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비크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비크만은 필리핀 루손 섬에 위치한 만으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1542년 스페인에 의해 발견되었으나, 마닐라 만 개발로 인해 항구로 발전하지 못했다. 1762년 영국이 점령한 후 스페인은 수비크 만을 해군 기지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미국이 필리핀을 점령하면서 미 해군 기지가 건설되었고, 1991년 피나투보 산 폭발로 미군이 철수하면서 수비크 만 자유 무역 지대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경제 특별 구역으로 지정되어 조선 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파물라클라킨 자연 공원이 위치해 있다. 수비크 만에는 미국-스페인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많은 난파선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발레스주의 지형 - 스카버러 암초
    스카버러 암초는 필리핀과 중국 간 영유권 분쟁 지역으로, 필리핀은 배타적 경제 수역 내 위치를 주장하고 중국은 역사적 권리를 주장하며 2016년 상설중재재판소는 중국 주장에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으나 중국은 거부하고 있으며, 필리핀에서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바호 데 마신록"으로 불려 왔다.
  • 잠발레스주의 지형 - 잠발레스산맥
    잠발레스산맥은 필리핀 서부에서 시작하여 바탄반도까지 뻗어 있으며, 다양한 지질 구조와 활화산인 피나투보 산을 포함하고, 산림 벌채와 생물 다양성 보존 문제가 있으며, 잠발레스 숲쥐 등 고유종이 서식한다.
  • 필리핀의 만 - 마닐라만
    마닐라만은 필리핀 루손섬 남서부에 위치한 만으로, 어업과 산업의 중심지이자 메트로 마닐라의 레크리에이션 공간으로 활용되지만 심각한 수질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만 - 오르모크만
수비크만
지도 정보
해당 없음
해당 없음
1902년 수비크만의 해도
1902년 수비크만의 해도
기본 정보
위치루손섬, 필리핀
종류
소속남중국해
접한 도시모롱
올롱가포
수비크
면적100km
그란데 섬

2. 역사

수비크 만은 16세기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주목받아 왔으며, 스페인, 미국, 일본 등 강대국들의 각축장이 되었다.

수비크 만은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길이는 약 10km, 폭은 약 5km이다. 만 입구보다 안쪽이 약간 더 넓다. 만의 최북단에는 수비크 시가 있고, 북동쪽에는 올롱가포 시가 있다. 1885년 올롱가포에 스페인 군의 함선 보수 공장이 설치되었고,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에는 미국 해군이 이곳을 수비크 해군 기지로 사용했으며, 나중에는 비행장도 갖춘 주요 기지가 되었다. 1992년 기지 폐쇄 후에는 수비크 경제 특별구역이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한민국 등의 기업이 조선 공장을 건설했다. 2018년에는 한진중공업이 수비크 만 조선소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대형 컨테이너선을 준공했다.[14]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42년,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가 수비크 만을 탐험했지만, 주요 스페인 해군 기지가 인근 마닐라 만에 건설되면서 항구는 개발되지 않았다.[3] 1762년 영국이 마닐라를 점령하자, 스페인군은 대체 장소를 찾아야 했고, 수비크 만이 전략적이고 훌륭한 항구 위치로 밝혀졌다.[3] 1884년, 스페인 국왕 알폰소 12세는 수비크를 "해군 항구로 만들고 해군 목적에 할당된 재산을 떼어놓을 것"을 칙령으로 선포했다.[3]

필리핀 혁명 기간 동안 수비크의 스페인 해군 기지는 쿠바-필리핀 제독 비센테 카탈란의 도움을 받아 혁명 필리핀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2. 2. 미국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미국 전쟁 중 1899년 미국은 스페인 기지를 점령하여 1991년까지 수비크 만을 통제했다. 이 기간 동안 해군 시설이 대폭 건설되고 확장되었다. 1950년대 초에는 산의 상단을 잘라내고 토양을 이동하여 수비크 만 일부를 매립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쿠비 포인트 해군 항공 기지를 건설했다.[1][3] 1979년 필리핀이 기지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면서 미국 통제 하에 있던 지역은 24000ha에서 6300ha로 감소했다.[1][3]

2. 3. 필리핀 독립 이후

1979년, 필리핀은 수비크 만 기지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미국 통제 하의 지역을 24000ha에서 6300ha로 감소시켰다.[1][3] 1991년 피나투보 산 폭발 이후, 미국은 기지를 폐쇄했고, 이 지역은 수비크 만 자유 무역 지대로 전환되었다.

2012년, 미국 해군과 계약한 해운 회사가 수비크 만에 유독성 폐기물을 투기한 혐의로 논란이 발생했다. 말레이시아 회사가 소유한 선박인 MT ''글렌 가디언''은 미국 해군 함선에서 189500L의 생활 폐기물과 약 760L의 빌지수를 수집했다. 이 회사가 필리핀의 승인을 받았지만, 미국 해군과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 때문에 필리핀 내 한 무장 단체의 반미 감정을 촉발시켰다.[4]

2015년 7월, 필리핀군은 남중국해에서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이 격화되자 수비크 만에 전투기 및 함선을 주둔시키는 방침을 굳혔다. 이는 중국의 움직임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12] 이에 앞서, 수비크 만 감독청은 5월에 일부 시설에 대해 갱신 가능한 15년간의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13]

3. 수비크 만의 난파선

수비크 만에는 미국-스페인 전쟁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다양한 종류의 함선들이 잠들어 있다.

수비크 만의 난파선
함선 종류함선명침몰 시기비고
화물선엘 카피탄1946년130m 길이, 3,000톤급[6]
상륙함, 전차LST-559제2차 세계 대전활주로 남쪽 끝과 그란데 섬 사이 수비크 만 중앙에 자침[7]
순양함USS 뉴욕 (ACR-2)1941년 12월필리핀 침공 당시 일본군 노획 방지 목적 자침
군함산 퀜틴1898년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스페인군이 수비크 만 입구 봉쇄 목적 자침
스쿠너USS 래니카이제2차 세계 대전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 해군 복무 후 왕립 호주 해군 이관[8]
구축함USS 프랭크 E. 에반스1969년 10월 10일HMAS 멜버른과 충돌 후 표적 침몰
수송선오료쿠 마루1944년 12월 15일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일본 함선
화물선세이안 마루1944년 12월 19일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일본 함선
보조 기뢰 제거함반슈 마루 52호제2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일본 함선[9]
잠수함 추적함교 마루 11호제2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일본 함선[9][10]
개조 포격정아소 마루제2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일본 함선 (불확실)[9]


3. 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일본 함선

오료쿠 마루는 1944년 12월 15일, 수비크 만에서 일본으로 향하던 중 미국 전투기의 공격을 받아 침몰한 일본 수송선이다. 당시 1,619명의 미국, 영국, 체코 전쟁 포로를 태우고 있었으며, 알라바 부두에서 0.5km도 채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서 공격받았다. 마닐라에서 짧은 항해와 공격 중에 약 300명의 포로가 사망했다.[6]

세이안 마루는 1944년 12월 19일, 오료쿠 마루가 침몰한 지 불과 4일 후, 수비크 만 공습으로 침몰한 3,712톤의 일본 화물선이다.[6]

반슈 마루 52호는 일본 보조 기뢰 제거함이다.[9]

교 마루 11호는 일본 잠수함 추적함이다.[9][10]

아소 마루는 일본 개조 포격정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 않다.[9] 일본 및 미국 해군 자료에 따르면 1943년 5월 9일, 미국 잠수함 USS ''Gar''에 의해 네그로스 섬 남서 해안에서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했다.[11]

3. 2. 그 외 침몰 함선


  • 엘 카피탄 (구 USS ''Majaba'')은 1946년에 수비크 만에서 침몰한 약 130m 길이의 3,000톤급 화물선이다.[6]
  • LST-559는 활주로 남쪽 끝과 그란데 섬 사이 수비크 만 중앙에 자침된 상륙함, 전차이다.[7]
  • USS 뉴욕 (ACR-2) (USS ''로체스터''로 개명)는 필리핀 침공 당시 부유 공작소 및 창고 역할을 하던 중, 1941년 12월 일본군 노획을 막기 위해 미군에 의해 자침된 순양함이다.
  • 산 퀜틴은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스페인군이 수비크 만 입구 봉쇄를 위해 그란데 섬과 치키타 섬 사이에 자침시킨 군함이다.
  • USS 래니카이는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 해군에서 복무한 후 왕립 호주 해군으로 이관된 스쿠너식 디젤 동력 요트이다.[8]
  • USS 프랭크 E. 에반스는 HMAS 멜버른과의 충돌 후 1969년 10월 10일 수비크 만에서 표적으로 침몰한 구축함이다.

4. 파물라클라킨 자연 공원

파물라클라킨 자연 공원은 비닉티칸의 보호 구역이다.[5] 수비크만에 11000ha의 숲이 있다. 수비크만 대도시 당국은 원주민들의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이 공원을 만들었다. "파물라클라킨"이라는 용어는 원주민 암발라어로 약초 덩굴을 의미한다.

5. 경제

1992년 미군 기지 폐쇄 후, 수비크만은 수비크 경제 특별구역으로 지정되어 필리핀 경제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5. 1. 조선 산업

2000년대부터 대한민국 기업들이 수비크만에 조선 공장을 건설했다. 2018년 한진중공업은 수비크만 조선소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대형 컨테이너선을 건조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Subic Bay: From American Servicemen to Korean Businessmen http://geocurrents.i[...] GeoCurrents 2010-10-22
[2]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SBMA http://www.sbma.com SBMA 2016-09-05
[3]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ubic.com[...] Subic.com 2013-08-16
[4] 웹사이트 Dumping of US toxic wastes in Phl triggers anti-American rhetoric http://www.philstar.[...] philstar.com 2012-11-14
[5] 서적 Lonely Planet Philippines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2012-06-01
[6] 웹사이트 The Subic Bay Dive Sites - Shipwreck Heaven http://scubatechphil[...] Scuba Tech Philippines 2013-08-16
[7] 웹사이트 USS LST-559 https://www.navsourc[...] NavSource Naval History 2020-02-13
[8] 웹사이트 Patrol Yacht HMAS Lanikai, ex-USS Lanikai, ex-USS Hermes http://www.navsource[...] NavSource Naval History 2009-10-16
[9] 서적 World War II Wrecks of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2015-05-04
[10] 웹사이트 Kyo Maru No. 11 (+1942) https://www.wrecksit[...]
[11] 웹사이트 Gar http://www.hazegray.[...] 2011-12-31
[12] 뉴스 フィリピン軍、スービック湾を軍事基地として再開へ https://www.recordch[...]
[13] 뉴스 比、スービック湾に戦闘機・艦船駐留へ 中国人工島に対抗、抑止力強化 https://www.sankei.c[...]
[14] 웹사이트 韓進重工、世界最大級のコンテナ船を竣工 https://www.nna.jp/n[...] nna.ASIA 2018-01-29
[15] 웹인용 Subic Bay: From American Servicemen to Korean Businessmen http://geocurrents.i[...] GeoCurrents 2013-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