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돔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돔 사과는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태평양,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는 식물이다. 성경 학자들은 이 식물이 호박이었을 수 있다고 추측하며, 로마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사해 근처에서 자라는 소돔 사과를 "열매는 먹기에 적합한 것처럼 보이지만, 손으로 꺾으면 연기와 재로 변한다"고 묘사했다. 이스라엘 지역에서는 섬유가 대제사장의 아마포나 촛불 심지로 사용되었을 수 있으며, 베두인들은 이 식물의 섬유로 두개골 덮개를 만들었다. 또한, 소돔 사과는 독성 식물로, 즙에는 심장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대중문화에서는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과 마릴린 맨슨의 노래에 언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하마의 나무 - 반얀
반얀은 *Ficus* 속의 수목성 무화과나무를 통칭하며, 교살식물의 특징과 거대한 크기, 문화적 중요성, 분재 활용, 다양한 문화 콘텐츠 등장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바하마의 나무 - 구아바 (종)
구아바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과일 나무로, 다양한 껍질과 과육 색깔을 가진 열매를 맺으며 비타민 C가 풍부하지만, 원산지 외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카리브 제도의 식물상 - 흰독말풀
흰독말풀은 가지과에 속하는 독성이 강한 한해살이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흰색 또는 녹색 빛의 깔때기 모양 꽃과 가시 캡슐 열매를 가지며, 섭취 시 환각과 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 카리브 제도의 식물상 - 긴삼잎국화
긴삼잎국화는 중앙 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식물로, 전 세계에 귀화하여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종이며, 맹렬한 번식력으로 인해 국제자연보전연맹과 대한민국 환경부에서 각각 '세계 최악의 침입종' 및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었다. - 카보베르데의 식물상 - 보검선인장
보검선인장은 다육식물의 일종으로, 최대 5m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 관목이며, 식용, 사료, 토양 침식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멕시코와 텍사스 등 여러 지역에서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 카보베르데의 식물상 - 돌무화과나무
돌무화과나무는 돌이나 벽에 붙어 자라는 덩굴성 식물로, 무화과를 닮은 열매를 맺으며, 식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역사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상징성을 지니고,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
소돔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lotropis procera (칼로트로피스 프로케라) |
학명 명명 | (윌리엄 아이턴) 윌리엄 타운젠드 아이턴 |
이명 | Apocynum syriacum (아포키눔 시리아쿰) Asclepias gigantea (아스클레피아스 기간테아) Asclepias patula (아스클레피아스 파툴라) Asclepias procera (아스클레피아스 프로케라) Calotropis busseana (칼로트로피스 부세아나) Calotropis gigantea var. procera (칼로트로피스 기간테아 변종 프로케라) Calotropis heterophylla (칼로트로피스 헤테로필라) Calotropis inflexa (칼로트로피스 인플렉사) Calotropis persica (칼로트로피스 페르시카) Calotropis syriaca (칼로트로피스 시리아카) Calotropis wallichii (칼로트로피스 발리키) Madorius procerus (마도리우스 프로케루스) |
일반명 | 소돔 사과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국화군 |
목 | 용담목 |
과 | 협죽도과 |
아과 | 박주가리아과 |
족 | 관백미꽃족 |
속 | 칼로트로피스속 |
설명 | |
크기 | 1.8 미터 2.4 미터 4.6 미터 |
특징 | 코마, 각막 손상 유발 가능성이 있는 식물 |
보전 상태 | |
IUCN Red List | LC (최소관심) |
2. 분포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태평양,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24] 원산지는 동남아시아(미얀마, 베트남, 태국), 남아시아(네팔, 인도, 파키스탄), 서남아시아(사우디아라비아,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이란, 이스라엘), 북아프리카(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이집트), 동아프리카(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적도 기니, 카메룬), 서아프리카(가나, 감비아,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모리타니, 세네갈, 시에라리온), 마카로네시아(카보베르데)이다.[24]
3. 역사와 전통적 이용
3. 1. 이스라엘 지역
일부 성경 학자들은 소돔 사과가 호박(또는 독이 있는 맛이 나는 호박)이었을 수 있으며, 이것이 열왕기하 ()에서 "가마솥의 죽음"을 초래했다고 믿는다. 이 이야기에서, 예언자 엘리사의 선의의 종은 약초와 다량의 알려지지 않은 호박을 모아 가마솥에 던진다. 예언자 무리의 절규 후, 엘리사는 그들에게 스튜 냄비에 밀가루를 넣도록 지시하고, 그들은 구원을 받는다.[8]
1938년, "구근과 아스포델"의 저자이자 노가 하레우베니의 부모인 식물학자 한나와 에프라임 하레우베니는 예레미야의 ''아르‘아르/아로‘에르''가 소돔 사과라고 추측했다.[11][9]
소돔 사과의 섬유는 대제사장의 아마포에 사용되었을 수 있다.
로마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소돔 근처, 즉 사해 근처에서 자라는 것을 보고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그들의 열매에서 자라는 재와 같으며, 그 열매는 먹기에 적합한 것처럼 보이지만, 손으로 꺾으면 연기와 재로 변한다."[10]
소돔 사과는 미쉬나와 탈무드에 언급되어 있다. 씨앗에 붙어 있는 섬유는 심지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미쉬나는 안식일에 이를 금지한다:[11] "삼나무 껍질이나 빗질하지 않은 아마, 실크 플로스, 버드나무 섬유, 쐐기풀 섬유로는 불을 붙일 수 없다."[12]
미국 성경 학자 에드워드 로빈슨은 그의 저서 ''팔레스타인의 성경 연구''에서 이를 아랍인들이 '오셔'라고 부르는 회색 코르크 나무 껍질을 가진 키 3~4.5미터의 나무인 ''Asclepias gigantea'' 또는 ''procera''의 열매로 묘사한다. 그는 열매가 "3~4개 묶음으로 매달린 크고 매끄러운 사과나 오렌지"와 같다고 말한다. "눌리거나 치면 방광이나 버섯처럼 펑하고 터지면서 얇은 껍질 조각과 몇 가닥의 섬유만 손에 남는다. 사실 그것은 주로 공기로 채워져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운데에는 가는 실크가 약간 들어 있는 작은 가늘고 긴 꼬투리가 있어, 아랍인들이 총의 성냥을 만들기 위해 모아 꼬아 사용한다."[6]
시나이 반도와 네게브의 베두인들은 전통적으로 이 식물의 섬유를 사용하여 두개골 덮개(''타기야'')를 만들었다.[13]
3. 2. 중동
아랍에미리트에서 흔히 발견되는 사막 관목인 소돔사과는 전통적인 베두인 의학에서 광범위하게 약용으로 사용된다.[14] 베두인들은 이 식물의 모든 부분과 눈이 접촉하면 실명한다고 오랫동안 믿어왔으며, 실제로 아이들이 무심코 수액을 만진 후 눈을 비벼서 발생한 중독 및 각막 손상 사례가 보고되었다.[14] 트루셜 오만의 베두인들은 이 식물의 뿌리를 전통적으로 불에 태워 화약의 구성 요소로 사용했다.[15]
3. 3. 기타 지역
이 식물은 열대 지역 전체와 서인도 제도(자메이카, 푸에르토 리코 등)에서 흔히 발견되며, 현지인들은 "베개 솜"이라고 부른다.[16] 잘 익은 "사과"가 터지면 섬유질 내용물이 씨앗과 함께 밖으로 배출된다.
거대 박주가리는 남아프리카에서 섬유와 약재로 사용되지만, 농경지에 침입하여 수확량을 감소시키고 가축에게 독성이 있다.[17] 림포포 주의 뜨거운 북부 지역, 길가, 배수로에서 잘 자란다.[17]
호주에서는 서호주, 노던 준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및 퀸즐랜드의 잡초이다.[18] 부드러운 털 뭉치를 가진 씨앗을 통해 노던 준주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털 뭉치(아프리카 또는 아시아 기원)는 낙타 안장 패딩으로 사용되었다.[19] 노던 준주에서는 충적 평원, 일시적인 수로 및 유입 지역, 적갈색 토지 평원과 점토질 평원에서 발견된다.[20]
4. 독성
이 식물의 즙에는 복잡한 화학 물질 혼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스테로이드 심장 독인 "심장 아글리콘"이다. 이것들은 디기탈리스 (''Digitalis purpurea'')에서 발견되는 것들과 동일한 화학 계열에 속한다.
이 식물에는 독성의 원인이 되는 스테로이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칼로트로피스 배당체의 경우, 그 이름은 칼로트로핀, 칼로톡신, 칼락틴, 우샤리딘 및 보루샤린이다.
5. 대중문화 속 소돔의 사과
존 밀턴은 자신의 서사시 ''실낙원''에서 이 식물을 언급하는데[21], 사탄과 그의 추종자들이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먹도록 유혹한 후 먹은 과일을 묘사한다. 보기에는 좋으나 만져서가 아니라 맛으로 속였고, 과일 대신 쓴 재를 씹게하여 불쾌한 맛이 튀는 소리와 함께 거부하게 묘사하였다.[21]
마릴린 맨슨은 1997년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영화 ''로스트 하이웨이''의 사운드트랙 앨범을 위해 "소돔의 사과"라는 노래를 녹음했다.[22]
6. 사진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Calotropis procera''"
2022-12-17
[2]
GRIN
2010-06-26
[3]
웹사이트
"''Calotropis procera''"
https://www.missouri[...]
"[[Missouri Botanical Garden]]"
2024-02-03
[4]
웹사이트
Australian Plant Names Index
https://web.archive.[...]
2014-09-03
[5]
웹사이트
Not All Monarchs Migrate! The Puerto Rican Subspecies Stays Put
https://www.nrcs.us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24-02-02
[6]
웹사이트
The Jewish Encyclopedia: Apple of Sodom
http://jewishencyclo[...]
[7]
웹사이트
Campers warned to avoid plants in UAE that can lead to coma, corneal damage
https://gulfnews.com[...]
2024-04-24
[8]
문서
NIV Application Commentary on Kings; cf. Cogan and Tadmore, ''II Kings'', p. 58
[9]
서적
Exhaustive Concordance of the Bible
https://biblehub.com[...]
"[[Drew University|Drew U]]"
2020-09-26
[10]
문서
"''Josephus' ''The War of the Jews'', translated by William Whiston''"
http://www.ccel.org/[...]
[11]
웹사이트
Botany, Prophecy, and Theology
http://www.torahflor[...]
[12]
웹사이트
Flora of [[Ein Gedi]]
http://www.kalmanovi[...]
[13]
논문
Bedouin Plant Utilization in Sinai and the Negev
Springer on behalf of New York Botanical Garden Press
1981
[14]
웹사이트
Guide: Learn the properties of local plants
https://www.thenatio[...]
2024-04-24
[15]
서적
The Sand Kings of Oman
Methuen
1947
[16]
간행물
Biological and phytochemicals studies on stem leaves and roots of Calotropis procera: A review
https://www.research[...]
2023-10-16
[17]
웹사이트
Giant milkweed – Invasive Species South Africa
https://invasives.or[...]
[18]
웹사이트
"Australasian Virtual Herbarium: ''Calotropis procera''"
https://avh.ala.org.[...]
2023-07-29
[19]
서적
Plants of the Kimberley region of Western Australia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Press
[20]
웹사이트
"NT Flora: ''Calotropis procera'' factsheet"
http://eflora.nt.gov[...]
2023-07-29
[21]
서적
The Dead Sea and the Jordan River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03-21
[22]
웹사이트
Lost Highway put David Lynch onto America's car stereos
https://www.avclub.c[...]
2017-12-10
[23]
웹인용
"''Calotropis procera'' (Aiton) Dryand."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8-08-28
[24]
웹인용
"''Calotropis procera'' (Aiton) W. T. Aiton"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8-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