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탠리 밀그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탠리 밀그램은 1933년 뉴욕에서 태어나 1984년 사망한 미국의 사회 심리학자이다. 그는 권위에 대한 복종, 6단계 분리 이론, 도시 과부하 가설 등 사회 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밀그램 실험으로 알려진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은 권위자의 명령에 사람들이 얼마나 복종하는지를 보여주며 큰 논란을 일으켰다. 밀그램은 196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회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예일 대학교와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의 연구는 사회 심리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 매체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심리학자 - 대니얼 카너먼
    대니얼 카너먼은 1934년 텔아비브에서 태어난 심리학자이자 행동 경제학자로, 판단과 의사 결정에 대한 연구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3월에 사망했다.
  • 사회심리학자 - 앨버트 반두라
    앨버트 반두라는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인지이론을 정립하고 보보 인형 실험을 통해 관찰 학습의 중요성을 입증했으며, 자기 효능감 개념을 제시하여 인간의 사고, 동기, 행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기여한 캐나다 출신의 심리학자이다.
  • 브루클린 칼리지 동문 - 폴 코언
    폴 코언은 강제법을 개발하여 연속체 가설과 선택 공리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 독립적임을 증명한 미국의 수학자로, 이 업적으로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해석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브루클린 칼리지 동문 - 바버라 복서
    민주당 소속의 미국 정치인 바버라 복서는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역임하며 여성 권익 신장, 환경 보호, 인권 옹호 등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고 은퇴 후에는 로비 및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
  • 루마니아 유대계 미국인 - 스탠리 큐브릭
    스탠리 큐브릭은 1928년 뉴욕에서 태어나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며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계태엽 오렌지》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연출하고 뛰어난 시각적 연출과 음악 사용으로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루마니아 유대계 미국인 - 에드 윈
    에드 윈은 독특한 코미디 스타일로 브로드웨이, 라디오, 영화, 텔레비전에서 활약하며 큰 인기를 얻은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작가, 연출가, 제작가이다.
스탠리 밀그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탠리 밀그램
출생일1933년 8월 15일
출생지미국 뉴욕 시 브롱스
사망일1984년 12월 20일
사망지미국 뉴욕 시 맨해튼
사인심부전
국적미국
배우자알렉산드라 멘킨
자녀2명
알려진 업적밀그램 실험
작은 세상 실험
파밀리아 스트레인저
학력뉴욕 시립 대학교 퀸스 칼리지(학사)
하버드 대학교(박사)
직업사회심리학자
직함교수
참고 자료
ISBN0-7382-0399-8
웹사이트When Good People Do Evil

2. 생애

스탠리 밀그램은 예일 대학교 재직 시절 스몰 월드 현상(여섯 단계 분리의 원형이 된 개념)과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인 밀그램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세기 가장 중요한 심리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밀그램은 브롱크스구의 제임스 먼로 고등학교에서 필립 짐바르도와 동급생이었다. 짐바르도는 후에 스탠퍼드 감옥 실험으로 유명해진 심리학자이다. 밀그램은 뉴욕 시립 대학교 퀸스 칼리지에서 1954년 정치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회 과학 Ph.D.를 취득하려 했으나, 처음에는 심리학 전공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하지만 1954년 6주간의 심리학 코스를 수강하고 1960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솔로몬 아쉬와 고든 올포트가 하버드에서 그에게 영향을 준 연구자들이며, 박사 논문 지도 역시 아쉬가 맡았다. 1984년, 밀그램은 자신이 태어난 뉴욕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향년 51세였다.[25][3]

2004년, 토마스 브라스의 밀그램 전기 『복종 실험이란 무엇이었는가: 스탠리 밀그램의 생애와 유산』이 출판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스탠리 밀그램은 1933년 뉴욕 브롱크스에서 헝가리루마니아 출신 유대인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51][7][8][9][10][11][12][13] 그의 아버지 사무엘 밀그램은 제빵사였고, 1953년 사망할 때까지 가족을 부양했다. 이후 어머니 아델 밀그램이 빵집을 이어받았다.[51] 밀그램은 제임스 먼로 고등학교를 3년 만에 졸업했으며,[12][13] 학업 성적이 우수하고 리더십이 뛰어났다. 스탠퍼드 감옥 실험으로 유명한 필립 짐바르도가 그의 고등학교 동창이었다.[22]

1954년, 밀그램은 뉴욕 시립 대학교 퀸스 칼리지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52][2] 그는 브루클린 칼리지에서도 공부했다.[8] 이후 하버드 대학교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에 지원했으나, 처음에는 심리학 배경 지식 부족으로 거절당했다.[50][2] 하지만 1954년 하버드 특별 학생 과정을 거쳐,[50] 결국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60년 사회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학자로서의 경력

1960년 예일 대학교 조교수가 되었다.[24] 1963년부터 1966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사회관계학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나, 밀그램 실험 논란으로 인해 교수직이 거절되었다.[53] 1967년 뉴욕 시립 대학교 대학원 센터의 종신 정교수가 되어[2][25] 1984년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2][25] 솔로몬 애쉬, 고든 올포트 등 저명한 심리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53][26]

2. 3. 개인적인 삶과 죽음

밀그램은 1984년 12월 20일, 51세의 나이로 뉴욕 시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그것은 그의 다섯 번째 심장 마비였다.[25][3] 그는 아내 알렉산드라 "사샤" 밀그램과 딸 미셸 사라, 아들 마크 다니엘을 남겼다.[27]

3. 밀그램의 실험과 이론

유대인 부모를 둔 밀그램은 홀로코스트가 일어난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을 실시했다. 1963년 "이상 심리학·사회 심리학 저널"에 "복종의 행동 연구"(Behavioral study of obedience)라는 제목으로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심리학회(APA)는 이 실험의 윤리성 문제로 밀그램의 입회 신청을 거부했다.

1974년 밀그램은 『권위에 대한 복종』(번역서 『복종의 심리 - 아이히만 실험』)을 출판했고, 미국 과학 진흥 협회로부터 사회 심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베트남 전쟁 미라이 학살 사건 설명에도 이 모델을 사용했다. 1976년 CBS는 『레벨 10』이라는 제목으로 실험을 영화화했으며, 밀그램은 이 영화의 상담역을 맡았다.

프랑스 영화 『I as In Icarus』(1979년)는 밀그램의 복종 실험을 모티브로 한 장면을 포함하고 있다. 영국의 음악 그룹 미제트는 이 실험에 영감을 받아 "밀그램 익스페리먼트"라는 앨범을 2001년에 발매했다.

밀그램은 1967년 6단계 분리 개념의 기원이 된 스몰 월드 실험을 수행했다. 이 실험은 무작위로 선택된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오늘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결되는 발상이다.

1970-71년에는 미디어 소비와 반사회적 행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1977년 밀그램은 에드몽 로스탕의 희곡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에서 영감을 받은 실험을 시작했다. 이 실험은 언어 그림자 기법을 활용했다.[39]

3. 1.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 (밀그램 실험)

밀그램 실험 구성


1963년, 밀그램은 "복종에 대한 행동 연구"라는 논문으로 자신의 복종 실험(밀그램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28] 실험 결과는 큰 논란을 일으켰으며, 미국 심리학회는 연구 윤리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밀그램의 회원 가입을 1년 동안 보류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밀그램은 정식 회원 자격을 부여받았다.[28]

1974년, 밀그램은 ''권위에 대한 복종''이라는 책을 출간하여 실험 결과를 상세히 설명했다.[28] 1964년에는 복종의 사회적 측면에 대한 연구로 AAAS 행동 과학 연구상을 수상했다.[28]

밀그램 실험은 평범한 사람들이 권위자의 부당한 명령에 얼마나 복종하는지를 보여주었다. ''American Psychologist''에 실린 논문[29]은 밀그램의 복종 실험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 밀그램의 기본적인 실험 설계에서, 피험자는 기억과 학습에 대한 연구에 참여한다고 믿고 실험실에 들어선다. 교사 역할을 맡은 피험자는 동료 피험자(실제로는 실험자의 공범)에게 단어 연상을 가르치도록 요청받는다. 그러나 가르치는 방식은 특이하다. 학습자에게 점점 더 높은 강도의 전기 충격을 가하는 것이다. 추정된 충격 수준이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피험자는 갈등에 휩싸인다. 한편으로는, 묶여 있는 학습자가 풀어달라고 요구하고, 고통스러워하며, 끝까지 가는 것은 건강에 위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실험자가 질문을 받으면 실험이 보이는 것만큼 건강에 해롭지 않으며, 교사는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문가와 일반인의 예상과는 달리, 전체 피험자의 약 65%가 가장 높은 수준까지 충격을 계속 가한다.

밀그램에 따르면, "복종의 본질은 개인이 다른 사람의 소원을 수행하는 도구로 자신을 여기게 되고, 따라서 자신의 행동에 대해 더 이상 책임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는 사실에 있다."[31]

밀그램 실험은 1968년 미 라이 학살 사건 등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28]

하지만 밀그램 실험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피험자들이 상황의 비현실성을 감지했는지, 실험실 환경이 현실 세계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32] 가장 심각한 비판은 실험 설계의 윤리와 관련된 것이었다.[33] 밀그램 교수는 이러한 우려가 자신의 결과가 가진 불미스러운 성격에서 비롯되었다고 느꼈다.[33]

밀그램 실험은 이후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1975년, CBS는 복종 실험에 관한 TV 영화 ''The Tenth Level''를 방영했다.[46] 1980년, 음악가 피터 가브리엘은 "We Do What We're Told (Milgram's 37)"이라는 곡을 발표했다.[46] 2010년 3월, 프랑스 텔레비전 채널 France 2는 ''Jusqu'où va la télé''라는 프로그램을 방송했는데, 이는 밀그램 실험과 유사한 가짜 게임 쇼를 진행한 결과를 묘사했다.[48] 2015년에는 밀그램에 관한 실험적 전기 영화인 ''Experimenter''가 개봉되었다.[48]

3. 2. 작은 세상 실험 (6단계 분리)

6단계 분리 이론 개념은 1967년 미국에서 진행된 밀그램의 "작은 세상 실험"에서 시작되었다. 이 실험은 사람들의 지인 연결망을 추적하는 것이었다. 밀그램은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 사는 사람 중 무작위로 160명을 선택하여 소포를 보냈다. 그리고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증권 중개인을 최종 목적지로 지정하고, 그 사람과 더 가까울 것 같은 지인에게 소포를 전달하도록 요청했다.[55]

밀그램의 6단계 분리 이론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많은 소포를 추적하지 못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6단계 분리" 이론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했다.[34] 엘리자베스 데비타-래뷰는 밀그램의 실험에 잠재적인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35]

2008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연구에 따르면 .NET 메신저 서비스 사용자 간의 평균 거리는 6.6단계였다.[36]

3. 3. 도시 과부하 가설

도시 과부하 가설(Urban Overload Hypothesis)은 1970년 스탠리 밀그램이 발표한 '도시에서의 삶에 대한 연구'(The Experience of Living in Cities)에서 제시된 이론이다.[58][59] 이 가설은 도시의 밀집된 과잉 인구 속에서는 그렇지 않은 환경보다 더 많은 자극에 노출되며, 이러한 자극을 수용하고 방어하는 과정에서 도시인들이 더 방어적이고 단절되어 보이는 경향을 선택할 확률이 높다는 견해를 언급한다.

3. 4. 잃어버린 편지 실험

밀그램은 타인에 대한 사람들의 도움 정도와 다양한 집단에 대한 그들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잃어버린 편지" 실험이라는 기법을 개발했다. 여러 개의 봉인되고 우표가 붙은 편지를 공공장소에 놓았는데, 이 편지들은 개인, 의료 연구소와 같은 호의적인 단체, 그리고 "나치당 친구들"과 같은 낙인찍힌 단체 등 다양한 대상에게 보내는 것이었다. 밀그램은 개인과 호의적인 단체에 보낸 편지 대부분은 발송되었지만, 낙인찍힌 단체에 보낸 편지 대부분은 발송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3. 5. 반사회적 행동 실험

1970-71년에 밀그램은 미디어 소비(이 경우 텔레비전 시청)와 반사회적 행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이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돈을 훔치거나, 자선 단체에 기부하거나, 아무 행동도 하지 않을 기회를 주었다. 그리고 인기 드라마 ''메디컬 센터''의 특별 제작된 에피소드에서 각 선택지에 해당하는 행동을 보여주고, 시청 후 참가자들의 선택 비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했다.[38]

3. 6. 시라노이드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영어)은 1977년 에드몽 로스탕의 희곡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에서 영감을 받은 실험을 시작했다. 이 실험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말을 실시간으로 따라하는 "언어 그림자" 기법을 활용했다.[39]

밀그램은 이 실험에서 만들어진, 한 개인의 말과 다른 사람의 신체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에이전트를 "시라노이드"라고 불렀다. 실험에서 상호 작용자들은 대화 상대방이 제3자를 위해 언어 그림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고, 그들에게 의사 소통 자율성을 부여했다. 밀그램은 이 현상을 "시라노 환상"이라고 불렀다.[39]

밀그램은 시라노이드 방법이 사회적 행동 및 자기 인식과 관련된 현상(예: 인종, 성별, 연령 기반의 고정 관념 및 행동적 확증)을 탐구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했다. 그는 1984년 사망할 때까지 이 방법을 발전시켰지만, 시라노이드 실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담은 공식 출판물은 발표하지 않았다.[40]

2014년, 런던 정경대의 사회 심리학자들이 밀그램의 초기 실험을 복제했다.[41][42][43] 롭 미첼은 교실 내에서 경험적 학습 도구로서 시라노이드를 탐구했다.[44] 시라노이드는 또한 사람들이 낯선 사람의 신체를 통해 익숙한 사람들을 만나는 사회적 경험을 탐구하기 위한 설치 미술에도 사용되었다.[45]

4. 평가 및 영향

밀그램의 연구는 인간 본성과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그의 실험은 사회심리학의 고전으로 여겨져 이후 많은 연구에 영감을 주었다.[46]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군대 내 가혹행위, 직장 내 괴롭힘 등 권위주의와 관련된 사회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밀그램의 연구는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1975년 CBS는 복종 실험을 다룬 TV 영화 ''The Tenth Level''을 방영했으며, 윌리엄 샤트너가 밀그램과 유사한 과학자 역할을 맡았다. 밀그램은 이 영화의 컨설턴트였다.[46] 1980년에는 음악가 피터 가브리엘이 "We Do What We're Told (Milgram's 37)"이라는 곡을 발표했다.[46] 2015년에는 밀그램의 전기 영화 ''Experimenter''가 개봉되어 피터 사스가드가 밀그램 역을 맡았다.

4. 1. 비판과 논란

스탠리 밀그램의 실험은 실험 윤리 문제로 인해 큰 비판을 받았다. 밀그램은 1963년 "이상 심리학·사회 심리학 저널"에 "복종의 행동 연구"(Behavioral study of obedience)라는 제목으로 밀그램 실험의 성과를 발표했다.[3] 이 논쟁으로 인해 미국 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는 밀그램의 입회 신청을 거부했다.[3]

1974년 밀그램은 저서 『권위에 대한 복종』(번역서 『복종의 심리 - 아이히만 실험』)을 출판했고, 미국 과학 진흥 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로부터 사회 심리학상을 수상했다.[4] 그는 이 모델을 베트남 전쟁에서의 미라이 학살 사건 설명에도 사용했다.[4]

프랑스 정치 스릴러 영화 『I as In Icarus』(1979년, 일본 미개봉, 주연은 이브 몽탕)에서는 중요한 장면에서 밀그램의 복종 실험을 모티브로 한 듯한 장면이 나온다.[5]

1967년에 수행한 스몰 월드 현상(여섯 단계 분리의 원형이 된 개념) 실험 결과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6]

4. 2. 긍정적 평가 및 영향

밀그램의 연구는 인간 본성과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실험은 사회심리학의 고전으로 여겨지며, 이후 많은 연구에 영감을 주었다.[46]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군대 내 가혹행위, 직장 내 괴롭힘 등 권위주의와 관련된 사회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밀그램의 연구는 대중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1975년 CBS는 복종 실험을 다룬 TV 영화 ''The Tenth Level''을 방영했으며, 윌리엄 샤트너가 밀그램과 유사한 과학자 역할을 맡았다. 밀그램은 이 영화의 컨설턴트였다.[46] 1980년에는 음악가 피터 가브리엘이 "We Do What We're Told (Milgram's 37)"이라는 곡을 발표했다.[46] 2015년에는 밀그램의 전기 영화 ''Experimenter''가 개봉되어 피터 사스가드가 밀그램 역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Mental Health and Mental Disorders: An Encyclopedia of Conditions ...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12-14
[2] 서적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The Life and Legacy of Stanley Milgram' null
[3] 웹사이트 When Good People Do Evil http://archives.yale[...] Yale Alumni Publications, Inc. 2015-04-24
[4] 간행물 Behavioral Study of Obedience http://content.apa.o[...]
[5] 서적 Obedience to Authority; An Experimental View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6] 간행물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apa.org/m[...]
[7] 간행물 The roots of Stanley Milgram's obedience experiments and their relevance to the Holocaust http://www.analyse-u[...] 2012-01-14
[8] 서적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The Life and Legacy of Stanley Milgram - Thomas Blass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9-02-23
[9] 웹사이트 Stanley Milgram http://faculty.frost[...] 1933-08-15
[10] 서적 Obedience to Authority: Current Perspectives on the Milgram Paradigm Psychology Press 2000-11-01
[11] 서적 The Scribner Encyclopedia of American Lives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s Sons 1998-08-01
[12] 서적 Moral Education: M-Z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6-05-05
[13] 웹사이트 'Stanley Milgram Facts, information, pictures Encyclopedia.com articles about Stanley Milgram' http://www.encyclope[...] 2016-05-05
[14] 간행물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https://www.psycholo[...] 2016-03-01
[15] 서적 'American Dreams and Nazi Nightmares: Early Holocaust Consciousness and ...' https://books.google[...] 2016-05-05
[16] 웹사이트 From New Haven to Santa Clara : A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Milgram Obedience Experiments https://www.uni-muen[...] 2016-05-05
[17] 서적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The Life and Legacy of Stanley Milgram'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9-02-24
[18] 웹사이트 'Stanley Milgram & The Shock Heard Around the World World of Psychology' http://psychcentral.[...] 2011-09-04
[19] 웹사이트 From New Haven to Santa Clara : A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Milgram Obedience Experiments https://www.uni-muen[...] 2016-05-05
[20] 서적 'American Dreams and Nazi Nightmares: Early Holocaust Consciousness and ...' https://books.google[...] 2016-05-05
[21] 서적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The Life and Legacy of Stanley Milgram'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9-02-24
[22] 서적 Behind the Shock Machine: the untold story of the notorious Milgram psychology experiments The New Press 2013
[23] 서적 The Individual in a Social World: Essays and Experiments Addison Wesley 1977
[24] 웹사이트 Stanley Milgram http://faculty.frost[...] 2015-10-23
[25] 서적 OCR Psychology: AS Core Studies and Psychological Investigation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3-09-05
[26] 웹사이트 A sparky study that tests your blind obedience http://www.timeshigh[...] 2004-10-01
[27] 뉴스 Dr. Stanley Milgram, 51, Is Dead; Studied Obedience to Authority https://www.nytimes.[...] 1984-12-22
[28] 웹사이트 AAAS Prize for Behavioral Science Research http://archives.aaas[...] 2016-05-05
[29] 간행물 A cognitive reinterpretation of Stanley Milgram's observations on obedience to authority 1990
[30] 웹사이트 The Bad Show http://www.radiolab.[...] WNYC 2012-04-19
[31] 서적 Obedience to Authority Harper & Row
[32] 간행물 The social psychology of false confessions
[33] 서적 Obedience to Authority Harper & Row
[34] 웹사이트 Could It Be A Big World After All? http://www.uaf.edu/n[...] Uaf.edu 2009-06-22
[35] 웹사이트 'If Osama''s Only 6 Degrees Away, Why Can''t We Find Him? Human Origins' http://discovermagaz[...] DISCOVER Magazine 2008-01-28
[36] arXiv Planetary-Scale Views on an Instant-Messaging Network
[37] 서적 Social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https://books.google[...] 2016-05-05
[38] 웹사이트 Stanley Milgram http://everything2.c[...] Everything2.com 2010-06-22
[39] 문서 Cyranoids McGraw-Hill
[40] 서적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The Life and Legacy of Stanley Milgram Basic Books
[41] 학술지 Revisiting Milgram's Cyranoid Method: Experimenting With Hybrid Human Agents http://eprints.lse.a[...]
[42] 뉴스 If Someone Secretly Controlled What you Say, Would Anyone Notice? https://www.wired.co[...] WIRED 2014-09
[43] 웹사이트 Cyranoids: Stanley Milgram's Creepiest Experiment http://blogs.discove[...] Discover 2014-09
[44] 웹사이트 Teaching Via Human Avatar: Enlivening Delivery Through Students Acting as Proxies for Remote Lecturers http://conference.pi[...]
[45] 서적 Cyranic Contraptions: Using Personality Surrogates to Explore Ontologically and Socially Dynamic Contexts http://dl.acm.org/ci[...]
[46] 웹사이트 We Do What We're Told (Milgram's 37) by Peter Gabriel https://www.songfact[...] 2023-01-26
[47] 웹사이트 Derren Brown: The Specials - Derren Brown: The Heist http://www.channel4.[...] Channel 4 2016-05-05
[48] 뉴스 French contestants torture each other on TV Game of Death https://www.telegrap[...] 2016-05-05
[49] 서적 Mental Health and Mental Disorders: An Encyclopedia of Conditions ... https://books.google[...] 2016-05-05
[50] 서적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The Life and Legacy of Stanley Milgram
[51] 서적 Obedience to Authority: Current Perspectives on the Milgram Paradigm Psychology Press 2000-11
[52] 서적 The Man Who Shocked the World: The Life and Legacy of Stanley Milgram
[53] 웹인용 A sparky study that tests your blind obedience http://www.timeshigh[...]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평가 2009-07-25
[54] 뉴스 Dr. Stanley Milgram, 51, Is Dead. http://select.nytime[...] 2008-08-07
[55] 웹인용 Could It Be A Big World After All? http://www.uaf.edu/n[...] Uaf.edu 2009-06-22
[56] 웹인용 If Osama's Only 6 Degrees Away, Why Can't We Find Him? | Human Origins http://discovermagaz[...] DISCOVER Magazine 2009-06-22
[57] arXiv Planetary-Scale Views on an Instant-Messaging Network
[58] 참고 A Test of the Urban Overload Hypothesis https://eric.ed.gov/[...]
[59] 참고 The Experience of Living in Cities https://science.sci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