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서 국제 해상 안전과 테러 대응을 위해 파견된 대한민국 해군 부대이다. 2009년 3월 13일 청해부대 창설 이후 한국 선박의 안전을 지원하고 연합해군 작전에 참여하며, 해적 소탕 및 선박 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해왔다. 2009년 1월 아덴만 여명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2021년 문무대왕함, 2022년 최영함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하기도 했다. 2024년 11월 1일부터 44진 강감찬함이 임무를 수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의 전대 - 해군 수송전대
해군 수송전대는 대한민국 해군의 부대로서, 주월한국군사원조단 수송 및 베트남 전쟁에 파병된 국군의 철수 작전을 수행했으며, LSM-609 월미, LSM-611 능라, LST-807 운봉, LST-808 덕봉, LST-812 위봉 등의 함정을 운용했고, 특히 LST-812 위봉은 대한민국 해병대의 최초 파월 당시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 - 대한민국의 해군사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서남쪽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하여 4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민군 합동조사단은 북한의 어뢰 공격을 원인으로 발표했으나, 여러 의혹과 논란이 지속되며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 고조의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되고 정부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해군사 - 남조선해안경비대
남조선해안경비대는 1945년 미군정청에 의해 해방병단으로 창설되어 1946년 해안경비대로 승격된 대한민국 해군의 전신으로, 주요 해안 도시에 기지를 두고 미국과 일본 해군 잔여 함정을 운용하며 해안 방위 임무를 수행하다 1948년 대한민국 해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손원일이 초대 지휘관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해외 파병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은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유지활동 임무를 수행하며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과거 다양한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 평화 유지에 기여해왔으며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린다. - 대한민국의 해외 파병 - 상록수부대
상록수부대는 대한민국의 해외 파병 부대로, 유엔 평화유지활동에 참여하여 분쟁 지역에서 평화 유지와 재건을 지원하고 대한민국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는 데 기여했다.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군종 | 대한민국 해군 |
종류 | 해군 기동 부대 |
역할 | 해적 퇴치, 대테러 |
규모 | 해군 구축함 1척, 링스 헬기 1대, 해군 특수전전단 (UDT/SEAL) 요원 |
별칭 | 청해 부대 (淸海部隊, Cheonghae Unit) |
담당 지역 | 소말리아 해역 |
창설일 | 2009년 3월 3일 |
![]() | |
지휘부 | |
현재 지휘관 | 해군 대령 조영주 |
상위 부대 | 제151합동임무부대 |
작전 및 활동 | |
주요 작전 | 해상 선박 호송, 해적 소탕, 해양 안보 작전 참여 |
참전 | 테러와의 전쟁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리카의 뿔 |
2. 주요 임무
유엔 안보리 결의 1373호, 1838호, 1846호, 1851호에 근거하여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 일대에서 국제해상 안전과 테러 대응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한다. 또한 한국 선박의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고 연합해군사의 해양안보작전에 참여한다.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는 2008년 6월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816호를 통해 소말리아 해역에서 소말리아 해적 소탕을 위한 무력 사용을 허용하고, 2008년 10월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838호를 채택하여 해적 소탕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조하며 모든 당사국에 함정과 항공기 파병을 요청하였다.[30][31]
3. 역사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의 요청을 검토하여 2009년 3월 2일 국회에서 '국군부대의 소말리아 해역 파견동의안'을 통과시켜 파병을 공식화하였고, 2009년 3월 13일 청해부대를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 파병하였다.[32]
2009년, 청해부대 1진 문무대왕함은 덴마크 상선 '푸마호', 바하마 상선 '노토스 스캔호', 북한 화물선 '다박솔(DABAK SOL)'호 등을 구조하며 해적 소탕 및 민간 상선 보호 임무를 수행했다.[33] 특히 북한 선박 구조는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협약에 따른 인도적 조치였다.[7] 같은 해, 청해부대 2진 대조영함은 이탈리아 화물선 위협 해적 소탕, 키프로스 상선 '알렉산드리아호' 등 상선 3척 구조, 예멘 선원 5명 구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34]회차 함선 주요 작전 1 문무대왕함 덴마크 상선 푸마호 구조, 북한 상선 다박솔호 구조 2 대조영함 바하마 국적 노토스 스캔호 구조, 키프로스 상선 알렉산드리아호 구조, 예멘 선원 5명 구출
2010년, 청해부대 3진 DDH-975 충무공 이순신함은 대한민국 상선 구조, 4진 DDH-979 강감찬은 해적 퇴치 및 홍콩 선박 환자 치료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같은 해 4월, 삼호 드림호가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되었으나,[8] 11월에 950만달러의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다.[4]
2011년 1월, 청해부대 6진 최영함은 '아덴만 여명 작전'을 통해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전원 구출하고 해적 8명 사살, 5명 생포하였다.[36]
2021년 7월,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하여,[37] 승조원 301명 중 24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11] 대한민국 공군 수송기를 통해 승조원 전원을 대한민국으로 수송했다.[12] 2022년 1월, 청해부대 36진 최영함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집단 발생하여 군 당국의 대응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1]
3. 1. 창설 배경
2008년 이후 소말리아 해역에서 해적 활동이 급증함에 따라,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는 2008년 6월 결의안 1816호를 통해 소말리아 해역에서 소말리아 해적 소탕을 위한 무력 사용을 허용하고, 2008년 10월 결의안 1838호를 채택하여 해적 소탕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조하며 모든 당사국에 함정과 항공기 파병을 요청하였다.[30][31]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의 요청을 검토하여 2009년 3월 2일 국회에서 '국군부대의 소말리아 해역 파견동의안'을 통과시켜 파병을 공식화하였고, 2009년 3월 13일 청해부대를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 파병하였다.[30][32]
3. 2. 파병 경위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는 2008년 6월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816호를 통해 소말리아 해역에서 소말리아 해적 소탕을 위한 무력 사용을 허용하고, 2008년 10월에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838호를 채택하여 해적 소탕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조하고, 모든 당사국에 함정과 항공기의 파병을 요청하였다.[30][31]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의 요청을 검토하고 2009년 3월 2일에 국회에서 '국군부대의 소말리아 해역 파견동의안'이 통과되면서 파병이 공식화되었고, 2009년 3월 13일 청해부대를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 파병하였다.[32]
3. 3. 2009년 작전
청해부대 1진은 2009년 4월 17일 덴마크 국적 상선 '푸마호' 구조를 시작으로 8월 4일 바하마 국적 선박 '노토스 스캔호' 구조에 이르기까지 총 7차례 해적선을 소탕하고 민간 상선을 구조했다. 2009년 5월 4일 북한 국적의 6,399톤급 화물선 '다박솔(DABAK SOL)'호를 해적선으로부터 구조하였다.[33] 웨스트랜드 링크스 군용 헬리콥터가 출격하여 해적이 도주할 때까지 '다박솔'호를 보호했다. 북한 선원들은 인도로 향하기 전에 부대원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의 한 관계자는 "대한민국 해군이 북한 화물선을 해적의 공격으로부터 구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협약에 따르면 국적에 관계없이 모든 선박을 도와야 한다."라고 말했다.[7]
청해부대 2진 대조영함은 2009년 8월과 9월 두 차례 해적을 직접 소탕하였고 8월 26일에는 이탈리아 국적의 화물선을 위협하던 해적을 헬기를 동원해 소탕했다. 2009년 9월 19일 소말리아 해적으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는 키프로스 국적의 알렉산드리아호와 마셜 제도 국적의 하베스트문호, 바하마 국적의 대니보이호 등 상선 3척을 구조하였고 이 과정에서 해적선 모선을 제압해 예멘 선원 5명을 구출하였다.[34]
회차 | 함선 | 주요 작전 |
---|---|---|
1 | 문무대왕함 | 덴마크 상선 푸마호 구조, 북한 상선 다박솔호 구조 |
2 | 대조영함 | 바하마 국적 노토스 스캔호 구조, 키프로스 상선 알렉산드리아호 구조, 예멘 선원 5명 구출 |
3. 4. 2010년 작전
청해부대 3진 DDH-975 충무공 이순신함은 파병 기간 동안 2차례 해적을 소탕했고, 총 460여 척의 호송 작전과 해양 안보 작전에 참가했다. 2010년 2월 6일에는 우리 선박이 포함된 상선단에 고속으로 접근하던 해적선을 소탕하여 대한민국 상선을 구조한 최초의 사례를 남겼다.[35]청해부대 4진 DDH-979 강감찬은 2010년 9월 6일 홍콩 국적 상선의 해적 의심 선박 신고를 받고 링스(LYNX) 헬기와 선박 검문 검색대를 출동시켜 해적을 소탕하였다. 2010년 8월 5일에는 홍콩 국적 선박에서 발생한 환자를 치료하기도 했다.

2010년 4월 4일, 소말리아 해적들은 한국인 5명과 필리핀인 19명을 포함한 24명의 승무원을 태운 대한민국 유조선 ''삼호 드림''호를 납치했다.[8] 이순신함이 피랍 선박을 추격하자 해적들은 유조선 승무원들을 죽이겠다고 위협했다.[9]
ROKS ''강감찬''함은 2010년 5월 이순신함을 대신하여 임무를 수행했으며, 같은 달 바하마 국적의 시추선에서 부상당한 승무원들을 병원으로 이송했다. 8월에는 홍콩에 등록된 선박의 승무원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했다.[4]
ROKS ''왕건''함이 그해 말 부대에 배치되어 다섯 번째 함정이 되었다. 왕건함이 호송한 432척의 선박 중에는 11월에 950만달러의 몸값을 지불하고 해적들에게 풀려난 ''삼호 드림''호도 포함되어 있었다.[4]
3. 5.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
2011년 1월 21일, 청해부대 6진 최영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의 선원 구출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 작전은 '아덴만 여명 작전'으로 불리며, 대한민국 해군은 해적 8명을 사살하고 5명을 생포했으며, 선원 21명을 전원 구출했다.[36] 이 과정에서 삼호 주얼리호 선장이 복부에 관통상을 입었으나 회복되었고, 대한민국 해군 사망자는 없었다.더불어민주당은 이 작전을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했다고 평가했다.
3. 6. 2021년 문무대왕함 코로나19 집단 감염
2021년 7월 아프리카 기니만에서 활동하던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하였다.[37]2021년 7월 19일,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 승조원 301명 중 247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대한민국 공군 KC-330 2대가 대체 인력 200명을 태우고 승조원 전원을 대한민국으로 수송하기 위해 출동했다.[11] 대한민국 귀국 후, 승조원 27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12]
3. 7. 2022년 최영함 코로나19 집단 감염
2022년 1월 오만 무스카트항에 정박 중이던 청해부대 36진 최영함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가 집단으로 발생하였다. 문무대왕함 집단 감염 사태 이후에도 유사한 상황이 재발하여, 군 당국의 안일한 대응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1]4. 대외 활동
충무공 이순신함은 '2009 말레이시아 국제해양방산전시회'에 참가하고 UAE 아부다비에도 2차례 입항하여 대한민국 해군을 홍보했다. 말레이시아 수교 50주년 기념행사를 맞아 함정공개행사, 태권도, 사물놀이 공연 등을 펼쳤다.
강감찬함은 지부티 기항 중 6.25전쟁 60주년을 맞이해서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20명을 함정에 초청해 행사를 가졌다.[38] 청해부대 5진 왕건함은 6·25 60주년을 맞아 한국군 최초로 남아공을 방문하였다.[39]
5. 파병 기록
구분 | 파견 기간 | 파견 함정 | 비고 |
---|---|---|---|
1진 | 2009년 3월 13일 ~ 2009년 9월 14일 | 문무대왕함 | 덴마크 상선 ‘푸마호’ 구조 (4월 17일)[4][6], 북한 상선 다박솔호 구조(5월 4일)[7] |
2진 | 2009년 7월 16일 ~ 2010년 1월 18일 | 대조영함 | 노트스 스캔호 구조 (8월 4일), 알렉산드리아호와 예멘 선원 5명 구출 (9월)[4] |
3진 | 2009년 11월 20일 ~ 2010년 5월 20일 | 충무공 이순신함 | 해병 경비대 첫 편성 투입 (장병 8명), 두 차례 해적 격퇴[4] |
4진 | 2010년 4월 2일 ~ 2010년 10월 4일 | 강감찬함 | 시추선 부상 승무원 병원 이송, 홍콩 등록 선박 승무원 의료 지원 (8월)[4] |
5진 | 2010년 7월 9일 ~ 2011년 1월 20일 | 왕건함 | 삼호 드림호 포함 432척 선박 호송[4] |
6진 | 2010년 12월 8일 ~ 2011년 5월 27일 | 최영함 | 아덴만 여명 작전 성공 (1월 21일), 한진텐진호 구조 |
7진 | 2011년 4월 5일 ~ 2011년 10월 5일 | 충무공 이순신함 | |
8진 | 2011년 8월 12일 ~ 2012년 2월 10일 | 문무대왕함 | |
9진 | 2011년 12월 16일 ~ 2012년 6월 15일 | 대조영함 | |
10진 | 2012년 4월 23일 ~ 2012년 10월 22일 | 왕건함 | |
11진 | 2012년 8월 20일 ~ 2013년 2월 19일 | 강감찬함 | 제미니호 선원 구출 |
12진 | 2012년 12월 27일 ~ 2013년 6월 28일 | 문무대왕함 | |
13진 | 2013년 5월 3일 ~ 2013년 11월 5일 | 왕건함 | 원양어선 보호임무 추가 |
14진 | 2013년 9월 9일 ~ 2014년 3월 11일 | 최영함 | |
15진 | 2014년 1월 16일 ~ 2014년 7월 24일 | 강감찬함 | |
16진 | 2014년 5월 26일 ~ 2014년 11월 20일 | 문무대왕함 | |
17진 | 2014년 9월 29일 ~ 2015년 4월 5일 | 대조영함 | |
18진 | 2015년 2월 9일 ~ 2015년 8월 17일 | 왕건함 | |
19진 | 2015년 6월 23일 ~ 2015년 12월 | 충무공 이순신함 | |
20진 | 2015년 11월 3일 ~ 2016년 5월 말일 | 최영함 | |
21진 | 2016년 3월 23일 ~ 2016년 10월 10일 | 왕건함 | |
22진 | 2016년 8월 18일 ~ 2017년 2월 27일 | 문무대왕함 | |
23진 | 2017년 1월 3일~ 2017년 10월 | 최영함 | |
24진 | 2017년 5월 2일 ~2017년 11월 | 대조영함 | |
25진 | 2017년 9월 29일 ~ 2018년 3월 | 충무공 이순신함 | |
26진 | 2018년 2월 13일 ~2018년 9월 20일 | 문무대왕함 | |
27진 | 2018년 6월 28일 ~ 2019년 1월 9일 | 왕건함 | |
28진 | 2018년 11월 13일 ~ 2019년 5월 24일 | 최영함 | |
29진 | 2019년 3월 29일 ~ 2019년 10월 16일 | 대조영함 | |
30진 | 2019년 8월 13일 ~ 2020년 2월 25일 | 강감찬함 | |
31진 | 2019년 12월 27일 ~ 2020년 7월 3일 | 왕건함 | |
32진 | 2020년 5월 11일 ~ 2020년 11월 13일 | 대조영함 | |
33진 | 2020년 9월 24일 ~ 2021년 3월 30일 | 최영함 | |
34진 | 2021년 2월 8일 ~ 2021년 9월 10일 | 문무대왕함 | 코로나19 집단 감염 발생, 공군 KC-330 수송기를 통해 조기 귀국[11][12] |
35진 | 2021년 6월 22일 ~ 2022년 1월 4일 | 충무공이순신함 | |
36진 | 2021년 11월 12일 ~ 2022년 5월 18일 | 최영함 | |
37진 | 2022년 3월 30일 ~ 2022년 9월 2일 | 대조영함 | |
38진 | 2022년 8월 5일 ~ 2023년 2월 7일 | 강감찬함 | |
39진 | 2022년 12월 19일 ~ 2023년 6월 22일 | 충무공이순신함 | |
40진 | 2023년 5월 3일 ~ 2023년 11월 17일 | 광개토대왕함 | |
41진 | 2023년 9월 25일 ~ 2024년 3월 25일 | 양만춘함 | |
42진 | 2024년 2월 1일 ~ 2024년 8월 12일 | 대조영함 | |
43진 | 2024년 6월 20일 ~ 2024년 12월 24일 | 왕건함 | |
44진 | 2024년 11월 1일 ~ | 강감찬함 | 임무수행 중 |
참조
[1]
뉴스
Remaining 7 S. Korean crew members of freed cargo ship to arrive home Wednesday
http://english.yonha[...]
2011-01-31
[2]
뉴스
New S. Korean Naval Unit To Deploy to Somalia
http://www.defensene[...]
2009-03-03
[3]
뉴스
Replacement for Korean anti-piracy unit to start mission off Somalia
http://english.yonha[...]
2010-12-28
[4]
뉴스
Cheonghae Unit's previous anti-piracy successes
http://www.koreahera[...]
2011-01-21
[5]
뉴스
Munmu the Great Deployed to Somalia
http://english.donga[...]
2009-03-13
[6]
뉴스
Cheonghae Unit's Rescue of North Korean Merchant Ship
http://www.koreafocu[...]
Korea Foundation
2009-05-05
[7]
뉴스
S. Korean navy rescues N. Korea cargo ship from pirates
http://english.hani.[...]
2009-05-05
[8]
뉴스
South Korean navy pursues hijacked oil tanker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4-05
[9]
뉴스
Seoul fraught by Somali pirates' ship hijackings
http://www.koreahera[...]
2010-01-20
[10]
뉴스
La marine coréenne conduit un raid meurtrier contre des pirates somaliens
http://www.lepoint.f[...]
2011-01-24
[11]
웹사이트
247 out of 301 Crew Members of the Cheonghae Unit Test Positive for COVID-19
http://english.khan.[...]
Kyunghyang Shinmun
2021-07-19
[12]
웹사이트
청해부대 270명 확진…합참, 증상자 폭증 몰랐다
https://www.hani.co.[...]
The Hankyoreh
2021-07-21
[13]
웹사이트
New S. Korean Naval Unit To Deploy to Somalia
http://www.defensene[...]
Defense News
2009-03-03
[14]
웹사이트
ソマリア沖海賊対策の清海部隊、3陣「李舜臣」出発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11-20
[15]
웹사이트
청해부대 2진 "한국해군 위상 높여 보람"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0-01-18
[16]
웹사이트
청해부대 환송식, 천안함 사고로 연기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0-04-02
[17]
웹사이트
청해부대 5진 왕건함 임무 돌입
http://www.navy.mil.[...]
[18]
웹사이트
왕건함, 아덴만서 선박호송 임무돌입
http://www.dt.co.kr/[...]
2010-09-12
[19]
웹사이트
【写真】ソマリア任務の交代 …清海部隊「王建艦」帰還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1-01-20
[20]
웹사이트
ソマリア海賊対策清海部隊、第6陣が任務突入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8
[21]
웹사이트
李大統領、ソマリア海賊掃討の部隊に勲章など授与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05-30
[22]
웹사이트
ソマリア海賊対応の清海部隊、第7陣が出発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04-05
[23]
웹사이트
アデン湾に行く韓国の清海部隊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08-13
[24]
웹사이트
더욱 강해진 아덴만 수호신 청해부대 9진 '출격'
http://www.anewsa.co[...]
Asia news agency
2011-12-17
[25]
웹사이트
'아덴만의 수호신' 청해부대 10진 출항
http://www.newsgn.co[...]
뉴스경남
2012-04-23
[26]
웹사이트
청해부대 11진 강감찬함, 아덴만으로 출항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2-08-20
[27]
웹사이트
청해부대 12진 부산서 아덴만으로 출항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2-12-27
[28]
웹사이트
청해부대 왕건함 '장도'에…인도양으로 임무확대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3-05-03
[29]
웹사이트
'아덴만 여명작전' 최영함, 소말리아 해역으로 再파병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3-09-09
[30]
뉴스
해적 진압 군사작전 펼친 해외 사례는?
http://mbn.mk.co.kr/[...]
MBN뉴스
2014-12-02
[31]
뉴스
청해부대, 그들은 왜 아덴만으로 갔나
http://korea.kr/news[...]
공감코리아, 국방일보
2011-02-07
[32]
뉴스
소말리아 해역 파견 '청해부대'는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1-02-07
[33]
뉴스
해적잡은 청해부대 귀환하다
http://www.fntoday.c[...]
파이낸스투데이
2011-02-07
[34]
뉴스
청해부대 2진 대조영함 "임무마치고 귀환신고!"
http://www.nocutnews[...]
뉴시스
2011-02-07
[35]
뉴스
청해부대 3진 '충무공 이순신함', 임무완수 부산 귀항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1-02-07
[36]
뉴스
청해부대 최영함 급파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1-02-24
[37]
웹사이트
청해부대 ‘문무대왕함’ 승조원 82% 코로나 확진…군 사상 초유의 집단감염
http://www.dongascie[...]
2021-07-19
[38]
뉴스
청해부대 4진 강감찬함, "임무완수"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0-10-04
[39]
뉴스
청해부대 5진 왕건함 성공적 임무종료 후 귀항
http://www.newsgn.co[...]
뉴스경남
2011-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