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섹션 8 (군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섹션 8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 규정 615-360의 제8절에서 유래된 용어로, 정신적으로 군 복무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병사의 제대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LGBT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주로 사용되었으며, 민간 생활에서 취업의 어려움과 보훈 급여 미지급 등의 불이익을 초래했다. 현재는 심리적 또는 정신의학적 이유로 인한 제대가 다른 규정에 의해 처리되며,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언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법 - 계엄
    계엄은 국가 비상사태 시 안보와 질서 유지를 위해 대통령이 발동하는 국가긴급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헌법과 계엄법에 따라 선포되며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뉘고, 역사적으로 남용된 사례가 있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국회의 통제 등 견제 장치를 두고 있다.
  • 군법 - 교전규칙
    교전규칙은 군사 작전 시 특정 상황에서 군대의 행동 지침을 규정하며, 자위권 행사, 인명 보호, 오해 방지 등을 목적으로 각국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거나 국제 매뉴얼을 참고하여 무기 사용의 시점, 장소, 상대 등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 미국의 군사 - 미국 위문 협회
    미국 위문 협회(USO)는 1941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주요 전쟁 시기에 군인들을 위한 오락 및 편의 시설을 제공하고 현재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군인과 가족을 지원한다.
  • 미국의 군사 - WWE 트리뷰트 투 더 트루프스
    WWE 트리뷰트 투 더 트루프스는 WWE가 2003년부터 해외 파병 미군 장병들을 위문하고 격려하기 위해 개최하는 특별 행사로, 프로레슬링 경기와 엔터테인먼트 공연을 제공하며 군인들의 사기 진작에 기여하여 다양한 수상 및 훈장을 받았다.
섹션 8 (군사)
개요
종류미국군의 불명예 제대 사유 중 하나
목적정신 질환이 있는 군인의 제대
특징법적 처벌이 따르지 않음
사회적 낙인 존재
상세 내용
사유정신 질환
성격 장애
지능 저하
절차군의관의 정신 감정
심사위원회 결정
결과명예 제대
일반 제대
불명예 제대
오해
일반적 오해"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에 대한 일반적인 속어 또는 멸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실제 의미공식적인 군사 용어이며,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적용됨.
역사 및 배경
유래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규정의 섹션 번호에서 유래
변경규정 변경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사회적 인식
낙인정신 질환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사회적 낙인 존재
영향제대 후 사회 복귀에 어려움 발생 가능
대중 문화 속의 섹션 8
영화다양한 영화에서 정신 질환을 겪는 군인 묘사에 사용됨.
기타블랙 유머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함.
정신 질환에 대한 오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 존재.

2. 역사

"섹션 8"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 규정 615-360의 제8절에서 유래되었으며, 군 복무에서 병사를 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19][2][10] 제8절은 정신적으로 병역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남성의 제대를 규정했다.[19][10]

미국에서 정신적으로 군 복무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남성에게 "그는 섹션 8이다"(He's a Section 8)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섹션 8"은 결국 "제8절"이라는 표현처럼 전역 또는 제대할 자격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모든 군 복무자를 의미한다.[19][11]

섹션 8 제대는 종종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크로스드레서, 트랜스젠더가 대상이 되기도 했는데, 이는 그들이 정신적으로 군 복무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9] 이는 LGBT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주어졌는데, 그들은 군 복무에 정신적으로 부적합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3] 섹션 8의 제대는 민간 생활에서 직업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고, 보훈 급여를 인정하지 않았다.[11][20]섹션 8 제대는 종종 사람들이 민간 생활에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퇴역 군인 혜택을 받을 수 없게 했다.[3]

심리적 또는 정신의학적 이유에 의한 제대는 현재 많은 규정에 적용되므로, 제8절의 규정에 의한 제대는 더 이상 시행되지 않는다.[12][21] 미 육군에서 이러한 전역은 AR 635-200, 현역 입대 행정 분리 규정에 따라 처리된다.[12][21] 제5장 제13항은 인격장애를 의학적으로 진단받은 사람의 분리를 규정한다.[21]제5장 13항은 성격 장애로 의학적 진단을 받은 인원의 분리를 규정한다.[4]

2. 1. 용어의 유래 및 의미 변화

"섹션 8"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 규정 615-360의 제8절에서 유래되었으며, 군 복무에서 병사를 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19][2][10] 제8절은 정신적으로 병역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남성의 제대를 규정했다.[19][10]

미국에서 정신적으로 군 복무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남성에게 "그는 섹션 8이다"(He's a Section 8)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섹션 8"은 결국 "제8절"이라는 표현처럼 전역 또는 제대할 자격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모든 군 복무자를 의미한다.[19][11]

섹션 8 제대는 종종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크로스드레서, 트랜스젠더가 대상이 되기도 했는데, 이는 그들이 정신적으로 군 복무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9] 이는 LGBT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주어졌는데, 그들은 군 복무에 정신적으로 부적합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3] 섹션 8의 제대는 민간 생활에서 직업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고, 보훈 급여를 인정하지 않았다.[11][20]섹션 8 제대는 종종 사람들이 민간 생활에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퇴역 군인 혜택을 받을 수 없게 했다.[3]

심리적 또는 정신의학적 이유에 의한 제대는 현재 많은 규정에 적용되므로, 제8절의 규정에 의한 제대는 더 이상 시행되지 않는다.[12][21] 미 육군에서 이러한 전역은 AR 635-200, 현역 입대 행정 분리 규정에 따라 처리된다.[12][21] 제5장 제13항은 인격장애를 의학적으로 진단받은 사람의 분리를 규정한다.[21]제5장 13항은 성격 장애로 의학적 진단을 받은 인원의 분리를 규정한다.[4]

2. 2. 성소수자 차별

"섹션 8"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 규정 615-360의 제8절에서 유래되었으며, 군 복무에서 병사를 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19][2][10] 제8절은 정신적으로 병역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남성의 제대를 규정했다.[19][10]

미국에서 정신적으로 군 복무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남성에게 "그는 섹션 8이다"(He's a Section 8)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섹션 8"은 결국 "제8절"이라는 표현처럼 전역 또는 제대할 자격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모든 군 복무자를 의미한다.[19][10]

섹션 8 제대는 종종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크로스드레서, 트랜스젠더가 대상이 되기도 했는데,[19][11] 이는 그들이 정신적으로 군 복무를 하기에 부적합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20][11] 섹션 8 제대는 민간 생활에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으며, 보훈 급여를 허용하지 않았다.[20][11]

심리적 또는 정신의학적 이유로 인한 전역은 현재 많은 규정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제8절에 따른 전역은 더 이상 시행되지 않는다.[19][12] 미 육군에서 이러한 전역은 AR 635-200, 현역 입대 행정 분리의 규정에 따라 처리된다.[21][12] 제5장 제13항은 인격장애를 의학적으로 진단받은 사람의 분리를 규정한다.[21][4][12]

2. 3. 현대의 제도

"섹션 8"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 규정 615-360의 섹션 VIII에서 유래되었으며, 사병의 군 복무 중단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2] 섹션 VIII은 군 복무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정신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제대를 규정했다.[2][10]

"섹션 8"은 그러한 제대를 받은 모든 군인, 또는 그러한 제대를 받을 만한 행동을 하는 모든 군인을 의미하게 되었다.[2] "그는 섹션 8이다"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하였다.[10]

섹션 8 제대는 LGBT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주어지기도 하였는데, 그들은 정신적으로 군 복무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섹션 8 제대는 사람들이 민간 생활에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퇴역 군인 혜택을 받을 수 없게 했다.[3][11]

심리적 또는 정신과적 이유로 인한 의학적 제대는 현재 여러 규정에 의해 다루어지므로, 섹션 8에 따른 제대는 더 이상 시행되지 않는다. 육군에서는 이러한 제대가 AR 635-200, ''현역 사병 행정 분리''의 조항에 따라 처리된다. 제5장 13항은 성격 장애로 의학적 진단을 받은 인원의 분리를 규정한다.[4][12]

3. 대중문화

1970년대 TV 시리즈 매시에서 섹션 8은 클링거 상병이 (결국 그의 노력을 포기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찾고 있던 구절이 되었다.[22] 그가 선호하는 방법은 크로스 드레싱이었다.[23][24][25]

맥스웰 킹거 병장은 ''M*A*S*H''에서 섹션 8을 받으려고 시도했다.


스탠리 큐브릭의 1987년 영화 풀 메탈 재킷에서 레오나드 로렌스(극중 별칭 고머 파일) 이병은 그의 소총과 대화하는 것이 눈에 띄었을 때 잠재적인 섹션 8로 묘사되었으며, 적절한 이름을 가진 Lusthog Squad의 또 다른 소총수는 과도한 자위행위로 인해 해군 심리학자에게 보내졌다. 대기실에서 자위행위를 시작한 후 섹션 8로 분류되었다.[26]

2003년 영화 베이직에서 DEA 요원 톰 하디는 자신을 '섹션 8'이라고 부르며 미친 듯 보이는 용병 레인저스의 마약상들을 조사한다.

2007년 비디오 게임 ''Halo 3''에서 해병대 아군은 플레이어가 그들을 쏘면 가끔 '섹션 8에 갔냐'고 묻는다. 만약 플레이어가 너무 많은 아군을 죽이면, 누군가는 '쟤는 섹션 8이야!'라고 외치며 플레이어를 쏘기 시작한다.

2019년 비디오 게임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서 웨인 딜런 데이비스 상사(일명 "D-Day")는 팀원 구출 실패 후 섹션 8로 제대한다.

미국의 데스코어 밴드 화이트채플은 2012년 자신들의 자작 앨범에 섹션 8이라는 곡을 수록했다.

전쟁 소설 "별도의 평화"에서 엘윈 "나퍼" 레펠리에라는 등장인물은 트라우마로 환각을 일으켰기 때문에 스키 부대에서 섹션 8 전역을 받는다.

1993년 영화 ''클리프행어''에서 트래비스는 "완전 섹션 8이 됐어!"라고 말하며 변절한다.

2022년 영화 ''섹션 에이트''에서 제대 군인들은 비밀 암살자가 된다.

1998년 영화 When Trumpets Fade에서 데이비드 매닝 이병은 전투를 피하기 위해 부대장인 로이 프리쳇 대위에게 섹션 8을 요청했지만, 대신 상사로 진급한다. 이후 프리쳇은 매닝에게 독일 88mm 포대를 제거하는 데 자원하여 성공하면 섹션 8 제대를 제안한다.

3. 1. 영화 및 드라마

1970년대 TV 시리즈 매시에서 섹션 8은 클링거 상병이 지속적으로 찾던 조항이었다.[22] 그는 크로스 드레싱을 선호했다.[23][24][25] 스탠리 큐브릭의 1987년 영화 풀 메탈 재킷에서 레오나드 로렌스(극중 별칭 고머 파일) 이병은 소총과 대화하는 것이 눈에 띄었을 때 잠재적인 섹션 8로 묘사되었으며, Lusthog Squad의 또 다른 소총수는 과도한 자위행위로 인해 해군 심리학자에게 보내졌고, 대기실에서 자위행위를 시작한 후 섹션 8로 분류되었다.[26] 2003년 영화 베이직에서 DEA 요원 톰 하디는 자신을 '섹션 8'이라고 부르며 미친 듯 보이는 용병 레인저스의 마약상들을 조사한다.

미국의 데스코어 밴드 화이트채플은 2012년 자신들의 자작 앨범에 섹션 8이라는 곡을 수록했다. 전쟁 소설 "별도의 평화"에서 엘윈 "나퍼" 레펠리에라는 등장인물은 트라우마로 환각을 일으켰기 때문에 스키 부대에서 섹션 8 전역을 받는다. 1993년 영화 ''클리프행어''에서 트래비스는 "완전 섹션 8이 됐어!"라고 말하며 변절한다. 2022년 영화 ''섹션 에이트''에서 제대 군인들은 비밀 암살자가 된다. 1998년 영화 When Trumpets Fade에서 데이비드 매닝 이병은 전투를 피하기 위해 부대장인 로이 프리쳇 대위에게 섹션 8을 요청했지만, 대신 상사로 진급한다. 이후 프리쳇은 매닝에게 독일 88mm 포대를 제거하는 데 자원하여 성공하면 섹션 8 제대를 제안한다.

3. 2. 게임

1970년대 TV 드라마 ''M*A*S*H''에서 맥스웰 킹거 병장은 섹션 8을 받으려고 계속 시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크로스 드레싱을 하거나 자신에게 불을 지르겠다고 위협하거나 지프차를 삼키려는 등의 행동을 했다.[5][6][7][13][14][15]

2007년 비디오 게임 ''Halo 3''에서 해병대 아군은 플레이어가 그들을 쏘면 가끔 '섹션 8에 갔냐'고 묻고, 너무 많은 아군을 죽이면 플레이어를 쏘기 시작한다. 2019년 비디오 게임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서 웨인 딜런 데이비스 상사는 팀원 구출 실패 후 섹션 8로 제대한다. 2003년 영화 ''베이직''에서 DEA 요원 톰 하디(존 트라볼타)는 섹션 8이라고 불리는 마약상 집단을 조사한다.

스탠리 큐브릭의 1987년 영화 ''Full Metal Jacket''에서 레너드 "고머 파일" 로렌스 사병(빈센트 도노프리오)은 소총과 대화하는 모습이 포착된 후 섹션 8로 분류된다.[8][16] 미국 데스 코어 밴드 화이트채플은 2012년 동명의 앨범에 "Section 8"이라는 곡을 수록했다. 전쟁 소설 ''A Separate Peace''에서 엘윈 "레퍼" 레펠리에르는 환각 증세를 보여 섹션 8으로 제대한다.

1993년 영화 ''클리프행어''에서 트래비스는 "완전 섹션 8이 됐어!"라고 말하며 변절한다. 2022년 영화 ''섹션 에이트''에서 제대 군인들은 비밀 암살자가 된다. 1998년 영화 When Trumpets Fade에서 데이비드 매닝 이병은 전투를 피하기 위해 섹션 8을 요청했지만, 대신 상사로 진급한다. 2003년 영화 닫힌 공간에서 DEA 요원 톰 하디는 자신을 "섹션 8"이라고 칭하며 미친 듯이 보이는 용병 레인저의 마약 상인들을 조사한다.

3. 3. 음악

1970년대 TV 시리즈 매시에서 섹션 8은 클링거 상병이 지속적으로 찾던 조항이었다.[22] 그는 크로스드레싱을 선호했다.[23][24][25]

스탠리 큐브릭의 1987년 영화 풀 메탈 재킷에서 레오나드 로렌스(극중 별칭 고머 파일) 이병은 소총과 대화하는 모습 때문에 잠재적인 섹션 8로 묘사되었다.[16]

미국의 데스코어 밴드 화이트채플은 2012년 동명의 앨범에 "Section 8"이라는 곡을 수록했다.

전쟁 소설 "별도의 평화"에서 엘윈 "나퍼" 레펠리에는 트라우마로 인한 환각 증세로 스키 부대에서 섹션 8 전역을 받는다.

3. 4. 기타



섹션 8은 1970년대 TV 드라마 ''M*A*S*H''에서 흔히 사용되는 문구가 되었는데, 극중 등장인물 맥스웰 킹거 병장은 계속해서 섹션 8을 받으려고 시도했다(결국 시도를 포기하기 전까지).[5][13] 그가 선호하는 방법은 크로스 드레싱이었지만, 그 외에도 자신에게 불을 지르겠다고 위협하거나 지프차를 하나씩 삼키려 하는 등의 시도를 했다.[6][7][14][15]

2007년 비디오 게임 ''Halo 3''에서 해병대 아군은 플레이어가 그들을 쏘면 가끔 '섹션 8에 갔냐'고 묻는다. 만약 플레이어가 너무 많은 아군을 죽이면, 누군가는 '쟤는 섹션 8이야!'라고 외치며 플레이어를 쏘기 시작한다.

2019년 비디오 게임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서 웨인 딜런 데이비스 상사(일명 "D-Day")는 팀원 구출 실패 후 섹션 8로 제대한다.

2003년 영화 ''베이직''에서 DEA 요원 톰 하디(존 트라볼타)는 섹션 8이라고 불리는, 겉보기에 미친 용병 레인저 출신 마약상 집단을 조사한다.

스탠리 큐브릭의 1987년 영화 ''Full Metal Jacket''에서 레너드 "고머 파일" 로렌스 사병(빈센트 도노프리오)은 자신의 소총과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포착되고, 러스토그 분대의 또 다른 사수인 핸드 잡이 과도한 자위 행위로 해군 심리학자에게 보내진 후, 대기실에서 자위를 시작하면서 즉시 섹션 8로 분류된다.[8][16]

미국 데스 코어 밴드 화이트채플은 2012년 동명의 앨범에 "Section 8"이라는 곡을 수록했다.

전쟁 소설 ''A Separate Peace''에서 엘윈 "레퍼" 레펠리에르는 수면 부족으로 환각 증세를 보여 스키 부대에서 섹션 8으로 제대한다.

1993년 영화 ''클리프행어''에서 트래비스는 "완전 섹션 8이 됐어!"라고 말하며 변절한다.

2022년 영화 ''섹션 에이트''에서 제대 군인들은 비밀 암살자가 된다.

1998년 영화 When Trumpets Fade에서 데이비드 매닝 이병은 전투를 피하기 위해 부대장인 로이 프리쳇 대위에게 섹션 8을 요청했지만, 대신 상사로 진급한다. 이후 프리쳇은 매닝에게 독일 88mm 포대를 제거하는 데 자원하여 성공하면 섹션 8 제대를 제안한다.

4. 사례

시드니 포이티어는 17세 때 미국 육군에 입대하기 위해 나이를 속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가짜 정신질환으로 섹션 8에 따라 전역하였다.[27][17] 1943년 11월, 포이티어는 뉴욕주 노스포트에 있는 재향군인 병원에 배치되어 정신과 환자를 돌보는 훈련을 받았다. 포이티어는 병원의 환자 치료 방식에 불만을 품고 제대를 위해 정신 질환을 흉내 냈다. 포이티어는 정신과 의사에게 자신의 상태를 꾸며낸 것이라고 고백했지만, 의사는 동정심을 보여 1944년 12월 육군 규정 615-360의 섹션 8에 따라 그를 제대시켰다.[9]

5.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참조

[1] 서적 A Queer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2] 웹사이트 Office of Medical History - Neuropsychiatry in WWII, Chapter 16 http://history.amed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1963
[3] 서적 A Queer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4] 웹사이트 Active Duty Enlisted Administrative Separations http://www.apd.arm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2005-06-05
[5] 웹사이트 M*A*S*H Episode Guide - Radar's Report http://www.tv.com/ma[...] The editors of TV.com 1973-09-02
[6] 서적 Disability in Film and Literature
[7] 서적 Television Finales: From Howdy Doody to Girls'
[8] 영상 Full Metal Jacket Warner Bros. 1987
[9] 서적 Sidney Poitier Chelsea House Publishers 1988
[10] 웹사이트 Office of Medical History - Neuropsychiatry in WWII, Chapter 16 http://history.amed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1963
[11] 서적 A Queer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2] 웹사이트 Active Duty Enlisted Administrative Separations http://www.apd.arm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2005-06-05
[13] 웹사이트 M*A*S*H Episode Guide - Radar's Report http://www.tv.com/ma[...] The editors of TV.com 1973-09-02
[14] 서적 Disability in Film and Literature
[15] 서적 Television Finales: From Howdy Doody to Girls'
[16] 영상 Full Metal Jacket Warner Bros. 1987
[17] 서적 Sidney Poitier Chelsea House Publishers 1988
[18] 서적 A Queer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9] 웹인용 Office of Medical History - Neuropsychiatry in WWII, Chapter 16 http://history.amed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2012-01-04
[20] 서적 A Queer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21] 웹인용 Active Duty Enlisted Administrative Separations http://www.apd.arm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2009-01-03
[22] 웹인용 M*A*S*H Episode Guide - Radar's Report http://www.tv.com/ma[...] The editors of TV.com 2011-02-02
[23] 웹인용 M*A*S*H Episode Guide - Radar's Report http://www.tv.com/ma[...] The editors of TV.com 2011-02-02
[24] 서적 Disability in Film and Literature
[25] 서적 Television Finales: From Howdy Doody to Girls'
[26] 영상 Full Metal Jacket Warner Bros. 1987
[27] 서적 Sidney Poitier https://archive.org/[...] Chelsea House Publishers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