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화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화군은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에 속하는 지역으로, 1945년 해방 당시 12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송화군에는 송화면, 도원면, 봉래면, 상리면, 연방면, 연정면, 운유면, 율리면, 장양면, 진풍면, 천동면, 풍해면이 있었으며, 각 면은 여러 개의 리로 이루어져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연백군 (대한민국 황해도)
    연백군은 1945년 미소 분할 점령 후 경기도에 편입되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고, 해방 당시 38선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뉘었다가 북한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어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한다.
  • 황해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옹진군 (대한민국 황해도)
    옹진군(대한민국 황해도)은 한반도 분단으로 경기도에 편입된 황해도 군으로, 한국 전쟁 후 일부 섬 지역만 대한민국 관할로 남고 나머지는 북한 관할이 되어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며, 1945년 당시 옹진읍과 10개 면, 그리고 벽성군에서 편입된 3개 면으로 구성되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송화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일반 정보
유형
국가대한민국
지역황해도
지방관청이북5도위원회
군수윤인수
면적723.26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09:00
공용어한국어
지역어황해 방언
행정 구역
13

2. 역사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문서 제목, 섹션 제목, 요약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3. 행정 구역 목록

리 숫자리(里)
송화면11읍내리(邑內里), 부왕리(富旺里), 무당리(茂堂里), 옥현리(玉峴里), 용호리(龍虎里), 홍암리(鴻岩里), 화당리(禾堂里), 선암리(仙岩里), 생왕리(生旺里), 약산리(藥山里), 용정리(龍井里)
도원면9탑평리(塔坪里), 가화리(佳禾里), 산현리(山峴里), 화계리(花溪里), 공세리(公稅里), 동촌리(東村里), 도암리(道岩里), 군산리(群山里), 매계리(梅溪里)
봉래면8수교리(水橋里), 능동리(陵洞里), 산천리(山泉里), 앵가리(鶯柯里), 석교리(石橋里), 득성리(得聖里), 내괴리(內槐里), 수이리(水耳里)
상리면5도은리(道隱里), 화천리(華川里), 철관리(喆館里), 신평리(薪坪里), 와룡리(臥龍里)
연방면8구탄리(九灘里), 백화리(白華里), 명례리(明禮里), 마산리(馬山里), 연교리(鷰郊里), 다암리(多岩里), 방림리(芳林里), 청사리(靑沙里), 관천리(冠川里)
연정면11온수리(溫水里), 고양리(高陽里), 백석리(白石里), 관어정리(觀魚亭里), 광대리(廣大里), 운룡리(雲龍里), 율사리(栗寺里), 조령리(鳥嶺里), 화암리(花岩里), 부산리(缶山里), 두죽리(杜竹里)
운유면11사기리(沙器里), 당관리(唐館里), 당산리(堂山里), 조항리(鳥項里), 간촌리(間村里), 서의리(西儀里), 다천리(多川里), 송학리(松鶴里), 용수리(龍首里), 송곡리(松谷里), 송현리(松峴里)
율리면7세진리(細眞里), 대촌리(大村里), 신촌리(新村里), 월현리(月峴里), 대밀리(大密里), 보덕리(保德里), 당잠리(唐岑里)
장양면13애천리(艾川里), 평촌리(坪村里), 전산리(錢山里), 주련리(珠連里), 학령리(鶴嶺里), 동자리(童子里), 자양리(紫陽里), 순막리(筍幕里), 억소리(億沼里), 모정리(茅井里), 효촌리(孝村里), 괴원리(槐院里), 연산리(蓮山里)
진풍면10학계리(鶴溪里), 덕안리(德安里), 수산리(修山里), 태양리(泰陽里), 태을리(太乙里), 덕정리(德井里), 내안리(內安里), 동현리(東峴里), 월사리(月沙里), 석도리(席島里)
천동면6석탄리(石灘里), 유포리(乳浦里), 우영리(右營里), 신촌리(新村里), 대야리(大也里), 포정리(浦井里)
풍해면8성상리(城上里), 성하리(城下里), 세교리(細橋里), 문헌리(文憲里), 천남리(川南里), 천북리(川北里), 소사리(蘇沙里), 이현리(泥峴里)


3. 1. 송화면 (松禾面)

송화면(松禾面)에는 읍내리(邑內里), 부왕리(富旺里), 무당리(茂堂里), 옥현리(玉峴里), 용호리(龍虎里), 홍암리(鴻岩里), 화당리(禾堂里), 선암리(仙岩里), 생왕리(生旺里), 약산리(藥山里), 용정리(龍井里) 등 11개 리가 있다.

3. 2. 도원면 (桃源面)

도원면(桃源面)은 탑평리(塔坪里), 가화리(佳禾里), 산현리(山峴里), 화계리(花溪里), 공세리(公稅里), 동촌리(東村里), 도암리(道岩里), 군산리(群山里), 매계리(梅溪里) 등 9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3. 3. 봉래면 (蓬萊面)

봉래면(蓬萊面)에는 수교리(水橋里), 능동리(陵洞里), 산천리(山泉里), 앵가리(鶯柯里), 석교리(石橋里), 득성리(得聖里), 내괴리(內槐里), 수이리(水耳里)의 8개 리가 있다.

3. 4. 상리면 (上里面)

상리면도은리(道隱里), 화천리(華川里), 철관리(喆館里), 신평리(薪坪里), 와룡리(臥龍里)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3. 5. 연방면 (蓮芳面)

연방면에는 구탄리(九灘里), 백화리(白華里), 명례리(明禮里), 마산리(馬山里), 연교리(鷰郊里), 다암리(多岩里), 방림리(芳林里), 청사리(靑沙里), 관천리(冠川里)가 있다.

리(里)
구탄리
백화리
명례리
마산리
연교리
다암리
방림리
청사리
관천리


3. 6. 연정면 (蓮井面)

'''온수리'''(溫水里), 고양리(高陽里), 백석리(白石里), 관어정리(觀魚亭里), 광대리(廣大里), 운룡리(雲龍里), 율사리(栗寺里), 조령리(鳥嶺里), 화암리(花岩里), 부산리(缶山里), 두죽리(杜竹里) 등 11개 리가 있다.

3. 7. 운유면 (雲遊面)

운유면에는 다음 11개의 리가 있다.

리(里)
사기리
당관리
당산리
조항리
간촌리
서의리
다천리
송학리
용수리
송곡리
송현리


3. 8. 율리면 (栗里面)

'''세진리'''(細眞里)·대촌리(大村里)·신촌리(新村里)·월현리(月峴里)·대밀리(大密里)·보덕리(保德里)·당잠리(唐岑里) 등 7개 리가 있다.

3. 9. 장양면 (長陽面)

'''애천'''(艾川), 평촌(坪村), 전산(錢山), 주련(珠連), 학령(鶴嶺), 동자(童子), 자양(紫陽), 순막(筍幕), 억소(億沼), 모정(茅井), 효촌(孝村), 괴원(槐院), 연산(蓮山) 등 13개 리가 있었다.

3. 10. 진풍면 (眞風面)

'''학계리'''(鶴溪里)·덕안리(德安里)·수산리(修山里)·태양리(泰陽里)·태을리(太乙里)·덕정리(德井里)·내안리(內安里)·동현리(東峴里)·월사리(月沙里)·석도리(席島里) 등 10개 리가 있다.

3. 11. 천동면 (泉洞面)

천동면(泉洞面)에는 석탄리(石灘里), 유포리(乳浦里), 우영리(右營里), 신촌리(新村里), 대야리(大也里), 포정리(浦井里) 등 6개 리가 있었다.

리(里)
석탄리
유포리
우영리
신촌리
대야리
포정리


3. 12. 풍해면 (豊海面)

성상리(城上里), 성하리(城下里), 세교리(細橋里), 문헌리(文憲里), 천남리(川南里), 천북리(川北里), 소사리(蘇沙里), 이현리(泥峴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