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안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안항은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에 위치한 항구이다. 태풍 대피 항구로 건설되었으며, 1986년 기본 시설 계획을 수립하고 1990년 기본 시설을 완공했다. 소안도는 전복 양식이 주를 이루며, 거룻배를 이용한 전통 어업 방식이 남아 있다. 소안항과 보길도 사이 해역은 전복 양식장이 밀집되어 있고, 서·북 방파제는 낚시 명소로 알려져 있다. 섬 일주도로가 완공되어 몽돌해안 등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도군의 어항 - 사동항 (완도군)
사동항은 완도 동부 평일도에 위치한 국가어항으로, 1999년 기본 시설을 완공했으며, 멸치, 삼치, 전복, 다시마 등을 어획 및 양식하는 어민들의 주요 어항이다. - 완도군의 어항 - 도장항
도장항은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에 위치한 국가어항으로, 금일도 부속 섬들을 연결하는 어업 중심지이며, 어업 기반 시설이 구축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대변항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며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이 유명하고,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소안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국가어항 |
주소 |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 소안도 |
지정일 | 1971년 12월 21일 |
관리청 | 해양수산부 서해어업관리단 |
시설 관리자 | 완도군수 |
위도 | 34.151844 |
경도 | 126.6365977 |
2. 연혁
지나는 뱃길이 마치 달이 떠오르는 길목같다 하여 '달목도', '백 살까지 살기 좋은 섬'이라 하여 불렸던 '소안도'는 지도상에서 보면 두 개의 섬이 이어져 있는 듯 섬 가운데가 잘록하다. 원래 북쪽은 대봉산이, 남쪽은 가학산과 부흥산이 우뚝 솟은 두 개의 섬이었는데, 두 섬 사이에 1km가 넘는 사주가 연결되면서 하나의 섬이 되었다.
섬 주민들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기개가 용맹하여 외부인들로부터 침범을 받지 않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사람들이 100세까지 살기 좋은 곳이라 해서 '소안도'라 했다고 한다.[1]
소안항은 예전부터 태풍이 북상하는 경우 서해, 남해 일대 어장에서 조업하던 어선들이 대피해 온 항구로 1986년 기본 시설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1990년 기본 시설을 완공한 후 1991년 수치모형실험을 실시했다.[2]
3. 어항 구역
구분 내용 수역 서측 돌출부 정상에서 정북으로 850m 지점 (해상), 이점에서 정동으로 육지부와 연결한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 육역 전라남도한국어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 371-3 10필지 (상세내역은 생략)
3. 1. 수역
서측 돌출부 정상에서 정북으로 850m 지점(해상)에서 정동으로 육지부와 연결한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이다.[3]
3. 2. 육역
전라남도한국어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 371-3 10필지이다.[4]
4. 특징
소안도는 전복 양식을 주로 하는데, 그중 독특한 거룻배들의 조업 풍경이 눈길을 끈다. 동력 없이 큰 노를 저어 이동하는 거룻배는 주로 통발을 이용해 낙지나 장어를 잡는 배들로 50년이 넘는다.[1] 소안항과 보길도 사이 앞바다는 전복 양식장이 빼곡히 들어서 있다.[1] 서쪽·북쪽 방파제는 낚시꾼들이 자주 찾는 곳이기도 하다.[1] 소안항이 건설되면서 소안도를 한 바퀴 도는 일주도로도 완공되어,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아름다운 몽돌해안을 만날 수 있다.[1] 몽돌해안은 잔자갈로 이루어져 피서를 즐기기 좋다.[1]
참조
[1]
서적
2005 한국의 어항
해양수산부
2005-12-31
[2]
웹사이트
서해어업지도사무소 소안항 자료
http://westship.mifa[...]
[3]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4]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육역)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