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6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1996 시즌은 K리그 참가 첫 해로, 김호 감독의 지휘 아래 선수단과 코칭 스태프가 구성되었다. 전기리그와 후기리그 모두 2위를 기록하며,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으나 울산 현대에 패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FA컵에서는 데니스 락티오노프가 득점왕을, 박건하가 신인상을, 윤성효와 파벨 바데아가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단 1996 시즌 - 전북 다이노스 1996 시즌
전북 다이노스 1996 시즌은 K리그에서 5위를 기록했으며 FA컵 8강 진출, 리그컵에서 팀 경쟁력 강화를 시도했지만 정규 리그 준비 과정으로 여겨졌고, K리그는 심판 매수 사건으로 논란이 있었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즌 -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4 시즌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즌 -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5 시즌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5 시즌은 2015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축구단의 선수단, 코칭 스태프, 경기 결과, 통계, 이적 시장 정보를 K리그 클래식, FA컵, AFC 챔피언스리그를 중심으로 기록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6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시즌 정보 | |
클럽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시즌 | 1996 |
회장 | 김광호 |
회장 직책 | 구단주 |
감독 | 김호 |
감독 직책 | 감독 |
경기장 | 수원종합운동장 |
경기장 명칭 | 경기장 |
리그 정보 | |
리그 | K리그 |
리그 결과 | 준우승 |
컵 대회 정보 | |
컵 대회 1 | FA컵 |
컵 대회 1 결과 | 준우승 |
컵 대회 2 | 리그컵 |
컵 대회 2 결과 | 6위 (아디다스컵) |
컵 대회 3 | 클럽 챔피언십 |
시즌 득점 정보 | |
시즌 최다 득점자 | 박건하 (7골) |
기타 정보 | |
다음 시즌 | 1997 |
2. 선수단
{
포지션 | 이름 | 국적 | 번호 |
---|---|---|---|
GK | 이운재 | 이운재|李雲在한국어 | 1 |
DF | 김동해 | 김동해|金東海한국어 | 2 |
DF | 이병근 | 이병근|李炳根한국어 | 3 |
DF | 김두함 | 김두함|金斗.한국어 | 4 |
DF | 아디 | Adnan Oçelli|아드난 오첼리sq | 5 |
DF | 이기형 | 이기형|李基珩한국어 | 6 |
MF | 김진우 | 김진우|金珍友한국어 | 7 |
MF | 바데아 | Pavel Badea|파벨 바데아ro | 8 |
FW | 이진행 | 이진행|李鎭行한국어 | 9 |
MF | 조현두 | 조현두|曺鉉斗한국어 | 10 |
FW | 김이주 | 김이주|金利周한국어 | 11 |
MF | 조현 | 조현|曺鉉한국어 | 12 |
DF | 박충균 | 박충균|朴忠均한국어 | 13 |
DF | 전재복 | 전재복|全在福한국어 | 14 |
MF | 이광종 | 이광종|李光鍾한국어 | 15 |
DF | 이경수 | 이경수|李慶洙한국어 | 16 |
DF | 이기근 | 이기근|李基根한국어 | 17 |
FW | 박건하 | 박건하|朴建夏한국어 | 18 |
FW | 알라올 | Alaor|알라오르pt | 19 |
DF | 이상욱 | 이상욱|李相旭한국어 | 20 |
GK | 헨릭 | Henrik Jørgensen|헨리크 외르겐센da | 21 |
FW | 유리 | Юрий Матвеев|유리 마트베예프ru | 21 |
MF | 고종수 | 고종수|高宗秀한국어 | 22 |
DF | 김영철 | 김영철|金永哲한국어 | 23 |
DF | 정성훈 | 정성훈|鄭成勳한국어 | 24 |
MF | 송경섭 | 송경섭|宋京燮한국어 | 25 |
DF | 신성환 | 신성환|申成煥한국어 | 26 |
MF | 설익찬 | 설익찬|薛益燦한국어 | 27 |
FW | 이용우 | 이용우|李容雨한국어 | 28 |
FW | 이경우 | 이경우|李庚雨한국어 | 29 |
DF | 방호진 | 방호진|方鎬鎭한국어 | 30 |
GK | 김광수 | 김광수|金光洙한국어 | 31 |
DF | 박정석 | 박정석|朴貞錫한국어 | 32 |
FW | 데니스 | Денис Лактионов|데니스 락티오노프ru | 33 |
MF | 이호준 | 이호준|李鎬俊한국어 | 34 |
FW | 김호영 | 김호영|金鎬榮한국어 | 35 |
DF | 김대희 | 김대희|金大憙한국어 | 37 |
MF | 윤성효 | 윤성효|尹成孝한국어 | 38 |
DF | 전환철 | 전환철|全煥哲한국어 | 39 |
GK | 박철우 | 박철우|朴哲佑한국어 | 40 |
GK | 주용국 | 주용국|周龍國한국어 | 41 |
[1]
윤성효는 1996 시즌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부주장이었다.
2. 1. 선수
{포지션 | 이름 | 국적 | 번호 |
---|---|---|---|
GK | 이운재 | 이운재|李雲在한국어 | 1 |
DF | 김동해 | 김동해|金東海한국어 | 2 |
DF | 이병근 | 이병근|李炳根한국어 | 3 |
DF | 김두함 | 김두함|金斗.한국어 | 4 |
DF | 아디 | Adnan Oçelli|아드난 오첼리sq | 5 |
DF | 이기형 | 이기형|李基珩한국어 | 6 |
MF | 김진우 | 김진우|金珍友한국어 | 7 |
MF | 바데아 | Pavel Badea|파벨 바데아ro | 8 |
FW | 이진행 | 이진행|李鎭行한국어 | 9 |
MF | 조현두 | 조현두|曺鉉斗한국어 | 10 |
FW | 김이주 | 김이주|金利周한국어 | 11 |
MF | 조현 | 조현|曺鉉한국어 | 12 |
DF | 박충균 | 박충균|朴忠均한국어 | 13 |
DF | 전재복 | 전재복|全在福한국어 | 14 |
MF | 이광종 | 이광종|李光鍾한국어 | 15 |
DF | 이경수 | 이경수|李慶洙한국어 | 16 |
DF | 이기근 | 이기근|李基根한국어 | 17 |
FW | 박건하 | 박건하|朴建夏한국어 | 18 |
FW | 알라올 | Alaor|알라오르pt | 19 |
DF | 이상욱 | 이상욱|李相旭한국어 | 20 |
GK | 헨릭 | Henrik Jørgensen|헨리크 외르겐센da | 21 |
FW | 유리 | Юрий Матвеев|유리 마트베예프ru | 21 |
MF | 고종수 | 고종수|高宗秀한국어 | 22 |
DF | 김영철 | 김영철|金永哲한국어 | 23 |
DF | 정성훈 | 정성훈|鄭成勳한국어 | 24 |
MF | 송경섭 | 송경섭|宋京燮한국어 | 25 |
DF | 신성환 | 신성환|申成煥한국어 | 26 |
MF | 설익찬 | 설익찬|薛益燦한국어 | 27 |
FW | 이용우 | 이용우|李容雨한국어 | 28 |
FW | 이경우 | 이경우|李庚雨한국어 | 29 |
DF | 방호진 | 방호진|方鎬鎭한국어 | 30 |
GK | 김광수 | 김광수|金光洙한국어 | 31 |
DF | 박정석 | 박정석|朴貞錫한국어 | 32 |
FW | 데니스 | Денис Лактионов|데니스 락티오노프ru | 33 |
MF | 이호준 | 이호준|李鎬俊한국어 | 34 |
FW | 김호영 | 김호영|金鎬榮한국어 | 35 |
DF | 김대희 | 김대희|金大憙한국어 | 37 |
MF | 윤성효 | 윤성효|尹成孝한국어 | 38 |
DF | 전환철 | 전환철|全煥哲한국어 | 39 |
GK | 박철우 | 박철우|朴哲佑한국어 | 40 |
GK | 주용국 | 주용국|周龍國한국어 | 41 |
- 김두함은 1996 시즌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주장이었다.
- 윤성효는 1996 시즌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부주장이었다.
2. 1. 1. 골키퍼(GK)
2. 1. 2. 수비수(DF)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 | DF | 김동해 | 대한민국 |
3 | DF | 이병근 | 대한민국 |
4 | DF | 김두함 | 대한민국 |
5 | DF | 아디 | 알바니아 |
6 | DF | 이기형 | 대한민국 |
13 | DF | 박충균 | 대한민국 |
14 | DF | 전재복 | 대한민국 |
16 | DF | 이경수 | 대한민국 |
20 | DF | 이상욱 | 대한민국 |
23 | DF | 김영철 | 대한민국 |
24 | DF | 정성훈 | 대한민국 |
26 | DF | 신성환 | 대한민국 |
30 | DF | 방호진 | 대한민국 |
32 | DF | 박정석 | 대한민국 |
37 | DF | 김대희 | 대한민국 |
39 | DF | 전환철 | 대한민국 |
- 김두함은 1996 시즌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주장이었다.[1]
2. 1. 3. 미드필더(MF)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7 | MF | 김진우 | 대한민국 |
8 | MF | 바데아 | 루마니아 |
10 | MF | 조현두 | 대한민국 |
12 | MF | 조현 | 대한민국 |
15 | MF | 이광종 | 대한민국 |
22 | MF | 고종수 | 대한민국 |
25 | MF | 송경섭 | 대한민국 |
27 | MF | 설익찬 | 대한민국 |
34 | MF | 이호준 | 대한민국 |
38 | MF | 윤성효 | 대한민국 |
2. 1. 4. 공격수(FW)
[1]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1996년 K리그, FA컵, 리그컵에 참가했다. K리그에서는 전기리그와 후기리그 모두 2위를 기록했으며, 울산 현대 호랑이와의 챔피언결정전에서 패배(1, 2차전 합계 2-4)하여 준우승했다.
3. 코칭 스태프
4. 경기 결과
4. 1. K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1996년 K리그 정규리그에서 전기리그와 후기리그 모두 좋은 성적을 거두며 최종 2위를 기록했다. 전기리그에서는 8승 3무 5패(승점 27점), 후기리그에서는 8승 5무 3패(승점 29점)를 기록했다.
후기리그 주요 경기로는 포항 아톰스와의 홈경기(3-3 무, 박건하 선제골, 이기근, 이기형 추가골, 황선홍에게 2골, 박태하에게 1골 허용[1]), 부산 대우 로얄즈 원정 경기(4-0 승, 이기근, 이기형, 이광종, 박건하 득점), 포항 아톰스 원정 경기(0-3 패, 황선홍에게 실점), 울산 현대 호랑이 원정 경기(3-1 승, 윤성효 2골, 이기근 1골), 전북 다이노스 원정 경기(2-0 승, 데니스 페널티킥 선제골, 고종수 추가골) 등이 있다.
울산 현대 호랑이와의 챔피언결정전에서는 1, 2차전 합계 2-4 (1차전 1:0 승, 2차전 1:3 패)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4. 1. 1. 전기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1996년 전기리그에서 16경기를 치러 8승 3무 5패, 26득점 19실점을 기록하며 승점 27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 | 울산 현대 호랑이 | 16 | 8 | 5 | 3 | 27 | 18 | 29 |
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6 | 8 | 3 | 5 | 26 | 19 | 27 |
3 | 포항 아톰스 | 16 | 7 | 5 | 4 | 23 | 18 | 26 |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운드 | 날짜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관중 수 |
---|---|---|---|---|---|---|
1 | 1996년 5월 11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 - 0 | 전북 다이노스 | 수원종합운동장 | 25,657 |
2 | 1996년 6월 2일 | 천안 일화 천마 | 1 - 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태백종합운동장 | 10,221 |
3 | 1996년 6월 5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0 - 2 | 울산 현대 호랑이 | 수원종합운동장 | 13,385 |
4 | 1996년 6월 8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 - 2 | 부산 대우 로얄즈 | 수원종합운동장 | 13,100 |
5 | 1996년 6월 12일 | 전남 드래곤즈 | 0 - 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순천팔마경기장 | 5,023 |
6 | 1996년 6월 16일 | 안양 LG 치타스 | 0 - 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안양종합운동장 | 32,865 |
7 | 1996년 6월 19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 - 0 | 부천 유공 코끼리 | 수원종합운동장 | 8,251 |
8 | 1996년 6월 23일 | 포항 아톰스 | 1 - 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포항스틸야드 | 17,500 |
9 | 1996년 7월 4일 | 전북 다이노스 | 1 - 0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군산월명종합운동장 | 1,278 |
10 | 1996년 7월 7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0 - 0 | 포항 아톰스 | 수원종합운동장 | 14,625 |
11 | 1996년 7월 11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4 - 2 | 천안 일화 천마 | 수원종합운동장 | 13,500 |
12 | 1996년 7월 14일 | 울산 현대 호랑이 | 3 - 0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울산공설운동장 | 20,965 |
13 | 1996년 7월 18일 | 부산 대우 로얄즈 | 1 - 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창원종합운동장 | 3,216 |
14 | 1996년 7월 21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 - 2 | 전남 드래곤즈 | 수원종합운동장 | 5,130 |
15 | 1996년 7월 25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 - 1 | 안양 LG 치타스 | 수원종합운동장 | 8,531 |
16 | 1996년 7월 28일 | 부천 유공 코끼리 | 2 - 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목동운동장 | 1,178 |
4. 1. 2. 후기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1996년 후기리그에서 16경기를 치러 8승 5무 3패, 28득점 17실점을 기록하며 승점 29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경기 | 날짜 | 시간 | 상대팀 | 홈팀 득점 | 원정팀 득점 | 경기장 | 관중수 | 결과 |
---|---|---|---|---|---|---|---|---|
1 | 1996년 8월 18일 | 19:00 | 포항 아톰스 | 3 | 3 | 수원종합운동장 | 15,350 | 무 |
2 | 1996년 8월 21일 | 19:00 | 부천 유공 코끼리 | 0 | 0 | 목동운동장 | 3,743 | 무 |
3 | 1996년 8월 24일 | 19:00 | 안양 LG 치타스 | 0 | 0 | 동대문운동장 | 4,850 | 무 |
4 | 1996년 8월 28일 | 17:00 | 부산 대우 로얄즈 | 0 | 4 | 창원종합운동장 | 6,169 | 승 |
5 | 1996년 8월 31일 | 19:00 | 전남 드래곤즈 | 0 | 0 | 수원종합운동장 | 35,208 | 무 |
6 | 1996년 9월 11일 | 19:00 | 전북 다이노스 | 1 | 0 | 수원종합운동장 | 9,357 | 승 |
7 | 1996년 9월 18일 | 16:00 | 천안 일화 천마 | 2 | 2 | 마산운동장 | 9,584 | 무 |
8 | 1996년 9월 22일 | 19:00 | 부천 유공 코끼리 | 3 | 1 | 수원종합운동장 | 11,873 | 승 |
9 | 1996년 10월 2일 | 19:00 | 포항 아톰스 | 3 | 0 | 포항스틸야드 | 10,885 | 패 |
10 | 1996년 10월 5일 | 15:00 | 울산 현대 호랑이 | 3 | 1 | 수원종합운동장 | 14,237 | 승 |
11 | 1996년 10월 10일 | 19:00 | 안양 LG 치타스 | 2 | 0 | 수원종합운동장 | 13,723 | 승 |
12 | 1996년 10월 13일 | 15:00 | 부산 대우 로얄즈 | 2 | 1 | 수원종합운동장 | 17,898 | 승 |
13 | 1996년 10월 17일 | 19:00 | 전남 드래곤즈 | 2 | 2 | 광양축구전용구장 | 7,047 | 무 |
14 | 1996년 10월 23일 | 19:00 | 천안 일화 천마 | 2 | 1 | 수원종합운동장 | 17,238 | 승 |
15 | 1996년 10월 30일 | 15:00 | 울산 현대 호랑이 | 1 | 3 | 울산공설운동장 | 954 | 승 |
16 | 1996년 11월 2일 | 15:00 | 전북 다이노스 | 0 | 2 | 익산공설운동장 | 4,735 | 승 |
주요 경기는 다음과 같다.
- 8월 18일, 포항 아톰스와의 홈경기(3-3 무): 박건하 선제골, 이기근, 이기형 추가골을 기록했으나, 황선홍에게 2골, 박태하에게 1골을 허용하며 무승부를 기록했다.[1]
- 8월 28일, 부산 대우 로얄즈 원정 경기(4-0 승): 이기근, 이기형, 이광종, 박건하가 득점하며 대승을 거두었다.
- 10월 2일, 포항 아톰스 원정 경기(0-3 패): 황선홍에게 실점하며 패배했다.
- 10월 30일, 울산 현대 호랑이 원정 경기(3-1 승): 윤성효 2골, 이기근 1골로 승리했다.
- 11월 2일, 전북 다이노스 원정 경기(2-0 승): 데니스 페널티킥 선제골, 고종수 추가골로 승리했다.
5. 수상
- K리그 신인선수상: 박건하
- K리그 베스트 11: 윤성효, 바데아
- FA컵 득점왕: 데니스 (4골)
참조
[1]
웹사이트
클럽정보 > 역사관 | 수원블루윙즈
https://archive.toda[...]
2012-11-06
[2]
뉴스
프로축구 제9구단 창단 박차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4-12-07
[3]
뉴스
<프로축구소식> 대구FC, 코칭스태프 구성 완료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6-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