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Sulfolobus solfataricus)는 분자적, 유전적, 생화학적 측면에서 연구되는 고세균의 일종이다. 이 고세균은 고온, 산성 환경에서 생존하며, 게놈 분석을 통해 열 안정성, DNA 결합 단백질, DNA 전이 등 다양한 유전적 특징이 밝혀졌다. 또한, 유기 및 무기 물질 대사가 가능하며, 페레독신을 주요 전자 전달체로 사용한다. 생태적으로는 화산 지역에 서식하며, 황을 산화시켜 토양 산성화를 유발한다.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열 안정성 효소, 특히 β-갈락토시다아제, 프로테아제, 에스터레이스/리파아제, 샤페로닌, 리포솜 등이 연구 및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균 - 메탈로스파에라속
    메탈로스파에라속은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고세균의 한 속으로, 16S rRNA와 53개 마커 단백질을 이용한 계통 분류가 이루어지며, 유해 금속 처리 활용 가능성이 연구된다.
  • 고균 - 스튀기올로부스속
    스튀기올로부스속은 혐기성, 극호열성, 극산성 환경에 서식하는 고세균 속으로, 바이러스 감염 연구, 특히 루디바이러스와 CRISPR 항바이러스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 연구를 통해 생명체의 방어 기작 연구에 기여하며, 과학 서적과 세균 분류 체계 연구에서도 다루어진다.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Sulfolobus solfataricus
명명자Zillig et al. 1980
이명Saccharolobus solfataricus (Zillig et al. 1980) Sakai & Kurosawa 2018
과학적 분류
고균
테르모프로테오타
테르모프로테이
술폴로부스목
술폴로부스과
술폴로부스속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

2. 게놈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의 게놈은 2001년에 완전히 해독되었다.[5] 단일 염색체는 2,992,245쌍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2,977개의 단백질과 다양한 RNA를 암호화한다. 이 미생물이 암호화하는 단백질 중 1/3은 다른 게놈에서 상동성을 찾을 수 없다. 나머지 단백질 중 40%는 고세균에 특이적이고, 12%는 세균과, 2.3%는 진핵생물과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33%는 ''술폴로부스'' 속에서만 발견된다. ORF의 상당수는 ''테르모플라스마''에서 유사한 형태로 발견된다.[3]

작은 핵소체 RNA (snoRNA)는 ''S. 솔파타리쿠스''와 ''S. 아시도칼다리우스''에서 발견되었으며, 리보솜 RNA의 전사 후 변형 및 인트론 제거에 관여한다.[6]

''술폴로부스'' 게놈은 짧은 탠덤 반복 서열, 삽입 및 반복 요소가 특징이며, 200여 개의 삽입 서열 요소를 통해 다양한 유전적 변이를 보인다.

2. 1. 열 안정성

고온성 생물에서 발견되는 리버스 자이레이스는 열역학적 안정성을 통해 변성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7] 이 효소는 고온성 및 호열성 고세균과 세균에서 발견되며, ''술폴로부스''에는 리버스 자이레이스를 암호화하는 두 개의 유전자가 존재한다.[7] 리버스 자이레이스는 비정형 DNA 토포아이소머레이스로, 닫힌 원형 DNA에 양성 초나선을 형성하여 열린 복합체 형성을 막는다. 이는 DNA의 열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리버스 자이레이스는 헬리케이스와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의 두 가지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양성 초나선을 이용하여 염색질 유사 구조를 조립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8]

1997년에는 ''술폴로부스''에서 TopoVI라는 II형 토포아이소머레이스가 발견되었는데, 이 효소의 A 서브유닛은 진핵생물의 감수 분열 재조합 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po11 단백질과 상동성을 갖는다.[9][10] ''S. 솔파타리쿠스''는 세 개의 I형 토포아이소머레이스(TopA, TopR1, TopR2)와 하나의 II형 토포아이소머레이스(TopoVI)를 가지고 있다.[11]

2. 2. DNA 결합 단백질

세균역의 열원생물에는 DNA의 작은 홈에 결합하는 Alba, Cren7, Sso7d 세 가지 단백질이 있다. 이 단백질들은 번역 후 변형되며, ''술폴로부스''에서는 발견되지만 다른 게놈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술폴로부스'' 염색질 단백질은 전체 게놈의 1-5%를 차지하며, 구조적, 조절적 기능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이들은 게놈, 발현, 안정성 및 후생 유전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인간 HMG-box 단백질과 유사하다.[12] 히스톤이 없는 종에서는 진핵생물 히스톤처럼 아세틸화 및 메틸화될 수 있다.[13][14][15][16] ''술폴로부스'' 균주는 Sso7d 단백질 계열과 같은 특이한 DNA 결합 단백질을 나타낸다. 이들은 DNA 이중 나선을 안정화시켜 고온에서 변성을 방지하고, 융점 이상에서 어닐링을 촉진한다.[17]

고세균 염색질의 주요 구성 요소는 Alba (아세틸화는 결합 친화력을 낮춤)로 알려진 Sac10b 계열 단백질이다.[18][19] Alba는 작고 염기성이며 이량체 핵산 결합 단백질이다. 또한 대부분의 서열 분석된 고세균 게놈에서 보존된다.[20][21] Alba의 아세틸화 상태는 시험관 내에서 프로모터 접근 및 전사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른 ''술폴로부스'' 염색질 단백질인 Sso7D의 메틸화 상태는 배양 온도에 의해 변경된다.[22][23]

2. 3. DNA 전이

UV 조사, 블레오마이신, 마이토마이신 C와 같은 DNA 손상 물질에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를 노출시키면 세포 응집이 유도된다.[25] pH 변화나 온도 변화와 같은 다른 물리적 스트레스는 응집을 유도하지 않는데, 이는 응집 유도가 DNA 손상에 의해 구체적으로 야기됨을 시사한다. Ajon 등[26]은 UV 유도 세포 응집이 높은 빈도로 염색체 표지 교환을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재조합 속도는 유도되지 않은 배양의 속도를 최대 세 자릿수까지 초과했다. Frols 등[25][27]과 Ajon 등[26]은 UV 유도 DNA 전달 과정과 그에 따른 상동 재조합 수리가 염색체 완전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이 반응은 세포 간 DNA 전달과 관련이 있고 DNA 손상의 상동 재조합 수리를 유발하는, 더 잘 연구된 세균 형질전환과 유사한 원시적인 형태의 성적 상호 작용일 수 있다.[28]

3. 대사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는 화학유기영양생물 또는 화학무기영양생물로 생존할 수 있다. 유기 화합물을 이용해 성장하거나,[29] 황화 수소[31], 원소 황, 분자 수소[1]를 산화시켜 에너지를 얻고, 이산화 탄소(CO2)를 고정[29]하기도 한다.

3. 1. 유기물 대사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Sulfolobus solfataricus)는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당, 알코올, 아미노산, 페놀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 화합물에서 화학유기영양생물로서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이 종은 변형된 Entner-Doudoroff 경로를 통해 포도당을 산화시키며, 생성된 피루브산 분자는 TCA 회로에서 완전히 무기화될 수 있다.[29]

분자 산소는 전자 전달계의 마지막 단계에서 알려진 유일한 전자 수용체이다.[30]

3. 2. 무기물 대사

고세균황화 수소[31]원소 황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탄소 고정을 통해 이산화탄소(CO2)를 HP/HB 회로를 통해 고정할 수 있어[29] 화학 독립영양생물로도 생존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분자 수소를 산화시켜 느리지만 성장할 수 있는 능력도 발견되었다.[1]

3. 3. 페레독신

페레독신은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에서 주요 대사 전자 전달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2] 이는 일반적으로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수소(NADH)에 의존하는 세균진핵생물 그룹 내의 대부분의 종과 대조적이다.

4. 생태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는 다른 ''Sulfolobus'' 속 종들과 마찬가지로 고온성 미생물 고세균이며, 간헐천이나 온천과 같이 고온 및 매우 산성인 pH를 가진 화산 활동 지역에서 최적의 성장 조건을 갖는다.[33]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는 황을 산화시켜 수소 이온(H+)을 생성하는데, 이는 주변 토양을 산성화시키는 원인이 된다.[37]

4. 1. 서식지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는 다른 ''Sulfolobus'' 속 종들과 마찬가지로 극한의 고온성 미생물 고세균이며, 고온 및 매우 산성인 pH를 가진 강한 화산 활동 지역에서 최적의 성장 조건을 갖는다.[33] 이러한 조건은 간헐천이나 온천과 같은 화산 지역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이 미생물이 발견된 가장 연구가 많이 된 나라는 미국(옐로스톤 국립공원)[34], 뉴질랜드[35], 아이슬란드이탈리아로, 화산 현상으로 유명하다. 인도네시아 과학자 팀의 연구에서도 서자바에서 ''Sulfolobus'' 군집의 존재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고온, 낮은 pH, 황의 존재가 이러한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조건임을 확인시켜준다.[36]

4. 2. 토양 산성화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는 황을 산화시킬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수소 이온(H+)이 생성된다. 이는 주변 토양을 산성화시키는 원인이 된다.[37] 토양 산성화는 산업 활동으로 인한 오염 물질 배출이 있는 곳에서 심해지며, 유기물 재활용과 토양 비옥화에 필수적인 분해에 관여하는 종속 영양 세균의 수를 감소시킨다.[37]

5. 생명공학적 응용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는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효소를 생산하여 연구, 진단, 식품, 섬유, 세척, 펄프 및 제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높다. 이 효소는 촉매 다양성, 높은 pH 및 온도 안정성, 유기 용매와 단백질 분해에 대한 내성을 가진다.[38][39]

테트라 에스터 지질, 항균성 막 소포, 트레할로스 성분, 새로운 β-갈락토올리고당 등이 주목받고 있다.[40]

5. 1. β-갈락토시데이스 (β-galactosidase)

β-갈락토시다아제는 극호열성 고세균인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균주 MT-4)에서 분리된 내열성 효소이다.[41] 이 효소는 락토스(유당)를 함유한 액체의 여러 산업 공정에서 정제 및 물리화학적 특성 규명을 통해 활용된다.[41]

5. 2. 프로테아제 (Protease)

산업계는 안정적인 프로테아제뿐만 아니라 연구된 다양한 ''술폴로부스'' 프로테아제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42]

''S. solfataricus'' MT4의 샤페로닌과 관련된 활성 아미노펩티데이스가 설명되었다.[43]

Sommaruga 외 (2014년)[44]는 효소를 고정하는 자기 나노 입자를 사용하여 ''S. solfataricus'' MT4의 잘 특성화된 카르복시펩티데이스의 안정성과 반응 수율을 향상시켰다.

5. 3. 에스터레이스/리파아제 (Esterase/Lipase)

새로운 열안정성 세포외 지질 분해 효소인 세린 아릴에스터레이스는 원래 열산성 고세균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 P1''에서 유기인산염의 가수 분해에 대한 큰 작용으로 발견되었다.[45]

5. 4. 샤페로닌 (Chaperonin)

대장균(*Escherichia coli*) 세포 내에서 온도 충격(50.4 °C)에 대한 반응으로,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S.solfataricus) P2에서 추출한 작은 열 쇼크 단백질(S.so-HSP20)은 온도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46]

아데노신 삼인산(ATP), K+, Mg2+을 포함하는 샤페로닌 Ssocpn(920 kDa)이 변성된 물질로부터 붕괴되고 동적인 단백질을 공급하기 위해 ''술폴로부스 솔파타리쿠스''에서 어떠한 추가적인 단백질도 생성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재변성된 기질이 막을 통과하는 동안 이 단백질은 한외 여과 세포에 저장되었다.[47]

5. 5. 리포솜 (Liposome)

리포솜은 온도, pH에 대한 탁월한 안정성과 용질 누출에 대한 밀착성을 가진다. 이러한 리포솜은 의약품, 백신 및 유전자를 전달하는 데 가능한 도구이다.[48]

참조

[1] 논문 Saccharolobus caldissimus gen. nov., sp. nov., a facultatively anaerobic iron-reducing hyperthermophilic archaeon isolated from an acidic terrestrial hot spring, and reclassification of Sulfolobus solfataricus as Saccharolobus solfataricus comb. nov. and Sulfolobus shibatae as Saccharolobus shibatae comb. nov 2018-04
[2] 웹사이트 Where was Sulfolobus solfataricus first found? http://intercept.cnr[...] 2019-01-15
[3] 논문 Molecular biology of extremophiles: recent progress on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2002-08
[4] 논문 Sulfolobus: a new genus of sulfur-oxidizing bacteria living at low pH and high temperature 1972
[5] 논문 The Sulfolobus solfataricus P2 genome project 1996-06
[6] 논문 Homologs of small nucleolar RNAs in Archaea 2000-04
[7] 논문 Insight into the cellular involvement of the two reverse gyrases from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2014-09
[8] 논문 Reverse gyrase, the two domains intimately cooperate to promote positive supercoiling 2000-06
[9] 논문 An atypical topoisomerase II from Archaea with implications for meiotic recombination 1997-03
[10] 논문 The unique DNA topology and DNA topoisomerases of hyperthermophilic archaea 1996-05
[11] 논문 The reverse gyrase TopR1 is responsible for the homeostatic control of DNA supercoiling in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2019-11
[12] 논문 The high mobility group box: the ultimate utility player of a cell 2012-12
[13] 논문 Sulfolobus solfataricus 2018-11
[14] 논문 The chromosomal protein sso7d of the cren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rescues aggregated proteins in an ATP hydrolysis-dependent manner 2000-10
[15] 논문 Thermal stability and DNA binding activity of a variant form of the Sso7d protein from the archeon ''Sulfolobus solfataricus'' truncated at leucine 54 2003-07
[16] 논문 DNA-binding surface of the Sso7d protein from Sulfolobus solfataricus 1995-04
[17] 논문 Annealing of complementary DNA strands above the melting point of the duplex promoted by an archaeal protein 1997-04
[18]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gene encoding archeal-specific DNA-binding proteins of the Sac10b family 1999-05
[19] 논문 An abundant DNA binding protein from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hibatae affects DNA supercoiling in a temperature-dependent fashion 2000-07
[20] 논문 The Alba protein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 2016-05
[21] 논문 Structure of Alba: an archaeal chromatin protein modulated by acetylation 2002-09
[22] 논문 The interaction of Alba, a conserved archaeal chromatin protein, with Sir2 and its regulation by acetylation 2002-04
[23] 논문 Solution structure and DNA-binding properties of a thermostable protein from the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1994-11
[24] 논문 DNA-dependent RNA polymerase from the archaebacterium Sulfolobus acidocaldarius 1979-06
[25] 논문 UV-inducible cellular aggregation of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is mediated by pili formation https://pure.rug.nl/[...] 2008-11
[26] 논문 UV-inducible DNA exchange in hyperthermophilic archaea mediated by type IV pili https://pure.rug.nl/[...] 2011-11
[27] 논문 Reactions to UV damage in the model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2009-02
[28] 간행물 Evolutionary origin of recombination during meiosis BioScience 2010-07
[29] 논문 Genome-scale re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metabolic network in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2012-08-31
[30] 논문 Effect of O2 concentrations on Sulfolobus solfataricus P2 2009-10
[31] 논문 The complete genome of the cren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P2 2001-07
[32] 논문 The Sulfolobus-"Caldariella" group: taxonomy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DNA-dependent RNA polymerases. 1980-04
[33] 논문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the archaebacterial genus Sulfolobus: comparison of five wild-type strains 1989-12
[34] 웹사이트 Sulfolobus https://microbewiki.[...]
[35] 논문 Microbial life in Champagne Pool, a geothermal spring in Waiotapu, New Zealand 2007-07
[36] 논문 Microbial diversity of acidic hot spring (kawah hujan B) in geothermal field of kamojang area, west java-indonesia
[37] 논문 Effect of soil acidification on the soil microflora
[38] 논문 Strategies for Stabilization of Enzymes in Organic Solvents 2013-10-14
[39] 논문 A correlation between protein thermostability and resistance to proteolysis 1982
[40] 논문 Sulfolobus – A Potential Key Organism in Future Biotechnology 2017
[41] 논문 Thermostable P-galactosidase from the archaebacterium Sulfolobus solfataricus 1990
[42] 서적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intracellular aminopeptidase from the extreme thermophilic archaebacterium Sulfolobus solfataricus Elsevier B.V.
[43] 논문 A novel aminopeptidase associated with the 60 kDa chaperonin in the 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Mol. Microbiol. 1998
[44] 논문 mmobilization of carboxypeptidase from Sulfolobus solfataricus on magnetic nanoparticles improves enzyme stability and functionality in organic media. BMC Biotechnol. 2014
[45] 논문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inducible thermostable extracellular lipolytic enzyme from the thermoacid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P1 2016
[46] 논문 Thermotolerance and molecular chaperone function of the small heat shock protein HSP20 from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P2. Cell Stress Chaperones 2011-08
[47] 논문 An archaeal chaperonin-based reactor for renaturation of denatured proteins. Extremophile 1999-08-07
[48] 논문 Archaeobacterial Ether Lipid Liposomes (Archaeosomes) as Novel Vaccine and Drug Delivery Systems 1999
[49] 웹인용 NCBI taxonomy resources ftp://ftp.ncbi.nih.g[...]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0-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