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즈 (텔레비전 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즈(Starz)는 1991년 설립된 앙코르 무비 그룹에서 시작하여 1994년 영화 전문 채널로 출범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여러 채널을 추가하여 서비스를 확장했으며, 2000년대 이후 디지털 케이블 도입과 함께 가입자 기반을 넓혔다. 2016년 라이언스게이트에 인수되었으며, 현재는 12개의 멀티플렉스 채널,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그리고 Lionsgate+라는 국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타즈는 오리지널 영화 및 시리즈를 제작하며, 한국에서는 2020년부터 애플 TV 채널을 통해 Starzplay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가, 2022년 9월 Lionsgate+로 브랜드명이 변경되었다.
2. 역사
스타즈(Starz)는 1994년 개국 당시 유니버설 픽쳐스의 신작을 독점 방송했으며,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픽처스, 터치스톤 픽처스, 할리우드 픽처스, 픽사, 미라맥스 포함),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컬럼비아 픽처스, 트라이스타 픽처스 포함)와 우선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2015년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와의 계약은 해소되었다.[148]
2006년 지주 회사 Starz, LLC를 설립하고 Starz Entertainment를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2016년에는 미국의 독립 영화 회사 라이언스게이트에 인수되어 Starz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영상 패키지 배급 부문이 라이언스게이트와 통합되었다.
HBO, 쇼타임 등 경쟁 방송국에 비해 늦게 시작했지만, 빠르게 성장하여 미국의 주요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 중 하나가 되었다. 스파르타쿠스, 아웃랜더, 다빈치의 악마, 블랙 세일즈 등 성인 취향의 역사 드라마를 주로 제작한다.
2. 1. 설립 초기 (1994-1999)
1994년 2월 1일 동부 표준시 오후 8시에 스타즈(STARZ!)가 처음 방송되었다. 주로 TCI에서 운영하는 케이블 시스템을 통해 방송되었으며, 처음 방영된 두 편의 영화는 1992년에 개봉한 드라마인 ''여인의 향기''[7]와 ''크라잉 게임''이었다. 스타즈는 TCI와 리버티 미디어의 합작 투자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TCI가 채널의 50.1% 지분을 소유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8]
스타즈는 앙코르 미디어 그룹에서 출시한 7개 채널의 테마별 멀티플렉스 중 첫 번째로, "앙코르 8"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다.[9][10][11] 앙코르와 함께 번호 매기기 시스템을 사용했으며, 초기 상표 출원 서류에는 "Applause"와 "Stars"라는 이름이 제안되기도 했다.
스타즈는 최근 개봉 영화에 집중한 반면, 스타즈 앙코르(당시 앙코르)는 1960년대에서 1980년대 사이에 개봉한 영화에 집중했다. 1999년 7월부터는 최근 영화도 추가했다. 캐롤코 픽처스, 뉴 라인 시네마 (자매 레이블인 파인 라인 피처스 및 터너 픽처스), 디즈니 소유 스튜디오인 터치스톤 픽처스, 할리우드 픽처스, 미라맥스 필름의 영화 방영권을 가지고 있었다. 1997년까지 디즈니의 비 가족 중심 영화는 스타즈에서 방영되지 않았다. 노골적인 성적 또는 폭력적인 내용이 담긴 영화는 늦은 저녁 시간대와 심야 시간대로 제한했다.[12]
스타즈는 출시 당시 주로 TCI 시스템으로 제한되었으며, 1995년 9월에 컨티넨탈 케이블비전과의 계약을 통해 TCI 그룹 외부에서 첫 번째 주요 운송 계약을 체결했다.[13] 1996년까지 약 280만 명의 유료 텔레비전 가입자에게 제공되었으나, TCI 이외의 케이블 또는 위성 제공업체 가입자는 100만 명에 불과했다.[14] 초기 몇 년 동안 막대한 손실을 겪었으며, 1997년까지 연간 1.5억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15]
1997년 6월, 컴캐스트는 펜실베이니아 및 뉴저지 시스템에서 스타즈를 방송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필라델피아에 기반을 둔 프리즘을 대체했다.[16][17] 같은 해, TCI는 스타즈의 과반수 지분을 자매 회사인 리버티 미디어로 이전하고, 이후 1999년에 리버티 미디어가 스타즈를 완전히 인수했다.[8][18]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스타즈는 다음과 같은 멀티플렉스 채널을 잇따라 출시하며 서비스 영역을 확장했다.
연도 | 채널명 | 현재 채널명 |
---|---|---|
1996 | STARZ! 2 | 스타즈 엣지 |
1997 | BET Movies/STARZ! 3 | 스타즈 인 블랙 |
1999 | STARZ! Cinema | |
1999 | STARZ! Family | 스타즈 키즈 앤 패밀리 |
1998년 5월까지 스타즈는 케이블 또는 위성 텔레비전 구독을 하는 760만 가구의 가입자 기반을 유지했다.[19]
2. 2.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초, 디지털 케이블 도입으로 스타즈는 여러 케이블 및 위성 제공업체와 계약을 체결하여 가입자 기반을 확대했다.[20] 2000년, 앙코르 미디어 그룹은 스타즈 앙코르 미디어 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5년 3월 28일, 스타즈는 대대적인 브랜드 변경을 통해 로고를 변경하고 (STARZ! -> starz), 멀티플렉스 채널을 개편했다.[22] 스타즈 코미디, 스타즈 엣지, 스타즈 인 블랙 등의 채널이 새롭게 편성되었다.
2009년, 리버티 미디어는 스타즈를 별도 회사로 분사시켰다.[23] 2010년, 크리스 알브레히트가 CEO로 취임하며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강화하기 시작했다.[24]
2013년, 리버티 스타즈는 스타즈로 사명을 변경했다.[26]
2016년, 라이언스게이트는 44억달러에 스타즈를 인수했다.[29] 스타즈는 채널 개편을 통해 앙코르 채널을 스타즈 브랜드로 통합했다.[27][28]
3. 채널
스타즈(Starz)는 미국의 주요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 중 하나로, HBO나 쇼타임과 같은 경쟁 방송국에 비해 늦게 시작했지만 빠르게 성장하여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다. 스파르타쿠스, 아웃랜더, 다빈치의 악마, 블랙 세일즈와 같이 성인 취향의 역사 드라마를 주로 제작한다.
Starz Entertainment는 스타즈 외에도 프리미어 채널인 Encore, MoviePlex, 그리고 정액제 스트리밍 서비스인 Starzplay를 운영하고 있다. 2015년 말 기준으로 스타즈는 3100만 가구, Encore는 3900만 가구가 가입했다.[148]
1994년 개국 당시 스타즈는 유니버설 픽쳐스의 신작 영화를 독점 방송했다.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픽처스, 터치스톤 픽처스, 할리우드 픽처스, 픽사, 미라맥스 포함)와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컬럼비아 픽처스, 트라이스타 픽처스 포함)와 우선 계약을 맺었으나, 2015년에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와의 계약은 종료되었다.
Starz Entertainment가 운영하는 채널에서는 일본 애니메이션이 방송되어, 카툰 네트워크와 함께 일본 애니메이션을 자주 볼 수 있다.
스타즈는 다음과 같은 채널들을 운영하고 있다.
- 스타즈(Starz) (1994년 방송 개시)
- * 스타즈 HD(Starz HD) (2003년 방송 개시)
- 스타즈 엣지(Starz Edge) (1996년 "STARZ! 2"로 방송 개시, 1999년 "STARZ! Theater"로 변경, 2005년 현 채널로 변경)
- * 스타즈 엣지 HD(Starz Edge HD) (2007년 방송 개시)
- 스타즈 인 블랙(Starz InBlack) (1997년, BET와의 합작으로 "BET Movies/STARZ!"로 방송 개시. 2001년 BET와의 합작 해소로 "BLACK STARZ!"로 채널명 변경, 2005년 현 채널명으로 변경)
- 스타즈 시네마(Starz Cinema) (1999년 방송 개시)
- 스타즈 키즈 & 패밀리(Starz Kids & Family) (2005년, "STARZ! Family"(1999년 방송 개시)와 "STARZ! Kids"(2004년 방송 개시)가 통합)
- * 스타즈 키즈 & 패밀리 HD(Starz Kids & Family HD) (2007년 방송 개시)
- 스타즈 코미디(Starz Comedy) (2005년 방송 개시)
- * 스타즈 코미디 HD(Starz Comedy HD) (2007년 방송 개시)
3. 1. 주요 채널
스타즈스타즈 시네마
스타즈 코미디
스타즈 엣지
스타즈 인 블랙
스타즈 키즈 앤 패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