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카베 케이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카베 케이이치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음악 프로듀서, 작사가, 작곡가이며, 1992년 릿쿄 대학 재학 중 밴드 써니데이 서비스를 결성하여 활동을 시작했다. 2001년 솔로 데뷔 후, 소속사 설립 및 ROSE RECORDS를 설립하여 레이블을 운영하며, 소카베 케이이치 BAND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그는 여러 차례 내한 공연을 가졌으며, 2020년 시모키타자와에 카레 전문점을 오픈하기도 했다. 2022년 영화 '빌리버스'의 음악을 담당하고 주제가를 불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부야계 - 서니데이 서비스
1994년 소카베 케이이치를 중심으로 결성된 일본 밴드 서니데이 서비스는 1995년 데뷔 후 활발히 활동하다 2000년 해체, 2008년 재결성하여 멤버 변화를 거치며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 시부야계 - Cymbals
Cymbals는 1997년 도쿄에서 결성되어 1999년 메이저 데뷔 후 팝, 록, 일렉트로닉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으로 사랑받은 일본 밴드이며, 2003년 해체 후 멤버들은 솔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가가와현 출신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가가와현 출신 - 나리타 도모미
나리타 도모미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어 12선을 기록하고 사회당 위원장을 역임했으나 당내 갈등으로 사퇴 후 사망했다. - 릿쿄 대학 동문 - 구로사와 기요시
구로사와 기요시는 1955년 효고현 고베시 출생의 일본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했으며,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고, 2023년에는 가자지구 휴전을 요구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 - 릿쿄 대학 동문 - 김상용 (시인)
김상용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망향의 정서와 시대적 고뇌를 표현한 시집 『망향』과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소설집 『무궁화』를 발표한 시인이다.
소카베 케이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예명 | 마루기도 사다오 (丸木戸 定男) |
혈액형 | AB형 |
출생 | 1971년 8월 26일 |
출생지 | 일본 가가와현 사카이데시 |
활동 시작 | 1992년 |
유튜브 채널 이름 | Sunny Day Service / keiichi Sokabe official |
유튜브 채널 URL | Sunny Day Service / keiichi Sokabe official 유튜브 채널 |
유튜브 활동 시작 | 2007년 |
유튜브 장르 | 음악 |
유튜브 구독자 수 | 약 4.5만 명 |
유튜브 조회수 | 약 1924.1만 회 |
유튜브 통계 업데이트 날짜 | 2023년 12월 9일 |
학력 | |
학교 | 릿쿄 대학 법학부 중퇴 |
음악 경력 | |
직업 | 싱어송라이터 |
장르 | 록, 포크 록 |
악기 | 보컬, 기타, 피아노, 신시사이저, 드럼, 베이스, 마림바, 퍼커션, 프로그래밍 |
레이블 | 미디 (1994년 - 2001년) 유니버설 뮤직 (2001년 - 2004년) ROSE RECORDS (2004년 - ) |
관련 활동 | 서니 데이 서비스 소카베 케이이치 밴드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대표 악기 | 깁슨・ES-335 깁슨・레스폴 펜더・텔레캐스터 |
2. 경력
소카베 케이이치는 1990년대 후반부터 도쿄 시모키타자와를 중심으로 활동해 온 뮤지션이다. 서니데이 서비스와 소카베 케이이치 BAND의 멤버이자, 자체 레이블 ROSE RECORDS의 대표이기도 하다.
가가와현 사카이데시 출신으로, 릿쿄 대학 법학부 재학 중 서니데이 서비스를 결성하여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1993년 UNDER FLOWER RECORDS에서 데뷔, 1994년 MIDI로 이적하여 메이저 데뷔를 했다. 2000년 서니데이 서비스 해산 후에는 솔로 활동과 함께 ROSE RECORDS 운영에 집중했다.
2001년 소속사 "MUGEN"을 설립하고 솔로로 데뷔, 2004년에는 ROSE RECORDS를 설립했다. 2005년에는 소카베 케이이치 BAND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2008년 서니데이 서비스를 재결성하여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2016년 10월부터 TBS 라디오 "오디너리 뮤직"의 프로그램 큐레이터를 맡고 있으며, 2020년 4월에는 시모키타자와에 카레 전문점 "카레 가게・8월"을 오픈했다.[1][2] 2022년에는 영화 《빌리버스》의 음악을 담당하고 주제가를 불렀다.
2. 1. 서니데이 서비스 (1992-2000, 2008-현재)
1992년 릿쿄 대학 법학부 재학 중 서니데이 서비스를 결성했다.[7] 1993년 UNDER FLOWER RECORDS에서 데뷔하여 싱글과 앨범을 각 1장씩 발매했다.1994년 MIDI로 이적, 星空のドライヴep|호시조라노 도라이부 ep|밤하늘의 드라이브ep일본어로 메이저 데뷔했다. 1995년 멤버 교체 후 첫 앨범 若者たち|와카모노타치|젊은이들일본어을 발매, 이후 7장의 앨범을 발표했다. 2000년 서니데이 서비스는 해산했다.[7]
2008년 서니데이 서비스를 재결성, RISING SUG FESTIVAL에서 재결성 라이브를 가졌다. 이후 서니데이 서비스의 신보 레코딩이 시작되면서 소카베 케이이치 BAND의 활동이 뜸해졌다. 이에 대해 소카베는 "굳이 일부러 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이 창작하는 작업들은 서니데이로 통합되고 있다"고 밝혔다.[9]
2. 2. 솔로 활동 및 소카베 케이이치 BAND (2001-현재)
2001년, 소속사 "MUGEN"을 설립하고 그해 12월 싱글 "기타"로 솔로 데뷔했다. 이듬해 유니버설 뮤직으로 이적하여 2장의 솔로 앨범을 발표했는데, 이 앨범들은 오리콘 차트 30~50위권의 성적을 기록했다.[7]2003년에는 더블 오 테레사를 백 밴드로 하여 라이브 활동을 시작했다. 동시에 자신의 레이블 "STUDIO ROSE"를 설립하여 인디 발매 형태로 자신이 좋아하는 뮤지션들의 음반을 발매했는데, 이것이 ROSE RECORDS의 출발점이 되었다.[7]
2004년, 유니버설 뮤직과의 계약 종료를 계기로 시모키타자와에 "ROSE RECORDS"를 설립했다. 이후 자신의 솔로 활동, 밴드 활동, 서니데이 서비스 관련 활동 및 매니지먼트는 모두 ROSE에서 진행하게 되었다.[7]
2005년, 오타 코지와 더블 오 테레사의 멤버들을 중심으로 소카베 케이이치 BAND를 결성했다. 처음에는 소카베의 백 밴드 성격이 강했지만, 라이브 횟수가 늘어나고 소카베의 앨범 레코딩에 참여하면서, 12월에는 소카베 케이이치 BAND 명의의 라이브 앨범을 발표했다.[7] 2006년에는 시모키타자와에 레코드 숍 겸 바(Bar)인 "city country city"를 열었다. 더블 오 테레사의 해산으로 소카베 케이이치 BAND의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고, 2007년에는 라이징 선 록 페스티벌의 헤드라이너를 장식하기도 했다.[7]
2008년, 소카베 케이이치 BAND 결성 3년 만에 첫 오리지널 앨범 《키라키라!》(반짝반짝!)을 발매하여 오리콘 차트에 진입했다. 같은 해 여름에는 서니데이 서비스를 재결성하여 라이징 선 록 페스티벌에서 재결성 라이브를 가졌다.[7]
이후 서니데이 서비스의 새 앨범 레코딩이 시작되면서 소카베 케이이치 BAND의 활동은 뜸해졌다. 이에 대해 소카베는 "일부러 안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창작 작업은 서니데이 서비스로 통합되고 있다"고 밝혔다.[9] 실제로 소카베 케이이치 BAND는 2016년 나츠노 마모노 페스티벌[10]에서 헤드라이너로 서는 등 간헐적으로 공연하고 있다.
솔로 활동으로는 2018년 12월 7일에 전작 《마부시이》 이후 4년 만의 앨범 《헤븐》을 발매했다.
2. 3. ROSE RECORDS
유니버설 뮤직 재팬과의 계약이 끝난 2004년, 소카베 케이이치는 시모키타자와를 기반으로 인디 레이블 'ROSE RECORDS'를 설립했다.[7] 이후 자신의 솔로 및 밴드 활동, 서니데이 서비스 관련 매니지먼트는 모두 ROSE RECORDS에서 진행하게 되었다.[7]ROSE RECORDS는 소카베 케이이치 자신의 릴리스 및 매니지먼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아티스트들을 배출했다. ROSE RECORDS의 출발점은 2003년 소카베 케이이치가 자신의 레이블 'STUDIO ROSE'를 통해 발매한 tomohiro with music tape recorders와 RAYMOND TEAM의 앨범 두 장이다.[7]
2. 3. 1. 현 소속 아티스트
- Lantern Parade(ランタンパレード|란탄 파레도일본어) (2004년〜)
- '''소카베 케이이치''' (2004년〜)
- * 소카베 케이이치 BAND (2005년〜2013년, 2016년 10월, 2018년 2월 1회씩 공연[22])
- * KEIICHI SOKABE & KENTARO IWAKI (2006년)
- * 소카베 케이이치 랑데부 밴드 (2007년)
- * 서니데이 서비스 (재결성 후 2010년〜)
- 시마즈타 시로 (島津田四郎|시마즈타 시로일본어) (2006년〜)
- CAMISAMA (2009년〜) (2015년에 '카미사마'(神さま)에서 영문으로 개명)
- 오자키 토모나오 (尾崎友直|오자키 도모나오일본어) (2011년〜)
- haikarahakuti (2012년〜)
- Lee&Small Mountains (2015년〜)
- MGF (2016년〜)
- THE BEACHES (2016년〜)
- The Fascism (2017년〜)
- 사사구치 소온 하모니카(笹口騒音ハーモニカ) (2017년〜)
2. 3. 2. 과거 소속 아티스트
- tomohiro with music tape recorders (2003년)
- RAYMOND TEAM (2003년〜2005년) 2006년 활동 중단.
- 엘레키코믹크 (2004년〜2005년)
- 우에마 츠네히로 (2004년)
- The Suzan (2004년〜2007년)
- 더 텔레파시즈 (2005년〜2006년) 2012년 해산.
- Animations (2005년〜2014년) 키묘 레이타로가 이끄는 밴드.
- 후유노 오도리코 (2006년〜2008년)
- 나카무라 죠 (2006년〜2012년)
- * 나카무라 죠&이스트우즈 (2015년)
- HOTEL NEW TOKYO (2006년〜2013년)
- The COMMONS (2007년〜2012년)
- Cheekbone (2008년)
- 타카하시 요헤이 (2008년〜2012년)
- 토요타 미치노리 (2009년)
- WATUSI ZOMBIE (2009년〜2011년) UK프로젝트로 이적.
- BSKI & YOGURT (2009년)
- aCae (2009년〜2011년)
- 라이브보루 (2010년)
- ostooandell (2010년)
- MOROHA (2010년〜2015년) 2016년 자체 레이블 YAVAY YAYVA RECORDS를 설립하여 이적.
- 믹크 스낫츠 하우스 (2010년)
- 오토기 바나시 (2010년〜2011년) UK프로젝트로 이적.
- Aloha (2011년)
- T.V. not january (2011년)
- 톤치 피크루스 (2012년)
- HIROYUKI NAGAKUBO (2012년)
- VIDEOTAPEMUSIC (2013년〜2014년) 카쿠바리즈무로 이적.
- bonstar (2013년)
- DESTROSE (2013년〜2014년) 2015년 9월 활동 중단.
- 모리와키 히토미 (2013년)
- yukaD (2013년)
- 치무니 (2013년)
- 세키 요시히코 (2013년)
- Hi,how are you? (2013년〜2015년)
- 도코 (2014년)
- 세카이노 키타노 (2014년)
- 샤이칸티 (2015년)
3. 음악 스타일
소카베 케이이치는 1990년대 후반부터 서니데이 서비스와 소카베 케이이치 BAND의 멤버이자 싱어송라이터로 활동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였다.[7] 그의 음악은 포크, 록, 팝 등 여러 장르를 아우르며, 서정적인 가사와 멜로디가 특징이다. 특히, 일상적인 소재를 통해 깊은 통찰과 감성을 전달하는 가사가 돋보인다. 펑크 록을 좋아하여 세키리 등을 들었다.[9] 2022년에는 영화 『빌리버스』의 음악을 담당했고, 주제가 "우리들의 노래"도 불렀다.
4. 내한 공연
曽我部恵一일본어는 여러 차례 내한 공연을 가졌다.
연도 | 공연명 | 비고 |
---|---|---|
2007년 | 공중캠프 presents “스바라시끄떼 나이스쵸이스 vol.2 - 소카베 케이이치”[17] | |
2012년 | 공중캠프 presents “스바라시끄떼 나이스쵸이스 vol.11 - 소카베 케이이치/Sunny Day Service”[18] | 서니데이 서비스와 소카베 케이이치 솔로로 모두 내한 |
2015년 | 공중캠프 presents “스바라시끄떼 나이스쵸이스 vol.16 - Sunny Day Service Asia tour Live in Seoul”[19] | |
2018년 | 공중캠프 presents “스바라시끄떼 나이스쵸이스 vol.24 - Sunny Day Service”[20] | |
2019년 | Love City Seoul & Tokyo with 에몬, at Veloso Hongdae[21] |
5. 에피소드
- 소카베 케이이치는 시모키타자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자신의 레이블 ROSE RECOEDS와 자택 또한 시모키타자와 근방에 있다. 시모키타자와에서는 "시모키타자와의 으뜸"이라는 뜻의 '시모키타자와노 고(下北沢のゴウ-豪-)'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7]
6. 주요 앨범
소카베 케이이치는 솔로 및 소카베 케이이치 BAND 명의로 다양한 앨범을 발매했다. 솔로 앨범으로는 소카베케이이치, 슌칸토 에이엔(순간과 영원), STRAWBERRY[11], 아오이 쿠루마(푸른 차) OST[12], 도쿄 콘서트(東京コンサート)[14] 등이 있으며, 밴드 명의로는 LIVE, 키라키라! (반짝반짝), HAPPINESS! (해피니스)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항목을 참고하라.
6. 1. 소카베 케이이치 솔로
발매일 | 제목 | 비고 |
---|---|---|
2002년 9월 25일 2013년 9월 4일 | 소카베케이이치 | |
2003년 6월 25일 2013년 9월 4일 | 슌칸토 에이엔(순간과 영원) | |
2004년 6월 1일 | shimokitazawa concert | 라이브 앨범 |
2004년 10월 8일 | STRAWBERRY[11] | |
2004년 10월 | 아오이 쿠루마(푸른 차) OST[12] | 극장・라이브 회장 한정반 |
2005년 3월 | white album[13] | 이벤트 배포용 비매품 |
2005년 7월 25일 | Love Letter(러브레터) | |
2005년 7월 25일 | LIVE AT PRAHA! | |
2006년 10월 22일 2013년 11월 1일 | 도쿄 콘서트(東京コンサート)[14] | 라이브 앨범 |
2006년 12월 22일 2007년 2월 16일 | LOVE CITY | |
2007년 8월 2일 | blue[15] | |
2010년 3월 10일 | Remix Collection 2003-2009 | 리믹스 앨범 |
2010년 4월 21일 | LIVE LOVE | 라이브 앨범 |
2010년 8월 26일 | 케이 쨩 | |
2011년 4월 21일 | PINK | |
2011년 6월 27일 | SPRING FEVER - live at SENDAI 2011.5.13 | |
2011년 10월 10일 | Hometown Concert | |
2013년 3월 6일 | NIGHT CONCERT | |
2013년 6월 26일 | 소카베 케이이치 BEST 2001-2013 | 베스트 앨범 |
2013년 11월 1일 | 쵸에츠테키 망가(초월적만화) | |
2014년 3월 5일 | 마부시이(눈부시다) | |
2018년 12월 7일 | 헤븐 | |
2018년 12월 14일 | There is no place like tokyo! |
6. 2. 소카베 케이이치 BAND
曽我部恵一BAND일본어 명의로 발매된 음반은 다음과 같다.- 2005년 12월 14일: LIVE
- 2008년 4월 15일: 키라키라! (반짝반짝)
- 2009년 6월 9일: HAPPINESS! (해피니스)
- 2012년 4월 4일: 소카베 케이이치 BAND (曽我部恵一BAND일본어)
6. 3. 서니데이 서비스
이전 출력에서는 주어진 `section-title`("서니데이 서비스")에 해당하는 내용이 `source`에 없다고 판단하여 빈 결과를 출력했습니다. 하지만, `summary`에 "若者たち (젊은이들) (1995) 도쿄 (1996) 24시의 멜로디 (2000) Dance To You (2016)"와 같이 서니데이 서비스의 앨범 목록이 제시되어 있습니다.`source`에는 소카베 케이이치 솔로, 소카베 케이이치 밴드 활동만 명시되어 있고, 서니데이 서비스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해당 섹션은 비워두는 것이 맞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曽我部恵一インタビュー前編「町のカレー屋さんになりたかった」
https://dancyu.jp/re[...]
プレジデント社
2022-07-08
[2]
웹사이트
サニーデイ・サービス曽我部恵一 コロナ禍でカレー店を始めた理由
https://www.joqr.co.[...]
2023-11-01
[3]
웹사이트
PINK MOON RADIO
https://fm-kyoto.jp/[...]
2021-06-05
[4]
웹사이트
鈴木愛理の主演ドラマ「ある日、下北沢で」に小林克也、曽我部恵一ら登場
https://natalie.mu/e[...]
ナターシャ
2024-02-19
[5]
뉴스
市川実日子:役者のミカコ役で主演 15分の“ノンストップ会話劇” サニーデイ・サービス曽我部恵一は初の連ドラレギュラー
https://mantan-web.j[...]
MANTAN
2022-03-23
[6]
웹사이트
贈ろう!改名ポッキー(歌:曽我部恵一) グリコ
https://www.youtube.[...]
Glico Japan グリコ公式
2017-04-25
[7]
문서
서니데이 서비스의 해산 및 재결성 역사는 서니데이 서비스 위키피디아 참조 가능
[8]
문서
Pizzicato Fived의 고니시 야스하루의 레이블
[9]
문서
서니데이서비스 인터뷰 집 “청춘광주곡”
[10]
URL
http://www.sokabekei[...]
[11]
문서
2nd Press는 띠지(오비) 있음
[12]
문서
본 영화는 요시모토 요시토모의 원작 만화를 소재로 한 일본 영화로, 극장 및 라이브 현장 한정판으로만 발매
[13]
문서
한정판 2006년 6월, 유통판: 2005년 12월 14일 sketch of shimokitazawa 시모키타자와 지구 한정 발매.
[14]
문서
[[서니데이 서비스]]의 2nd [[도쿄]]발매 10주년을 맞아, 소카베 케이이치 솔로 어쿠스틱 편성으로 도쿄의 수록곡 전 곡 라이브를 수록한 앨범
[15]
문서
현장판매:2008년12월14일, 일반판매:2009년12월4일: [[Sings]] 2009년12월4일 “Sings” Bonus Disc 3곡 수록 발매
[16]
문서
소카베 케이이치의 라이브 멘트 모음. 소카반은 소카베 케이이치 반도(밴드의 일본식 발음)의 약칭
[1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kuchu-camp.ne[...]
2018-06-29
[1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kuchu-camp.ne[...]
2018-06-29
[1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kuchu-camp.ne[...]
2018-06-29
[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kuchu-camp.ne[...]
2018-06-29
[21]
Facebook
https://www.facebook[...]
[22]
URL
http://www.sokabeke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