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시강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자시강원은 조선 시대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1392년(태조 원년) 세자관속으로 처음 설치되었고, 1408년(태종 8년) 세자시강원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고종 32년) 갑오 관제개혁으로 궁내부 소속 왕태자궁으로 변경되었다가, 1896년 다시 시강원으로 환원되었으며, 1905년 황태자시강원, 1907년 동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세자시강원은 왕세자에게 경서와 사적을 강의하고 도의를 가르쳐, 왕위 계승에 필요한 자질을 갖추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했다.
1392년(태조 원년) 조선은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설치하였다.[1] 1408년 10월(태종 8년)에는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으로 개칭하였다.[2] 1895년(고종 32년) 갑오 관제개혁 때 예조속아문(禮曹屬衙門)에서 궁내부(宮內府) 소속으로 옮겨 왕태자궁(王太子宮)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일강관(日講官) 2인, 시강관(侍講官) 4인, 첨사(詹事) 1인, 부첨사(副詹事) 1인 등을 두었다. 1896년 (고종 33년)에는 왕태자궁이었던 이름을 다시 시강원으로 고쳤다. 1903년 (광무 7년)에는 일강관과 부첨사를 없애고 칙임관과 주임관의 서연관(書筵官) 각 1명을 두었으며, 1905년 (광무 9년)에는 황태자시강원으로 고쳤다. 1907년 (광무 11년)에는 동궁(東宮)으로 개칭하였다.
세자시강원은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다양한 관직으로 구성되었다.
2. 기관 연혁
2. 1. 조선 초기 (세자관속)
1392년(태조 원년) 조선은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설치하였다.[1] 1408년 10월(태종 8년)에는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으로 개칭하였다.[2]
2. 2. 조선 후기 (세자시강원)
1895년(고종 32년) 갑오 관제개혁 때 예조속아문(禮曹屬衙門)에서 궁내부(宮內府) 소속으로 옮겨 왕태자궁(王太子宮)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일강관(日講官) 2인, 시강관(侍講官) 4인, 첨사(詹事) 1인, 부첨사(副詹事) 1인 등을 두었다.[1] 1896년 (고종 33년)에는 왕태자궁이었던 이름을 다시 시강원으로 고쳤다.[2] 1903년 (광무 7년)에는 일강관과 부첨사를 없애고 칙임관과 주임관의 서연관(書筵官) 각 1명을 두었으며, 1905년 (광무 9년)에는 황태자시강원으로 고쳤다.[1] 1907년 (광무 11년)에는 동궁(東宮)으로 개칭하였다.[2]
2. 3. 대한제국 시기
1895년(고종 32년) 갑오개혁으로 예조속아문(禮曹屬衙門)에서 궁내부(宮內府) 소속으로 변경되며 왕태자궁(王太子宮)으로 개칭되었다.[1] 일강관(日講官) 2인, 시강관(侍講官) 4인, 첨사(詹事) 1인, 부첨사(副詹事) 1인 등을 두었다.[1] 1896년(고종 33년)에는 시강원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1] 1903년(광무 7년)에는 일강관과 부첨사를 없애고 칙임관과 주임관의 서연관(書筵官) 각 1명을 두었다.[1] 1905년(광무 9년) 황태자시강원으로 개칭되었으며,[1] 1907년(광무 11년) 동궁(東宮)으로 개칭되었다.[1]
3. 조직 구성
품계 관직명 인원 비고 정2품 좌사(左使) 1명 강학(講學)과 시위(侍衛) 등을 관장 우사(右使) 종2품 좌빈객(左賓客) 우빈객(右賓客) 종3품 좌보덕(左輔德) 우보덕(右輔德) 정4품 좌필선(左弼善) 우필선(右弼善) 정5품 좌문학(左文學) 우문학(右文學) 정6품 좌사경(左司經) 우사경(右司經) 정7품 좌정자(左正字) 우정자(右正字) 정8품 좌시직(左侍直) 우시직(右侍直) 품계 관직명 인원 비고 정1품 사(師) 1명 영의정이 겸임 부(傅) 좌·우의정이 겸임 종1품 이사(貳師) 좌·우찬성이 겸임 정2품 좌우빈객(左右賓客) 겸직 종2품 좌우부빈객(左右副賓客) 정3품 찬선(贊善) 조선 후기에 증설 녹관(祿官, 녹봉받는 관리)/겸관(兼官, 겸직) 보덕(輔德) 녹관(祿官) 겸보덕(兼輔德) 조선 후기에 증설 정4품 진선(進善) 녹관(祿官)/겸관(兼官) 필선(弼善) 녹관(祿官) 겸필선(兼弼善) 조선 후기에 증설 정5품 문학(文學) 겸문학(兼文學) 조선 후기에 증설 정6품 사서(司書) 겸사서(兼司書) 조선 후기에 증설 정7품 설서(說書) 겸설서(兼說書) 조선 후기에 증설 자의(諮議)
3. 1. 관직표 (세자관속 시기)
wikitable
품계 | 관직명 | 인원 | 비고 |
---|---|---|---|
정2품 | 좌사(左使) | 1명 | 강학(講學)과 시위(侍衛) 등을 관장 |
우사(右使) | |||
종2품 | 좌빈객(左賓客) | ||
우빈객(右賓客) | |||
종3품 | 좌보덕(左輔德) | ||
우보덕(右輔德) | |||
정4품 | 좌필선(左弼善) | ||
우필선(右弼善) | |||
정5품 | 좌문학(左文學) | ||
우문학(右文學) | |||
정6품 | 좌사경(左司經) | ||
우사경(右司經) | |||
정7품 | 좌정자(左正字) | ||
우정자(右正字) | |||
정8품 | 좌시직(左侍直) | ||
우시직(右侍直) |
3. 2. 관직표 (세자시강원 개칭 이후 ~ 1895년)
wikitable품계 | 관직명 | 인원 | 비고 | |
---|---|---|---|---|
정1품 | 사(師) | 1명 | 영의정이 겸임 | |
부(傅) | 좌·우의정이 겸임 | |||
종1품 | 이사(貳師) | 좌·우찬성이 겸임 | ||
정2품 | 좌우빈객(左右賓客) | 겸직 | ||
종2품 | 좌우부빈객(左右副賓客) | |||
정3품 | 찬선(贊善) | 조선 후기에 증설 | 녹관(祿官, 녹봉받는 관리)/겸관(兼官, 겸직) | |
보덕(輔德) | 녹관(祿官) | |||
겸보덕(兼輔德) | 조선 후기에 증설 | |||
정4품 | 진선(進善) | 녹관(祿官)/겸관(兼官) | ||
필선(弼善) | 녹관(祿官) | |||
겸필선(兼弼善) | 조선 후기에 증설 | |||
정5품 | 문학(文學) | |||
겸문학(兼文學) | 조선 후기에 증설 | |||
정6품 | 사서(司書) | |||
겸사서(兼司書) | 조선 후기에 증설 | |||
정7품 | 설서(說書) | |||
겸설서(兼說書) | 조선 후기에 증설 | |||
자의(諮議) |
4. 역할과 기능
세자시강원은 왕세자의 교육을 전담하는 기관으로서, 조선 초에 설치된 세자관속(世子官屬)을 개칭한 것이다. 왕세자를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을 강의하며 도의(道義)를 가르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이를 통해 왕세자가 왕위에 오르기 위한 자질을 갖추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 경서와 사적 강의, 도의 교육 등을 통해 왕세자는 유교적 통치 철학과 윤리관을 함양하고, 과거의 사례를 통해 현실 정치에 적용하는 능력을 길렀으며, 올바른 가치관과 도덕성을 갖춘 왕으로서의 품성을 길렀다.
과거 합격자가 아닌 유학(幼學)이라도 대신이 추천하면 자의에 임명될 수 있었다.
4. 1. 교육 내용
세자시강원은 왕세자를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을 강의하며 도의(道義)를 가르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유교 경전을 통해 왕세자에게 통치 철학과 윤리관을 가르쳤으며, 역사서를 통해 과거의 사례를 배우고 현실 정치에 적용하는 능력을 길렀다. 또한, 올바른 가치관과 도덕성을 함양하여 왕으로서 갖춰야 할 품성을 길렀다.4. 2. 기타
참조
[1]
웹인용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12-07
[2]
웹인용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