groups Expand Diversity and Alter our Understanding of the Tree of Life
2018-03
[66]
논문
Major New Microbial Groups Expand Diversity and Alter our Understanding of the Tree of Life
2018-03-08
[67]
논문
First genomic insights into members of a candidate bacterial phylum responsible for wastewater bulking
[68]
논문
Uniting the classification of cultured and uncultured bacteria and archaea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69]
논문
A new view of the tree of life
[70]
논문
Structure of functionally activated small ribosomal subunit at 3.3 angstroms resolution
[71]
논문
Carl Woese in forefront of bacterial evolution revolution
http://www.the-scien[...]
1990-05-22
[72]
논문
Proteobacteria classis nov., a name for the phylogenetic taxon that includes the "purple bacteria and their relatives"
[73]
논문
Investigation of Candidate Division TM7, a Recently Recognized Major Lineage of the Domain Bacteria with No Known Pure-Culture Representatives
[74]
논문
"''Thermogemmatispora onikobensis'' gen. nov., sp. nov. and ''Thermogemmatispora foliorum'' sp. nov., isolated from fallen leaves on geothermal soils, and description of Thermogemmatisporaceae fam. nov. and Thermogemmatisporales ord. nov. within the class Ktedonobacteria"
[75]
논문
Cell envelope architecture in the Chloroflexi: A shifting frontline in a phylogenetic turf war
[76]
논문
Proposal for a New Hierarchic Classification System, Actinobacteria classis nov
[77]
웹사이트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classification of Deinococcus–Thermus
http://www.bacterio.[...]
2010-12-30
[78]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1st Ed.
[79]
논문
The neomuran origin of Archaebacteria, the negibacterial root of the universal tree and bacterial megaclassification
[80]
웹사이트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Class Hadobacteria
http://www.bacterio.[...]
2010-12-30
[80]
논문
List of Bacterial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a folder available on the Internet
http://ijs.sgmjourna[...]
[81]
서적
The Archaea and the Deeply Branching and Phototrophic Bacteria
https://archive.org/[...]
Springer
2001-05-18
[82]
논문
The winds of (evolutionary) change: breathing new life into microbiology
[83]
저널 인용
A new view of the tree of life
2016-04-11
[84]
저널 인용
Uniting the classification of cultured and uncultured bacteria and archaea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https://www.nature.c[...]
201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