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곳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곳은 손잡이나 날 끝의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구멍을 뚫거나 꿰뚫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비비개, 기계 송곳, 손 송곳으로 분류되며, 각 종류는 사용되는 지역적 특징을 갖는다. 비비개는 원뿔 모양의 절삭면을 가진 송곳으로, 펌프 드릴, 활 드릴, 손잡이 드릴과 같은 기계 드릴은 지그를 사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전달한다. 손 송곳은 한 손으로 다루며, 나선형의 홈을 가진 나사송곳도 있다. 송곳은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날 끝을 가지며, 용도에 따라 사용된다. 또한, 송곳의 비틀고 뚫는 동작을 묘사하거나 날카로운 무언가를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공구 - 망치
망치는 머리와 손잡이로 이루어진 타격 도구로, 돌망치에서 시작하여 금속 망치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노동, 생산, 힘, 권능을 상징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목공구 - 스패너
스패너는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렌치라고도 불리며 15세기부터 사용되었고, 체결구 치수 표준화에 따라 입구 폭 치수 또한 표준화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나뉜다. - 공구 - 드릴 비트
드릴 비트는 다양한 재료에 구멍을 뚫는 데 사용되는 공구로, 재료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형상, 재료, 코팅, 법적 규제 등의 특징을 갖는다. - 공구 - 아이스 픽
아이스 픽은 19세기 얼음 블록 절단 도구로 시작되었으나 냉장고 보급으로 사용이 줄었고, 현재는 바텐더의 얼음 조각 도구, 야외 활동 시 얼음 보관 용도로 쓰이며, 용이한 입수성과 위험성으로 범죄 도구나 과거 뇌절제술 도구로도 사용되었다.
송곳 | |
---|---|
도구 정보 | |
![]() | |
프랑스어 | guinbelet guimbelet guibelet vrille |
고대 노르드어 | wimble |
중세 저지 독일어 | wiemel |
중세 네덜란드어 | wammie |
설명 | 나무나 다른 재료에 작은 구멍을 뚫는 데 사용되는, 나선형 홈이 있는 끝이 있는 작은 도구이다. 손으로 작동한다. |
2. 종류
송곳은 손잡이나 날 끝의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 특징이 있다.
- 날 끝에 따른 분류:
- 세 갈래 송곳: 주로 나사못이나 큰 못을 위한 밑구멍을 뚫는 데 사용된다. 절삭면이 삼각형이다.
- 네 갈래 송곳: 세 갈래 송곳보다 가늘고 깊은 구멍을 뚫을 수 있다. 절삭면이 사각형이다.
- 기타: 원통형 구멍을 뚫는 술병 송곳, 대나무나 경재(硬材)용 쥐 이빨 송곳 등 용도에 맞는 다양한 절삭면을 가진 송곳이 있다.
2. 1. 손잡이
송곳의 손잡이는 용도와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절삭면이 원뿔 모양이고 원형 단면인 것은 '''비비개'''라고 불린다.[5] 구석기 시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었다.[5] 일본에서는 양손으로 비비는 비비개가 발전했지만, 세계적으로는 드문 종류이다.[4] 야요이 시대부터 고분 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송곳은 6각형 단면이 많고, 마모로 인해 원형에 가까워진다.[5] 일본 비비개 손잡이는 송곳자루(비비자루)라고 불리며, 칼날에 가까울수록 굵은 테이퍼 형상이다. 원통 또는 사각기둥이며, 목련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4] 비비개는 불을 피우는 데에도 이용되었다.[4]
지그를 자루에 장착하고 움직여서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여 날끝을 회전시키는 드릴을 '''기계 드릴'''이라고 한다.[4] 기계 드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Pump drill|펌프 드릴영어: 손잡이를 상하로 움직이면 축에 감긴 끈이 회전하는 쇠바퀴를 부착한 드릴.[5] 조선 시대에 판에 구멍을 뚫는 작업 등에 사용되었다.[5] 일본에서는 신사에서 불을 피우는 데 이용되었다.[5]
- 활 드릴: 자루에 활 모양 지그를 장착하여 앞뒤로 움직여 드릴을 회전시키는 활 드릴은, 신석기 시대에 출현하여 현대에도 중국, 인도, 서아시아, 북미(이누이트계 민족) 등에서 이용된다. 일본에서는 사용 예가 적고 출토 사례도 적다.[5] 불을 피우는 데에도 이용되었다.
- 손잡이 드릴: 15세기 유럽에 나타난 굽은 자루 드릴(클릭 볼)은, 손잡이가 핸들이 달린 크랭크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날끝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멍을 뚫는다. 구미에서는 대중적인 드릴로 이용되고 있다.
한 손으로 다루며 회전시키거나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여 구멍을 뚫는 송곳을 '''손송곳'''(手錐)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천매통, 서양에서는 올(Awl)이라고 불리는 것도 여기에 해당한다.[4] 날끝에 나선형 홈을 넣어 나사와 같은 형태로 만든 것을 나사송곳(ねじきり), 핸드 비트, 오거 김릿 등으로 부른다.[4]
나선형 송곳은 비틀림 송곳이라고도 하며, 고대부터 소라 껍데기 등이 사용되었고 플로리다 주 등에서 출토된다.[5] 일본에서는 고분 시대에 철제 송곳이 있었으며, 헤이조쿄 유적에서도 비틀림 송곳이 출토되었다.[5]
맞붙인 두 장의 목재를 관통시키기 위해 손을 사용하지 않고 망치 등으로 쳐서 박아 넣는 송곳도 있으며, 술통 제작 등에 사용된다.
2. 1. 1. 비비개 (揉錐)
절삭면이 원뿔 모양이고 원형 단면인 것은 '''비비개'''라고 불린다.[5] 구석기 시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었다.[5]일본에서는 양손으로 비비는 비비개가 발전해 왔지만, 세계적으로는 드문 종류에 속한다.[4] 일본의 야요이 시대부터 고분 시대의 유적에서 발견된 송곳은 6각형 단면인 것이 많고, 사용된 송곳은 마모로 인해 원형에 가까워지고 있다.[5] 일본의 비비개 손잡이는 송곳자루(비비자루)라고 불리며, 칼날에 가까울수록 굵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원통 또는 사각기둥이며, 목련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4]
덧붙여, 비비개는 불을 일으키는 데에도 이용되었다 (발화추#비비개도 참조).
2. 1. 2. 기계 송곳 (器械錐)
지그를 柄(자루)에 장착하고 움직여서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여 날끝을 회전시키는 드릴을 '''기계 드릴'''이라고 한다[4]。- Pump drill|펌프 드릴영어 - 손잡이를 상하로 움직이면 축에 감긴 끈이 회전하는 쇠바퀴를 부착한 드릴[5]。 조선 시대에 판에 구멍을 뚫는 작업 등에도 사용되었다[5]。 또한, 일본에서는 신사에서 불을 사용할 때 이용되었다[5]。(발화 드릴#펌프 드릴도 참조)。
- 활 드릴 - 자루에 활 모양의 지그를 장착하여 앞뒤로 움직여 드릴을 회전시키는 활 드릴은, 신석기 시대에 출현하여 현대에도 중국, 인도, 서아시아, 북미(이누이트계 민족) 등의 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사용 예가 적어 출토 사례도 적다[5]。 불을 지피는 데에도 이용되었다(발화 드릴#활 드릴도 참조)。
- 손잡이 드릴 - 15세기 유럽에 나타나, 구미에서는 대중적인 드릴로서 이용되고 있는 굽은 자루 드릴(클릭 볼)은, 손잡이가 핸들이 달린 크랭크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날끝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멍을 뚫는다。
2. 1. 3. 손 송곳 (手錐)
한 손으로 다루며 회전시키거나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여 구멍을 뚫는 송곳을 '''손송곳'''(手錐)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천매통, 서양에서는 올(Awl)이라고 불리는 것도 여기에 해당한다.[4] 날끝에 나선형의 홈을 넣어 나사와 같은 형태로 만든 것을 나사송곳(ねじきり), 핸드 비트, 오거 김릿 등으로 부른다.[4]나선형의 송곳은 비틀림 송곳이라고도 하며, 고대부터 소라 껍데기 등이 사용되었고 플로리다 주 등에서 출토되고 있다.[5] 일본에서는 고분 시대에 철제 송곳이 있었으며, 헤이조쿄 유적에서도 비틀림 송곳이 출토되었다.[5]
맞붙인 두 장의 목재를 관통시키기 위해 손을 사용하지 않고 망치 등으로 쳐서 박아 넣는 송곳도 있으며, 술통 제작 등에 사용된다.
2. 2. 날 끝
절삭면이 삼각형인 송곳은 세 갈래 송곳 등으로 불리며, 주로 나사못이나 큰 못을 위한 밑구멍을 뚫는 데 사용된다. 절삭면이 사각형인 송곳은 네 갈래 송곳 등으로 불리며, 세 갈래 송곳에 비해 가늘고 깊은 구멍이 뚫린다. 그 외에도 원통형 구멍을 뚫는 술병 송곳, 대나무나 경재(硬材)용 쥐 이빨 송곳 등 용도에 맞는 절삭면이 있으며, 그 크기도 다양하다.3. 비유적 용법
이 용어는 송곳을 사용하는 비틀고 뚫는 동작을 묘사하는 것과 함께, 날카롭거나 꿰뚫는 무언가를 묘사하기 위해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김렛 칵테일은 이 도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을 수 있다.[3] "gimlet-eyed"라는 용어는 날카로운 눈 또는 곁눈질하는 눈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용법의 한 예는 "올드 김렛 아이(Old Gimlet Eye)"로 알려진 스메들리 달링턴 버틀러 소장이다.
참조
[1]
서적
Architecture
1859
[2]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3]
웹사이트
gimlet
https://www.etymonli[...]
2023-09-02
[4]
서적
図説 世界の木工具事典
海青社
2015
[5]
논문
穿孔技術の史的変遷 - 古代における穿孔技術の再現実験を援用して -
https://doi.org/10.1[...]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