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게이 그란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게이 그란킨은 러시아의 배구 선수로, 2004년 유럽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서 러시아 청소년 대표팀 주장을 맡았으며, 2008년과 2012년 올림픽에서 각각 동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러시아 대표팀에 데뷔하여 2007년 월드컵 은메달, 2010년 월드리그 준우승 및 베스트 세터상, 2013년과 2017년 유럽 선수권 대회 베스트 세터로 선정되었다. 클럽 경력으로는 디나모 모스크바, 벨로고리 벨고로드,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등에서 활동하며 CEV컵 우승, 러시아 리그 우승, 독일 리그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브로폴 변경주 출신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러시아의 해외 진출 배구 선수 - 예카테리나 가모바
202cm의 큰 키를 가진 러시아의 전 여자 배구 선수 예카테리나 가모바는 국가대표팀과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세계선수권 우승, 올림픽 은메달 획득, 다수의 개인 수상 등 뛰어난 업적을 남긴 러시아 여자 배구의 전설적인 선수이다. - 러시아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 막심 미하일로프 (배구 선수)
막심 미하일로프는 러시아 국가대표팀 아포짓 스파이커로, CEV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하고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배구 선수이다. - 러시아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 니콜라이 아팔리코프
니콜라이 아팔리코프는 러시아 배구 선수로, 러시아 슈퍼리그의 여러 팀에서 활약하며 리그 우승, 러시아 컵 우승, 유럽 챔피언스 리그 우승 등 다수의 우승을 경험했고,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러시아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CEV 챔피언스 리그 최우수 블로커 상을 수상했다.
세르게이 그란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세르게이 유리예비치 그란킨 |
별칭 | 해당 없음 |
국적 | 러시아 |
출생일 | 1985년 1월 21일 () |
출생지 | 예센투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거주지 | 해당 없음 |
키 | 1.95 m |
몸무게 | 96 kg |
스파이크 높이 | 351cm |
블로킹 높이 | 320cm |
포지션 | 세터 |
현재 클럽 | 파켈 노비우렌고이 |
등번호 | 6 |
클럽 경력 | |
연도 | 2006–2017 |
클럽 | 디나모 모스크바 |
연도 | 2017–2018 |
클럽 | 벨고리에 벨고로드 |
연도 | 2018–2019 |
클럽 | 디나모 모스크바 |
연도 | 2019–2022 |
클럽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 |
연도 | 2022– |
클럽 | 파켈 노비우렌고이 |
국가대표 경력 | |
연도 | 2006–2019 |
메달 기록 | |
남자 배구 | 해당 없음 |
올림픽 | 해당 없음 |
올림픽 참가 | 2012 런던 |
메달 | 금메달 |
올림픽 참가 | 2008 베이징 |
메달 | 동메달 |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해당 없음 |
대회 | 2013 일본 |
메달 | 은메달 |
FIVB 월드리그 | 해당 없음 |
대회 | 2011 그단스크 |
메달 | 금메달 |
대회 | 2013 마르델플라타 |
메달 | 금메달 |
대회 | 2010 코르도바 |
메달 | 은메달 |
대회 | 2008 리우데자네이루 |
메달 | 동메달 |
대회 | 2009 베오그라드 |
메달 | 동메달 |
CEV 유럽 선수권 대회 | 해당 없음 |
대회 | 2013 코펜하겐 |
메달 | 금메달 |
대회 | 2017 폴란드 |
메달 | 금메달 |
2. 선수 경력
세르게이 그란킨은 7세에 배구를 시작했다. 2004년 크로아티아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러시아 청소년 대표팀 주장을 맡았고, 인도에서 열린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당시 러시아는 결승전에서 브라질을 상대로 1세트 23:16으로 뒤지고 있었는데, 그란킨의 서브로 7점을 연달아 득점하며 역전하여 세트를 따냈다. 이후 브라질은 다음 두 세트를 모두 잃었다.[2]
2006년 7월 16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월드 리그 프랑스전에서 러시아 대표팀에 데뷔하여[3] 3위에 입상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동메달,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러시아의 금메달을 이끌었고, 대회 최고의 세터로 선정되었다. 2010년 월드 리그에서도 베스트 세터상을 수상했다.[4]
2. 1. 클럽 경력
2002년, 러시아 배구 슈퍼리그의 네프챠니크 야로슬라블에 입단했다. 유스 대표팀에 선출되어 2003년유스 세계 선수권에 출전했다[2]. 루치 모스크바를 거쳐 2006년 디나모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2008년 리그 우승과 러시아 컵 우승을 차지했다.2009년에 디나모 모스크바의 주장에 취임하여 2009-2010년 유럽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을 달성했다.
; 수상 경력
대회 | 결과 | 소속팀 |
---|---|---|
CEV 챔피언스 리그 | 디나모 모스크바 | |
CEV컵 | 디나모 모스크바 | |
CEV컵 | -- 우승 | 디나모 모스크바 |
CEV컵 | -- 우승 | 벨로고리 벨고로드 |
러시아 컵 | -- 우승 | 디나모 모스크바 |
러시아 선수권 | 디나모 모스크바 | |
러시아 슈퍼컵 | -- 우승 | 디나모 모스크바 |
러시아 컵 | -- 우승 | 디나모 모스크바 |
러시아 슈퍼컵 | -- 우승 | 디나모 모스크바 |
독일 선수권 | -- 우승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독일 슈퍼컵 | -- 우승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독일 컵 | -- 우승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독일 슈퍼컵 | -- 우승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독일 선수권 | -- 우승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독일 슈퍼컵 | -- 우승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독일 선수권 | -- 우승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 소속팀
기간 | 소속팀 |
---|---|
2002-2005년 | 네프차니크 야로슬라블 |
2005-2006년 | 루치 모스크바 |
2006-2017년 | 디나모 모스크바 |
2017-2018년 | 벨로고리 벨고로드 |
2018-2019년 | 디나모 모스크바 |
2019-2022년 | 베를린 리사이클링 볼레이즈 |
2022년- | 파켈 노비 우렌고이 |
2. 2. 국가대표 경력
세르게이 그란킨은 2004년 크로아티아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러시아 청소년 대표팀 주장을 맡았고, 인도에서 열린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다.[2] 그란킨의 활약으로 러시아는 결승전에서 브라질을 상대로 1세트 23:16으로 뒤지고 있던 상황에서 그란킨의 서브로 7점을 연달아 득점하며 역전하여 세트를 따냈고, 이후 브라질은 다음 두 세트를 모두 잃었다.2006년 7월 16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월드 리그 프랑스전에서 러시아 대표팀 데뷔를 하였고[3], 3위 입상을 경험했다. 러시아 대표팀의 세터로서 2006년 세계 선수권에 출전, 2007년 월드 리그, 2007년 유럽 선수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07년 월드컵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팀의 지휘자로서 활약하며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10년 월드 리그에서 준우승과 베스트 세터상을 수상했고[4], 2010년 세계 선수권에 출전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러시아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그는 대회 최고의 세터로 선정되었다.
그란킨의 주요 국제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 | 순위 |
---|---|
올림픽 | 2008년(동메달), 2012년(금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2006년(7위), 2010년(5위) |
월드컵 | 2007년(은메달) |
월드 리그 | 2007년, 2010년(준우승), 2006년, 2008년, 2009년(3위) |
유럽 선수권 대회 | 2007년(준우승) |
3. 수상 경력
대회 결과 올림픽 -- 2012년 금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7위 (2006년), 5위 (2010년) 월드컵 2007년 은메달 월드 리그 2007년, 2010년 준우승, 2006년, 2008년, 2009년 3위 유럽 선수권 대회 2007년 준우승
3. 1. 클럽
대회 | 소속팀 | 결과 |
---|---|---|
2009/2010 CEV 챔피언스 리그 | 디나모 모스크바 | |
2011/2012 CEV컵 | 디나모 모스크바 | |
2014/2015 CEV컵 | 디나모 모스크바 | -- |
2017/2018 CEV컵 | 벨로고리 벨고로드 | -- |
2006/2007 러시아 컵 | 디나모 모스크바 | -- |
2007/2008 러시아 선수권 | 디나모 모스크바 | |
2008/2009 러시아 슈퍼컵 | 디나모 모스크바 | -- |
2008/2009 러시아 컵 | 디나모 모스크바 | -- |
2009/2010 러시아 슈퍼컵 | 디나모 모스크바 | -- |
2018/2019 독일 선수권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 |
2019/2020 독일 슈퍼컵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 |
2019/2020 독일 컵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 |
2020/2021 독일 슈퍼컵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 |
2020/2021 독일 선수권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 |
2021/2022 독일 슈퍼컵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 |
2021/2022 독일 선수권 | 베를린 리사이클링 발리스 | -- |
3. 2. 개인
연도 | 대회 | 내용 |
---|---|---|
2003년 | CEV U19 유럽 선수권 대회 | 베스트 세터 |
2010년 | FIVB 월드리그 | 베스트 세터 |
2013년 | CEV 유럽 선수권 대회 | 베스트 세터 |
2017년 | CEV 유럽 선수권 대회 | 베스트 세터 |
4. 소속 클럽
기간 | 소속팀 |
---|---|
2002-2005년 | 네프차니크 야로슬라블 |
2005-2006년 | 루치 모스크바 |
2006-2017년 | 디나모 모스크바 |
2017-2018년 | 벨로고리 벨고로드 |
2018-2019년 | 디나모 모스크바 |
2019-2022년 | 베를린 리사이클링 볼레이즈 |
2022년- | 파켈 노비 우렌고이 |
참조
[1]
문서
Sergey Yurievich Grankin
[2]
웹사이트
2003 FIVB 8th Boys' U19 World Championship - Top Setters(4位)
https://www.fivb.org[...]
FIVB
2010-10-21
[3]
웹사이트
FIVB World League 2006 - Russia returns the match
https://www.fivb.org[...]
FIVB
2006-07-16
[4]
웹사이트
Brazil FIVB World League champions for record ninth time
https://www.fivb.org[...]
FIVB
2010-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