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 (바둑 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정은 2010년 13세의 나이로 입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2018년 여자 기사 중 최연소, 최단 기간에 9단으로 승단했으며, 2022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에서 여자 기사 최초로 남녀 혼성 국제 기전 결승에 진출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2014년 궁륭산 병성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대회 우승, 2021년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선수권 우승, 2022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 준우승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에 관한 - 커제
커제는 중국 저장성 출신의 바둑 기사로, 2008년 프로 입단 후 국내외 바둑 대회에서 다수 우승하며 세계적인 기사로 인정받았고, 알파고와의 대결과 몽백합배, 삼성화재배, 백령배 등 국제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칭화대학교 졸업 후 프로 기사와 사회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이야마 유타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 이야마 유타는 최연소 우승 및 다수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우고 7관왕을 달성하는 등 일본 바둑계 최고 기사로 인정받으며, 독창적인 기풍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역대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경신하였다. - 여자 바둑 기사 - 요시하라 유카리
요시하라 유카리는 1996년 프로 입단 후 여류 기성전 3연패를 포함한 다수의 바둑 대회에서 우승하고 남성 기사와의 대국에서도 높은 승률을 기록하며 '히카루의 바둑' 제작 감수 등 바둑 보급에도 기여한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이다. - 여자 바둑 기사 - 후지사와 리나
후지사와 리나는 2010년 11세 6개월의 나이로 일본기원 최연소 입단 기록을 세운 일본의 바둑 기사로, 여류 4관왕을 달성하고 남녀 혼성 기전에서 우승하며 일본 여자 바둑을 대표하며 2024년 바둑 기사 요코즈카 리키와 결혼했다. - 보령시 출신 - 김효재
김효재는 조선일보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이명박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역임했으나 디도스 사건으로 기소되었으며, 이후 사면 복권되어 국방대학교 초빙교수,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등을 거쳐 현재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 보령시 출신 - 김각영
김각영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으로 제32대 검찰총장을 역임했으며, 퇴임 후 변호사로 활동하며 하나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등을 지냈다.
최정 (바둑 기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최정 |
한글 이름 | 최정 |
한자 이름 | 崔精 |
출생일 | 1996년 10월 7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 |
거주지 | 대한민국 |
사범 | 유창혁 |
소속 | 한국기원 |
별명 | 여제, 소녀장사 |
프로 입단 | 2010년 |
단 | 9단 |
수상 경력 | |
아시안 게임 | 2022 항저우 여자 단체전 은메달 |
주요 타이틀 | |
여자 명인 | 5연패 |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 2회 우승 |
기타 정보 | |
특징 | 남자 기사에게도 강하다 |
기록 | 여자기사 최초 메이저 세계대회 결승 진출 |
2. 생애
최정은 아마추어 1단의 바둑 실력자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바둑을 시작했다. 학원 원장으로부터 바둑에 재능이 있다는 말을 들은 아버지는 최정에게 바둑을 가르쳤다. 최정은 초등학교 3학년 때 서울로 이사하여 유창혁 바둑도장에 다니기 시작했고, 유창혁 9단과 사제의 연을 맺었다. 유창혁의 바둑도장이 분당으로 이전하자 분당으로 이사할 정도로 바둑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 2010년 5월, 중학교 2학년이던 14세의 나이에 한국기원에 입단했다.[9]
스승 유창혁의 스타일을 계승하여 독수리 눈과 공격적인 기풍을 지녔으며, "붙으면 자르고, 밀면 밀어붙인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2년에는 바둑 특기생으로 진학했던 고등학교를 중퇴했는데, 바둑 대회와 학업을 병행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같은 해 제13기 여자명인전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9]
2. 1. 프로 입문 전
아마추어 바둑 1단인 아버지는 학원 원장으로부터 딸이 바둑에 재능이 있다는 말을 듣고 최정에게 바둑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최정은 초등학교 3학년 때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유창혁바둑도장'에 다니기 시작했다. 유창혁 9단과 사제의 연을 맺은 최정은 유창혁의 바둑도장이 분당으로 이전하자 분당으로 이사까지 했다. 2010년 5월, 충암중학교 2학년이던 14세의 나이에 한국기원 프로에 입단했다.[13] 스승 유창혁 9단의 기풍을 그대로 이어받아 수읽기에 강하고 전투적이다. 한 곳에 웅크리지 않고 과감하게 적진에 뛰어드는, 흔히 말하는 붙이면 끊고 젖히면 다시 젖히는 스타일이다.[13]2. 2. 프로 기사
최정은 2010년 13세의 나이로 입단했다. 2011년 GG옥션배 여자대시니어 연승대항전에서 8연승을 기록했고, 같은 해 여류기성전에서 예나이웨이에게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여류명인전 결승에서 김미리를 꺾고 우승했으며, GG옥션배 최종전에서 조훈현을 꺾어 여자팀의 승리를 결정지었다. BC카드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에 출전했고, 이단으로 승단했다. 2013년 여류명인전 결승에서 박지연을 꺾고 2연패를 달성했으며, 삼단으로 승단했다.2012년 스포츠어코드 월드마인드게임즈 여자 개인전에서 동메달, 남녀 페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황룡사쌍등배 세계여자바둑승부전에서 3연승을 거두며 한국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여류기성전에서 우승했으며, 사단으로 승단했다. 2014년 궁륭산병성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2015년 육단으로 승단했다.
2016년 칠단으로 승단했고, LG배 세계기왕전에서 16강에 진출했다. 2016년 한국 프로기사 상금 랭킹에서 9위(1.52억원)를 기록했으며, 2015년 처음으로 1억원을 넘은 이후 3년 연속 1억원 이상의 상금을 획득했다.[10] 2017년 궁륭산병성배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구단으로 승단했다. 2018년 한국 용성전에서 8강에 진출했고, 궁륭산병성배에서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제22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 결승 3번기 2국에서 김채영 3단을 꺾고 2연승으로 우승했다. 이번 우승으로 한국기원 승단 규정에 따라 1단을 승단해 9단에 올랐다. 9단에 오른 것은 대한민국 남녀 기사를 합쳐선 75번째이며, 여자 중에선 박지은, 조혜연에 이어 세 번째다. 여자 기사 중 최연소(21세 3개월), 최단 기간(입단 이후 7년 8개월) 9단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이 우승으로 한국기원 소속 여자 기사 중 최다 타이틀 보유자가 됐다. 2012년 1월 13기 여류명인전 우승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대회 7회, 세계대회 3회 등 모두 10차례 우승했다. 특히 결승전에 11차례 올라 10차례 우승하는 등 타이틀전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다.[14]
2019년에도 여전히 최정은 대한민국의 여자 바둑기사 가운데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 2019년 7월 15일 기준으로 전체 50전 42승 8패로 승률 84%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 최다대국 공동 1위이자 승률 1위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여자 기사에게 29승 2패를, 남자기사에게 13승 6패를 기록하고 있다. 대회에서도 우승 기록을 쌓고 있다. 제8회 천태산배 세계여자바둑단체전 우승, 2019 IMSA 월드마스터스챔피언십 여자단체전 우승, 제9회 황룡사배 세계여자바둑 연승전 우승, 2019 IMSA 월드마스터스 챔피언십 혼성페어전 우승 등이 그것이다.[15] 2019년 진저축은행배 프로·아마 오픈전에서 4강에 진출했고, 중읍섬 신입단과의 기념 대국에 출전했다.[11] 2020년, 21년 맥심커피배에서 8강에 진출했다. 2021년,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리그에 출전했다.
2022년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에서 세계여자바둑기사 최초로 통합세계대회 준우승이라는 업적을 쌓았다. 여자 기사 최초로 남녀 혼성 국제 기전 결승에 진출하여, 결승 3번기에서 신진서에게 0-2로 패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 GS칼텍스배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한국바둑리그에서는 2012년부터 락스타리그에 출전했고, 2014년에는 본선 리그에 출전했다. 한국여자바둑리그에서는 서울 부쿠팀 등에 출전했다. 한국바둑기사랭킹에서는 2016년 58위, 2021년 29위, 2022년 17위, 2023년 2월 13위를 기록했다. 2015년부터 중국 여자 단체전에도 출전했다.
3. 주요 경력
최정은 국내외 기전에서 수많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여자 바둑계의 최강자로 자리매김했다.
2010년 제4기 지지옥션배 본선에 진출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olleh배 본선, 제5기 지지옥션배 8연승, 제5기 여류기성전 준우승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2012년에는 제13기 여류명인전에서 우승하며 첫 타이틀을 획득했고, 제6기 지지옥션배에서 여자팀 우승을 이끌었다.
2013년에는 제14기 여류명인전 우승, 제3회 황룡사 쌍등배 3연승으로 한국 우승, 제4회 인천 실내&무도 아시안게임 바둑 혼성페어 은메달(파트너 나현), 여자단체 은메달, 제4회 궁륭산 병성배 8강 등 국제 대회에서도 활약했다. 2014년에는 2013 락스타리그 여자기사상을 수상하고, 제1회 글로비즈배 세계신예선수권 대표로 선발되었으며, 제15기 여류명인전에서 우승했다.
2016년 제21회 LG배 세계기왕전 16강, 2017년 제22회 LG배 세계기왕전 32강, 2018년 제23회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즈 16강, 2019년 제24회 LG배 세계기왕전 16강에 진출하며 세계 무대에서도 꾸준히 활약했다.
2019년 12월 23일 제3기 한국제지배 여자 기성전 2관왕을 달성했고, 2020년 제4기 한국제지배 여자 기성전 3연패, 2021년 제1기 IBK 기업은행 여자바둑 마스터스 우승, 2021년 제4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선수권 우승, 2022년 제1기 호반배 여자바둑 최고기사 결정전 우승, 2022년 27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 준우승(세계여자기사 역사상 최초로 통합세계기전 결승 진출), 2022년 제6기 혜성 여자기성전 우승, 2023년 제5회 센코컵 월드바둑여류최강전 우승, 2023년 제3기 IBK 기업은행 여자바둑 마스터스 우승, 2024년 제8기 혜성 여자기성전 우승 등 최근까지도 꾸준히 우승을 차지하며 최정상급 기사임을 입증하고 있다.
3. 1. 국제 기전
최정은 여러 국제 기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대회 | 연도 | 결과 | 비고 |
---|---|---|---|
궁륭산 병성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대회 | 2014년, 2017년, 2018년, 2019년 | 우승 | |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대회 | 2019년, 2021년, 2023년 | 우승 | |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대회 | 2018년 | 준우승 | |
SENKO CUP 월드 바둑 여자 최강전 | 2023년, 2024년 | 우승 | |
명월산배 중일한 삼국사지 여자바둑쟁패전 | 2017년 | 우승 | |
IMSA 엘리트 마인드 게임즈 | 2016년 | 여자 개인전 준우승, 남녀 페어전 우승 (박정환과 페어) | |
2017년 | 여자 단체전 우승, 남녀 페어전 우승 (신진서와 페어) | ||
2019년 | 여자 단체전 우승, 남녀 페어전 우승 (신진서와 페어) | ||
스포츠 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즈 | 2012년 | 여자 개인전 3위, 남녀 페어전 우승 (최철한과 페어) | |
2014년 | 남녀 페어전 준우승 (나현과 페어) | ||
아시아 실내 무술 경기대회 | 2013년 | 여자 단체전 은메달, 남녀 페어전 은메달 (나현과 페어) | |
은혜배 국제 신예 대항전 | 2015년, 2017년, 2018년, 2019년 | 단체전 우승 | |
일중한 페어 바둑 명인 선수권 | 2013년 | 준우승 (류창혁과 페어) | |
2017년 | 우승 (조한승과 페어) | ||
세계 페어 바둑 최강위 결정전 | 2018년, 2019년 | 우승 (박정환과 페어) | |
화정차업배·천태산농상은행배 세계여류바둑단체전 | 2019년 | 3승 (한국 팀 우승) | |
농심신라면배 한중 클래식 슈퍼매치 | 2022년 | 3승 | |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여자바둑제패전 | 2022년 | 1패 (우에노 아사미) | |
아시아 경기대회 | 2023년 | 여자 단체전 준우승 | |
삼성화재배 세계바둑마스터즈 | 2022년 | 준우승 | 세계 여자 바둑 기사 최초 통합 세계 기전 준우승[15], 신진서에게 패배 |
LG배 세계기왕전 | 2016년, 2019년 | 16강 |
3. 2. 국내 기전
최정은 여러 국내 기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주요 우승 및 준우승 경력은 다음과 같다.대회명 | 결과 | 연도 |
---|---|---|
여류명인전 | 우승 | 2012, 2013, 2014, 2015, 2016 |
여류기성전 | 우승 | 2013 |
프로여류국수전 | 우승 | 2017, 2018, 2019, 2020, 2022, 2023 |
해성여류기성전 | 우승 | 2018, 2019, 2020, 2022, 2024 |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마스터즈 | 우승 | 2021, 2023 |
호반배 여자최고기사결정전·Dr.G 여자최고기사결정전 | 우승 | 2022, 2023 (제2회, 제3회) |
지지옥션배 | 8연승 | 2011[14] |
지지옥션배 | 여자팀 우승 견인 | 2012[14] |
여류기성전 | 준우승 | 2011 |
GS칼텍스배 프로기전 | 준우승 | 2023 |
2018년 제22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에서 김채영을 꺾고 우승하며, 한국기원 승단 규정에 따라 9단으로 승단했다.[14] 이는 대한민국 남녀 기사 통틀어 75번째, 여자 기사 중에서는 박지은, 조혜연에 이어 세 번째 기록이었다. 또한 여자 기사 중 최연소(21세 3개월), 최단 기간(입단 후 7년 8개월) 9단 승단 기록도 세웠다.[14]
2019년에는 여자 기사 상대 29승 2패, 남자 기사 상대 13승 6패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여자 바둑 기사 중 최고 승률을 유지했다.[15] 2019년 12월 23일에는 제3기 한국제지배 여자 기성전에서 2관왕을 달성했고, 2020년에는 같은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했다. 2021년에는 제1기 IBK 기업은행 여자바둑 마스터스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에는 제1기 호반배 여자바둑 최고기사 결정전과 제6기 혜성 여자기성전에서 우승했다.
3. 3. 기타 리그
한국바둑리그에서는 2012년부터 락스타리그에 출전했고, 2014년에는 본선 리그에 출전했다. 한국여자바둑리그에서는 서울 부쿠팀 등에 출전했다. 한국바둑기사랭킹에서는 2016년 58위, 2021년 29위, 2022년 17위, 2023년 2월 13위를 기록했다. 2015년부터 중국 여자 단체전에도 출전했다.대회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6년 | 2019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GG옥션배 여류 대 시니어 연승 대항전 | 0-1 (×차민수) | 8-1 (○서능욱, ○김종수, ○장수영, ○차민수, ○김동면, ○김동엽, ○서봉수, ○오규철, ×안관욱) | 1-0 (○조훈현) | 4-1 (○서봉수, ○양상국, ○박영찬, ○김일환, ×조훈현) | 4-1 (○서능욱, ○이홍렬, ○라종훈, ○김찬우, ×이상훈) | 1-1 (○김명완, ×최명훈) | 1-0 (○이창호) | 0-1 (×조한승) | 3-1 (○백대현, ○최명훈, ○이창호, ×조한승) |
대회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6년 | 2017년 | 2019-20년 | 2020-21년 | 2021-22년 | 2022-23년 |
---|---|---|---|---|---|---|---|---|---|
한국바둑리그 | 락스타리그 (Kixx) 8-10 | 락스타리그 (포스코켐텍) 9-5 | (CJ E&M) 0-1, 락스타리그 5-9 | (BGF리테일 CU) 4-7 | (BGF리테일 CU) 2-5 | (셀트리온) 8-7, 포스트시즌 2-4 | (Com2uS Tygem) 6-8 | (Com2uS Tygem) 6-8 (Com2uS Tygem) 9-6 | (울산고려아연) 8-11 |
- 코로나19 극복 기원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올스타 연승전 0-1 (×윤준상)
대회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한국여자바둑리그 | (서울 부광택스) 8-4 | (서울 부광택스) 12-2, 포스트시즌 2-0 | (서울 부광약품) 12-2 (동률 최다승), 포스트시즌 4-0 | (충남 SG골프) 14-2 (최다승), 포스트시즌 3-0, 우승 | (서울사이버ORO) 10-0, 포스트시즌 1-0 | (보령머드) 13-1 (MVP, 최다승), 포스트시즌 2-0, 우승 | (보령머드) 14-0 (MVP, 최다승), 포스트시즌 5-0 | (보령머드) 12-2 | (보령머드) 10-2 |
대회 | 2019년 | 2021년 |
---|---|---|
대방건설배 시니어 대 여자 바둑리그 챔피언컵 | (충남 SG골프) 2-0 (2-0 조치훈) | (보령머드) 3-0 (○김수장, ○박영찬, ○김수장) |
- 뉴스핌GAM배 여자바둑최강전 2022년 2-0(○김채영, ○오유진)
- 하나은행 MZ바둑슈퍼매치 2022년 0-1(×송지훈)
대회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중국 전국 바둑 선수권 대회 여자 단체전 | 을급(절강비오) | (하북신오) 6-1 | (하북신오) 7-0 | (진서천원기원) 7-0 | (절강체채) 7-0 | (항주지력운동학교) | 을급(장성객전) |
참조
[1]
웹사이트
Choi Jung makes her breakthrough in the 13th Female Myeongin
http://gogameguru.co[...]
2012-01-31
[2]
웹사이트
최정, 여류명인 5연패 위업
http://m.baduk.or.kr[...]
2016-02-12
[3]
웹사이트
여자바둑 '10년 8개월' 만에 세대교체…김은지, 최정 꺾고 1위(종합)
https://www.yna.co.k[...]
2024-08-05
[4]
웹사이트
The Power Report: December updates
https://www.usgo.org[...]
2019-12-30
[5]
웹사이트
'바둑여제' 최정, 오청원배 우승…세계 여자대회 2관왕 등극(종합)
https://www.yna.co.k[...]
2019-12-03
[6]
웹사이트
최정, 천신만고 끝에 위즈잉 꺾고 오청원배 제패
https://www.chosun.c[...]
2021-12-04
[7]
웹사이트
'바둑 여제' 최정 9단의 '女풍당당'…남자 기사들에도 강하다
https://www.yna.co.k[...]
2019-12-05
[8]
웹사이트
최정, 여자기사 사상 첫 메이저 세계대회 결승 진출!
http://www.baduk.or.[...]
2022-11-04
[9]
뉴스
최정, 여류바둑 ‘최정예’ 꿈꾼다
https://www.hani.co.[...]
2013-04-21
[10]
웹사이트
HANGAME「李世乭,プロ棋士賞金王…1勝あたり1634万ウォン」
http://baduk.hangame[...]
2017-01-24
[11]
웹사이트
日本棋院
https://www.nihonkii[...]
2019-01-23
[12]
뉴스
박정환·최정 9단 세계 페어 최강자 등극
https://sports.news.[...]
한겨레
2018-08-21
[13]
뉴스
최정, 여류바둑 ‘최정예’ 꿈꾼다
http://www.hani.co.k[...]
한겨례
2013-04-21
[14]
뉴스
국수전 우승에 최연소 여자 9단, 최정 ‘겹경사’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1-25
[15]
뉴스
상반기 여자바둑계는 최정으로 시작해서 최정으로 끝났다.
https://sports.news.[...]
한국기원
2019-07-15
[16]
웹인용
커제 잡는 ‘걸크러시’ 최정 9단, 랩 음악 들으며 변신
http://www.munhwa.co[...]
2019-04-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최정의 무서운 뒷심…오정아 상대 역전극으로 IBK기업은행배 우승
최정 9단, 닥터지 최고기사 결정전 5번째 우승 시상식
박정환, 신진서 상대 17연패 탈출…LG배 세계바둑 8강 진출
최정, 닥터지 최고기사 결정전 5연패…김은지 거센 도전 뿌리쳐
최정 통한의 반집패…센코컵 결승서 우에노 리사에게 져
최정의 끝내기 뒷심…신민준 꺾고 맥심배 8강 진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