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노클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노클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에 언급될 정도로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스노클, 다이빙 마스크, 오리발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수면에서 수중을 탐험하는 활동이다. 스노클링은 스노클을 입에 물고 호흡하며, 마스크를 통해 시야를 확보하고 오리발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최근에는 풀페이스 스노클 마스크가 개발되어 코와 입으로 호흡이 가능해졌다. 스노클링은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해양 생물과 환경을 보호하며 즐겨야 하며, 얕은 산호초나 난파선 등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빙 - 스쿠버 장비
    스쿠버 장비는 자가용 수중 호흡 장치로, 다이버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게 해주며, 개방회로식과 재호흡기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고, 다이빙 실린더, 레귤레이터, 하네스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이빙 - 동굴 다이빙
    동굴 다이빙은 자연광이 없는 수중 동굴을 탐험하는 테크니컬 다이빙의 한 분야로, 레크리에이션과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나뉘며, 엄격한 안전 수칙 준수와 전문적인 교육이 필수적이다.
  • 다이빙 장비 - 잠수복
    잠수복은 수중 활동 시 체온 유지와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의류로, 네오프렌 소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보온성과 유연성은 네오프렌 두께, 소재, 봉제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 다이빙 장비 - 소나
    소나는 음파를 사용하여 수중 물체를 탐지하고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능동 소나와 수동 소나로 나뉘며 군사 및 민간 분야에서 널리 쓰이지만 해양 생태계에 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
스노클링
스노클링
개요
정의수면 또는 수중에서 스노클을 사용하여 호흡하면서 수영하는 활동
장비
필수 장비스노클
수경
오리발
추가 장비잠수복
웨트수트
부력 조절 장치
특징
활동 장소바다
호수

수영장
관련 활동스쿠버 다이빙
프리 다이빙
안전 수칙항상 다른 사람과 함께 스노클링을 한다.
기상 조건과 물 상태를 확인한다.
장비를 제대로 사용한다.
자신의 체력과 기술 수준을 고려한다.
해양 생물을 존중하고 만지지 않는다.
선크림을 바르고 햇볕에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기타
관련 용어스노클 마스크
스노클 튜브
마우스피스
피닝
스노클링 조끼

2. 역사

스노클링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동물의 부분(Parts of the Animals)''에도 언급된다. 그는 코끼리의 코처럼 생긴 도구를 이용하면 다이버들이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한편, 기원전 5,000년 경 크레타섬에서 해면 동물을 채취하기 위해 스노클링과 유사한 활동이 시작되었다는 주장도 있다.[38]

3. 장비

스노클링을 즐기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적인 장비가 필요하다. 가장 필수적인 것은 호흡을 위한 스노클과 물 속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다이빙 마스크 또는 수영 고글이다. 물 속에서 더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오리발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지역이나 수온, 활동 목적에 따라 추가적인 장비를 갖추기도 한다. 차가운 물이나 강한 햇볕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해파리와 같은 해양 생물에 쏘이거나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웨트슈트, 드라이슈트, 다이빙 스킨, 래시가드 등의 보호복을 입는다. 피부 보호를 위해 방수 선크림을 바르기도 하지만, 일부 제품은 해양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더 깊이 잠수하는 프리다이빙을 즐기거나 부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웨이트벨트를 착용하며, 안전을 위해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부력 보조 장비인 스노클링 조끼를 입기도 한다.

스노클링은 스쿠버다이빙에 비해 장비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스노클, 마스크, 오리발의 소위 '3점 세트'만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으며, 장비가 가볍고 비교적 저렴하다. 또한 스쿠버다이빙처럼 별도의 자격증(C카드)을 취득할 필요가 없고, 해안가 등 접근하기 쉬운 곳에서도 활동할 수 있어 간편한 레저 스포츠로 인기가 높다.

스노클을 사용할 때는 입으로만 숨을 쉬게 되므로, 실수로 코로 숨을 쉬어 물을 마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까지 덮어주는 다이빙 마스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1. 스노클

꼭대기에 흡입 방지가 된 수영 스노클


스노클(snorkeleng)은 착용자의 머리가 물 속에 잠겨 입과 코가 물에 잠긴 상태에서도 수면 위의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길이는 약 30cm, 내부 직경은 1.5~2.5cm 정도이며, L자 또는 J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튜브 아래쪽 끝에 입에 무는 마우스피스가 달린 형태가 많다. 주로 고무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이 장비를 사용하면 잠수 중인 사람이 물을 들이마시지 않고 쉽게 숨을 쉴 수 있다. 스노클은 수영이나 스노클링 뿐만 아니라 프리다이빙, 핀수영 등 다양한 수중 활동스쿠버 장비를 이용한 수면 호흡에도 사용된다.

스노클만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다이빙 마스크 및 오리발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스노클에는 기본적인 형태 외에도 얼굴 전체를 덮는 풀페이스 마스크 형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3. 1. 1. 일반 스노클



스노클을 착용한 사람


스노클은 착용자의 머리가 물 속에 있으며 입과 코가 잠긴 상태에서도 수면 위의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길이는 약 30cm이고 내부 직경은 1.5~2.5cm 정도이며, L자 또는 J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튜브 형태가 많다. 튜브 아래쪽 끝에는 입에 무는 마우스피스가 달려 있으며, 재질은 주로 고무플라스틱, 가벼운 금속 등이 사용된다.

스노클은 수영용으로 사용되거나 다이빙 마스크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마스크와 통합된 형태도 있지만, 이는 수면 스노클링에만 적합하다. 분리형 스노클은 창포작업, 프리다이빙, 핀수영, 수중 하키, 수중 럭비와 같은 다양한 수중 활동이나 스쿠버 장비를 이용한 수면 호흡에도 사용될 수 있다.

스노클을 마스크에 고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고무 고리나 플라스틱 클립을 이용해 다이빙 마스크의 머리 스트랩 바깥쪽에 부착하는 것이다. 마스크 스트랩과 머리 사이에 튜브를 끼워 고정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불편함을 유발하거나 마스크에 물이 새게 하거나 스노클을 잃어버릴 위험이 있다.[24] 다른 부착 방식으로는 몸통 자체에 스트랩 고정 부분이 몰딩되어 있거나, 8자 모양의 고무 키퍼, 또는 회전식 플라스틱 키퍼를 사용하기도 한다.

스노클 부착 방법


기본적인 스노클 모양


스노클은 장착 위치에 따라 전면 장착형과 측면 장착형으로 나뉜다. 1938년에 특허를 받은 최초의 스노클은 전면 장착형으로, 얼굴 앞쪽에 튜브를 위치시키고 브래킷으로 마스크에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1950년대 후반 측면 장착형 스노클이 주류가 되기 전까지 유럽에서 인기를 끌었다. 이후 전면 장착형 스노클은 수영장 훈련이나 핀수영 경주용 장비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유선형 측면에서 측면 장착형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스노클의 몸통은 상단의 공기 흡입구에서 하단의 마우스피스까지 이어지는 속이 빈 튜브이다. 몸통의 재질은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경금속, 또는 단단한 고무 등이 사용된다. 몸통 내부 공간의 길이, 직경, 구부러진 정도는 모두 호흡 저항에 영향을 미친다. 몸통 상단은 공기가 통하도록 열려 있거나,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밸브가 장착된 경우도 있다. 다른 수상 활동 이용자에게 스노클러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상단에 눈에 잘 띄는 색상의 밴드가 부착되기도 한다.

스노클 마우스피스


마우스피스는 스노클을 입에 고정시키는 부분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초기에는 천연 고무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실리콘이나 PVC 재질이 주로 쓰인다. 가장 흔한 디자인은 입술 안쪽에 위치하며 이빨로 가볍게 물 수 있는 두 개의 돌기가 있는 형태이다.[1] 마우스피스를 너무 세게 물면 이빨과 마우스피스 사이의 공기 통로가 좁아져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턱의 피로감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스노클 사용 시 주의할 점은 호흡 사강 문제이다. 숨을 내쉴 때 스노클 튜브 안에 남았던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공기 일부를 다음 호흡 시 다시 들이마시게 된다. 이는 신선한 공기의 흡입량을 줄이고 혈액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여 과탄산혈증을 유발할 위험을 높인다. 튜브의 부피가 크거나 사용자의 일회호흡량이 작을수록 이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 반대로 튜브 직경이 너무 작으면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이 커져 호흡작업이 증가한다. 다이빙 마스크의 내부 공간까지 호흡 경로에 포함되면 사강은 더욱 커진다. 스노클링 중 가끔 코로 숨을 내쉬면 이산화탄소 축적을 줄이고 마스크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차가운 물에서는 마스크에 김이 서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더 깊고 천천히 호흡하면 사강의 영향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스노클은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튜브 끝을 수면 위로 내밀어 숨을 쉬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스노클을 착용하면 입으로만 호흡하게 되므로, 실수로 코로 숨을 쉬어 물을 들이마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까지 덮는 전용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노클만으로도 수영이 가능하지만, 보통은 마스크 및 오리발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3. 1. 2. 풀페이스 스노클 마스크

데카트론 이지브레스 스노클 마스크


새로운 형태의 스노클 마스크는 눈, 코, 입 전체를 덮는 풀페이스 마스크이다. 이 마스크는 수면에서 스노클링을 할 때 사용자가 코나 입으로 자유롭게 호흡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일반적인 스노클의 마우스피스를 물었을 때 구역질 반사를 느끼는 사람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초기의 스노클 마스크 중 일부는 눈, 코, 입을 모두 덮는 형태였지만, 입을 제외하고 눈과 코만 덮는 형태도 있었다. 1950년대 US 다이버스의 "마리노" 모델은 눈과 코를 덮는 단일 마스크와 입을 위한 별도의 스노클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형태였다.[2]

풀페이스 스노클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마스크와 스노클이 하나로 합쳐진 일체형 구조를 지닌다. 숨을 들이쉬는 통로와 내쉬는 통로가 분리되어 있어, 이론적으로 사용자가 호흡량에 관계없이 항상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마스크에는 '드라이톱(dry-top)' 스노클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다. 이는 물에 잠겼을 때 스노클 상단의 공기 유입구를 막아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일반적인 볼 플로트(ball float) 시스템뿐만 아니라, 소량의 물이 스노클 안으로 들어오더라도 얼굴에서 멀리 떨어진 마스크의 턱 부분으로 배출되도록 설계된 구조를 포함한다. 턱 아래 부분에는 특수한 밸브가 있어 고인 물을 쉽게 밖으로 내보낼 수 있다.

그러나 풀페이스 마스크에는 몇 가지 문제점도 지적된다. 가장 큰 문제는 얼굴 전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야 물이 새지 않는데, 사람마다 얼굴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에게는 제대로 밀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물이 마스크 안으로 들어오면, 계속 호흡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전체를 벗어야 할 수도 있다. 또한, 마스크가 단단한 플라스틱 구조로 코를 덮고 있어 코를 손으로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스노클러가 코를 잡지 않고 압력을 평형시키는 기술(예: 발살바 기법)을 사용하지 못한다면 깊은 수심으로 잠수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풀페이스 마스크는 주로 수면이나 수면 가까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숙련된 스쿠버 다이버들은 풀페이스 스노클 마스크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의학적 상태로 인해 스쿠버 다이빙을 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스노클 마스크가 유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4]

하와이에서 짧은 기간 동안 스노클링 관련 사망 사고가 이례적으로 많이 발생했을 때,[5] 풀페이스 마스크 디자인이 CO2의 과도한 축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마스크 자체에 명확한 결함이 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하와이 주 당국은 스노클링 사망 사고 시 사용된 장비를 추적하기 시작했다. 마스크 자체의 문제 가능성 외에도, 풀페이스 마스크가 기존 스노클링 장비 사용에 어려움을 겪던 사람들에게 스노클링을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점도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성 향상이 경험이 부족하거나 기저 질환이 있는 스노클러의 수를 늘려, 장비 유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다른 요인들로 인한 사고 위험을 높였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6]

한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의료 장비가 부족해졌을 때, 풀페이스 스노클 마스크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최소한의 수정만으로 산소 공급용 응급 호흡 마스크로 개조되어 활용되기도 했다.[7][8][9] 이탈리아에서는 환자가 병원에서 호흡 지원을 위해 개조된 스노클 마스크를 제공받을 경우, 인증되지 않은 생의학 장치 사용에 동의한다는 서명서를 제출해야 했다. 프랑스의 주요 스포츠 용품 소매업체이자 스노클 마스크 생산업체인 데카트론은 한때 스노클 마스크 판매를 중단하고 생산 물량을 의료진, 환자, 3D 프린터 운영자에게 우선 공급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소매 판매를 재개했다.[10]

3. 2. 다이빙 마스크

일반적인 스노클링 장비: 스노클, 다이빙 마스크, 오리발


스노클러들은 일반적으로 스쿠버 다이버들이 착용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다이빙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 마스크는 눈 앞에 공기층을 만들어 스노클러가 물속에서도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든 스쿠버 다이빙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구성된다.

  • 렌즈(페이스플레이트): 물속을 보는 창 역할을 한다.
  • 스커트: 부드러운 고무 재질로 만들어져 코를 감싸고 얼굴에 밀착되어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 헤드 스트랩: 마스크를 머리에 고정시켜 준다.


마스크는 타원형 모델부터 내부 부피가 작은 모델까지 다양한 스타일과 모양이 있으며, 재질 또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된다.

스노클을 사용하면 입으로만 호흡하게 되는데, 이때 실수로 코로 숨을 쉬어 물을 들이마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까지 완전히 덮는 형태의 다이빙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물 표면에서만 머무는 경우에는 코를 덮지 않는 수영 고글을 사용하기도 한다.

3. 3. 오리발

오리발(수영핀, swimfins|eng, fins|eng, flippers|eng)은 발에 착용하는 지느러미 모양의 장비로, 보통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수상 스포츠 활동에서 물 속 이동을 돕는다. 스노클링 시 보다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오리발을 흔히 사용한다.

오리발은 인간의 발이 물속에서 추진력을 얻기에 너무 작고 비효율적인 모양이기 때문에 필요하다. 특히 다른 장비를 착용하여 유체 역학적 항력이 증가할 때 오리발은 효율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오리발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프리다이빙 선수들이 사용하는 매우 긴 핀이나 모노핀은 다리를 자주 움직일 필요가 없어 효율성을 높이고 산소 소비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반면, 짧고 단단한 날을 가진 핀은 빠른 속도를 내거나 방향 전환을 할 때 유리하다. 오픈백(open-back|eng) 형태의 오리발은 웨트슈트 양말이나 부츠 위에 착용할 수 있어 차가운 물에서 스노클링을 할 때 유용하다.

3. 4. 기타 장비

추위, 햇볕, 해양 생물의 쏘임이나 긁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상황에 맞는 보호복을 착용하기도 한다. 지역과 수온에 따라 웨트슈트, 드라이슈트, 다이빙 스킨, 또는 래시가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방수 선크림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 제품은 해양 환경에 해를 끼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필요에 따라 프리다이빙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웨이트벨트를 착용하거나, 안전을 위해 부력을 확보하는 개인 부양 장비의 일종인 스노클링 조끼를 입기도 한다.

  • 웨트슈트: 주로 발포 네오프렌으로 만들어지며, 옷감 내부에 포함된 기포가 물 속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단열 효과를 낸다. 또한 부력을 제공하고, 마찰이나 자외선, 해양 생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슈트의 두께, 몸에 맞는 정도, 덮는 범위가 단열 성능에 중요하며, 후드, 장갑, 부츠 등을 추가하여 보호 범위를 넓힐 수 있다.
  • 드라이슈트: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는 스노클링 시 얇은 고무 재질의 드라이슈트를 입는 경우가 많았다.[11] 최근 바다, 호수, 강에서의 야외 수영이 인기를 얻으면서 스노클링에서도 드라이슈트 사용이 다시 늘고 있다.[12][13] 웨트슈트와 달리 물이 내부로 들어오지 않아 보온성이 더 뛰어나다.
  • 다이빙 스킨: 수온이 25°C 이상인 따뜻한 물에서 사용된다. 주로 스판덱스나 라이크라 소재로 만들어진 전신 의류로, 단열 효과는 거의 없지만 해파리 쏘임, 마찰, 햇볕 화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스팅거 슈트(Stinger suit)'라고도 불린다. 웨트슈트 안에 입어 착용을 쉽게 하거나 추가적인 편안함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26]
  • 래시가드: 스판덱스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로 만든 운동용 셔츠이다. 마찰이나 장시간 햇볕 노출로 인한 발진 및 화상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기 때문에 '래시가드'라는 이름이 붙었다. 단독으로 입거나 웨트슈트 안에 입을 수 있으며, 따뜻하거나 더운 날씨에 스노클링을 포함한 여러 수상 스포츠에서 가벼운 보호용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웨이트 벨트

  • 웨이트벨트: 스노클링 시 부력을 조절하여 잠수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중량 시스템이다. 주로 튼튼한 나일론 끈으로 만들어지지만 고무 등 다른 재질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비상 상황에서 빠르게 벨트를 풀고 무게추를 버릴 수 있도록 퀵 릴리스 버클이 달려 있다.[14]
  • 가장 흔한 무게추는 벨트에 끼울 수 있도록 두 개의 슬롯이 있는 직사각형 블록 형태이다. 부식 방지와 잠수복 마모 감소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코팅되기도 한다. 무게추가 벨트 위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금속 또는 플라스틱 벨트 슬라이더를 사용하기도 한다.
  • 벨트를 통과시키는 슬롯이 하나만 있는 무게추도 있다. 이 방식은 웨빙을 눌러 고정시키기도 하지만, 무게추를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클립으로 벨트에 추가할 수 있는 디자인도 있다. 필요한 무게의 양은 주로 착용한 잠수복의 부력에 따라 달라진다.
  • 스노클링 조끼 (부력 보조 장비): 수면에서 안전하게 스노클링을 즐기기 위한 개인 부양 장비이다. 보통 공기를 불어넣어 부풀리는 형태로, 목걸이형(부력 조절기)이나 항공기 구명조끼와 비슷하게 생겼다. 비상시 입으로 불거나 CO2 카트리지를 터뜨려 부풀린다.

4. 스노클링 방법



스노클은 머리가 물 속에 잠겨 입과 코가 물에 잠긴 상태에서도 수면 위의 공기를 마실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스노클은 수영용 또는 다이빙 마스크에 따로 부착하거나 마스크와 하나로 만들어진 형태도 있다. 마스크와 통합된 스노클은 수면 스노클링에만 적합하지만, 분리된 스노클은 창포작업, 프리다이빙, 핀수영, 수중 하키, 수중 럭비 같은 수중 활동이나 스쿠버 장비를 사용하면서 수면에서 숨을 쉴 때도 사용될 수 있다. 수영용 스노클은 보통 'L'자 또는 'J'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튜브 형태이며, 아래쪽 끝에는 마우스피스가 달려 있다. 재질은 가벼운 금속, 고무,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스노클에는 고무 고리나 플라스틱 클립이 있어 다이빙 마스크의 머리 스트랩 바깥쪽에 부착할 수 있다. 마스크 스트랩과 머리 사이에 튜브를 끼워 고정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불편하거나 마스크에 물이 새거나 스노클을 잃어버릴 위험이 있다.[24]

스노클을 사용하면 호흡 과정에서 사강(dead space)이 발생한다. 숨을 내쉴 때 스노클 안에 남아있던 공기 일부를 다음 호흡 시 다시 들이마시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신선한 공기 흡입량이 줄어들고 혈액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과탄산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스노클 튜브의 부피가 크고 호흡량이 적을수록 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튜브 직경이 작으면 사강은 줄어들지만 공기 흐름 저항이 커져 호흡이 더 힘들어질 수 있다. 마스크 내부 공간까지 호흡 회로에 포함되면 사강은 더욱 커진다. 스노클링 중 가끔 코로 숨을 내쉬면 이산화탄소 축적을 약간 줄이고 마스크에 물이 고이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차가운 물에서는 마스크에 김이 서릴 수 있다. 더 깊고 천천히 호흡하면 어느 정도 사강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스노클은 튜브가 얼굴 앞쪽에 오는 전면 장착형과 옆쪽에 오는 측면 장착형이 있다. 1938년에 특허를 받은 최초의 스노클은 전면 장착형이었다. 이 방식은 1950년대 후반 측면 장착형이 대중화될 때까지 유럽에서 인기가 있었다. 전면 장착형 스노클은 이후 수영장 훈련이나 핀수영 경주용 장비로 다시 등장했는데, 유체 역학적으로 측면 장착형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가장 기본적인 스노클은 단순한 관 형태로, 물속에 잠기면 물이 들어온다. 사용자는 물 밖으로 나온 후 짧고 강하게 숨을 내쉬어('강제 배출') 물을 빼내거나, 수면에 도달하기 직전에 머리를 뒤로 젖히고 수면에 나올 때까지 숨을 내쉬면서('배수 방법') 물을 빼낸다. 배수 방법은 스노클 내부를 공기로 채워 물을 밀어내는 기술로, 연습이 필요하지만 강제 배출보다 힘이 덜 든다. 하지만 이 방법은 수면으로 올라올 때만 효과적이다. 수면에서 물이 튀어 들어간 경우 등에는 강제 배출이 필요하다.[15]

숙련된 사용자는 호흡량, 이산화탄소 축적, 물 흡입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물 배출을 효율적으로 하는 호흡 방식을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숨을 내쉬기 시작할 때 강하게 내쉬어 관 속의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어서 대부분 느리게 이루어지는 충분하지만 편안한 양의 호흡, 그리고 남아있는 물방울이 딸려 들어오는 것을 줄이기 위해 즉시 느리게 숨을 들이쉬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 기술은 수면에서 편안하게 이동할 때 가장 적합하다. 격렬하게 움직이는 핀수영 선수들은 더 많은 환기가 필요하므로 다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스노클에는 가장 낮은 지점에 물이 고이는 집수조가 있어, 소량의 물이 스노클 안에 남아 있어도 숨을 쉴 때 들이마시지 않도록 돕는다. 어떤 모델에는 집수조에 역류 방지 밸브가 달려 있어 숨을 내쉴 때 관 속의 물이 빠져나가도록 한다. 관이 물로 막힌 상태에서 내쉬는 압력이 밸브 바깥쪽의 수압보다 높으면 물이 밸브를 통해 밀려 나간다. 이는 강제 배출과 유사한 원리지만 약간 더 낮은 압력으로도 작동한다. 풀페이스 마스크 중에는 코와 입으로 모두 호흡할 수 있는 이중 공기 흐름 밸브가 있는 것도 있다.[16] 몇몇 스노클 모델은 관 위쪽에 부표가 달린 밸브를 장착하여 파도가 칠 때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하지만 이런 스노클은 다이빙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는데, 하강 시 스노클 내부 압력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디자인 중 일부는 관 위쪽에 물 튀김 방지 장치를 달아 물 유입을 줄인다.[17]

핀수영 선수들은 대부분 집수조 밸브가 있는 스노클을 사용하지 않는다. 숨을 내쉴 때마다 관 속의 물을 강제로 비우는 방법을 배우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관 속의 물 양을 최소화하고, 호흡량을 줄이며 물 고임을 방지하는 형태로 관을 디자인할 수 있다. 소량의 물을 삼키는 것은 경기력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18]

모든 기계식 물 배출 장치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오래 보관할 경우, 또는 오염이나 관리 부족으로 인해 고장 나기 쉽다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 스노클의 공기 흐름 저항을 약간 증가시키거나 소량의 물이 관 안에 남도록 하는 작은 공간을 만든다.[19]

최신 스노클은 마우스피스, 일방향 배수 밸브, 부표 밸브 등에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여 내구성과 수명을 늘린다. 과거에는 천연 고무가 사용되었지만, 햇빛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서서히 산화되어 분해되고 유연성을 잃어 갈라지기 쉬웠다. 이로 인해 배수 밸브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로 고정되거나, 부표 밸브가 제대로 밀봉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할 수 있었다. 아주 오래된 디자인 중에는 관 끝에 작은 탁구공을 넣어 물 유입을 막으려 한 것도 있었지만, 신뢰성이 낮고 위험하여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PADI나 BSAC 같은 스쿠버 다이빙 단체에서는 스노클이 내장된 다이빙 마스크를 안전하지 않다고 간주한다. 잘못된 안전 인식을 줄 수 있고, 물이 들어갔을 때 빼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스노클 튜브의 총 길이, 내경, 내부 부피는 사용자의 호흡 능력과 물 배출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튜브가 너무 길면 호흡 저항이 커지고, 너무 넓으면 물을 빼내기 어려울 수 있다. 부피가 큰 튜브는 사강을 증가시켜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공기가 쌓이기 쉽다.

일반적으로 스노클링은 스노클, 마스크, 오리발(핀)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스노클의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튜브 끝을 수면 위로 내밀어 숨을 쉰다. 스노클을 사용하면 입으로만 호흡하게 되므로, 실수로 코로 숨을 쉬어 물을 마시지 않도록 코까지 덮는 형태의 마스크를 사용한다.

스노클링은 스쿠버다이빙에 비해 장비(스노클, 마스크, 오리발 등 소위 3점 세트)가 적고 가벼우며 저렴하다. 또한 C카드와 같은 자격증이 필요 없고 해안 근처에서도 쉽게 즐길 수 있어 간편한 레저 스포츠로 인기가 높다.

5. 안전

스노클링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지만, 물을 폐로 흡입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파도나 사용 각도에 따라 숨을 쉴 때 기도로 물이 들어가기 쉬우며, 이로 인해 공황 상태에 빠져 더 강하게 호흡하려다 폐에 더 많은 물이 들어가 호흡 곤란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청소년에게서 사망 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한때 미성년자에 대한 판매가 중단된 적도 있다. 스노클링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가 사용할 경우, 물이 폐로 들어갈 수 있다는 점과 만약 물이 들어왔을 때의 대처 방법을 미리 교육해야 한다.
보호 장비


  • 웨트슈트: 주로 단열 효과를 위해 착용하지만, 부력과 함께 마찰, 자외선 노출, 해양 생물의 쏘임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단열 성능은 재료 속 기포에 의해 결정되며, 이 기포는 웨트슈트의 밀도를 낮춰 부력을 제공한다. 슈트의 두께, 착용감, 덮는 범위는 단열에 중요한 요소이다. 후드, 장갑, 부츠 등을 추가하여 보호 범위를 넓힐 수 있다.
  • 드라이슈트: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 스노클링 시 종종 사용되었으며,[11] 21세기 들어 야외 수영이나 와일드 수영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다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12][13]
  • 다이빙 스킨: 수온이 25°C 이상일 때 사용된다. 주로 스판덱스나 라이크라로 만들어진 전신 의류로, 단열 효과는 거의 없지만 해파리 쏘임, 마찰, 햇볕 화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스팅거 슈트'라고도 불린다. 일부 다이버는 웨트슈트 안에 다이빙 스킨을 입어 착용을 용이하게 하거나 추가적인 편안함을 얻기도 한다.[26]
  • 래시가드: 스판덱스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로 만든 운동용 셔츠로, 마찰이나 장시간 햇볕 노출로 인한 발진 및 화상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한다. 단독으로 입거나 웨트슈트 안에 입을 수 있으며, 여름철 스노클링 시 가벼운 보호를 위해 사용된다.


스노클링 조끼


일부 상업 스노클링 업체는 이용객에게 구명조끼와 유사한 부력 조끼 착용을 의무화하기도 한다. 이 조끼는 보통 눈에 잘 띄는 노란색이나 주황색이며, 부력을 조절하는 장치가 있다. 하지만 이 조끼는 자유 잠수를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차가운 물에서는 적절한 두께의 잠수복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잠수복은 잠수에 큰 저항 없이 어느 정도 부력을 제공한다. 열대 지방에서는 햇볕으로부터 등과 허벅지 위쪽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래시가드나 티셔츠, 보드 숏 등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외부 위험 요소

  • 선박 충돌: 스노클러에게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는 제트스키, 고속정 등 해안가에서 운행하는 레저용 선박이다. 스노클러는 대부분 물에 잠겨 있고 호흡관만 수면 위로 보이기 때문에 선박 운전자가 발견하기 어렵다. 선박과 스노클러가 같은 구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충돌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돛단배나 윈드서핑 보드는 소음이 거의 없어 스노클러가 접근을 인지하기 어려워 더욱 위험하다. 스노클러가 선박 아래에서 갑자기 떠오르거나 선박에 부딪힐 수도 있다. 일반 해수욕장과 달리 스노클링 구역과 소형 선박 구역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스노클러는 눈에 잘 띄는 색상의 복장을 착용하거나 부표에 다이빙 깃발을 달아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것이 안전하다.
  • 햇볕 화상: 스노클러의 등, 발목, 허벅지 뒤쪽은 장시간 태양에 노출될 경우 심하게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물속에 있더라도 자외선에 노출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따뜻한 물에서는 래시가드, 티셔츠, 잠수복과 같은 적절한 보호복을 착용하고, 방수 기능이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탈수: 특히 몇 시간 동안 스노클링을 할 계획이라면 물에 들어가기 전에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적절한 수분 섭취는 근육 경련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얕은 물 실신: 수중 시간을 늘리기 위해 과호흡을 하는 것은 저탄산혈증을 유발하여 얕은 물 실신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위험하다. 항상 다른 사람과 함께 스노클링하고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는 버디 시스템을 지키는 것이 이러한 어려움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0]
  • 산호초 및 해양 생물: 산호초 근처에서 스노클링을 할 때는 섬세하고 때로는 날카롭거나 쏘는 산호 및 독이 있는 해양 생물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보호 장갑을 착용하고 주변 환경에 주의해야 한다. 산호에 긁히거나 베인 상처는 감염될 수 있으므로 즉시 적절한 응급 처치를 하고 필요한 경우 의료 지원을 받아야 한다. 부츠나 서프 슈즈는 썰물 때 드러난 암초 위를 걸어 더 깊은 곳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는 산호초를 훼손할 수 있는 행동으로 여겨지므로 지양해야 한다.[21] 돌산호는 매우 약하므로 어떤 종류의 산호든 접촉을 피해야 하며, 특히 지느러미로 산호를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물개바다거북 등은 온순해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거나 위협을 느끼면 예상치 못한 행동을 할 수 있다. 곰치와 같이 바위틈에 숨어 사는 생물은 손가락을 넣었을 때 물 수도 있다. 따라서 스노클링 시에는 해양 생물을 "관찰하되 만지지 않는" 에티켓을 지키는 것이 권장된다.[27]

6. 스노클링 장소

1973년 하와이주 오아후섬의 하나우마 만에서 스노클링을 즐기는 모습


멕시코 코수멜에서 물고기를 관찰하는 스노클러들


스노클링은 거의 모든 수역에서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따뜻한 물, 잔잔한 파도, 그리고 산호초난파선처럼 수면 가까이에 흥미로운 볼거리가 있는 곳을 선호한다.[22]

스노클러들은 보통 1m에서 4m 깊이의 얕은 산호초를 선호한다. 이는 바닥에 닿지 않고 수면 위를 헤엄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깊이이기 때문이다. 고립된 얕은 구조물에는 옆에서 접근할 수도 있다. 더 깊은 산호초도 탐험할 수 있지만, 깊이 잠수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숨을 참아야 하므로 더 많은 체력과 기술이 필요하며, 위험도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싱크홀, 호수, 과 같은 곳에서는 스노클링을 잘 하지 않는다.

스노클링 장소에 대한 정보는 특정 지역의 다이빙과 스노클링을 홍보하는 출판물에 자주 소개된다. 예를 들어 론리 플래닛은 카리브해 국가를 포함하여 이러한 종류의 가이드북을 많이 출판했다.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스노클링 명소로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멕시코, 벨리즈, 보네르, 바하마, 갈라파고스 제도, 하와이 제도, 인도네시아 등이 있다.

7. 관련 활동

스노클링 장비를 착용한 사람


스노클링은 그 자체로 즐기는 활동이기도 하지만, 프리다이빙, 스피어피싱, 스쿠버 다이빙[31]과 같은 다른 활동을 보조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수중 하키, 핀수영 등 여러 경쟁적인 수중 스포츠에서도 스노클링 장비가 사용된다. 어떤 경우든 스노클을 사용하면 수면에서 수영하며 수중 상황을 관찰하는 동안 편하게 호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경쟁적인 스노클링은 스포츠라기보다는 여가 활동으로 여겨진다.[30] 특별한 훈련 없이 기본적인 수영 능력과 스노클을 통해 숨 쉴 수 있는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즐길 수 있다.[29] 다만, 안전을 위해 영국 수중 클럽(British Sub-Aqua Club)과 같은 일부 단체에서는 혼자 스노클링하는 것을 피하고[35], 친구와 함께하는 "버디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가이드 또는 투어 그룹과 함께할 것을 권장한다. 스노클링 경험을 바탕으로 프리다이빙이나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다이빙으로 활동 영역을 넓힐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반드시 다이빙 강사나 숙련된 프리다이버에게 최소한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스노클링 장비를 활용하는 주요 관련 활동은 다음과 같다.

  • 머드 스노클링: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인기 있는 개인 스포츠이다.
  • 핀수영: 속도와 지구력을 겨루는 개인 스포츠로, CMAS(세계수중연맹)의 주요 경기 종목이며 세계 게임에도 포함된다. 핀수영 선수들은 유체역학적으로 속도에 유리하게 설계된 약간 다른 형태의 스노클을 사용한다.
  • 프리다이빙: 별도의 호흡 장비 없이 잠수하는 모든 형태를 의미하며, 종종 경쟁적인 무호흡 다이빙 스포츠를 지칭할 때 사용된다.
  • 스쿠버 다이빙: 자체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휴대용 호흡 장치를 사용하여 줄 없이 자유롭게 잠수하는 방식으로, 주로 취미 활동으로 즐긴다.
  • 스피어피싱: 작살이나 창을 이용해 물고기를 잡는 활동으로, 종종 스노클링 장비를 사용한다. 경쟁 스포츠로 행해지거나 식량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 수중 하키: 수영장 바닥에서 을 하키 스틱으로 밀어 상대 팀 골대에 넣는 팀 스포츠로, 선수들은 스노클링 장비를 착용한다.
  • 수중 럭비: 비교적 깊은 수영장에서 진행되는 팀 스포츠로, 선수들은 스노클링 장비, 바스켓, 그리고 특수 제작된 을 사용한다.


어원적으로 스노클링은 독일어 Schnorchelde 또는 영어 snorkel영어이라 불리는 장비를 사용하여 수영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의미하지만, 주로 수면이나 비교적 얕은 수심에서 활동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스쿠버 다이빙과 비교했을 때, 스노클링은 스노클, 마스크, 오리발(핀)의 소위 '3점 세트'만 있으면 되어 장비가 훨씬 간편하고 가벼우며 비용도 저렴하다. 또한 C카드와 같은 별도의 자격증이 필요 없고 해안가 등 접근하기 쉬운 곳에서도 즐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간편한 레저 스포츠로서 인기가 높다.

참조

[1] 웹사이트 МАСКИ (ПОЛУМАСКИ, ОЧКИ), ДЫХАТЕЛЬНЫЕ ТРУБКИ, ЛАСТЫ http://ilovediving.r[...]
[2] 웹사이트 Skin Diving History – US Divers No.43 – Mfg & Retailers http://www.skindivin[...] 2021-03-15
[3] 웹사이트 Full-Face Snorkeling Masks: Pros And Cons https://dipndive.com[...] 2022-07-18
[4] 논문 Medical Problems of Recreational Scuba Diving https://www.aafp.org[...] 2001-06-01
[5] 웹사이트 Full Face Snorkel Mask Dangers [UPDATED 2019]: What's all the Hub Bub, Bub? – Let's Go To Maui https://www.letsgoto[...] 2020-09-28
[6] 웹사이트 Increasingly popular full-face snorkel masks raise safety concerns https://www.cbsnews.[...] 2018-03-14
[7] 웹사이트 Coronavirus : quand les inventeurs viennent à la rescousse des hôpitaux http://www.leparisie[...] 2020-03-23
[8] Youtube Charlotte valve
[9] 웹사이트 Easy COVID https://www.isinnova[...] 2021-01-29
[10] Youtube Pourquoi ne pas distribuer des masques de plongée Décathlon? BFMTV répond à vos questions
[11] 뉴스 For Warmer Clamming, Abalone Picking The Santa Cruz Sentinel 1961-02-23
[12] 뉴스 University of Montana fisheries students check out trout Billings Gazette 2021-10-14
[13] 뉴스 Explore these emerald pools via 'wilderness snorkeling' Statesman Journal 2019-08-28
[14] 웹사이트 Scuba diving air Regulators, buoyancy compensators scuba diving equipment, information advice help with scuba gear products safety http://ygraine.membr[...]
[15] 웹사이트 Unit 3- Diving Skills https://www.diveunde[...]
[16] 웹사이트 Full Face Snorkel Mask Reviews – Tribord EasyBreathe Alternatives and Best Prices https://snorkelstore[...] 2015-08-01
[17] 웹사이트 Splash-guard for snorkel tubes https://patentimages[...] 1995-04-11
[18] 웹사이트 Finswimming Snorkels https://monofin.co.u[...]
[19] 웹사이트 Snorkel Care https://www.scubadoc[...]
[20] 웹사이트 Dive-Tech: TDI Nitrox, Helitrox, Trimix and technical diver training courses with instructor Mark Powell http://www.dive-tech[...]
[21] 웹사이트 Snorkel Etiquette https://reefmask.com[...]
[22] 웹사이트 Can't get overseas? Holiday like the Hemsworths instead https://www.theaustr[...]
[23] 서적 250 réponses aux questions du plongeur curieux Éditions du Gerfaut 2008
[24] 서적 The Joy of Snorkeling Pisces Book Company
[25] 논문 Involving recreational snorkelers in inventory improvement or creation: a case study in the Indian Ocean
[26]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tinger Suit, Dive Skin, Wetsuit, Drysuit and Dive Suit http://www.ecostinge[...] EcoStinger 2014-08-19
[27] 웹사이트 The 5 Commandments of Snorkeling Etiquette http://snorkelstore.[...] 2015-01-01
[28] 서적 Finswimming – CMAS Rules Version 2012/03 In force as from January 1st 2013 (BoD179 – 22/11/2012) http://www.cmas.org/[...] Confédération Mondiale des Activités Subaquatiques
[29] 서적 Fodor's 89 Cancun, Cozumel, Merida, the Yucatan https://books.google[...] Fodor's Travel Publications
[30] 서적 Water-Based Tourism, Sport, Leisure, and Recreation Experien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4-02
[31] 서적 NOAA Diving Manual, Diving for Science and Technology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Office of Ocean Engineering 1979-12-01
[32] 논문 Evaluation of fins used in underwater swimming http://archive.rubic[...] Undersea and Hyperbaric Medical Society
[33] 논문 The influence of drag on human locomotion in water http://archive.rubic[...]
[34] 논문 Energetics of underwater swimming with SCUBA 1996-05-01
[35] 웹사이트 Snorkeling Safety http://snorkelstore.[...]
[36] 서적 観戦必携/すぐわかる スポーツ用語辞典 中山俊介 1998-01-20
[37] 간행물 (제목 없음) 일본스노클링협회, 일본스노클링연맹
[38] 웹인용 Mediterranean commercial sponges: over 5000 years of natural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http://www.asescobis[...] 2016-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