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지렛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지렛대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고정된 물체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영어로는 'Crowbar'라고 불리며, 이는 쇠지렛대의 굽은 형태가 까마귀의 부리를 닮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빠루'라고도 불리며, 쇠지렛대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쇠지렛대는 주로 강철로 만들어지며, 건축, 토목 공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어, '특수 개문용구 소지 금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정 쇠지렛대의 소지를 제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공구 - 망치
망치는 머리와 손잡이로 이루어진 타격 도구로, 돌망치에서 시작하여 금속 망치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노동, 생산, 힘, 권능을 상징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목공구 - 송곳
송곳은 물건에 구멍을 뚫거나 넓히는 도구로, 나무, 가죽, 금속 등에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었고, 다양한 종류와 날 끝 형태로 나뉘며, 날카로운 통찰력이나 저항 정신을 비유하는 문화적 의미도 지닌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쇠지렛대 | |
---|---|
개요 | |
![]() | |
종류 | 수공구 |
용도 | 들어올리기 분리 못 제거 비틀기 |
재료 및 구조 | |
재료 | 강철 |
형태 | 한쪽 끝은 납작하고 구부러짐 다른 쪽 끝은 못을 빼기 위한 갈고리 또는 끌 형태 |
역사 및 문화 | |
다른 이름 | 까마귀 발 지렛대 짐 크로우 |
은유적 의미 | 권력 남용이나 폭력적인 수단의 상징으로 사용됨 |
활용 | |
건설 현장 | 건축 및 철거 작업에 사용 |
긴급 상황 | 문을 강제로 열거나 장애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 |
범죄 | 강도질에 사용되는 도구로 악용되기도 함 |
2. 명칭 및 어원
쇠지렛대의 영어 명칭인 'Crowbar'는 '까마귀(Crow)'와 '막대(Bar)'의 합성어이다. 이는 쇠지렛대의 굽은 형태가 까마귀의 부리나 발을 닮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2][3] 이 용어는 1400년경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4] 쇠지렛대는 간단히 "crow" 또는 "iron crow"(쇠갈까마귀)라고도 불렸다.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로미오와 줄리엣'' 5막 2장에서 "쇠갈까마귀를 가져다가 내 방으로 곧장 가져오너라"라는 표현을 사용했다.[5]
쇠지렛대라는 단어는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는데,[2][3] 쇠지렛대의 첫 번째 구성 요소는 "crow"(갈까마귀)라는 새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쇠지렛대가 갈까마귀의 발이나 부리를 닮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용어는 1400년경 처음 사용되었다.[4] 쇠지렛대는 간단히 "crow" 또는 "iron crow"(쇠갈까마귀)라고도 불렸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후자의 표현을 사용했다.[5] 그는 ''로미오와 줄리엣'' 5막 2장에서 "쇠갈까마귀를 가져다가 내 방으로 곧장 가져오너라"라고 말했다.
쇠지렛대는 형태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6]
대니얼 디포의 1719년 소설 ''로빈슨 크루소''에서 주인공은 곡괭이가 없어 쇠지렛대를 대신 사용하며, "곡괭이 대신 쇠갈까마귀를 사용했는데, 비록 무겁긴 했지만 적절했다."라고 언급한다.
한국에서는 쇠지렛대를 '빠루'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쇠지렛대의 일본어 발음인 '바루(バール)'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노루발못뽑이'라는 명칭은 쇠지렛대 끝부분의 갈라진 모양이 노루발과 유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3. 역사
대니얼 디포의 1719년 소설 ''로빈슨 크루소''에서 주인공은 곡괭이가 없어 쇠지렛대를 대신 사용한다. "곡괭이 대신 쇠갈까마귀를 사용했는데, 비록 무겁긴 했지만 적절했다."
에도 시대까지는 단면이 사각형인 일본 못을 사용했다. 일본 못은 야토코의 일종인 ''''엔마''''라는 도구로 사각형 머리 부분을 끼워 돌리면서 뽑았다. '엔마'는 염마대왕이 거짓말쟁이의 혀를 뽑는 데 사용한 도구에서 이 이름이 유래했다. 메이지 시대가 되어 단면이 둥근 '서양 못'이 사용되면서 '엔마' 대신 서양의 '빠루'가 사용되었다.[7]
4. 종류
'''못뽑이'''는 지렛대를 이용하는 막대(bar)와 족집게(pincer) 두 종류가 있다.
기본적으로 양쪽 끝은 좁은 곳에 꽂기 위해 납작하며, 한쪽 끝은 좁은 공간에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기 쉽도록 90도로 굽어 있는 것이 많다.
납작한 끝은 못의 머리가 걸리도록 홈이 있어, 못을 빼는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 손으로 다룰 수 있는 소형에 비해 무게가 있는 긴 쇠지렛대를 못 빼는 도구라고 부르는 경우는 드물며, 때로는 목수는 "큰 쇠지렛대"라고 부르며 구별한다.[8] 큰 쇠지렛대는 지렛대 전용 공구로 90도로 굽어 있지 않은 것이 있다.
5. 재료 및 구조
쇠지렛대는 일반적으로 중간 탄소 강철로 만들어지며, 끝 부분은 경화 처리하여 내구성을 높이기도 한다.
쇠지렛대는 보통 긴 강철 제품을 단조하여 제작되며, 육각형이나 원통형 단면을 가진다. 둥근 I-빔 형태의 단면으로 제작되는 디자인도 있다. 비교적 넓은 평강철 막대를 사용하는 쇠지렛대는 "유틸리티" 또는 "플랫 바"라고 불리기도 한다.
6. 용도
쇠지렛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못 뽑기: 쇠지렛대의 납작한 끝부분에는 못 머리가 걸리도록 홈이 파여 있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못을 쉽게 뽑을 수 있다. 망치에 달린 못뽑이보다 쇠지렛대가 더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 평 바(bar): 짧은 쪽 끝이 V자 모양으로 갈라져 있어 못을 뽑을 수 있다. V자 홈은 못의 머리뿐만 아니라 축에도 파고들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쪽 끝은 얇고 평평하여 목재 접합부 틈새 등에 꽂을 수 있다.
- 카지야(대장장이): L자 양쪽 끝이 못뽑이로 되어 있어 못 뽑는 기능에 특화된 형태이다. 머리 부분은 망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 삼덕 못 박이(さんとくくぎじめ): 긴 쪽 끝부분이 펀치 모양으로 되어 있어 못을 박을 때 사용한다. 못 박기, 소형 망치, 못 뽑기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9]
- 소규모 해체 작업: 목조 건물 등 소규모 해체 작업 시, 건설 중장비가 닿지 않는 좁은 장소에서 쇠지렛대를 사용하여 인력으로 구조물을 해체할 수 있다.
- 중량물 이동 및 고착된 물체 분리: 토목 공사 현장에서 쇠지렛대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이동하거나, 단단히 고정된 물체를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 땅에 구멍 파기: 쇠지렛대의 무게와 끝부분을 이용하여 땅에 구멍을 파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 철도 레일 고정용 못 뽑기: 철도 쇠지렛대는 레일 고정용 개못을 뽑을 수 있도록 특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7. 법률 (한국)
한국에서는 특수개문용구 소지 금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쇠지렛대를 '지정 침입 도구'로 정의한다. 정당한 이유 없이 지정 침입 도구를 숨겨 휴대하는 것은 금지되며, 위반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1] 이는 쇠지렛대가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8. 주요 제조사 (일본)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
웹사이트
crow-bar
http://dictionary.oe[...]
[3]
웹사이트
crow
http://www.bartleby.[...]
2008-03-12
[4]
웹사이트
crowbar
http://www.snopes.co[...]
[5]
웹사이트
No Fear Shakespeare: Romeo and Juliet: Act 5 Scene 2
https://www.sparknot[...]
[6]
웹사이트
What is a Pry Bar and What Are They Used For?
https://specopstools[...]
[7]
간행물
道具のつかい方事典
株式会社岩崎書店
2002-03-20
[8]
웹사이트
大工さんが作ったホームページ
http://www2u.biglobe[...]
[9]
간행물
DIY道具の便利帳
株式会社大泉書店
2010-09-11
[10]
간행물
DIY道具の便利帳
株式会社大泉書店
2010-09-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