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륨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륨의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 58번인 세륨의 핵종을 의미하며, 질량수가 119부터 157까지 다양한 동위 원소가 알려져 있다. 자연 상태에서는 136Ce, 138Ce, 140Ce, 142Ce의 4가지 동위 원소가 존재하며, 이 중 140Ce이 약 88.450%로 가장 풍부하다. 140Ce는 안정 동위 원소이며, 136Ce, 138Ce, 142Ce는 관측적으로 안정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세륨 동위 원소
세륨 동위 원소 개요
기호Ce
중성자 수82
양성자 수58
핵종별 정보
핵종134Ce
존재 비율합성
반감기3.16일
붕괴 방식ε (전자 포획)
붕괴 생성물란타넘-134 (134La)

2. 세륨 동위 원소

세륨은 원자 번호 58번의 화학 원소로, 58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다. 세륨은 다양한 동위 원소를 가지는데, 이들은 양성자 수는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세륨의 동위 원소와 그 존재비는 아래 표와 같다.

세륨 동위 원소의 자연 존재비
핵종자연계 존재비 (몰 분율)자연계 존재비 범위 (몰 분율)
136Ce0.00185(2)0.00185-0.00186
138Ce0.00251(2)0.00251-0.00254
140Ce0.88450(51)0.88446-0.88449
142Ce0.11114(51)0.11114-0.11114

140Ce는 가장 흔한 세륨 동위 원소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세륨의 약 88.45%를 차지한다. 136Ce, 138Ce, 142Ce는 관측 안정 동위 원소로, 붕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붕괴가 관측되지 않았다.[10][11][14]

2. 1. 세륨 동위 원소 목록

핵종양성자 수중성자 수동위 원소 질량 (u)반감기붕괴 방식붕괴 생성 동위 원소핵 스핀자연계 존재비 (몰 분율)자연계 존재비 범위 (몰 분율)
119Ce5861118.95276(64)#200# msβ+119La5/2+#
120Ce5862119.94664(75)#250# msβ+120La0+
121Ce5863120.94342(54)#1.1(1) sβ+121La(5/2)(+#)
122Ce5864121.93791(43)#2# sβ+122La0+rowspan=2|rowspan=2|
β+, p121Ba
123Ce5865122.93540(32)#3.8(2) sβ+123La(5/2)(+#)rowspan=2|rowspan=2|
β+, p122Ba
124Ce5866123.93041(32)#9.1(12) sβ+124La0+
125Ce5867124.92844(21)#9.3(3) sβ+125La(7/2-)rowspan=2|rowspan=2|
β+, p124Ba
126Ce5868125.92397(3)51.0(3) sβ+126La0+
127Ce5869126.92273(6)29(2) sβ+127La5/2+#
128Ce5870127.91891(3)3.93(2) 분β+128La0+
129Ce5871128.91810(3)3.5(3) 분β+129La(5/2+)
130Ce5872129.91474(3)22.9(5) 분β+130La0+
130mCe2453.6(3) keV100(8) ns(7-)
131Ce5873130.91442(4)10.2(3) 분β+131La(7/2+)
131mCe61.8(1) keV5.0(10) 분β+131La(1/2+)
132Ce5874131.911460(22)3.51(11) 시간β+132La0+
132mCe2340.8(5) keV9.4(3) msIT132Ce(8-)
133Ce5875132.911515(18)97(4) 분β+133La1/2+
133mCe37.1(8) keV4.9(4) 시간β+133La9/2-
134Ce5876133.908925(22)3.16(4) 일ε134La0+
135Ce5877134.909151(12)17.7(3) 시간β+135La1/2(+)
135mCe445.8(2) keV20(1) sIT135Ce(11/2-)
136Ce5878135.907172(14)관측 안정[10]0+0.00185(2)0.00185-0.00186
136mCe3095.5(4) keV2.2(2) µs10+
137Ce5879136.907806(14)9.0(3) 시간β+137La3/2+
137mCecolspan=3| 254.29(5) keV34.4(3) 시간IT (99.22%)137Ce11/2-rowspan=2|rowspan=2|
β+ (0.779%)137La
138Ce5880137.905991(11)관측 안정[11]0+0.00251(2)0.00251-0.00254
138mCe2129.17(12) keV8.65(20) msIT138Ce7-
139Ce5881138.906653(8)137.641(20) 일ε139La3/2+
139mCe754.24(8) keV56.54(13) sIT139Ce11/2-
140Ce[12]5882139.9054387(26)안정[13]0+0.88450(51)0.88446-0.88449
140mCe2107.85(3) keV7.3(15) µs6+
141Ce[12]5883140.9082763(26)32.508(13) 일β-141Pr7/2-
142Ce[12]5884141.909244(3)관찰 안정[14]0+0.11114(51)0.11114-0.11114
143Ce[12]5885142.912386(3)33.039(6) 시간β-143Pr3/2-
144Ce[12]5886143.913647(4)284.91(5) 일β-144mPr0+
145Ce5887144.91723(4)3.01(6) 분β-145Pr(3/2-)
146Ce5888145.91876(7)13.52(13) 분β-146Pr0+
147Ce5889146.92267(3)56.4(10) sβ-147Pr(5/2-)
148Ce5890147.92443(3)56(1) sβ-148Pr0+
149Ce5891148.9284(1)5.3(2) sβ-149Pr(3/2-)#
150Ce5892149.93041(5)4.0(6) sβ-150Pr0+
151Ce5893150.93398(11)1.02(6) sβ-151Pr3/2-#
152Ce5894151.93654(21)#1.4(2) sβ-152Pr0+
153Ce5895152.94058(43)#500# ms [>300 ns]β-153Pr3/2-#
154Ce5896153.94342(54)#300# ms [>300 ns]β-154Pr0+
155Ce5897154.94804(64)#200# ms [>300 ns]β-155Pr5/2-#
156Ce5898155.95126(64)#150# msβ-156Pr0+
157Ce5899156.95634(75)#50# msβ-157Pr7/2+#


3. 세륨 동위 원소의 활용

세륨 동위 원소는 현재까지 알려진 활용처가 없다.

참조

[1] 문서 Theorized to undergo β+β+ decay to '''136Ba''' with a [[half-life]] over 38×1015 years
[2] 문서 Theorized to undergo β+β+ decay to '''138Ba''' with a half-life over 150×1012 years
[3] 문서 Fission product
[4] 문서 Theorized to undergo ββ decay to '''142Nd''' or α decay to '''138Ba''' with a half-life over 2.9×1018 years
[5] 간행물 NUBASE2020
[6] 논문 Experimental searches for rare alpha and beta decays 2019
[7]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8] 문서 약어: ε: [[전자 포획]] IT: [[이성질핵 전이]]
[9]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10] 문서 이론상으로 β+β+ 붕괴를 통해 '''136Ba'''으로 붕괴할 것이며 반감기는 8.6×1021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11] 문서 이론상으로 β+β+ 붕괴를 통해 '''138Ba'''으로 붕괴할 것으로 예쌍되며 반감기는 1.5×1023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12] 문서 핵분열 생성물
[13] 문서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14] 문서 이론상으로 β-β- 붕괴를 통해 '''142Nd'''으로 붕괴할 것이며 반감기는 1021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