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말리아 전쟁 (2009년~현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 전쟁 (2009년~현재)은 2006년 소말리아 전쟁 이후,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와 알샤바브를 비롯한 반군 세력 간에 벌어진 내전을 의미한다. 2009년 알샤바브가 에티오피아군의 철수를 요구하며 내전이 격화되었고, TFG 대통령 선출 이후 알샤바브의 공격으로 내전이 심화되었다. 주요 세력으로는 알샤바브, 히즈불 이슬람, TFG,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단(AMISOM) 등이 있으며, 미국, 에티오피아, 유엔 등 국제 사회가 개입하고 있다.

2. 역사적 배경

1991년 사이드 바레 독재 정권이 붕괴된 후 소말리아는 권력 공백과 군벌 난립으로 인해 혼란에 빠졌다.

2. 1. 2006년 소말리아 전쟁

TFG는 과거 ICU과 협력 관계였다. 2006년 미군 철수 후 에티오피아군이 주둔하면서, TFG는 ICU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자체 법 집행을 강화했다.[8] ICU는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고, 알샤바브는 급진파를 이끌며 TFG와 에티오피아군 주둔에 반대했다. 당시 TFG 대통령 셰이크 아메드는 ICU의 온건파 의장이었다.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알샤바브는 군사적 승리를 거두며 소말리아 중부와 남부의 핵심 마을들을 점령했다. 2008년 말 바이도바를 점령했으나 모가디슈는 점령하지 못했다. 2009년 1월, 알샤바브 등은 에티오피아군 철수를 강요했다.[9]

지부티에서 ARS-D 파벌의 Sheikh Sharif Sheikh Ahmed와 TFG 총리 Nur Hassan 간 권력 분배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알샤바브는 평화협정에 반대하며 점령지를 유지했다.

ARS-A 파벌 등 4개 이슬람 그룹이 합병한 히즈불 이슬람은 알샤바브와 연합했다.

TFG와 연합하고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알루 수나 왈자마아는 알샤바브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10][11][12]

2009년 1월 31일, 소말리아 의회는 ARS 지도자 셰이크 아메드를 TFG 대통령으로 선출했다(찬성 275/500). 알샤바브모가디슈 의회 및 대통령궁 공격으로 인한 보안 문제와 국제 사회의 적법절차 감시를 위해 대통령 선출 의회는 지부티에서 열렸다.[13]

2009년 2월 셰이크 아메드 대통령이 모가디슈 대통령궁에 도착하자, 알샤바브는 이에 반대하며 내전을 일으켰다.[14]

소말리아인들은 대소말리아 건설을 위해 오가덴 지역 회복을 바라왔다. 그러나 소말리아(인구 900만 명)는 에티오피아(인구 8500만 명)에 비해 약소국이며, 양국 간에는 잦은 전쟁이 있었다.

2. 2. 과도 연방 정부 (TFG) 수립과 알샤바브의 저항

2006년 소말리아 전쟁 이후, 현재 소말리아의 합법적 정부인 과도 연방 정부(TFG)는 과거 한때 이슬람 법정 연합(ICU)과 협력 관계였다. 2006년 미군이 철수하고 에티오피아군이 주둔하면서, 과도 연방 정부는 이슬람 법정 연합에 대한 지원을 끊고 자체적인 법 집행을 강화했다.[8] 이슬람 법정 연합이 패퇴하면서 내부는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는데, 이 중 급진파를 이끄는 알샤바브는 과도 연방 정부와 에티오피아군의 주둔에 반대했다. 당시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의 대통령인 셰이크 아메드는 온건파를 이끌었으며, 이슬람 법정 연합의 의장이었다.

2007년과 2008년을 거쳐 알샤바브는 군사적 승리를 거두며 소말리아 중부와 남부의 전략적 요충지를 점령했다. 2008년 말 알샤바브는 바이도바를 점령했으나, 모가디슈는 점령하지 못했다. 2009년 1월, 알샤바브와 다른 민병들은 에티오피아군을 철수시켰다.[9]

지부티에서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 지부티 파벌(ARS-D)을 이끄는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메드와 과도 연방 정부 총리 누르 하산 간의 권력 분배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알샤바브는 온건파들의 합의와 평화 협정에 반대하며 점령지를 포기하지 않았다.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 아스마라 파벌(ARS-A)을 포함해 4개의 이슬람 그룹이 합병한 히즈불 이슬람은 알샤바브와 연합했다.

과도 연방 정부와 연합하고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다른 이슬람 그룹인 알루 수나 왈자마아는 알샤바브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10][11][12]

2009년 1월 31일, 소말리아 의회는 500명의 의원 중 275명의 찬성으로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ARS) 지도자인 셰이크 아메드를 과도 연방 정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알샤바브가 수도 모가디슈의 소말리아 의회와 소말리아 대통령궁을 공격하는 등 보안 문제가 있었고, 국제 사회가 소말리아 대통령 선출의 적법절차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대통령 선출을 위한 의회는 지부티에서 열렸다.[13]

셰이크 아메드 대통령이 2009년 2월 모가디슈의 대통령궁에 도착한 이후, 알샤바브는 그에 반대하며 내전인 2009년 소말리아 전쟁을 일으켰다.[14]

3. 주요 세력

2009년 소말리아 전쟁의 주요 세력은 다음과 같다.


  • '''알샤바브''': 2006년 소말리아 전쟁에서 이슬람 법정 연합(ICU)이 패퇴한 후 분열된 여러 파벌 중 급진파를 이끌던 세력이다.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와 에티오피아군의 주둔에 반대하며, 2009년 1월 에티오피아군 철수에 큰 영향을 미쳤다.[8][9]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메드 대통령에 반대하며 내전을 일으켰다.[14]

  • '''히즈불 이슬람''':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ARS)의 아스마라 파벌(ARS-A)을 포함한 4개의 이슬람 그룹이 합병하여 탄생한 세력이다. 한때 알샤바브와 연합했으나, 키시마요 권력 분배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16]

  • '''과도 연방 정부(TFG)''' 및 '''소말리아 정부군''': 2006년 소말리아 전쟁 이후 현재 소말리아의 합법적인 정부이다. 이슬람 법정 연합(ICU)과 협력 관계였으나, 에티오피아군 주둔 이후 관계가 변화했다. 알루 수나 왈자마아와 연합하여 알샤바브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10][11][12]

  •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단(AMISOM)''': 소말리아의 평화 유지를 위해 아프리카 연합이 파견한 군사 조직이다. 미국은 2010년 10월 기준으로 AMISOM에 2.29억달러를 직접 지원했으며, 국제단체를 통한 간접 지원도 약속했다.[20]

3. 1. 알샤바브 (Al-Shabaab)

2006년 소말리아 전쟁에서 이슬람 법정 연합(ICU)이 패퇴하면서, 그 내부는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다. 이 중 급진파를 이끌던 알샤바브는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와 에티오피아군의 주둔에 반대했다.[8]

2007년과 2008년을 거쳐, 알샤바브는 군사적 승리를 거두며 소말리아 중부와 남부의 전략상 핵심적인 마을을 점령했다. 2009년 1월, 알샤바브와 다른 민병들은 에티오피아군을 철수시켰다.[9]

지부티에서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ARS)의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메드와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 총리 누르 하산 간의 권력 분배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알샤바브는 평화 협정에 반대하며 점령지를 유지했다.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ARS)의 아스마라 파벌(ARS-A)을 포함해 4개의 이슬람 그룹이 합병하여 탄생한 히즈불 이슬람은 알샤바브와 연합했다.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와 연합하고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알루 수나 왈자마아는 알샤바브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10][11][12]

2009년 1월 31일,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ARS) 지도자인 셰이크 아메드가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알샤바브의 공격으로 인한 보안 문제와 국제 사회의 감시를 위해 대통령 선출 의회는 지부티에서 열렸다.[13]

셰이크 아메드 대통령이 2009년 2월 모가디슈 대통령궁에 도착한 이후, 알샤바브는 그에 반대하며 내전을 일으켰다.[14]

키시마요에서 히즈불 이슬람과 알샤바브는 권력을 6개월마다 교대로 나누기로 합의했으나, 알샤바브가 부족 정책을 이유로 권력 이양을 거부했다.[16] 이로 인해 히즈불 이슬람 내부의 파벌 간 내분과 라스 캄보니 여단 내부의 분열이 발생했다.[15]

3. 2. 히즈불 이슬람 (Hizbul Islam)

셰이크 아메드 마두브와 알샤바브가 지휘하는 라스 캄보니 여단을 둘러싼 파벌 다툼으로, 알샤바브와 그 연합 세력이었던 히즈불 이슬람 간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15] 키시마요 협정에 따라 히즈불 이슬람과 알샤바브는 도시 권력을 6개월마다 교대로 나누기로 했으나, 알샤바브가 부족 정책을 이유로 권력 이양을 거부했다.[16]

이는 히즈불 이슬람 내부의 ARS-A와 JABISO 두 파벌 간 내분으로 이어졌다. JABISO는 모가디슈와 히란에서 알샤바브와 동맹 관계였으나, 라스 캄보니 여단 지원에는 반대했다. 이로 인해 라스 캄보니 여단 내부에서도 파벌이 나뉘게 되었다.[15]

3. 3. 과도 연방 정부 (TFG) 및 소말리아 정부군

2006년 소말리아 전쟁 이후 현재 소말리아의 합법적 정부인 과도 연방 정부(TFG)는 과거 한때 이슬람 법정 연합(ICU)와 협력하는 관계였다. 2006년 미군이 철수하고 에티오피아군이 주둔하면서, TFG는 ICU에 대한 지원을 끊고 자체적인 법 집행을 강화했다.[8] ICU가 패퇴하면서 내부가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는데, 대표적으로 급진파인 알샤바브는 TFG와 에티오피아군의 주둔에 반대했다. 현재 소말리아 TFG의 대통령인 셰이크 아메드는 온건파를 이끌었으며, ICU의 의장이었다.

2009년 1월, 알샤바브와 다른 민병들은 에티오피아군이 철수하도록 압박했다.[9] 지부티에서 TFG 총리 누르 하산과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 지부티 파벌(ARS-D)을 이끄는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메드 간의 권력 분배 합의가 이루어졌다. 반면, 알샤바브는 온건파들의 합의와 별개로 평화협정에 반대하며 점령한 영토를 내놓지 않았다. 히즈불 이슬람은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 아스마라 파벌(ARS-A)을 포함해 4개의 이슬람 그룹이 합병하여 탄생했으며, 알샤바브와 연합했다.

TFG와 연합하였으며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다른 이슬람 그룹인 알루 수나 왈자마아는 알샤바브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10][11][12]

2009년 1월 31일 소말리아 의회에서 ARS 리더인 셰이크 아메드가 TFG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알샤바브가 수도 모가디슈의 소말리아 의회와 소말리아 대통령궁을 공격하는 보안 문제와 국제 사회에서 소말리아 대통령 선출의 적법절차를 직접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대통령 선출을 위한 의회는 지부티에서 열렸으며 500명의 의원 중 275명이 찬성하였다.[13]

셰이크 아메드 대통령이 2009년 2월 모가디슈의 대통령궁에 도착한 이래, 알샤바브는 그에 반대하면서 내전을 일으켰다.[14]

3. 4.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단 (AMISOM)

2010년 10월 기준으로, 미국 국무부는 2.29억달러를 AMISOM에 직접 지원했으며, 국제단체를 통해 다른 유엔 지원 비용도 간접적으로 부담하겠다고 밝혔다.[20]

유엔 개발 계획은 소말리아에 매년 5000만달러를 지원하고 있다.[21] 그러나 이 지원은 군대에 대한 지원금이 아니며, 에이즈, 청년 고용, 경찰력 강화 등에 대한 지원이다.[22]

4. 시간대별 전개

2006년 소말리아 전쟁 이후 소말리아 내전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이슬람 법정 연합(ICU)이 패퇴하고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가 권력을 잡았지만, ICU 내 급진파였던 알샤바브는 이에 불복하고 무장 투쟁을 이어갔다.

2009년 1월, 알샤바브를 비롯한 여러 민병 세력은 에티오피아군을 소말리아에서 철수시키는 데 성공했다.[9] 같은 달 31일,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ARS) 지도자 셰이크 아메드가 지부티에서 열린 의회에서 TFG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3] 이는 알샤바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2009년 2월 셰이크 아메드 대통령이 모가디슈 대통령궁에 도착하자 본격적인 내전이 시작되었다.[14]

2010년과 2011년에는 알샤바브와 그 동맹 세력인 히즈불 이슬람 사이에 내분이 발생하기도 했다.[15] 2011년 8월, 소말리아 정부군과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단(AMISOM)은 모가디슈에서 알샤바브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17] 알샤바브는 이후에도 게릴라 전술과 테러 공격을 지속하며 소말리아의 불안정을 야기하고 있다.[18]

4. 1. 2007년 - 2009년: 내전 격화와 에티오피아군 철수

2006년 소말리아 전쟁 이후, 소말리아의 합법적 정부인 TFG는 과거 ICU와 협력 관계였으나, 미군 철수와 에티오피아군 주둔 이후 ICU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자체적인 법 집행을 강화했다.[8] ICU가 패퇴하면서 내부분열이 일어났고, 급진파인 알샤바브는 TFG와 에티오피아군 주둔에 반대했다. 반면, 온건파를 이끌던 셰이크 아메드는 ICU의 의장이었다.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알샤바브는 군사적 승리를 거두며 소말리아 중부와 남부의 핵심적인 마을들을 점령했다. 2008년 말 바이도바를 점령했으나, 모가디슈는 점령하지 못했다. 2009년 1월, 알샤바브와 다른 민병들은 에티오피아군을 철수시켰다.[9]

지부티에서 TFG 총리 Nur Hassan과 Alliance for the Re-liberation of Somalia Djibouti (ARS-D) 파벌의 Sheikh Sharif Sheikh Ahmed 간의 권력 분배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알샤바브는 평화 협정에 반대하며 점령지를 유지했다.

히즈불 이슬람은 Alliance for the Re-liberation of Somalia Asmara (ARS-A) 파벌을 포함한 4개의 이슬람 그룹이 합병하여 탄생했으며, 알샤바브와 연합했다.

TFG와 연합하고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이슬람 그룹인 알루 수나 왈자마아는 알샤바브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10][11][12]

2009년 1월 31일, 소말리아 의회는 ARS 지도자인 셰이크 아메드를 TFG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의회는 알샤바브의 공격 위협과 국제사회의 감시를 위해 지부티에서 열렸다.[13]

셰이크 아메드 대통령이 2009년 2월 모가디슈 대통령궁에 도착하자, 알샤바브는 이에 반대하며 내전인 2009년 소말리아 전쟁을 일으켰다.[14]

역사적으로 소말리아인들은 대소말리아 건설을 위해 오가덴 지역 회복을 원했지만, 소말리아는 인구 900만 명의 소국인 반면 에티오피아는 8500만 명의 대국으로, 양국 간 잦은 전쟁이 있었다.

4. 2. 2009년: 샤리프 아메드 대통령 선출과 평화 협상 시도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는 한때 이슬람 법정 연합(ICU)과 협력 관계였다. 2006년 미군이 철수하고 에티오피아군이 주둔하면서, TFG는 ICU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자체적인 법 집행을 강화했다.[8] ICU가 패퇴하면서 내부는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다. 이 중 급진파인 알샤바브는 TFG와 에티오피아군의 주둔에 반대했다. 당시 소말리아 TFG의 대통령 셰이크 아메드는 온건파를 이끌며 ICU 의장을 맡고 있었다.

2009년 1월, 알샤바브와 다른 민병들은 에티오피아군에게 철수를 압박했다.[9]

지부티에서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ARS)의 지부티 파벌(ARS-D) 지도자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메드와 TFG 총리 누르 하산 사이에 권력 분배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알샤바브는 온건파의 합의와는 별개로 평화 협정에 반대하며 점령지를 유지했다.

소말리아 재해방 연맹 아스마라 파벌(ARS-A)을 포함한 4개 이슬람 그룹이 합병한 히즈불 이슬람은 알샤바브와 연합했다.

TFG와 연합하고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또 다른 이슬람 그룹 알루 수나 왈자마는 알샤바브에 대한 공격을 지속했다.[10][11][12]

2009년 1월 31일, 소말리아 의회는 500명 중 275명의 찬성으로 ARS 지도자 셰이크 아메드를 TFG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알샤바브가 수도 모가디슈의 소말리아 의회와 소말리아 대통령궁을 공격하는 안보 문제와 국제 사회의 적법절차 확인을 위해 대통령 선출 의회는 지부티에서 개최되었다.[13]

셰이크 아메드 대통령이 2009년 2월 모가디슈 대통령궁에 도착하자, 알샤바브는 이에 반대하며 내전인 2009년 소말리아 전쟁을 일으켰다.[14]

4. 3. 2010년 - 2011년: 알샤바브의 모가디슈 후퇴

셰이크 아메드 마두브와 알샤바브가 지휘하는 라스 캄보니 여단의 파벌 다툼으로, 알샤바브와 그 연합 세력인 히즈불 이슬람이 무장 충돌을 일으켰다.[15] 키시마요 계약에 따라 히즈불 이슬람과 알샤바브는 도시 권력을 6개월마다 교대로 나누기로 했으나, 알샤바브가 부족 정책을 이유로 권력 이양을 거부했다.[16]

이는 히즈불 이슬람 내부의 ARS-A와 JABISO 두 파벌 간 내분으로 번졌다. JABISO는 모가디슈와 히란에서 알샤바브와 동맹한 파벌로, 라스 캄보니 여단 지원을 반대했다. 이로 인해 라스 캄보니 여단 내부에서도 파벌이 나뉘었다.[15]

2011년 8월 6일, 소말리아 정부군과 AMISOM 동맹군은 알샤바브 반군으로부터 소말리아 탈환을 시도했다. 목격자들은 알샤바브 반군이 모가디슈 기지를 떠나 남부 바이도아로 퇴각하는 것을 확인했다. 반군 대변인 세이키 알리 모하무드 래이지는 이를 전술적 후퇴라고 밝혔다.[17]

알샤바브는 후퇴 이후에도 히트 앤 런 전술을 이용해 모가디슈에 대한 게릴라 공격을 계속했다.[18]

4. 4. 2012년 이후: 알샤바브의 게릴라전과 테러 지속

알샤바브가 소말리아에서 축출된 후에도 게릴라전과 테러를 계속하며 전쟁이 장기화되고 있다.

4. 4. 1. 2015년: 두갈레 훈련소 공습

소말리아 정부는 남부 두갈레의 알샤바브 훈련소에 대한 대규모 공습으로 알샤바브 대원 약 40명을 사살하였다.[19]

5. 국제사회의 개입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소말리아에 대한 제재 및 평화 유지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유엔개발계획(UNDP)은 소말리아의 개발과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고 있으며,[21] 군대에 대한 지원이 아닌 에이즈, 청년 고용, 경찰력 강화 등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22] UNDP는 소말리아에 매년 5000만달러를 지원하고 있다.[21]

5. 1. 미국

미국소말리아 내전 초기부터 개입해 왔다. 1990년대 초 모가디슈 전투(영화 블랙 호크 다운으로도 제작됨)에서 미군이 철수했다가, 이후 알샤바브 등 테러 단체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시 군사 개입을 확대하고 있다.[20]

미국은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를 지원하고, 알샤바브 격퇴를 위한 군사 작전 및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10월 기준으로, 미국 국무부는 2.29억달러를 직접적으로 AMISOM에 지원하며, 다른 유엔 지원에 대한 비용도 국제단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부담하겠다고 밝혔다.[20] 유엔개발계획은 소말리아에 매년 5000만달러를 지원하고 있다.[21] 그러나 UNDP의 지원은 군대에 대한 지원금은 아니며, 에이즈, 청년고용, 경찰력 강화 등에 대한 지원이다.[22]

5. 2. 에티오피아

소말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 내전에 깊숙이 관여해 왔다.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를 지원하고 알샤바브 격퇴를 위해 군사 개입을 하기도 했다.[8][9][10][11][12] 2006년 에티오피아군이 소말리아에 주둔하면서 TFG는 이슬람 법정 연합(ICU)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8] ICU가 패퇴하면서 알샤바브와 같은 급진 파벌이 등장했고, 이들은 TFG와 에티오피아군 주둔에 반대했다.

2009년 1월 후퇴 이후 에티오피아 군대의 작전 지역


2009년 1월, 알샤바브 등은 에티오피아군에게 철수를 강요했다.[9] 그러나 에티오피아는 완전히 철수하지 않고, 국경 지역에서 군사 작전을 지속했다. 2009년 2월에는 에티오피아군이 Gedo 지역의 Dolow 마을에서 전직 모가디슈 시장 등을 체포하기도 했다.[23] 5월에는 반군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Omar Hashi Aden 수송차량을 공격하여 양측에서 사상자가 발생했다.[24]

에티오피아 정부는 국제적인 의무가 없는 한 소말리아 내전에 간섭하지 않겠다고 밝혔다.[25] 7월에는 Galgudug의 바나발 마을에서 기지를 철수하기도 했다.[26]

역사적으로 소말리아인들은 대소말리아 건설을 위해 오가덴 지역의 회복을 바라고 있으나,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보다 훨씬 인구가 많은 대국이다. 이러한 이유로 두 나라 간에는 잦은 전쟁이 있었다.

5. 3. 유엔 및 기타 국제기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소말리아에 대한 제재 및 평화 유지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유엔개발계획(UNDP)은 소말리아의 개발과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고 있으며,[21] 군대에 대한 지원이 아닌 에이즈, 청년 고용, 경찰력 강화 등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22] UNDP는 소말리아에 매년 5000만달러를 지원하고 있다.[21]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nytimes.c[...]
[2] 웹인용 First British troops arrive in Somalia as part of UN missi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5-02
[3] 웹인용 Italy pledges to Somali gov’t financial support to uproot Al shabaab http://www.shabelle.[...] Shabelle 2010-11-03
[4] 웹인용 Exclusive: Eritrea reduces support for al Shabaab - U.N. report http://mobile.reuter[...] Reuters 2012-07-16
[5] 웹인용 How does 'poor' Eritrea afford to fund Al-Shabaab? http://www.africarev[...] Africa Review 2017-07-12
[6] 뉴스 ISIL's First East African Affiliate Conducts Attacks in Somalia, Kenya http://www.defensene[...] 2015-12-29
[7] 뉴스 Somalia: Pro-ISIL militants, Al Shabaab clash in deadly Puntland infighting http://www.garoweonl[...] 2015-12-24
[8] 웹인용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11-04-20
[9] 웹인용 USCIRF Annual Report 2009 - The Commission's Watch List: Somalia http://www.unhcr.org[...] Unhcr.org 2011-04-20
[10] 웹인용 Moderate Islamists seize town from Somali insurgents http://www.monstersa[...] Monstersandcritics.com 2011-04-20
[11] 웹인용 Moderate Islamic group claims victory over rival hardline group http://www.mareeg.co[...] Mareeg.com 2011-04-20
[12] 웹인용 Ahlu Suna Wal Jamea supported by Ethiopian government http://ethioforum.or[...] Ethioforum.org 2011-04-20
[13] 웹인용 Moderate Islamist picked as Somali president http://edition.cnn.c[...] Edition.cnn.com 2011-04-20
[14] 웹인용 Rebels target new president http://in.reuters.co[...] In.reuters.com 2011-04-20
[15] 웹인용 Etpu http://somalitalkrad[...] 2011-04-20
[16] 웹인용 Somali factions battle in Kismayo http://english.aljaz[...] English.aljazeera.net 2011-04-20
[17] 웹인용 UPDATE 3-Somali government declares Islamist rebellion defeated http://af.reuters.co[...] 2011-10-16
[18] 웹사이트 Govt Forces, Al Shabaab Fight in Mogadishu http://allafrica.com[...]
[1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ewsis.co[...] 2015-02-01
[20] 웹인용 Background Note: Somalia http://www.state.gov[...] US State Department 2011-05-10
[21] 웹인용 UNDP in Somalia: Donors and Expenditures http://www.so.undp.o[...] 2011-05-10
[22] 웹인용 Employment Generation for Early Recovery http://www.so.undp.o[...] 2011-05-10
[23] 웹인용 Somali MP arrested by Ethiopian troops http://soomaalidamaa[...] Soomaalidamaanta.net 2011-04-20
[24] 웹인용 Somalia Security Minister attacked in Ethiopia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2011-04-20
[25] 뉴스 Ethiopia rejects Somali request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6-21
[26] allafrica Ethiopian Troops Vacate From Balanbal Town http://allafrica.com[...] allafrica 2009-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