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도해수욕장 (부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도해수욕장은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위치한 해수욕장이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 태풍 및 해일 피해를 막고 친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연안 정비 사업이 진행되어, 연육제, 잠제, 이안제 설치, 모래사장 확장, 해안도로 확장 등의 공사가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유원지와 해수욕장으로 개발되었으며, 1964년 케이블카가 설치되어 명성을 얻었으나, 바닷물 오염과 백사장 축소로 기능이 약화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해수욕장 - 광안리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은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위치하며 다양한 축제와 e스포츠 행사가 열리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장소이다.
  • 부산광역시의 해수욕장 -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은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수욕장 중 하나로, 매년 천만 명 이상이 방문하며 다양한 축제와 주변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부산 서구의 지리 - 보수천
    부산 서구와 동구를 흐르는 보수천은 법수천이라고도 불렸으며, 19세기에 이름이 바뀌었고, 불교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상수원으로, 6.25 전쟁 당시에는 빨래터로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복개되어 위치를 찾기 어렵다.
  • 부산 서구의 지리 - 시약산
송도해수욕장 (부산)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송도해수욕장
송도해수욕장
종류해변
위치부산광역시
수역동해
명칭
한글송도해수욕장
한자松島海水浴場
로마자 표기Songdo haesuyokjang
매큔-라이샤워 표기Songdo haesuyokchang
별칭한국 최초의 해수욕장
지질 및 지형
역사
지정일1972년 6월 26일
해제일1983년 6월 20일
추가 정보
웹사이트부산광역시 공식 웹사이트

2. 송도 연안 정비 사업 (2000년 ~ 2005년)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송도해수욕장 일원에서 매년 반복되는 태풍 및 해일 피해를 막고, 휴식 공간과 친수 공간을 확보하여 송도 관광지의 옛 명성을 회복하고 서구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연안 정비 사업이 진행되었다. 총 4300억이 투입되었다.

2. 1. 사업 개요

항목내용
위치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송도해수욕장 일원
사업 기간2000년 ~ 2005년
총 사업비430억 (국비 153억, 시비 277억)


2. 2. 주요 사업 내용

2000년부터 2005년까지 4300억(국비 1530억, 시비 2770억)을 투입하여 송도해수욕장 일대의 연안 정비 사업을 완료하였다.[7] 이 사업은 매년 반복되는 태풍과 해일 피해를 막고, 휴식 공간과 친수 공간을 확보하여 송도 관광지의 옛 명성을 되찾고 서구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주요 사업 내용으로는 침식 방지 및 호안 정비, 친수 공간 조성 사업이 이루어졌으며, 2006년 이후에는 송도 관광 테마 공간 조성, 2단계 송도 연안 정비 사업, 송도 경관 조명 공사, 오션 파크 조성 등의 사업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었다.[7]

2. 2. 1. 침식 방지 및 호안 정비

연육제(連陸堤) 73m, 잠제(수중 방파제) 300m, 이안제 140m를 설치하여 침식을 방지하고 파랑을 저감하였다.[7] 송림공원 및 거북섬 호안을 정비하여 해안선을 보호하고, 해빈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모래사장 확장 공사(L=670m, B=50m)를 실시하였다.[7] 또한, 해안 도로(L=1,300m, B=12~20m)를 확장하였다.[7]

2. 2. 2. 친수 공간 조성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송도해수욕장 일원에 친수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업이 진행되었다.[7]

  • 수목 26,300본을 심고 잔디를 식재하였다.
  • 시설물 및 구조물로 원형 파고라 외 14종, 스탠드 7개소, 램프 11개소, 분수대 1곳 등을 설치하였다.

3. 2006년 이후 추가 사업

주어진 `source`는 2006년 이후의 추가 사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4. 송도의 역사와 유래

송도라는 이름은 바다 쪽을 바라보면 왼편 거북섬에 소나무가 자생하고 있어 유래되었다.[1] 해수욕장 동쪽의 노송이 우거진 언덕은 암남공원 또는 송도공원이라 하는데, 이 공원은 바닷바람을 쐬며 바다 경관을 즐기며 휴식하는 유원지로 손색이 없었다.[1]

4. 1. 일제 강점기 (1910년 ~ 1945년)

1910년 일제의 강점이 시작되자 부산으로 이주해 오는 일본인이 많아지면서 일본 거류민이 송도 유원주식회사(松島遊園株式會社)를 설립하고, 송도를 유원지와 겸한 해수욕장으로 개발하기 시작했다. 1913년 지금의 암남공원 건너편에 있던 송도(현재의 거북섬)를 허물고 '''수정(水亭)'''이라는 휴게소를 설치하여 바다기슭의 사장을 해수욕장으로 개발하였는데, 이것이 대한민국에서 처음 개발된 해수욕장이다.[1] 광복 후와 6.25 전쟁 후에는 도시가 팽창하여 관광객이 불어나고 해수욕장 주변으로 음식점과 숙박업소가 많이 들어섰으나, 바닷물이 오염되고 백사장이 좁아들어 해수욕장의 기능이 점차 줄어들자 뱃놀이와 생선회를 즐기는 유원지로 바뀌어 갔다.[1] 수정(水亭)은 세찬 해풍으로 인해 여러 차례 무너지고 다시 세우고 고쳐 세우는 과정에서 섬이 깎여 들어가 바위만의 텃자리가 되고 그 자리가 거북 모양으로 낮아져 이름도 거북섬으로 바뀌었다.[1]

4. 2. 광복 이후 ~ 6.25 전쟁 이후

광복 후와 6.25 전쟁 후 도시가 팽창하면서 관광객이 늘어났고, 해수욕장 주변으로 음식점과 숙박업소가 많이 들어섰다. 그러나 바닷물이 오염되고 백사장이 좁아져 해수욕장의 기능이 점차 줄어들자 뱃놀이와 생선회를 즐기는 유원지로 바뀌어 갔다. '송도'라고 불린 섬에 세워졌던 '수정'이라는 휴게소는 바위 위에 있었는데, 세찬 해풍으로 인해 여러 차례 무너지고 다시 세우고 고쳐 세우는 과정에서 섬이 깎여 바위만 남았고, 그 자리가 거북 모양으로 낮아져 이름도 거북섬으로 바뀌었다.

4. 3. 1960년대 ~ 1980년대

1964년 4월 거북섬과 해수욕장 서쪽 산언덕을 잇는 420m 길이의 케이블카가 설치되었고, 암남공원에서 거북섬으로 건너가는 구름다리도 설치되었다. 이 케이블카와 구름다리는 철거되기까지 20~40여 년간 송도의 명물로 사랑받았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ongdo Beach http://www.lifeinkor[...]
[2] 웹사이트 When in Busan Tourist Attractions Visit Busan https://www.visitbus[...] 2021-02-27
[3] 웹사이트 Songdo Beach in Busan https://www.koreattr[...] 2021-02-27
[4] 웹사이트 송도 해수욕장 홈페이지 http://songdo.bsseog[...]
[5] 뉴스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눈물겨운 재기 노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7-24
[6] 뉴스 부산 송도해수욕장서 `송도바다축제' 개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7-30
[7] 웹인용 송도해수욕장에 수변테마공원 조성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2009-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