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필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필순은 오사카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농화학을 전공하여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한 후 텍사스 공과대학교 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네브래스카 대학교에서 다우 케미컬 컴퍼니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회원이며, 호암상을 수상했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는 텍사스 공과대학교, 미국 광생물학회, 유럽 광생물학회 등에서 다수의 연구 업적 관련 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대학교 교수 - 송재호 (정치인)
    송재호는 제주대학교 교수 출신으로 노무현,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 직속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22대 총선에서 낙선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제주대학교 교수 - 변정일 (1942년)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인 변정일은 제10대, 14대, 15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초대 헌법재판소 사무처장을 역임했으며, 제주 4·3 사건 진상 규명 특별법을 최초로 발의하고 국회 법사위원장과 윤리특별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활발한 정치 활동을 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동문 - 카멀라 해리스
    카멀라 해리스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2021년부터 제49대 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과 상원의원을 거쳐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부통령,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시아계 미국인 부통령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동문 - 윌리 브라운 (정치인)
    윌리 브라운은 캘리포니아 주 하원 의원과 샌프란시스코 시장을 역임하며 도시 발전에 기여한 미국의 정치인이자 캘리포니아 최초의 흑인 하원의장이다.
송필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송필순
출생일1936년 8월 5일
출생지일본, 오사카
국적대한민국
분야광생물학
소속 기관제주대학교 석좌교수
네브래스카-링컨 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학력캘리포니아 대학교
지도 학생윤민중

2. 생애와 교육

오사카에서 태어난 송필순은 서울대학교에서 농화학을 전공하여 1959년 이학사 학위를, 1961년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해부터 1965년까지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E. 메츨러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미국 텍사스주 러벅에 있는 텍사스 공과대학교에서 화학 조교수로 합류했다.

2. 1. 유년 시절과 학부

오사카에서 태어나 해방 후 한국으로 귀국하였다. 서울대학교 농화학과에 진학하여 1959년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1]

2. 2. 대학원과 박사 후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농화학을 전공하여 1961년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196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E. 메츨러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1]

3. 학문적 경력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 없음)

4. 수상 및 영예

송필순은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으로, 국내외 여러 기관에서 그의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다양한 상과 영예를 얻었다. 주요 수상 내역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그 외의 수상 및 영예는 다음과 같다.


  • 1978년: 텍사스 공과대학교 DADS 협회 및 헴필 웰스 재단에서 우수 연구 출판상과 기념패를 받았다.[1]
  • 1997년: 유럽 광생물학회에서 우수 연구 업적 메달을 받았다. (1997년 9월 이탈리아 스트레사 ESP 총회에서 수여)[1]
  • 2000년: 미국 광생물학회/제13회 국제 광생물학 회의에서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 (2000년 7월 1일~6일, 샌프란시스코)[1]

4. 1. 주요 수상 내역

{| class="wikitable"

|-

! 연도

! 내용

! 수여 기관

|-

| 1975년 ~ 1987년

| 폴 휘트필드 혼 교수

| 텍사스 공과대학교

|-

| 1978년

| 우수 연구 출판상

| 텍사스 공과대학교 DADS 협회 & 헴필 웰스 재단

|-

| 1990년 ~ 2003년

| 다우 케미컬 컴퍼니 석좌교수

| 네브래스카 대학교

|-

| 1996년

| 우수 동문 공로상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2000년

| 우수 연구 및 창작 활동상

| 네브래스카 대학교

|-

| colspan="3" |

국내[1]
연도내용
1996년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회원
1997년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
2000년호암상 (호암재단/삼성)
2007년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명예의 전당 헌액



국외
연도수여 기관
1979년우수 연구상텍사스 공과대학교 문리대학
1991년우수 연구상미국 광생물학회
1997년우수 연구 업적 메달유럽 광생물학회
1998년하사누딘 대학교 총장 메달인도네시아 하사누딘 대학교
2000년평생 공로상미국 광생물학회/제13회 국제 광생물학 회의
2009년핀센 메달국제 광생물학 연합



|}

4. 1. 1. 국내

연도내용
1996년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회원[1]
1997년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1]
2000년호암상 (호암재단/삼성)[1]
2007년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명예의 전당 헌액[1]


4. 1. 2. 국외

연도수여 기관
1979년우수 연구상텍사스 공과대학교 문리대학
1991년우수 연구상미국 광생물학회
1997년우수 연구 업적 메달유럽 광생물학회
1998년하사누딘 대학교 총장 메달인도네시아 하사누딘 대학교
2000년평생 공로상미국 광생물학회/제13회 국제 광생물학 회의
2009년핀센 메달국제 광생물학 연합


4. 2. 기타 영예

연도영예
1975년 ~ 1987년폴 휘트필드 혼 교수직 (텍사스 공과대학교)
1990년 ~ 2003년다우 케미컬 컴퍼니 석좌교수직 (네브래스카 대학교)
1996년우수 동문 공로상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90주년 기념)
1998년하사누딘 대학교 총장 메달 (광생물학 기여)
2000년우수 연구 및 창작 활동상 (네브래스카 주/네브래스카 대학교)


참조

[1] 웹사이트 Interview: Light and life http://www.rsc.org/P[...]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7-05-18
[2] 뉴스 인터뷰 - 한국인 첫 ‘휜센메달’ 수상 송필순 석좌교수 https://news.jejunu.[...] JUMP 2009-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