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수 계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수 계승은 첫 번째 소수부터 n번째 소수까지의 곱으로 정의되거나, 1부터 n까지의 모든 소수를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소수 계승은 두 가지 정의를 가지며, n번째 소수에 대한 정의와 자연수 n에 대한 정의가 있다. 소수 계승은 소수의 무한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며, 등차 수열 소수 탐색 및 고도 합성수, 제곱-무료 정수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관련이 있다. 또한 리만 제타 함수와도 관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이항 정리
    이항 정리는 이변수 다항식 (x + y)ⁿ을 전개하는 공식으로, 이항 계수를 사용하며, 조합론적 증명과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이항 급수, 다항 정리 등 일반화된 형태가 존재한다.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감마 분포
    감마 분포는 형상 모수와 척도 모수로 정의되는 연속 확률 분포로, 확률 밀도 함수가 감마 함수로 표현되며, 베이즈 통계학에서 켤레 사전 분포로 활용되고, 형상 모수가 양의 정수일 때는 얼랑 분포를 나타낸다.
  • 소수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소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소수 계승
정의
정의소수의 계승
설명처음 n개의 소수의 곱
표기법
표기pn#
예시
2번째 소수 계승2# 2
3번째 소수 계승3# 3 × 2 6
4번째 소수 계승4# 3# 6
5번째 소수 계승5# 5 × 3# 30
6번째 소수 계승6# 5# 30
수열
소수 계승 수열2, 6, 30, 210, 2310, 30030, 510510, 9699690, 223092870, 6469693230, …

2. 정의



소수 계승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된다.


  • Primorial|소수 계승영어 ''pn''#는 ''n''번째 소수의 곱으로 정의된다.
  • 자연수 ''n''에 대한 소수 계승 ''n''#는 ''n''보다 크지 않은 소수들의 곱으로 정의된다.


각 정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소수 계승은 소수의 무한성의 일부 증명에서 사용되며, 다른 소수의 존재를 유도하는 데 활용된다.

2. 1. 소수에 대한 정의

Primorial|소수 계승영어 n번째 소수 pn에 대해, 소수 계승 pn#는 처음 n개의 소수의 곱으로 정의된다:[1][2]

:p_n\# = \prod_{k=1}^n p_k

여기서 pk는 k번째 소수이다.

예를 들어, p5#는 처음 5개의 소수의 곱을 나타낸다.

:p_5\# = 2 \times 3 \times 5 \times 7 \times 11= 2310.

처음 다섯 개의 소수 계승 pn#는 다음과 같다.

:2, 6, 30, 210, 2310

이 수열은 또한 p0# = 1을 공집합 곱으로 포함한다.

2. 2. 자연수에 대한 정의

일반적으로, 양의 정수 ''n''의 소수 계승 ''n''#는 ''n''보다 크지 않은 소수들의 곱이다.[1][3]

:n\# = \prod_{p \le n\atop p \text{ prime}} p = \prod_{i=1}^{\pi(n)} p_i = p_{\pi(n)}\#

여기서 \pi(n)소수 계량 함수로, ''n'' 이하의 소수의 개수를 나타낸다. 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n\# =

\begin{cases}

1 & \text{if }n = 0,\ 1 \\

(n-1)\# \times n & \text{if } n \text{ is prime} \\

(n-1)\# & \text{if } n \text{ is composite}.

\end{cases}

예를 들어, 12#는 12 이하의 소수들의 곱을 나타낸다.

:12\# = 2 \times 3 \times 5 \times 7 \times 11= 2310.

\pi(12) = 5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2\# = p_{\pi(12)}\# = p_5\# = 2310.

''n''#의 처음 12개 값은 다음과 같다.

:1, 2, 6, 6, 30, 30, 210, 210, 210, 210, 2310, 2310.

위의 정의에 따라, 합성수 ''n''에 대해 모든 항 ''n''#는 단순히 이전 항 (''n'' − 1)#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12는 합성수이므로 12# = p_5\# = 11#이다.

소수 계승은 체비쇼프 함수와 관련이 있으며, \ln (n\#) = \vartheta(n).로 나타낸다.[4]

\vartheta(n)이 큰 값의 ''n''에 대해 점근적으로 ''n''에 접근하므로, 소수 계승은 다음과 같이 증가한다.

:n\# = e^{(1+o(1))n}.

3. 성질


  • 와 를 인접한 두 소수라고 하자. 모든 n \in \mathbb{N}에 대해, p\leq n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n\#=p\#

  • 소수 계승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근사식이 알려져 있다.[5]

:n\#\leq 4^n.

::* 수학자 데니스 핸슨(Denis Hanson)은 초등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n\#\leq 3^n임을 보였다.[6]

::* 더 발전된 방법을 사용하여, 로서(Rosser)와 쇤펠드(Schoenfeld)는 n\#\leq (2.763)^n임을 보였다.[7]

::* 로서와 쇤펠드는 정리 4, 공식 3.14에서 n \ge 563일 때 n\#\geq (2.22)^n임을 보였다.[7]

  •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lim_{n \to \infty}\sqrt[n]{n\#} = e

:n<10^{11}일 때, 값은 보다 작지만,[8] 더 큰 에 대해서는 함수의 값이 극한 를 초과하고 나중에 주위에서 무한히 진동한다.

  • p_k를 번째 소수라고 하면, p_k\#는 정확히 2^k개의 약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2\#는 2개의 약수를, 3\#는 4개의 약수를, 5\#는 8개의 약수를 가지며, 97이 25번째 소수이므로, 97\#는 이미 2^{25}개의 약수를 갖는다.
  • 소수 계승의 역수 값들의 합은 수렴하여 상수로 접근한다.

:\sum_{p\,\in \,\mathbb{P}} {1 \over p\#} = {1 \over 2} + {1 \over 6} + {1 \over 30} + \ldots = 0{.}7052301717918\ldots

:이 숫자의 엥겔 전개는 소수들의 수열을 생성한다.

  • 유클리드 정리에 따르면, p\# +1은 소수의 무한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 이상의 소수 계승수는 모두 일의 자리가 0이며, 십의 자리는 1, 3, 7, 9 중 하나로 제한된다.
  • 소수가 무수히 많다는 증명에 사용되기도 한다.

: 증명: 최대 소수의 존재를 가정하고, 이를 라 하면, 은 이하의 소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가정에 따라 미만의 소수는 이상이 전부이므로 은 1과 자기 자신 이외의 인수를 갖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은 소수여야 하지만, 이는 를 최대 소수로 한 가정에 모순된다. 따라서 최대 소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증명 종료)

: 실제로는 소수 에 대한 은 소수일 수도 있고 합성수일 수도 있다. 소수인 예로는 등이, 합성수인 예로는 등이 있다. 어쨌든 의 소인수는 모두 보다 크다.

  • 모든 고도합성수는 소수 계승수의 거듭제곱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소수의 무한성 증명

소수가 무수히 많다는 증명에 사용되기도 한다.

: 최대 소수의 존재를 가정하고, 이를 pmax라 하면, pmax# + 1은 pmax 이하의 어떤 소수로도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가정에 따라 pmax# + 1 미만의 소수는 pmax 이하의 소수뿐이므로, pmax# + 1은 1과 자기 자신 이외의 인수를 갖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pmax# + 1은 소수여야 하지만, 이는 pmax를 최대 소수로 가정한 것에 모순된다. 따라서 최대 소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증명 종료)

: 실제로는 소수 p에 대한 p# + 1은 소수일 수도 있고 합성수일 수도 있다. 소수인 예로는 11# + 1 = 2311 등이, 합성수인 예로는 13# + 1 = 30031 = 59 × 509 등이 있다. 어쨌든 p# + 1의 소인수는 모두 p보다 크다.

5. 응용

소수 계승은 덧셈 등차 수열의 소수 탐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2236133941 + 23#는 소수를 생성하며, 23#을 반복적으로 더하면 13개의 소수로 이루어진 등차수열을 얻을 수 있는데, 이 수열은 5136341251에서 끝난다.[9] 23#은 15개와 16개의 소수로 구성된 등차 수열에서도 공차로 사용된다.

6. 소수 계승 값

다음은 n과 pn에 대한 소수 계승 값(n#, pn#)의 일부를 나타낸 표이다.[13][14]

nn#pnpn#프리모리얼 소수?
pn# + 1pn# − 1
011아니요
1122아니요
2236
36530
467210아니요
530112,310
6301330,030아니요
721017510,510아니요아니요
8210199,699,690아니요아니요
921023223,092,870아니요아니요
10210296,469,693,230아니요아니요
112,31031200,560,490,130아니요
122,310377,420,738,134,810아니요아니요
1330,03041304,250,263,527,210아니요
1430,0304313,082,761,331,670,030아니요아니요
1530,03047614,889,782,588,491,410아니요아니요
1630,0305332,589,158,477,190,044,730아니요아니요
17510,510591,922,760,350,154,212,639,070아니요아니요
18510,51061117,288,381,359,406,970,983,270아니요아니요
199,699,690677,858,321,551,080,267,055,879,090아니요아니요
209,699,69071557,940,830,126,698,960,967,415,390아니요아니요
219,699,69073407,296,805,992,490,241,506,213,234,700아니요아니요
229,699,6907932,176,447,673,406,729,078,990,845,541,300아니요아니요
23223,092,870832,670,645,156,892,758,513,556,240,179,927,900아니요아니요
24223,092,87089237,687,418,963,455,507,706,505,376,013,583,100아니요
25223,092,8709723,055,679,639,455,184,247,531,021,473,317,560,700아니요아니요
26223,092,87010123,286,236,435,849,736,090,006,331,688,050,736,307,000아니요아니요
27223,092,87010323,984,823,528,925,228,172,706,521,638,692,258,396,210아니요아니요
28223,092,87010725,663,761,175,949,994,144,795,978,153,400,716,483,944,700아니요아니요
296,469,693,2301092,797,349,968,178,549,361,782,761,687,206,780,967,499,723,000아니요아니요
306,469,693,230113316,100,546,404,176,077,881,452,062,915,436,624,932,746,869,900아니요아니요
31200,560,490,13012740,144,769,393,330,361,890,944,411,990,260,451,366,458,852,477,300아니요아니요
32200,560,490,1301315,258,964,790,526,277,407,713,717,970,724,119,129,006,109,674,526,300아니요아니요
33200,560,490,130137720,478,176,302,100,004,856,779,361,989,204,320,673,837,025,410,310아니요아니요
34200,560,490,130139100,146,466,505,991,900,675,092,331,316,499,400,573,663,346,532,090아니요아니요
35200,560,490,13014914,921,823,509,392,793,200,588,757,366,158,410,685,475,838,633,268,410아니요아니요
36200,560,490,1301512,253,195,349,918,311,773,288,902,362,289,920,013,506,851,633,268,419,100아니요아니요
377,420,738,134,810157353,751,669,937,174,948,406,357,670,879,517,442,120,575,706,422,429,870아니요아니요
387,420,738,134,81016357,661,522,199,759,516,590,236,300,353,361,343,065,653,840,156,068,810아니요아니요
397,420,738,134,8101679,629,474,207,359,839,270,569,462,159,011,344,291,964,191,307,541,596,349,127,000아니요아니요
407,420,738,134,8101731,665,899,037,873,252,193,808,516,953,508,962,562,509,805,948,746,961,683,989,710아니요아니요


7. 리만 제타 함수와의 관계

리만 제타 함수는 1보다 큰 양의 정수에서 소수 계승 함수와 요르단 토션트 함수 J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15]

:\zeta(k) = \frac{2^k}{2^k - 1} + \sum_{r=2}^\infty \frac{(p_{r-1}\#)^k}{J_k(p_r\#)}, \quad k=2,3,\dots

참조

[1] Mathworld Primorial
[2] OEIS
[3] OEIS
[4] Mathworld Chebyshev Functions
[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Oxford University Press
[6] 논문 On the Product of the Primes 1972-03
[7] 논문 Approximate formulas for some functions of prime numbers 1962-03-01
[8] 논문 Sharper bounds for the Chebyshev functions \theta(x) and \psi(x)
[9] OEIS
[10] 논문 On sparsely totient numbers http://projecteuclid[...]
[11] 서적 Prime Numbers: The Most Mysterious Figures in Math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03-16
[12] OEIS
[13] OEIS
[14] OEIS
[15] 논문 The Primorial and the Riemann zeta function
[16] OEIS
[17] 서적 소수, 수학 최대의 미스터리 도서출판 한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