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틀라나 식시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베틀라나 식시나는 러시아 출신의 바둑 기사로, 10세에 바둑을 시작하여 러시아 여성 바둑 대회 3연패, 유럽여성바둑대회 우승 등의 경력을 쌓았다. 1997년 대한민국으로 유학 와 한국기원 연구생이 되었으며, 명지대학교 바둑학과를 졸업하고 2002년 프로 기사가 되었다. 2006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국제 대회에서 여러 차례 입상했으며, 유럽 페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바둑 기사 -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러시아 국적의 바둑 기사로, 한국에서 바둑을 배우고 러시아 최초 프로 기사가 되었으며 유럽 선수권 대회 7회 우승, 세계 기전에서 이변을 연출하는 등 유럽 바둑계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했다. - 러시아의 바둑 기사 - 일리야 식신
일리야 식신은 러시아 출신의 바둑 기사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조훈현 문하에서 유학했으며, 유럽 바둑 연맹 프로 기사 제도를 통해 프로 기사가 된 후 정치 활동도 하며 모스크바 바둑 연맹 부회장으로 활동한다. - 카잔 출신 - 마르타 마르티야노바
마르타 마르티야노바는 러시아 청소년 국가대표 펜싱 지도자인 예브게니 롬테프와 2021년 8월에 결혼했다. - 카잔 출신 - 카밀라 발리예바
2006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피겨 스케이팅 선수 카밀라 발리예바는 주니어 세계 챔피언, 시니어 그랑프리 우승 등 뛰어난 기량을 보였으나,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도핑 논란으로 경력에 타격을 입었다. - 여자 바둑 기사 - 최정 (바둑 기사)
최정은 2010년 입단하여 여자 기사 최초로 남녀 혼성 국제 기전 결승에 진출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여자 바둑 기사 - 요시하라 유카리
요시하라 유카리는 1996년 프로 입단 후 여류 기성전 3연패를 포함한 다수의 바둑 대회에서 우승하고 남성 기사와의 대국에서도 높은 승률을 기록하며 '히카루의 바둑' 제작 감수 등 바둑 보급에도 기여한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이다.
스베틀라나 식시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스베틀라나 발레리예브나 시크시나 |
로마자 표기 | Seubeteullana Ballereubeureuna Siksina |
출생일 | 1980년 3월 7일 |
출생지 | 소련 러시아 SFSR 카잔 |
국적 | 러시아 |
사범 | 발레리 시크신 |
사범 | 천풍조 |
소속 | 한국기원 |
프로 입단 | 2002년 |
단 | 3단 |
2. 약력
카잔 출신으로, 10세에 아버지 발레리 식신에게 바둑을 배웠다. 아버지 발레리 식신은 알렉산드르 디네르슈테인, 안드레이 쿨코프, 그리고 스베틀라나의 오빠인 일리야 식신 등 러시아 최고 기사들을 가르쳤다.[1]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러시아 여성 바둑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했고, 1996년에는 유럽여성바둑대회에서도 우승했다.[1] 1995년과 1996년에는 국제 아마추어 페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1997년 대한생명배 세계 여자 아마추어 선수권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1997년 2월 28일, 대한민국에 바둑 유학을 와서 한국기원 연구생이 되었다.[1] 2000년 3월, 명지대학교 바둑학과에 특기생으로 입학하여 2005년에 졸업했다. 2002년 6월, 알렉산더 디너슈타인과 함께 러시아인 최초로 프로 기사가 되었다.[1] 2005년과 2007년에는 세계 바둑 선수권전 후지쯔배에 유럽 대표로 출전했다. 2006년에는 여성 최초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알렉산드르 디네르슈테인이 2위를 차지했다). 2008년에는 추천으로 3단 특별 승단했다.[1] 같은 해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 여자 개인전에 출전하여 예선 리그 4승 3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 대한생명배 세계 여자 아마추어 선수권대회 1997년 3위
- 동방항공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0년 베스트 8 (○ 자니스 김, × 쉬잉)
- 하오제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2년 (× 윤영선)
-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대회 2005년 (× 최철한), 2007년 (× 요코타 시게아키)
- 유럽 선수권 대회 유럽 챔피언 2006년
- 다리 여행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7년 (× 왕샹윈)
2. 1. 러시아 시절
스베틀라나 식시나는 카잔 출신으로, 10세에 아버지 발레리 식신에게 바둑을 배웠다. 아버지 발레리 식신은 알렉산드르 디네르슈테인, 안드레이 쿨코프, 그리고 스베틀라나의 오빠인 일리야 시크신 등 러시아 최고 기사들을 가르쳤다.[1]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러시아 여성 바둑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했고, 1996년에는 유럽여성바둑대회에서도 우승했다.[1] 1995년과 1996년에는 국제 아마추어 페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1997년 대한생명배 세계 여자 아마 선수권전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1997년 2월 28일, 대한민국에 바둑 유학을 와서 한국기원 연구생이 되었다.[1] 2000년 3월, 명지대학교 바둑학과에 특기생으로 입학하여 2005년에 졸업했다. 2002년 6월, 알렉산더 디너슈타인과 함께 러시아인 최초로 프로 기사가 되었다.[1] 2005년과 2007년에는 세계 바둑 선수권전 후지쯔배에 유럽 대표로 출전했다. 2006년에는 여성 최초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알렉산드르 디네르슈테인이 2위를 차지했다). 2008년에는 추천으로 3단 특별 승단했다.[1] 같은 해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 여자 개인전에 출전하여 예선 리그 4승 3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2. 2. 대한민국 유학 및 프로 입단
스베틀라나 식시나는 10세에 아버지 발레리 식신에게 바둑을 배웠으며, 발레리 식신은 알렉산드르 디네르슈테인, 안드레이 쿨코프, 일리야 식신 등 러시아 최고 기사들을 가르친 인물이다.[1]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러시아 여성 바둑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했고, 1996년 유럽여성바둑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1] 1997년 2월 28일, 대한민국에 바둑 유학을 왔으며, 2000년 3월 명지대학교 바둑학과에 특기생으로 입학했다.2002년 6월 프로에 입단했고,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1] 2005년에는 어린이 바둑 토너먼트인 "스베틀라나 식시나 컵"을 시작했다.
3. 주요 경력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러시아 여성 바둑 대회에서 3연패를 했으며, 1996년 유럽여성바둑대회에서도 우승했다.[2] 1997년 2월 28일, 대한민국에 바둑 유학을 와서 2000년 3월 명지대학교 바둑학과에 특기생으로 입학했다.
2002년 6월에 입단했고,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전문 기사의 실력에 도달한 몇 안 되는 비 아시아권 선수 중 한 명이다.
- 1996년과 2005년 유럽 여자 챔피언.[2]
- 2006년 유럽 챔피언.[3]
- 1997년 —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 3위.[1]
- 2001, 2011년 — 유럽 팀 선수권 대회 1위.[1]
- 2004년 — 유럽 잉컵 우승자, 제17회 후지쯔배 유럽 대표.[4]
- 2006년 — 유럽 마스터 토너먼트 1위.[4]
- 2007년 — 제21회 후지쯔배 유럽 대표.
- 2012–2016년[5] — 유럽 페어 바둑 선수권 대회 1위
- 대한생명배 세계 여자 아마추어 선수권대회 1997년 3위
- 동방항공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0년 베스트 8 (○ 자니스 김, × 쉬잉)
- 하오제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2년 (× 윤영선)
-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대회 2005년 (× 최철한), 2007년 (× 요코타 시게아키)
- 유럽 선수권 대회 유럽 챔피언 2006년
- 다리 여행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7년 (× 왕샹윈)
3. 1. 국제 대회
스베틀라나 식시나는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러시아 여성 바둑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했고, 1996년 유럽여성바둑대회에서도 우승했다.[2] 1997년 2월 28일, 대한민국에 바둑 유학을 와서 2000년 3월 명지대학교 바둑학과에 특기생으로 입학했다. 2002년 6월에 입단했고,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전문 기사의 실력에 도달한 몇 안 되는 비 아시아권 선수 중 한 명이다.1997년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 3위,[1] 2001년, 2011년 유럽 팀 선수권 대회 1위를 기록했다.[1] 2004년에는 유럽 잉컵에서 우승하고, 제17회 후지쯔배 유럽 대표로 참가했다.[4] 2006년 유럽 마스터 토너먼트 1위,[4] 2006년 유럽 챔피언에 올랐다.[3] 2007년에는 제21회 후지쯔배 유럽 대표로 참가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유럽 페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5]
대한생명배 세계 여자 아마추어 선수권대회 1997년 3위, 동방항공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0년 베스트 8 (○ 자니스 김, × 쉬잉)에 올랐다. 하오제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2년 (× 윤영선),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대회 2005년 (× 최철한), 2007년 (× 요코타 시게아키), 다리 여행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 2007년 (× 왕샹윈)에 출전했다.
3. 2. 유럽 대회
스베틀라나 식시나는 1996년과 2005년에 유럽 여자 바둑 챔피언이었다.[2] 2006년에는 유럽 챔피언에 올랐다.[3] 1997년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와 대한생명배 세계 여자 아마추어 선수권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1] 2001년과 2011년에는 유럽 팀 선수권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1]2004년에는 유럽 잉컵에서 우승하고, 제17회 후지쯔배 유럽 대표로 참가했다.[4] 2006년에는 유럽 마스터 토너먼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4] 2007년에는 제21회 후지쯔배 유럽 대표로 출전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는 유럽 페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1위를 기록했다.[5]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6년에 유럽 챔피언이 되었다.
2000년 동방항공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고(○ 자니스 김, × 쉬잉), 2002년 하오제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에 참가했다(× 윤영선).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대회에는 2005년(× 최철한)과 2007년(× 요코타 시게아키)에 참가했다. 2007년 다리 여행배 세계 여자 프로 바둑 선수권대회에서는 왕샹윈에게 패했다.
3. 3. 기타 활동
참조
[1]
웹사이트
Svetlana Shikshina profile at GoLibrary
http://rusgolib.ipon[...]
2011-05-31
[2]
웹사이트
Results of 2005 European Female Championship
http://www.dgob.de/l[...]
[3]
웹사이트
Results - 50th European Go Congress - Rome 2006
http://www.figg.it/r[...]
Figg.it
[4]
웹사이트
Svetlana Shikshina's page at Sensei's Library
http://senseis.xmp.n[...]
2011-05-31
[5]
웹사이트
European Pair Go Championship Brno: 9.4.2016–10.4.2016
http://goweb.cz/tur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