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술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술탄은 아랍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초기에는 도덕적, 영적 권위를 나타냈으나, 10세기 후반부터 실질적인 주권을 가진 통치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가즈나 왕조의 마무드 가즈니가 최초로 이 칭호를 사용했으며, 이후 셀주크 제국, 오스만 제국 등 이슬람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십자군 전쟁, 몽골의 바그다드 함락 이후 술탄의 지위는 더욱 중요해졌고, 맘루크, 오스만 제국을 거치며 칼리프의 권위를 흡수하기도 했다. 현재는 브루나이, 오만, 말레이시아 등에서 군주 칭호로 사용되며, 막스 베버는 술탄의 통치 방식을 '술탄제'로 명명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어계 외래어 - 커피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음료로, 아라비카종이 주를 이루며 에티오피아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는 음료이고, 다양한 추출 방식과 맛과 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존재하며 각성 효과가 있으나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아랍어계 외래어 - 아티초크
    아티초크는 남유럽 지중해 연안 원산의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꽃봉오리의 꽃받침과 꽃턱을 식용하며 독특한 맛과 풍미, 다양한 영양 성분과 효능을 지녀 전 세계적으로 요리에 활용되고 잎, 줄기, 뿌리는 차로도 이용된다.
  • 술탄 - 마흐무드 1세 (셀주크 제국)
    마흐무드 1세는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샤 1세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술탄으로 즉위했으나 권력 다툼과 내전, 그리고 천연두로 인해 사망하면서 셀주크 제국의 분열을 초래했다.
  • 술탄 - 술탄 중의 술탄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술탄
술탄
정의
의미권위, 통치권, 지배권
술탄령술탄이 다스리는 국가 또는 영토
어원아랍어 '술타(سلطة, sulṭah: 권위)'에서 유래
관련 용어술타나 (여성형)
술탄의 지위나 권위를 의미하는 '술타나트(سلطنة, salṭanah)'
군주를 의미하는 '말리크(ملك, malik)'
역사적 맥락
이슬람 세계정치적 권위와 종교적 권위를 모두 가진 군주
10세기 이후 아바스 왕조의 칼리파로부터 독립한 통치자 칭호로 사용됨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모로코, 아이유브 왕조 등 다양한 왕조에서 사용
일부 술탄은 칼리파의 권위를 넘어선 강력한 통치자였음
비이슬람 세계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남부 등에서 통치자 칭호로 사용
중국, 아프리카 등에서도 사용되었음
현대군주제 국가에서 국가 원수 또는 최고 권력자 칭호로 사용
일부 술탄은 상징적인 역할만 수행
술탄의 권위와 역할
군사적 권위군대의 최고 지휘관
사법적 권위법률 제정 및 재판 관할
종교적 권위이슬람 신앙의 수호자 (일부 경우)
행정적 권위국가 행정 총괄
같이 보기
관련 항목칼리파

에미르
파디샤
맘루크
오스만 제국
술탄국
아랍어
이슬람 세계

2. 용어의 역사

"술탄"이라는 단어는 아랍어와 셈어 어근 ''salaṭa''에서 유래했으며, "굳고 강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명사 ''sulṭān''은 처음에는 정치적 권력과는 대조적으로 일종의 도덕적 권위 또는 영적 권능을 나타냈으며, 쿠란에 여러 번 사용된다.[6]

초기 이슬람 세계에서 최고 권력과 권위는 이론적으로 칼리프가 보유하고 있었는데, 그는 칼리파의 지도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8세기 이후 이슬람 세계의 정치적 분열이 심화되면서 이러한 공감대에 도전이 가해졌다. 행정 권한을 가진 지방 통치자들은 ''amīr'' 칭호를 가지고 칼리프에 의해 임명되었지만, 9세기에는 이들 중 일부가 사실상 독립적인 통치자가 되어 아글라브 왕조, 툴룬 왕조와 같은 자체 왕조를 세웠다.[7] 10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술탄"이라는 용어는 실질적으로 주권을 가진 개인 통치자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8]

이 칭호를 명확하게 자칭한 최초의 주요 인물은 가즈나 왕조 통치자 마무드(재위 998~1030년)였다.[8][6]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셀주크 제국이 이 칭호를 채택했다. 초기 셀주크 지도자 투그릴 베이는 화폐에 "술탄"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지도자였다.[6] 셀주크는 바그다드의 칼리프들을 무슬림 공동체의 보편적 지도자로 공식적으로 인정했지만, 그들의 정치적 권력이 후자를 압도했다. 이는 알주와이니, 알가잘리와 같은 여러 무슬림 학자들이 인정된 칼리프의 공식적인 최고 권위의 틀 내에서 셀주크 술탄의 정치적 권위에 대한 이론적 정당성을 개발하려고 시도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어, 알가잘리는 칼리프가 이슬람 법(샤리아)의 보증인이지만, 법을 실제로 시행하려면 강제력이 필요하며, 그 권력을 직접 행사하는 지도자가 바로 술탄이라고 주장했다.[9][8]

술탄의 지위는 십자군 전쟁 시대에 더욱 중요해졌는데, 살라딘과 아이유브 왕조가 레반트십자군 국가들과의 대결을 이끌었다.[6] 1258년 몽골 제국에 의한 바그다드 함락 이후 아바스 왕조의 정치적 권력의 잔재가 사라졌다. 그 이후로 아바스 칼리프의 생존 후손들은 카이로에서 맘루크의 보호를 받으며 살았고, 후자에 의해 명목상으로 여전히 인정받았다. 그러나 이때부터 그들은 실질적으로 권위가 없었고, 수니파 이슬람 세계 전역에서 보편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9] 아바스 칼리프 계보의 수호자로서 맘루크는 자신들을 술탄으로 인정했고, 무슬림 학자 칼릴 알자히리는 오직 그들만이 그 칭호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6]

술탄과 칼리프의 지위는 16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맘루크 제국을 정복하면서 하나로 합쳐지기 시작했다. 16세기 오스만 학자이자 법학자였던 에뷔수우드 메흐메트 에펜디는 당시 오스만 술탄(술레이만 1세)를 칼리프이자 모든 무슬림의 보편적 지도자로 인정했다.[9]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영토 쇠퇴 기간 동안, 오스만 당국은 유럽(기독교) 식민지 확장에 직면하여 술탄을 전체 무슬림 공동체의 지도자로 여기려고 했다.[10]

이후 시대에도 술탄이라는 칭호는 소말리아 귀족, 말레이 귀족 및 모로코 술탄(예: 17세기에 설립된 알라위 왕조)과 같은 예에서 오스만 제국 외부에서도 사용되었다.[6] 그러나 시아파 무슬림 통치자들은 주권 칭호로 사용하지 않았다. 이란사파비 왕조는 주로 페르시아 칭호인 ''''를 사용했는데, 이 전통은 후대 왕조에서도 계속되었다. 반대로 ''술탄''이라는 용어는 주로 그들의 영토 내 지방 통치자들에게 주어졌다.[6]

고한적(古漢籍)에서의 표기는 “속로단(速魯檀)”, “쇄로단(鎖魯檀)”, “소리단(素里檀)”, “사리단(唆里檀)”, “산단(算端)”, “층단(層檀)”이다. 근대 중국어에서의 음역은 “소단(素檀)”, “소단(蘇丹)”이다.

3. 여성형

서구에서는 술탄의 여성형으로 '''술타나''' 또는 '''술타나흐'''가 사용되며, 이 칭호는 일부 무슬림 여성 군주와 술탄의 어머니 및 주요 배우자에게 법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터키어와 오스만 터키어에서는 황실 여성에게도 '술탄'을 사용하는데, 터키어 문법상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예: 휘렘 술탄, 술레이만 1세). 이슬람 역사에서 여성 지도자들은 "술타나"로 알려져 있다. 술루 술탄국 술탄의 아내는 "팡구이안"으로 불리며,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의 많은 술탄국에서 술탄의 주요 아내는 "페르마이스리", "툰쿠 암푸안", "라자 페르푸안", "텅쿠 암푸안" 등으로 불린다. 브루나이왕비는 "라자 이스테리"로 알려져 있으며, 왕비가 왕족 공주일 경우 "펭기란 아낙" 칭호가 추가된다.

4. 복합 군주 칭호


  • '''마니 술탄''' – '매니 술탄'(통치자의 진주 또는 존경받는 군주를 의미)은 트라반코어의 마하라자의 전체 칭호의 일부인 보조 칭호이다.
  • '''술탄들의 술탄''' – 왕중왕 칭호에 상응하는 술탄 칭호이다.
  • '''술탄 울-무자히딘''' – 지하드(알라의 이름으로 노력하고 투쟁하는 것)의 옹호자를 의미한다.
  • '''술탄 전하''' – 1914년부터 영국의 보호령이었던 이집트의 술탄 후세인 카멜의 아들, 며느리, 딸들이 1917년 10월 11일 이후 주요 칭호인 왕자(아미르|ar) 또는 공주와 함께 독점적으로 사용한 드문 서구-이슬람식 명예 칭호이다. 이들은 이집트의 1922년 독립 이후 왕가의 칭호와 작위를 규정하는 왕실칙령 이후에도 평생 이 칭호를 사용했다. 새로운 왕(새로운 칭호를 받은 왕(말릭 미스르|ar)으로 간주됨)의 아들과 딸들은 Sahib(at) us-Sumuw al-Malaki|ar 혹은 전하라는 칭호를 받았다.
  • '''술탄-울-카움''' – 국왕을 의미하는 칭호로, 18세기 시크 지도자 자사 싱 아흘루왈리아에게 그의 지지자들이 부여하였다.

5. 왕족 및 귀족 칭호

16세기 초부터 오스만 제국에서는 술탄이라는 칭호를 왕조의 남녀 모두에게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제국 가족 구성원들이 사용하던 다른 칭호(여성의 경우 '카툰', 남성의 경우 '베이')를 대체하는 것이었다. 오스만 제국에서 주권이 가족의 특권이라는 개념을 강조한 것이다.

서구에서는 오스만 통치자를 "술탄"으로 불렀지만, 오스만인들은 "파디샤"(황제) 또는 "훈카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황제의 공식 칭호에는 "술탄"과 "칸"이 함께 들어갔다. (예: 술탄 슐레이만 칸) 술탄의 자녀들 또한 "술탄" 칭호를 받았는데, 황태자(셰흐자데)는 이름 앞에, 황녀는 이름 뒤에 붙였다. (예: 셰흐자데 술탄 메흐메드, 미흐리마흐 술탄) 재위 중인 술탄의 어머니와 주요 배우자도 이름 뒤에 이 칭호를 붙였다. (예: 하프사 술탄, 휘렘 술탄) 여성 술탄 시대 동안 제국 여성들의 권력이 커지면서 이러한 변화가 나타났다. 17세기에 주요 배우자의 지위가 약화되면서 "술탄" 칭호 대신 "카딘"이라는 칭호로 대체되었다. 이후 재위 중인 술탄의 어머니만이 제국 혈통이 아닌 사람으로서 "술탄" 칭호를 사용했다.[11]

카자흐 칸국에서는 술탄이 지배 왕조(칭기즈칸의 직계 후손) 출신의 영주를 의미했다. 이들은 일종의 왕자였으며, 씨족들에 의해 선출되었다. 최고의 술탄은 쿠루르타이에서 백성에 의해 칸으로 선출되었다.

6. 군사 계급

몽골이나 투르크계 민족이 지배하던 여러 칼리파 이후 국가들에서는 봉건적인 군사 계급 제도가 있었다. 이러한 행정 체계는 종종 십진법을 사용했으며, 칸, 말릭, 아미르와 같은 왕족 칭호를 단순한 계급 명칭으로 사용했다.[1]

페르시아 제국에서 술탄 계급은 현대의 대위와 거의 동등했으며, 사회적으로는 5등급에 속했고 '알리 자'로 칭했다.[1]

7. 과거의 술탄과 술탄국

셀주크 왕조의 투그릴 베그는 압바스 왕조 칼리프로부터 술탄의 칭호를 받았는데, 이는 서유럽에서 교황에 대한 황제와 같이 사용되었다. 셀주크 왕조의 쇠퇴 후에는 룸 셀주크 왕조나 호라즘샤 왕조 등 셀주크 왕조로부터 독립한 이슬람 왕조에서 군주의 칭호로 채택되어 수니파 이슬람 세계에서 일반적인 칭호로 자리 잡았다. 이후 아이유브 왕조, 맘루크 왕조 등 여러 왕조는 압바스 왕조 칼리프의 승인하에 술탄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여 자신의 권위를 높이는 데 이용했다.[14]

오스만 제국에서 술탄이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2대 오르한으로, , 이라는 칭호와 함께 "술탄 술레이만 샤 한" 등으로 자칭했다.

술탄(سلطانar)을 칭호로 삼는 군주가 다스리는 국가를 가리켜 '''술탄국'''(سلطنةar)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왕이 군주인 국가를 「왕국」, 공이 군주인 국가를 「공국」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8. 현재의 술탄

오만브루나이, 말레이시아의 군주들이 술탄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특별주에서는 명예직으로 계승되고 있다.[14] 족자카르타 술탄직은 선출직이다.

현재 오만, 브루나이, 그리고 말레이시아 각 주의 군주가 술탄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공화국이지만, 족자카르타의 술탄이 족자카르타 특별주의 종신 주지사에 취임하고, 부주지사에 파쿠알람 가문의 당주가 취임하는 관습이 이어져 왔다. 2012년 법률에 의해 특별주의 성격이 재확인되었고, 재위 중인 술탄이 주지사가 되고, 파쿠알람 가문의 당주가 부주지사가 되는 것이 법적으로 정해졌다.[15]

유엔 회원국의 국가 원수인 술탄 목록이다. 말레이시아의 국왕은 말레이시아 내 9개 주의 군주들이 서로 뽑아서 “국왕(아궁)”으로 재위하는 동안에도 원래 지위가 술탄이었던 경우 술탄의 지위를 겸하고 있지만, 말레이시아 국가 원수로서의 지위는 술탄이 아니다.


  • 재위 연도 순

이름국가나이즉위년도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1967년10월 4일
하이삼 빈 타릭 알 사이드 오만2020년1월 11일



국가구성 영방명술탄
말레이시아
Sultan of Johor|조호르 술탄영어
Kedah Sultanate|케다 술탄영어
Kelantan Sultanate|켈란탄 술탄영어
Sultan of Pahang|파항 술탄영어
Perak Sultanate|페락 술탄영어
Selangor Sultanate|셀랑고르 술탄영어
Terengganu Sultanate|트렝가누 술탄영어
인도네시아
하멩쿠보워노 10세[16]


9. 술탄제

막스 베버는 전통적 지배의 한 형태인 가족제를 설명하면서, 지배자를 정당화하는 전통적 권위와 지배자 자신의 가족관료 및 군대의 힘을 이용한 자의적 행동 사이의 힘겨루기가 있다고 보았다. 그 과정에서 지배자가 전통적 권위에서 벗어나 자의적으로 국가를 통치하는 체제가 확립된 모습을 이슬람 세계의 술탄에 비유하여 '''술탄제'''(Sultanismus)라고 명명했다. 이후 후안 린스는 베버의 이론을 발전시켜 술탄주의론을 주장했다.[1]

참조

[1] 백과사전 sultan https://www.dictiona[...] 2023-02-08
[2] 백과사전 Sultanate https://www.merriam-[...] 2022-06-22
[3] 백과사전 Sultanate https://www.britanni[...] 2022-06-22
[4] 서적 ʻAbbasid Studies: Occasional Papers of the School of ʻAbbasid Studies, Cambridge, 6–10 July 2002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18-01-16
[5] 서적 The Book of Proverbs and Arabic Proverbial Works https://books.google[...] Brill 2018-01-16
[6]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7]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8] 서적 The Islamic World: Past and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Islamic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John Murray Press
[11] 서적 The Imperial Harem: Women and Sovereignty in the Ott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Bāna https://www.iranicao[...] 1988-12-15
[13] 웹사이트 The Living Arabic Project - Classical Arabic and dialects https://livingarabic[...] 2023-08-11
[14]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での主な出来事 https://www.id.emb-j[...] 2024-08-21
[15] 학술지 インドネシア・ジョグジャカルタ特別区の特別性に関する共和国法 ──特別性と民主主義の不整合── https://cir.nii.ac.j[...] 白山人類学研究会
[16] 문서 ジョグジャカルタ特別州の知事はスルターンが世襲することが定められている。またハメンクブウォノ10世が影響力を持つ地域はジョグジャカルタ・スルターン国と呼ば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