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 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노 체인은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자동차의 견인력을 높이기 위해 타이어에 장착하는 장치이다. 1904년 해리 D. 위드가 발명했으며, 금속, 폴리우레탄, 고무, 섬유 등 다양한 재료와 사다리형, 대각선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양한 패턴으로 제작된다. 스노 체인은 구동륜에 장착해야 하며, 타이어 사이즈와 휠 여유 공간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과속, 건조한 노면에서의 주행, 체인 풀림 등은 체인 파손 및 차량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겨울용 타이어 규제' 또는 '타이어 체인 규제'가 발효될 수 있다. 스노 체인의 대안으로는 스노우 타이어, 스터드 타이어, 스노우 삭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동차 안전 기술 - 에어백
에어백은 자동차 충돌 시 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질소 가스로 팽창, 탑승자의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안전 장치로, 안전벨트와 함께 사용 시 효과가 극대화되지만 특정 충돌 유형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고 작동 후에는 교체가 필요하다. - 자동차 안전 기술 - 와이퍼
와이퍼는 차량 앞 유리의 비나 눈을 제거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장치로, 수동식에서 자동 전동식, 강우 감지식 등으로 발전해왔으며, 전기 모터 구동 방식이 일반적이고, 스포일러, 윈드스크린 워셔, 자동 작동 기능 등이 추가되었으며, 고무 블레이드는 정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 눈 (날씨) - 눈송이
눈송이는 습도가 높고 영하의 온도에서 육각형 모양으로 성장하는 얼음 결정이며, 온도와 습도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고, 크리스마스와 겨울을 상징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 눈 (날씨) -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눈축제는 1950년 삿포로시 오도리 공원에서 시작되어 육상자위대의 참여와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 눈 조각 콘테스트와 스스키노 아이스 월드를 포함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2024년 정상 규모로 개최되었다.
스노 체인 | |
---|---|
개요 | |
종류 | 쇠사슬 체인 스파이크 체인 직물 체인 스프레이 체인 |
용도 | 눈길 또는 빙판길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 |
특징 | |
쇠사슬 체인 | 내구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나 소음과 진동이 심함 |
스파이크 체인 | 접지력이 우수하나 도로 손상 우려 및 소음 발생 |
직물 체인 | 설치가 간편하고 소음이 적으나 내구성이 약함 |
스프레이 체인 |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나 효과가 일시적임 |
장착 시 주의사항 | |
속도 제한 | 50 km/h 이하 권장 |
장착 위치 | 구동륜에 장착 (전륜구동은 앞바퀴, 후륜구동은 뒷바퀴) |
기타 | 마모 상태 점검 적절한 장력 유지 |
관련 법규 | |
대한민국 | 도로교통법에 따라 폭설, 결빙 등으로 인해 통행이 제한될 경우 체인 등의 미끄럼 방지 장치 장착 의무 발생 가능 |
2. 역사
스노 체인은 1904년 뉴욕주 카나스토타의 해리 D. 위드가 발명했다. 위드는 1904년 8월 23일, "공기압 타이어용 그립-트레드"에 대해 특허(US patent|0768,495)를 받았다.[2] 위드의 증손자 제임스 위드는 해리가 진흙길이나 눈길에서 견인력을 높이기 위해 운전자들이 로프나 덩굴을 타이어에 감는 것을 보고 타이어 체인을 만들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당시 북부 시골 지역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로가 주로 말썰매용으로 다져져 있었기 때문에 겨울에는 자동차를 운전하지 않았다.[3] 자동차는 1930년대 또는 1940년대까지, 일부 지역에서는 다양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겨울용 차량이 아니었다. 눈을 거리에서 치울 수 있었던 것은 도시 지역뿐이었다.[4] 그는 눈뿐만 아니라 진흙에서도 작동하며 더 내구성이 강한 견인 장치를 만들고자 했다.[4]
스노 체인은 차량의 구동륜에 장착해야 한다.[7] 4륜 구동 차량의 경우, 차종에 따라 장착해야 하는 휠이 다르며, 일부 제품은 앞바퀴에 장착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중 타이어 또는 다중 구동 차축 차량에 대한 요구 사항은 다양하며, 표지판이나 조건에 따라 스노 체인이 필요할 때마다 구동 차축의 타이어 한 쌍에서 모든 구동 차축의 모든 타이어, 때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조향(앞) 바퀴에 스노 체인을 장착해야 한다.
1923년 1월, 미국의 발명가 오스카 E. 브라운은 차량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 부착 장치에 대해 특허(US patent|1,440,580)를 받았다.[5] 1935년 7월에는 캐나다의 오귀스트 트루도가 트레드 및 미끄럼 방지 체인에 대한 특허를 획득하였다.[6]
3. 장착 및 사용
타이어에는 타이어 측면에 표준화된 타이어 코드 크기 정보가 제공되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타이어 사이즈에 맞는 체인을 선택해야 한다.[7] 또한 차량의 휠 여유 공간에 따라 적절한 자동차 기술자 협회(SAE) 등급의 스노 체인을 장착해야 한다. SAE S 등급 휠 여유 공간은 특히 애프터마켓에서 더 넓고, 낮은 프로파일 또는 더 큰 타이어 및/또는 휠을 장착하는 경우 최신 자동차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이다.
체인을 장착한 후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7]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에서는 "겨울용 타이어 규제"나 "타이어 체인 규제"가 발효될 수 있다.[21][22][23][24][25] "겨울용 타이어 규제" 시에는 모든 바퀴에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거나, 구동륜에 타이어 체인을 장착해야 한다. "타이어 체인 규제" 시에는 모든 차량이 구동륜에 타이어 체인을 장착해야 한다.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지 않은 차량 통행 금지" 규제는 2018년 국토교통성과 경찰청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폭설 시 교통 마비를 막기 위해 시행된다.[21][22][23][24][25] 과거에 차량 정체가 발생했던 경사가 큰 고갯길이나 그 부근의 체인 탈착장이 정비되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대설 특별 경보나 대설에 대한 긴급 발표가 발표될 만한 강설, 또는 강설이 예상될 때 규제한다.
체인을 탈착할 때는 자동차를 멈추고 차 밖에서 작업해야 하며, 노상이나 길가에서 탈착 작업을 하면 정체나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26]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설 지역에는 국도나 고속도로 등에 체인 탈착장(체인 베이스)이 설치되어 있으며, 휴게소, 서비스 구역, 주차 구역이 체인 탈착장을 겸하는 곳도 있다.[27]
칸에츠 자동차도의 칸에츠 터널과 도호쿠 중앙 자동차도의 구리코 터널은 비금속 체인만 사용이 가능하며[28], 금속 체인의 사용은 금지되어 있다.[29][30] 이 경우, 비금속 체인은 일본 자동차 교통 안전 용품 협회(JASAA)의 인증품[31]이어야 한다.
바퀴 주변에 틈새가 충분하지 않은 차종은 서스펜션이나 차체에 닿아 타이어 체인을 장착할 수 없으므로, 겨울용 타이어를 모든 바퀴에 장착해야 한다.[32]
3. 1. 대한민국에서의 타이어 체인 규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에서는 "겨울용 타이어 규제"나 "타이어 체인 규제"가 발효될 수 있다.[21][22][23][24][25] "겨울용 타이어 규제" 시에는 모든 바퀴에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거나, 구동륜에 타이어 체인을 장착해야 한다. "타이어 체인 규제" 시에는 모든 차량이 구동륜에 타이어 체인을 장착해야 한다.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지 않은 차량 통행 금지" 규제는 2018년 국토교통성과 경찰청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폭설 시 교통 마비를 막기 위해 시행된다.[21][22][23][24][25] 과거에 차량 정체가 발생했던 경사가 큰 고갯길이나 그 부근의 체인 탈착장이 정비되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대설 특별 경보나 대설에 대한 긴급 발표가 발표될 만한 강설, 또는 강설이 예상될 때 규제한다.
체인을 탈착할 때는 자동차를 멈추고 차 밖에서 작업해야 하며, 노상이나 길가에서 탈착 작업을 하면 정체나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26]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설 지역에는 국도나 고속도로 등에 체인 탈착장(체인 베이스)이 설치되어 있으며, 휴게소, 서비스 구역, 주차 구역이 체인 탈착장을 겸하는 곳도 있다.[27]
칸에츠 자동차도의 칸에츠 터널과 도호쿠 중앙 자동차도의 구리코 터널은 비금속 체인만 사용이 가능하며[28], 금속 체인의 사용은 금지되어 있다.[29][30] 이 경우, 비금속 체인은 일본 자동차 교통 안전 용품 협회(JASAA)의 인증품[31]이어야 한다.
바퀴 주변에 틈새가 충분하지 않은 차종은 서스펜션이나 차체에 닿아 타이어 체인을 장착할 수 없으므로, 겨울용 타이어를 모든 바퀴에 장착해야 한다.[32]
4. 종류
타이어 체인은 비용, 승차감, 접지력, 내구성, 설치 용이성, 권장 주행 속도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여러 유형으로 제공된다.
재료로는 강철(링크 또는 케이블 형태), 폴리우레탄, 고무, 섬유 등이 있다. 기존 스타일의 강철 링크 체인은 다양한 탄소강 및 강철 합금과 링크 형태로도 제공된다. 링크 형태에는 표준, 꼬임, 사각, 보강형 등이 있다.[9] 링크의 모양은 체인의 유연성, 접지력, 강도를 변화시킨다. 링크는 또한 더욱 강력한 접지력을 위해 스터드 또는 V자형 바를 추가할 수 있다. 합금강과 경화강을 사용하면 내구성이 향상된다. 트랙션 케이블(케이블 체인, 스노우 케이블)은 체인처럼 부착되지만 체인 대신 케이블로 만들어진다.
체인 패턴에는 사다리, 대각선 또는 패턴 유형이 있다. 사다리형 체인은 도로에 수직인 ''크로스 체인''을 가지고 있으며, 바닥에 조심스럽게 놓으면 사다리와 같은 모양을 한다. 대각선 체인의 경우, 크로스 체인은 도로에 대해 대각선으로 놓는다. 패턴 유형은 다이아몬드 또는 여러 다이아몬드 패턴과 같이 타이어 위에 "그물"을 형성한다. 일부 산업용 패턴 유형에는 체인이 부착되는 스터드형 금속 링이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링 체인''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타이어 체인은 타이어의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체인 또는 케이블, 탄성 또는 조절 가능한 ''텐셔너''가 될 수 있는 ''림 체인''으로 제자리에 고정된다. 자동 체인은 타이어를 감싸지 않고 차량 하부에 영구적으로 장착된 장치에서 타이어 아래로 스윙하며, 차 안에서 전자 솔레노이드를 통해 작동한다. 일부 타이어 체인은 타이어의 한쪽 면에서만 장착된다. 다른 것들은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래칫 시스템을 사용한다.
대안으로는 스터드 타이어가 있는데, 이는 트레드 구멍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금속 스터드가 있는 스노우 타이어이다. 비상 트랙션 장치는 타이어 체인과 유사하지만 림의 구멍을 통해 타이어 주변에 장착된다. 그리고 스노우 삭스는 체인이나 케이블이 아닌 섬유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것들은 더 높은 작동 속도를 허용하고 사용자가 설치할 필요가 없지만(스터드), 체인은 일반적으로 심한 조건에서 최고의 접지력을 제공한다.
''머드 체인''은 스노우 체인과 유사하지만, 오프로드, 4륜 구동 용도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스노우 체인보다 크다. 이러한 체인은 매우 거칠고 진흙 투성이의 지형에서 작동해야 하는 통나무 스키더와 같은 대형 오프로드 장비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휠 트랙''은 체인과 유사하지만, 통나무 운반 장비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단단한 크로스 링크가 있는 중장비 조립품이다.
4. 1. 금속 체인
금속 체인은 주로 강철로 만들어지며, 비금속 체인보다 비교적 저렴하지만 굵은 사슬에 의한 큰 요철이 바퀴에 붙기 때문에 승차감은 떨어진다.[33] 강철 링크 체인은 다양한 탄소강 및 강철 합금과 링크 형태로 제공되며, 표준, 꼬임, 사각, 보강형 등이 있다.[9] 링크 모양에 따라 체인의 유연성, 접지력, 강도가 달라지며, 합금강과 경화강을 사용하면 내구성이 향상된다.- 사다리형(래더형): 사슬을 사다리형으로 연결한 구조로, 전후 방향의 그립 성능이 뛰어나지만,[33] 접지부가 진행 방향에 대해 가로로 나란히 놓여 있어 옆 미끄러짐에 약하다. 보수 부품이 있어 끊어져도 보수할 수 있다.
- 귀갑형(링형): 사다리형과 유사하게 사슬을 사용하지만, 귀갑형 구조로 되어 있어 전후좌우 모든 방향의 그립 성능과 주파성이 좋다.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가늘고 강한 합금을 사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경량화한 제품도 있다.
- 스프링형/와이어형/케이블형: 접지부를 스프링, 와이어, 케이블 등으로 구성하여 주행 성능, 장착 성능, 승차감, 내구성, 수납성을 향상시켰다.[34][35][36] 대부분 사다리형으로 배치되며, 보수 부품으로 보수가 가능하다.
4. 2. 비금속 체인
합성 수지(우레탄, 고무 등)나 섬유를 주요 소재로 사용한다. 접지부재의 표면 경도가 낮기 때문에, 다져진 눈이나 빙판에 대한 접지력은 떨어지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금속 칩을 접지면에 배치한 경우가 많다.[9]- 우레탄 체인: 접지부가 우레탄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금속 체인에 비해 부재가 더 미세한 그물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타이어의 접지면을 덮는 비율이 큰 형태일수록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제동 성능도 높다.[33] 일부 제품은 접지면을 완전히 덮지만, 장착의 용이성은 떨어진다.
- 고무 체인: 접지부가 고무로 만들어져 있으며, 금속 체인에 비해 부재가 더 미세한 그물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부분 심한 압설(얼음처럼 굳은 눈)이 아닌 이상, 종합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타이어의 접지면 전체를 덮는 형태가 대부분이며, 우레탄보다 부드러워 진동이 적고, 예티 스노우넷(Yeti Snow Net) 등 구급차의 장비로 정식 채택된 브랜드도 있다.
- 천 체인: '''타이어 삭스''' 또는 '''오토 삭스'''라고도 불리며, 특수 섬유로 짠 천을 타이어의 접지면 전체에 씌우는 것이 주류이다. 비교적 새로운 종류이지만, 대형 자동차 회사에서도 순정품으로 취급하기 시작했다.[37] 다른 타입에 비해 착탈이 용이하고, 접어서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33] 그러나 내구성은 다른 타입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며, 적설에 대한 그립력도 약간 떨어진다.[33]
4. 3. 오토바이용
오토바이용 타이어 체인은 우편이나 신문 배달용 오토바이에 널리 사용된다.[9] 금속 체인과 접지면에 스파이크를 배치한 비금속 체인이 있으며, 모두 사다리꼴 형태이다.[9]5. 대안
스노 체인의 대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스노우 타이어: 겨울철 노면에 특화된 타이어로, 일반 타이어보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더 나은 접지력을 제공한다.[9]
- 스터드 타이어: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에 금속 스터드를 박아 넣어 접지력을 더욱 향상시킨 타이어이다. 하지만, 도로 손상 및 소음 문제가 있어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이 허용된다.
- 스노우 삭스: 섬유 재질로 만들어져 타이어에 씌우는 형태로, 체인보다 설치가 간편하고 소음이 적다.[9]
- 휠 트랙: 체인과 유사하지만, 단단한 크로스 링크가 있는 중장비 조립품으로, 주로 통나무 운반 장비 등에 사용된다.[9]
머드 체인은 스노우 체인과 유사하지만, 오프로드, 4륜 구동 용도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스노우 체인보다 크다. 이러한 체인은 매우 거칠고 진흙 투성이의 지형에서 작동해야 하는 통나무 스키더와 같은 대형 오프로드 장비에서 자주 볼 수 있다.
6. 문제점
스노 체인을 잘못 장착하거나 과속, 건조한 노면에서 주행하는 경우 체인이 파손되어 차량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특히, 체인이 끊어지면 휠 웰 내부에서 휘둘리면서 차량에 손상을 주거나, 축에 감겨 제동 라인을 절단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일반적으로 체인 사용 설명서에 권장되는 최대 속도는 50km/h이다. 체인을 장착하고 건조한 노면에서 장시간 운전하면 체인이 빠르게 마모될 뿐만 아니라, 제동 시 차량이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체인을 충분히 조이지 않으면 짧은 거리를 운전한 후 다시 조여야 하며, 때때로 조임을 확인해야 한다. 체인이 풀리면 차량의 구동 액슬에 감기기 전에 다시 고정하거나 제거해야 한다. 일부 체인에는 자동 텐셔너가 있어 별도의 텐셔너를 사용하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비구동 바퀴에 체인을 장착하거나 급가속으로 인해 타이어가 헛돌면서 체인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tiskid device
https://patents.goog[...]
[2]
서적
Famous First Facts: A Record of First Happenings, Discoveries, and Inventions in American History
H.W. Wilson
1981
[3]
뉴스
Snow removal equipment changes over time
http://brattleborohi[...]
2022-05-10
[4]
웹사이트
A History of Tire Chains
http://chainquest.co[...]
Chain Quest
2011-08-02
[5]
US patent
[6]
CA patent
http://brevets-paten[...]
[7]
웹사이트
Wheel loaders: equipment spotlight
https://www.truck1.e[...]
2020-02-14
[8]
웹사이트
Tire Chain Rules and Ratings {{!}} Tire Chains Required {{!}} The Traction Specialists©
https://www.tirechai[...]
2020-02-14
[9]
서적
Jeep 4×4 Performance Handbook
MBI Pub.
1998
[10]
웹사이트
Snow Chain Laws by State
https://web.archive.[...]
Chain Quest
2011-02-18
[11]
웹사이트
自動車用タイヤの選定、使用、整備基準 2018 乗用車用タイヤ編
https://www.jatma.or[...]
日本自動車タイヤ協会
2020-07-01
[12]
웹사이트
A History of Tire Chains
http://chainquest.co[...]
Chain Quest
2023-05-15
[13]
웹사이트
タイヤチェーンは駆動輪に装着を!誤った装着で登坂や旋回性能を検証 JAF
https://jaf.or.jp/co[...]
日本自動車連盟
[14]
간행물
非金属チェーン バイアスロン クイックイージー 取扱説明書
株式会社カーメイト
2011-06-24
[15]
웹사이트
雪道でのタイヤチェーンは、どのタイヤに装着すればいいのですか?
http://qa.jaf.or.jp/[...]
JAF
2023-05-15
[16]
웹사이트
SAE Vehicle Clearance Classes for snow tire chains
http://www.chainques[...]
Quality Chain Corporation
2023-05-15
[17]
간행물
非金属チェーン バイアスロン クイックイージー 取扱説明書
株式会社カーメイト
2011-06-24
[18]
웹사이트
JAF
http://www.jaf.or.jp[...]
JAF
2023-05-15
[19]
웹사이트
車がスタックした時はどうやって脱出する?雪道走行の方法も解説
https://www.ms-ins.c[...]
三井住友海上
2024-03-29
[20]
간행물
スタック車両の『緊急脱出用具』
国土交通省北陸地方整備局
2023-03
[21]
서적
わかる 身につく 交通教本
一般財団法人 全日本交通安全協会
2022-04-01
[22]
뉴스
大雪時 タイヤチェーン義務化 今冬からまず20区間
北海道新聞社
2018-11-18
[23]
웹사이트
JAF|クルマ何でも質問箱:ドライブ運転テクニック|チェーン規制に使用できるチェーンは?
http://www.jaf.or.jp[...]
一般財団法人日本自動車連盟
2023-05-15
[24]
웹사이트
よく頂くご質問 [JARTICインフォメーション] 公益財団法人日本道路交通情報センター JARTIC
http://www.jartic.or[...]
公益財団法人日本道路交通情報センター
2023-05-15
[25]
웹사이트
「タイヤチェーン義務化」に 慌てるな! その意図を読み解く
http://driver-box.ya[...]
driver@web
2019-01-03
[26]
웹사이트
タイヤチェーン等を未装着の車が原因で立ち往生となり渋滞が発生した例
https://www.skr.mlit[...]
国土交通省四国地方整備局徳島河川国道事務所
2014-03-06
[27]
웹사이트
登坂不能車は社会の大迷惑
https://www.hrr.mlit[...]
国土交通省北陸地方整備局 高田河川国道事務所
2014-03-06
[28]
웹사이트
タイヤ滑り止め装置認定品
http://www.jasaa.jp/[...]
財団法人日本自動車交通安全用品協会
2011-06-24
[29]
웹사이트
非金属チェーンバイアスロンシリーズ
http://www.carmate.c[...]
株式会社カーメイト
2011-06-24
[30]
웹사이트
東北中央自動車道 栗子トンネル内は金属製タイヤチェーンでの通行禁止‼
https://www.thr.mlit[...]
国土交通省 東北地方整備局 福島河川国道事務所
2017-11-23
[31]
웹사이트
タイヤチェーンの「認定品」とは
http://www.jasaa.jp/[...]
財団法人日本自動車交通安全用品協会
[32]
웹사이트
toyota.jp ノア | Si“G's Version EDGE”/Si“G's”/S“G's” | スペック | 主要装備 | 一覧表
http://toyota.jp/noa[...]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3-05-15
[33]
웹사이트
チェーンの種類と特徴
http://www.jaf.or.jp[...]
JAF
2023-05-15
[34]
웹사이트
スプリングチェーン
http://www.hokume.co[...]
北越メタル
2023-05-15
[35]
웹사이트
タイヤチェーン
http://sccjapan.com/[...]
SCC JAPAN
[36]
웹사이트
簡単装着タイヤチェーン「スムージー」
http://www.ikk-cable[...]
石原金属化工株式会社
2023-05-15
[37]
웹사이트
チェーン規制に使用できるチェーンは?
https://web.archive.[...]
JAF
2023-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