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나라는 명나라 말기 이자성이 건국한 단명 왕조이다. 이자성은 농민 봉기를 이끌어 1644년 서안에서 순조를 건국하고 영창 연호를 사용했으며, 북경을 점령하여 명나라 숭정제를 자결하게 했다. 그러나 오삼계의 청나라 투항으로 인해 세력이 약화되었고, 1645년 청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이자성이 사망하면서 멸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이자성을 높이 평가하며, 순나라는 명청교체기의 왕조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 시대 말기의 민란 황조 정권 - 서나라
    장헌충이 1644년 쓰촨성을 점령하고 세운 서나라는 스스로 황제를 칭하며 독자적인 체계를 구축했으나, 청나라의 공격으로 2년 만에 멸망하고 잔존 세력 또한 1659년 진압되었다.
  • 1644년 중국 - 산해관 전투
    산해관 전투는 1644년 명나라, 청나라, 이자성의 순나라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로, 오삼계가 청나라와 연합하여 이자성 군대를 격파하면서 명나라 멸망과 청나라의 중국 지배를 결정짓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순나라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1644년 순나라의 영역
1644년 순나라의 영역
국호대순 (大順)
존속 기간1644년 ~ 1646년
위치중국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수도시안 (1644년)
베이징 (1644년 ~ 1644년 6월 5일)
주요 언어중국어
종교불교
도교
유교
중국 민간 신앙
화폐중국 동전, 엽전
역사
주요 사건베이징 점령/숭정제 사망 (1644년 4월)
영창제 즉위 (1644년 6월 3일)
베이징 함락 (1644년 6월 5일)
시안에서 건국 (1644년 2월 8일)
남명에 항복 (1646년)
이전명나라
이후청나라
남명
역대 황제
1대이자성 (1644년 ~ 1645년)
2대이자경 (1645년 ~ 1646년)
3대이과 (1646년)

2. 건국 과정

명나라 말기, 백성들은 전염병과 기상이변으로 인한 불만이 불길처럼 번져나갔다. 이에 농민군은 유격전법을 채택하여 명군에 대항하는데, 이자성은 지난날 송나라 시대 탕구트족 출신 관료 겸 군벌 정치가 이계천(일명 조보길)의 후예를 자처하여 농민 봉기군(훗날 순나라 창건)을 이끌었고, 처음엔 농민 봉기군을 지도하며 틈왕(闖王)을 자칭하던 고영상의 아래에서 틈장(闖將)으로 불리었는데 1636년에 그가 명나라 관군의 매복에 걸려 전사하자 남은 세력을 규합해 틈왕을 계승한다.[3] 이후 1641년에는 낙양을 공격, 복왕(福王) 주상순(朱常洵)을 처형하면서 군량을 대량으로 확보했고, 1643년 10월에는 동관(潼關)을 공격, 11월에는 서안을 점령한다.

마침내 1644년, 이자성은 서안에서 순나라 건국을 선언하고 연호를 영창(永昌)으로 정했다. 이후 대동(大同), 선부(選部), 거용관(居庸關)을 차차 공략해 3월 18일에는 북경 외성에 도달, 이튿날 새벽에 명의 마지막 황제 숭정제북경에 위치한 매산(煤山)에서 자결하고 이로써 명은 멸망했다.

3. 쇠퇴와 멸망

1644년, 이자성산해관을 지키던 명나라 장수 오삼계와의 협상에 실패했다. 오삼계청나라에 투항했고, 이자성은 직접 오삼계를 공격했으나 패배했다. 1644년 4월 29일, 이자성은 서둘러 즉위식을 치른 후 서안으로 후퇴했다.[4]

1645년, 청군이 홍의포(紅衣砲)를 획득하여 동관을 함락시키자 이자성은 호북(湖北)으로 이동했다. 이자성은 호북성 통산현(通山縣) 구관산(九官山)에서 명나라 잔존 세력에게 포위되어 자결했다 (다른 설도 존재).[4]

이자성 사후, 이자경(李自敬)과 이과(李過) 등이 황위를 계승하며 저항했으나, 1649년 순나라는 완전히 멸망했다.

4. 순나라의 역사적 위치

이자성의 순(順)은 지방 정권이 아니라 명(明)과 청(清)이 교체되던 시기 중원에 잠시 존재했던 왕조로 대우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봉기한 농민 군대를 이끌고 부패한 명을 무너뜨리고 순을 세운 이자성을 높이 평가한다.[1]

순은 장기간 안정적인 정권 기반을 다지기 전에 붕괴하고 멸망했다. 따라서 청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어느 쪽에서도 순에 대한 정사(正史)를 편찬하지 않았다.[1]

그러나 명은 청에 의해 멸망한 것이 아니라, 이자성의 세력에 의해 멸망한 것은 역사적 사실이다. 그 후 청은 찬탈자 이자성을 타도한다는 명분으로 그 세력을 멸망시킨 후 중국 지배에 착수했다. 따라서 이자성의 순을 지방 정권으로서가 아니라, 명청교체기에 존재했던 단명 왕조로 다루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1]

5. 주요 인물

순나라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역할
뉴진싱재상
구쥔은(顧君恩)참모
리옌참모
송셴츠(宋獻策)참모
류중민장군
위안중디(袁宗第)장군
톈젠슈(田見秀)장군
하오야오치(郝搖旗)장군
가오제장군
고구이잉이자성의 부인, 장군
리궈장군, 이자성의 조카
이자경(李自敬)장군, 이자성의 동생


5. 1. 군주

이자성(李自成)은 1644년부터 1645년까지 순나라의 초대 황제로 재위하였다.[3] [4] 이자성의 동생 이자경(李自敬)은 이자성 사후 황제로 즉위하여 1645년부터 1646년까지 재위하였다. 이자성의 조카 이과(李過)는 이자경 사후 황제로 즉위하여 1646년에 재위하였다.

칭호
(출생–사망)
재위 기간연호 및 연도
이자성 (李自成)
(1606–1645)
1644–1645영창(永昌) 1644–1646
이자경(李自敬)
(?–1646)
1645–1646
이과(李過)
(?–1649)
1646


5. 2. 장군 및 관료


  • 뉴진싱(牛金星): 재상
  • 구쥔은(顧君恩): 참모
  • 리옌(李岩): 참모
  • 송셴츠(宋獻策): 참모
  • 류중민(劉宗敏): 장군
  • 위안중디(袁宗第): 장군
  • 톈젠슈(田見秀): 장군
  • 하오야오치(郝搖旗): 장군
  • 리궈(李過): 장군, 이자성의 조카
  • 가오제(高傑): 장군
  • 고구이잉(高桂英): 이자성의 부인, 장군

참조

[1]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Draft history of Da Shun (大順史稿) Publishing House of San Qin (三秦出版社)
[3] 문서 왕이 즉위하기 시작한 당년에 붙이던 연호. 십간십이지를 써서 연도를 표시하였으나, 60년이 지나면 같은 갑자가 다시 나오므로 이를 구분하고자 한 사용이다.
[4] 서적 淸世祖實錄(청세조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