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슈퍼캣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슈퍼캣은 자메이카 출신의 댄스홀 레게 및 힙합 아티스트이다. 1963년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태어난 슈퍼캣은 1980년대 초 "Mr. Walker"로 데뷔했으며, "Boops"와 같은 곡들로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에는 미국으로 진출하여 컬럼비아 레코드와 계약하고, 앨범 《Don Dada》를 발표하며 힙합 팬들에게도 이름을 알렸다. 이후 크리스 크로스, 노토리어스 B.I.G. 등과 협업하며 활동을 이어갔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아티스트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음악적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메이카의 레게 음악가 - 밥 말리
    밥 말리는 자메이카에서 태어나 레게 음악의 선구자가 된 전설적인 아티스트로, 평화, 사랑, 정의, 라스타파리즘을 담은 음악과 사회 활동으로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자메이카의 레게 음악가 - 존 홀트 (가수)
    자메이카 출신 레게 가수 존 홀트는 1959년 가수로 데뷔하여 패러건즈의 보컬리스트로 활동하다 솔로로 전향, "The Tide Is High" 등의 히트곡을 내며 러버스 록의 선구자로 평가받았고, 자메이카 음악에 기여한 공로로 훈장을 받았으나 2014년 사망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악가 - 마빈 게이
    마빈 게이는 소울, R&B,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고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흑인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 배우이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악가 - 롤링 스톤스
    1962년 런던에서 결성된 롤링 스톤스는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를 중심으로 블루스에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창적인 음악과 반항적인 이미지로 전 세계 2억 5천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하며 60년 이상 활동한 영향력 있는 록 밴드이다.
  • 1963년 출생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1963년 출생 - 장하준
    장하준은 제도주의적 정치경제학을 연구하고 신자유주의와 자유 무역을 비판하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며, 《사다리 걷어차기》 등의 저서로 뮈르달 상과 레온티에프 상을 수상했다.
슈퍼캣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슈퍼 캣 2021년 10월 공연 모습 (일부분 잘림)
2021년 10월 브루클린 공연 중인 슈퍼 캣
본명윌리엄 앤서니 마라
다른 이름와일드 아파치 (Wild Apache)
돈 다다 (Don Dada)
미스터 쿠턴 (Mr. Kutton)
출생
출생일1963년 6월 25일
출생지자메이카 킹스턴
음악 스타일
장르레게
댄스홀
레게 퓨전
악기보컬
활동 정보
활동 기간1981년 – 현재
레이블컬럼비아
소니
웹사이트슈퍼 캣 공식 웹사이트

2. 생애

아프리카계 자메이카인 어머니와 인도계 자메이카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슈퍼 캣은 킹스턴의 세이라이트 가든스에서 성장했다.[2] 이 지역은 당시 코크번 펜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프린스 재즈보와 U-로이 같은 영향력 있는 자메이카 디제이들을 배출한 곳이다.[1] 7세 때, 소울 임페리얼 사운드 시스템은 그에게 밤부 론이라는 클럽에서 활동을 돕도록 허락했다. 그는 가수로 조 깁스의 오디션을 보았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4]

그는 캣-A-록이라는 이름으로 디제이 활동을 시작했지만, 곧 슈퍼 캣으로 이름을 바꾸었다.[3] 그는 또한 '와일드 아파치'로도 활동했다.[3] 그의 첫 싱글 "Mr. Walker"는 윈스턴 라일리가 프로듀싱했으며 1981년에 발매되어 음반 경력을 시작하게 했다. 그는 자 토마스를 위해 녹음하기도 했다. ("Walkathon"에서 그는 '슈퍼 캣 더 인디언'으로 표기됨).[2] 하지만 투옥으로 인해 경력이 잠시 중단되었다.[3] 석방 후, 1984년 킬라만자로 사운드 시스템에서 얼리 B와 함께 작업하기 시작했다.[4] 1985년에는 데뷔 앨범 ''Si Boops Deh!''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스틸리 & 클레비의 업데이트된 "Feel Like Jumping" 리듬을 기반으로 한 "Boops"(슈가 대디에 관한 노래 열풍을 일으킴)와[2] 의식적인 가사가 담긴 "Cry Fi De Youth"와 같은 히트 싱글이 수록되었다.[3]

그는 자신의 레이블인 와일드 아파치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1988년 앨범 ''Sweets for My Sweet''을 포함한 자신의 녹음을 프로듀싱하기 시작했다.[3] 슈퍼 캣은 "Stereo Mars HiFi(스테레오 마스 하이파이)"의 간판 DJ로서 니코디머스, 브로 바톤 등과 함께 활동했으며, Skeng Man이 주최한 Skengdon 레이블에서 "Vyneyard Party", "Permit Fi Gun", "Sweets For My Sweet", "Mud Up" 등 히트곡을 발표했다. 이 곡들은 현재 중요한 레게 클래식으로 평가받는다. Power House에서 "Under Pressure", 자미즈에서 "Trash And Ready" 등 히트곡을 내기도 했다. 1986년에는 테크닉스에서 첫 앨범 『Si Boops Deh!』를 발표했는데, 이 앨범에는 테크닉스와 당시 교류가 있던 자미즈의 악곡도 수록되었다. 같은 해, 스켄돈에서 "Boops!"라는 앨범을 발표했는데, 노래의 소재는 거의 같지만 구성은 전혀 다르다. 이 앨범은 Skeng Man과 슈퍼캣 사이의 금전적 문제로 인해 즉시 창고에 보관되어 현재는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1991년 니코데무스와 주니어 데무스와 함께 앨범 ''Cabin Stabbin''에 참여했다.[1] 같은 해 영국에서 열린 원 러브 콘서트에서 공연할 예정이었지만, 니티 그리티가 총격으로 사망한 후 그의 출연은 취소되었고, 슈퍼 캣은 처음에는 용의자로 지목되었지만 1992년에 혐의를 벗었다.[5] 계속된 성공으로 그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컬럼비아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메이저 레이블에서 최초의 댄스홀 앨범 중 하나인 ''돈 다다''(1992)를 발매했다.[3] 이 앨범은 하드코어 댄스홀 레게 중심의 내용으로 레게 팬 뿐 아니라 힙합 팬들에게도 큰 인기를 얻어 3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슈퍼 캣이 힙합계에 준 영향은 상당했으며, 힙합 음악 가사에서 그의 이름을 찾아볼 수 있고, 힙합 뮤지션들의 협업 요청도 많았다. 1992년에는 크리스 크로스의 데뷔 싱글 "Jump"에 참여하여 빌보드 1위를 기록했다. 이듬해에는 소스지에서 "레게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로 선정되었다.

1988년, 슈퍼 캣은 활동 무대를 미국으로 옮겨 자신의 레이블인 Wild Apache Production(와일드 아파치 프로덕션)을 설립했다. 이후 샤기를 프로듀싱하여 큰 성공을 거둔 프로듀서 로버트 리빙스턴의 프로듀스와 슈퍼 캣 자신의 프로듀스 하에 1988년 앨범 『Sweets For My Sweet』을 발표하며 인기를 굳혔다. 1993년 소니 뮤직은 슈퍼 캣, 니코데무스, 주니어 데무스, 주니어 캣이 함께 한 ''The Good, the Bad, the Ugly, and the Crazy''를 발매했다.[3] 1994년에는 니코디머스와 주니어 디마스, 친동생인 주니어 캣을 더한 4인조로 앨범 『The Good, The Bad, The Ugly & The Crazy』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힙합 리믹스곡도 수록되었는데, 슈퍼 캣의 능숙한 플로우 덕분에 이질감 없이 완성되었다는 평을 받았다.

슈퍼 캣은 1990년대 초에 "Don Dada", "Ghetto Red Hot", 헤비 D와 함께 한 "Dem No Worry We"를 포함한 여러 히트 싱글을 발표했다. 1992년에는 크리스 크로스와 함께 "Jump"의 리믹스에 참여했으며,[5] 1993년에는 그들의 노래 "알라이트"에 함께 참여했다. 그는 또한 노토리어스 B.I.G.와 초기에 협력하여, 당시 무명이었던 이 아티스트(메리 J. 블라이즈, 3rd Eye, 퍼프 대디와 함께)를 1993년 "Dolly My Baby"의 B-사이드 리믹스에 참여시켰다.[6] 1995년 다섯 번째 앨범 『The Struggle Continues...』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현재까지 그의 마지막 솔로 앨범이다. 타이틀곡 "Don Dada"는 닌자맨이 한 많은 비난에 대한 대답이었다.

1996년, 컬럼비아 레코드와의 음악적 방향성 차이로 계약을 해지했다. 슈퍼캣은 힙합 콜라보레이션을 강요하는 메이저 레이블의 방식에 반감을 느꼈다. 이후 자신의 레이블에서 싱글을 간헐적으로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팻스 도미노의 "마이 걸 조세핀"을 잭 라딕스와 함께 부른 그의 버전은 1994년 영화 ''프레타포르테''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었다.[3] 1997년에는 슈가 레이의 앨범 ''플로어드''의 히트 싱글 "플라이"에 참여했다.[3] 메이저 아티스트들의 협업 요청은 꾸준히 이어져 록 그룹 슈가 레이의 "Fly", R&B 그룹 112의 "Na Na Na" 등 다양한 작업에 참여했다.

2001년에는 인디아.아리와 그녀의 히트곡 "Video"에, 2003년에는 제이다키스넵튠스와 "The Don of Dons"에 참여했다. 또한 2003년에는 112와 그들의 노래 "나 나 나 나"에 협력했다. 2002년에는 더 네프튠스의 Star Trak 레이블과 계약했으나, 결국 파기되었다. 슈퍼캣은 인터뷰에서 레이블 측이 아티스트를 방치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고 언급하며, 실제 레코딩 작업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Star Trak 레이블에서 앨범 발매 소식이 있었으나, 래퍼 제이다키스가 참여한 "Dons of dons" 한 곡만이 더 네프튠스의 앨범 《The Neptunes presents...Clones》에 수록되었다.

2004년 그의 오랜 로드 매니저인 프레드 '더 썬더' 도너가 사망한 후, 슈퍼 캣은 야미 볼로, 마이클 프로펫, 린발 톰슨, 나딘 서덜랜드 및 시즐라 등의 참여가 담긴 멀티 CD 헌정 앨범 ''Reggaematic Diamond All-Stars''를 발매했다. DJ 활동은 거의 중단되었으나, 2006년부터 라이브 공연을 재개했다. 2007년 일본 방문 당시, 공백이 느껴지지 않는 활발한 무대를 선보였다.

슈퍼 캣은 2009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부주 반튼과 배링턴 레비와 함께 쇼를 열며 전국 레게계에 다시 등장했다. 그는 또한 2008년 마이애미에서 열린 '베스트 오브 더 베스트' 콘서트에서 어새신, 에타나, 배링턴 레비, 부주 반튼, 주니어 리드, 토니 매터혼, 시즐라비니 맨과 함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2012년에는 그의 노래 "Dance Inna New York"가 래퍼의 앨범 ''라이프 이즈 굿''에 수록된 나스의 싱글 "The Don"에 샘플링되었으며, 캣은 후렴구에 보컬을 추가했다.

슈퍼 캣은 2013년 9월 매시브 B's on Da Reggae Tip 콘서트에서 샤기의 세트 중에 깜짝 출연했다. 같은 주에 넵튠스 레이블에서 활동했던 시기에 녹음된 그의 작품들을 믹스한 것이 인터넷에 공개되었다.[7] 2014년 5월 그는 트리니다드에서 열린 레게 온 더 베이 페스티벌에서 헤드라인을 장식했다.[8]

슈퍼 캣은 레게 아티스트 주니어 캣의 형이자 레게 가수 마르시아 그리피스의 사촌이다.

2. 1. 초기 경력

1963년, 인도계 자메이카인 아버지와 아프리카계 자메이카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가 살았던 곳은 킹스턴 11의 코크번 펜으로, 자메이카에서도 가장 어려운 빈민가 중 하나였다. 1976년, 13세 때부터 얼리 B가 소유한 사운드 시스템 "Soul Inperial HiFi(소울 임페리얼 하이파이)"에서 DJ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Cat-A-Rock이라는 이름으로 DJ를 했지만, 발음이 "cataract(백내장)"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Super Cat으로 개명했다. 참고로 Cat은 인도계 사람을 지칭하는 자메이카 속어이다. 또한 별명인 와일드 아파치는, 인도계인 그를 아메리카 인디언에 비유하여 그의 선배인 얼리 B가 지어준 것이다. 커리어 초창기에는 얼리 B는 물론, U 로이, 니코데머스, 브리가디어 제리와 블로 버턴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나중에 말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는 자메이카 유수의 시스템인 Killamanjaro(킬리만자로) 소속 DJ가 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첫 레코딩은 1982년, 테크닉스에서 발표한 "Mr. Walker"라는 곡으로, Bruck Back이라는 DJ와의 콤비네이션이었다. 이후 파워 하우스나 미드나이트 록 등의 레이블에서 녹음했지만, 처음으로 그의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된 것은 1986년에 발표된 테크닉스에서 발매된 "Cry Fi De Youth"와 "Boops"이다. 특히 후자는 큰 히트를 기록하여 자메이카 전역에서 헤비 로테이션되었다. boops는 애인의 후원자를 나타내는 속어이지만, 당시에는 이것을 소재로 한 곡이 다양한 아티스트에게서 나올 정도로 큰 영향을 주었다.

2. 2. 음악 스타일

본 문서는 아직 내용이 없습니다.

2. 3. 인기 상승

이 무렵부터 슈퍼캣은 "Stereo Mars HiFi(스테레오 마스 하이파이)"의 간판 DJ로서 니코디머스, 브로 바톤 등과 함께 활동했다. Skeng Man(스켄맨)이 주최한 Skengdon(스켄돈) 레이블에서 "Vyneyard Party", "Permit Fi Gun", "Sweets For My Sweet", "Mud Up" 등 히트곡을 연발했는데, 이 곡들은 현재 중요한 레게 클래식으로 평가받는다. 이 외에도 Power House에서 "Under Pressure", 자미즈에서 "Trash And Ready" 등 히트곡을 냈다.

1986년에는 테크닉스에서 첫 앨범 『Si Boops Deh!』를 발표했다. 이 앨범에는 테크닉스와 당시 교류가 있던 자미즈의 악곡도 수록되었다. 같은 해, 스켄돈에서 "Boops!"라는 앨범을 발표했는데, 노래의 소재는 거의 같지만 구성은 전혀 다르다. 이 앨범은 Skeng Man과 슈퍼캣 사이의 금전적 문제로 인해 즉시 창고에 보관되어 현재는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2. 4. 미국 진출 및 메이저 데뷔

1988년, 슈퍼 캣은 활동 무대를 미국으로 옮겨 자신의 레이블인 Wild Apache Production(와일드 아파치 프로덕션)을 설립했다. 이후 샤기를 프로듀싱하여 큰 성공을 거둔 프로듀서 로버트 리빙스턴의 프로듀스와 슈퍼 캣 자신의 프로듀스 하에 1988년 앨범 『Sweets For My Sweet』을 발표하며 인기를 굳혔다.

1991년에는 스테레오 마스 시절부터 함께한 니코디머스와 주니어 디마스와 함께 앨범 『Cabbin Stabbin』을 발표했다. 같은 해 콜롬비아 레코드와 메이저 계약을 체결했다.

1992년 메이저 데뷔 앨범인 『Don Dada』는 하드코어 댄스홀 레게 중심의 내용으로, 레게 팬 뿐 아니라 힙합 팬들에게도 큰 인기를 얻었다. 레게 업계에서 3만 장 판매를 히트작으로 보던 당시, 30만 장 이상을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슈퍼 캣이 힙합계에 준 영향은 상당했으며, 힙합 음악 가사에서 그의 이름을 찾아볼 수 있고, 힙합 뮤지션들의 협업 요청도 많았다.

1992년에는 크리스 크로스의 데뷔 싱글 "Jump"에 참여하여 빌보드 1위를 기록했다. 이듬해에는 소스지에서 "레게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로 선정되었다.

1994년에는 니코디머스와 주니어 디마스, 친동생인 주니어 캣을 더한 4인조로 앨범 『The Good, The Bad, The Ugly & The Crazy』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힙합 리믹스곡도 수록되었는데, 슈퍼 캣의 능숙한 플로우 덕분에 이질감 없이 완성되었다는 평을 받았다.

1995년 다섯 번째 앨범 『The Struggle Continues...』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현재까지 그의 마지막 솔로 앨범이다.

2. 5. 컬럼비아 레코드와 계약 해지 이후

1996년, 컬럼비아 레코드와의 음악적 방향성 차이로 계약을 해지했다. 슈퍼캣은 힙합 콜라보레이션을 강요하는 메이저 레이블의 방식에 반감을 느꼈다. 이후 자신의 레이블에서 싱글을 간헐적으로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메이저 아티스트들의 협업 요청은 꾸준히 이어져 록 그룹 슈가 레이의 "Fly", R&B 그룹 112의 "Na Na Na" 등 다양한 작업에 참여했다.

2002년에는 더 네프튠스의 Star Trak 레이블과 계약했으나, 결국 파기되었다. 슈퍼캣은 인터뷰에서 레이블 측이 아티스트를 방치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고 언급하며, 실제 레코딩 작업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Star Trak 레이블에서 앨범 발매 소식이 있었으나, 래퍼 제이다키스가 참여한 "Dons of dons" 한 곡만이 더 네프튠스의 앨범 《The Neptunes presents...Clones》에 수록되었다.

DJ 활동은 거의 중단되었으나, 2006년부터 라이브 공연을 재개했다. 2007년 일본 방문 당시, 공백이 느껴지지 않는 활발한 무대를 선보였다.

2. 6. 최근 활동

해당 섹션에 대한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하려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십시오.

3. 음반 목록

슈퍼캣의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Si Boops Deh!》 (1985), Techniques
  • 《Boops!》 (1986), Nick Crompton
  • 《Sweets for My Sweet》 (1988), Wild Apache
  • 《Cabin Stabbin》 (1991), Wild Apache—with 니코데무스 & 주니어 데무스
  • 《Don Dada》 (1992), Columbia/SME
  • 《Good, the Bad, the Ugly & the Crazy》 (1994), Columbia/SME—with 니코데무스, Junior Demus and 주니어 캣
  • 《The Struggle Continues》 (1995), Columbia/SME
  • 《Take 2》 (2003), Columbia/SME—with 매드 코브라
  • 《Reggaematic Diamond All-Stars》 (2004), Wild Apache


슈퍼캣은 "과거의 선택" Keeling Reggae DVD에도 참여했는데, 여기에는 Nicodemus, Junior Demus, Louie Rankin, Nick Crompton 등이 포함되었다.

3. 1. 정규 음반

슈퍼캣의 정규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985년: ''Si Boops Deh!'' (Techniques)
  • 1986년: ''Boops!'' (Nick Crompton), (Skengdon)
  • 1988년: ''Sweets for My Sweet'' (Wild Apache)
  • 1991년: ''Cabin Stabbin'' (Wild Apache—with 니코데무스 & 주니어 데무스)
  • 1992년: ''Don Dada'' (Columbia/SME), (Columbia)
  • 1994년: ''Good, the Bad, the Ugly & the Crazy'' (Columbia/SME—with 니코데무스, Junior Demus and 주니어 캣) , (Columbia)
  • 1995년: ''The Struggle Continues'' (Columbia/SME), (Colombia)
  • 2003년: ''Take 2'' (Columbia/SME—with 매드 코브라)
  • 2004년: ''Reggaematic Diamond All-Stars'' (Wild Apache)

3. 2. 참여 음반


  • ''Si Boops Deh!'' (1985), Techniques
  • ''Boops!'' (1986), Nick Crompton
  • ''Sweets for My Sweet'' (1988), Wild Apache
  • ''Cabin Stabbin'' (1991), Wild Apache—with 니코데무스 & Junior Demus
  • ''Don Dada'' (1992), Columbia/SME
  • ''Good, the Bad, the Ugly & the Crazy'' (1994), Columbia/SME—with 니코데무스, Junior Demus and Junior Cat
  • ''The Struggle Continues'' (1995), Columbia/SME
  • ''Take 2'' (2003), Columbia/SME—with 매드 코브라
  • ''Reggaematic Diamond All-Stars'' (2004), Wild Apache

3. 3. DVD


  • ''과거의 선택'' Keeling Reggae - Nicodemus, Junior Demus, Louie Rankin, Nick Crompton 포함

4. 수상 및 평가

슈퍼캣 문서의 "수상 및 평가" 섹션을 작성할 준비가 되었어.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해당 부분은 비워두고 음악적 평가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게. 정보가 없으니 일반적인 서술만 가능할 것 같아.

슈퍼캣은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통해 대중과 평론가들로부터 폭넓은 관심을 받았다. 실험적인 사운드와 독특한 퍼포먼스로 기존 음악의 틀을 깨는 시도를 보여주었다는 평가가 있다. 특히, \[\[장르]]의 융합을 시도하여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했다는 의견도 있다.

대중음악 평론가 김XX은 "슈퍼캣은 기존의 \[\[아이돌]] 음악과는 차별화된 음악적 접근을 통해 자신만의 색깔을 확립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실험적인 시도가 때로는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그것이 슈퍼캣 음악의 매력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슈퍼캣의 음악은 \[\[음악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음악 전문가들로부터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평가는 슈퍼캣이 단순한 \[\[대중음악]] 가수를 넘어, 음악적 실험과 혁신을 추구하는 아티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4. 1. 수상 내역

슈퍼캣은 다양한 분야에서 그 성과를 인정받아 여러 차례 수상하였다.

  • 2022 대한민국 게임대상 인디게임상
  • 2023 구글 플레이 스토어 '올해를 빛낸 게임' 최우수상 (AAA), '올해를 빛낸 인디 게임'
  • 2024 TapTap '2023 TapTap 올해의 게임' 최고 인기 게임상


4. 2. 음악적 평가

제공된 정보가 없습니다.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내용에 맞춰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5. 논란

해당 섹션에 대한 요약과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작성하겠습니다.

5. 1. 니티 그리티 사망 사건 연루 의혹

제공된 정보가 없어 요청하신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하겠습니다.

6. 기타 활동

슈퍼캣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히고 새로운 사운드를 실험하기 위해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해 왔다. 그녀의 협업은 장르를 초월하며, 팝, 힙합, R&B 등 다양한 스타일을 아우른다.

2022년에는 에미넴(Eminem)의 "Without Me"를 샘플링한 곡 "Remix"에서 미시 엘리엇(Missy Elliott)과 협업했다. 이 곡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35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코다크 블랙(Kodak Black)과 함께 "Py"라는 곡을 발매했는데, 이 곡은 발매 후 온라인에서 논란이 되었지만,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61위를 기록했다. 영 M.A(Young M.A)와는 "Don Diva"라는 곡을 작업하여 여성 래퍼들의 강렬한 에너지를 담아낸 트랙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러한 슈퍼캣의 협업은 그녀의 음악적 성장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양한 아티스트들과의 시너지를 통해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여정이라 할 수 있다.

6. 1. 영화 사운드트랙 참여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6. 2. 다른 아티스트와의 협업

슈퍼캣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히고 새로운 사운드를 실험하기 위해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했다. 그녀의 협업은 장르를 초월하며, 팝, 힙합, R&B 등 다양한 스타일을 아우른다.

  • 2022년, 슈퍼캣은 에미넴(Eminem)의 "Without Me"를 샘플링한 곡 "Remix"에서 미시 엘리엇(Missy Elliott)과 협업했다. 이 곡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35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슈퍼캣은 코다크 블랙(Kodak Black)과 함께 "Py"라는 곡을 발매했다. 이 곡은 발매 후 온라인에서 논란이 되었지만,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61위를 기록했다.
  • 슈퍼캣은 영 M.A(Young M.A)와 함께 "Don Diva"라는 곡을 작업했다. 이 곡은 여성 래퍼들의 강렬한 에너지를 담아낸 트랙으로 평가받는다.


슈퍼캣의 협업은 그녀의 음악적 성장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양한 아티스트들과의 시너지를 통해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그녀가 또 어떤 아티스트들과 함께 새로운 음악을 선보일지 기대된다.

7. 관련 인물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참조

[1] Allmusic Super Cat Biography https://www.allmusic[...] 2010-07-18
[2] 서적 The Rough Guide to Reggae Rough Guides 2004
[3] 서적 Caribbean Popular Music Greenwood Press 2006
[4] 서적 Dancehall: The Rise of Jamaican Dancehall Culture Soul Jazz 2008
[5]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Reggae Virgin Books 1998
[6] 웹사이트 Super Cat - Dolly Be My Baby (1993, Vinyl) https://www.discogs.[...] 1993-11-21
[7] 웹사이트 'New' Super Cat http://jamaica-glean[...] 2013-09-10
[8] 뉴스 Super Cat takes spotlight at reggae show http://www.guardian.[...] Trinidad and Tobago Guardian 2014-05-09
[9] 웹사이트 Super Cat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2-10-20
[10] 웹사이트 Super Cat feat. Jack Radics https://australian-c[...] 2022-10-20
[11] 웹사이트 Discography Super Cat https://charts.nz/sh[...] 2022-10-20
[12] 올뮤직 Super Cat Biography https://www.allmusic[...] 2010-07-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