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디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트라디오트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남부 및 중부 유럽 국가에 고용된 발칸 출신 용병을 지칭한다. 주로 알바니아, 그리스, 달마티아, 세르비아, 키프로스 등지에서 모집되었으며, 비잔틴과 발칸 기병의 군사적 전통을 따랐다. 이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베네치아를 비롯한 여러 유럽 국가의 군대에서 활약했다. 스트라디오트는 16세기 초 유럽 경기병 전술의 선구자였으며, 투창, 검, 활, 단검 등을 사용했다. 주요 인물로는 아르고스의 토마스, 메르쿠리오 부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 사람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알바니아의 군사사 - 친위대 제21무장산악사단 스칸데르베그
친위대 제21무장산악사단 스칸데르베그는 나치 독일이 알바니아인으로 편성한 무장친위대 산악 사단으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의 전투와 코소보 지역의 민족 청소에 관여했으나, 병력 부족과 탈영으로 해체되었으며, 사단장은 전후 처형되었다. - 알바니아의 군사사 - 케르키라 해협 사건
케르키라 해협 사건은 1946년부터 1949년까지 케르키라 해협에서 발생한 영국 해군과 알바니아 간의 갈등으로, 일련의 함정 피격 및 기뢰 피해 사건과 영국 해군의 기뢰 제거 작전을 포함하며 국제 분쟁으로 이어져 국제사법재판소 판결과 무해통항권 정립에 영향을 미쳤다.
스트라디오트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유형 | 용병 부대 |
역할 | 경 기병 |
사용 시기 | 15세기 ~ 18세기 |
명칭 | |
그리스어 | στρατιώτες, στρατιώται (스트라티오테스, 스트라티오타이) |
알바니아어 | Stratiotë, Stratiotët, Stradiotë (스트라티오터, 스트라티오트, 스트라디오터) |
이탈리아어 | stradioti, stradiotti, stratioti, strathiotto, strathioti (스트라디오티, 스트라디오티, 스트라티오티, 스트라티오토, 스트라티오티) |
프랑스어 | estradiots (에스트라디오)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stratioti, stradioti (스트라티오티, 스트라디오티) |
스페인어 | estradiotes (에스트라디오테스) |
2. 역사
스트라디오트는 주로 알바니아(슈키페리아)를 비롯한 발칸 반도 출신의 용병으로, 15세기부터 남부 및 중부 유럽 국가들,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고용되어 활동한 경기병 집단이다.[8][9][10][11] 이들의 명칭은 동로마 제국 시대의 병사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스트라티오테스'(στρατιώτης)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나, 용병 스트라디오트는 동로마 제국 후기의 병사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
스트라디오트는 본래 알바니아, 그리스, 달마티아, 세르비아 등지에서 모집되었으며, 나중에는 키프로스에서도 충원되었다.[8][9][10][11] 현대 역사가들은 이들 중 다수가 알바니아계였다고 보지만, 그리스계 인원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특히 장교 중에는 그리스계가 많았다.[15] 1453년 동로마 제국의 멸망과 발칸 반도에서의 오스만 제국 확장은 많은 스트라디오트가 새로운 고용주를 찾아 서유럽으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은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등에서 오스만 군대에 맞서기 위해 스트라디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들은 비잔틴 및 발칸 지역의 전통적인 기병 전술을 계승했으며,[12] 투창과 만곡도, 메이스 등을 이용한 경기병 전투에 능숙했다. 이들의 독특한 전술과 효율성은 다른 유럽 국가들의 주목을 받아, 프랑스, 스페인, 잉글랜드, 신성 로마 제국 등에서도 용병으로 고용되었다. 스트라디오트는 단순한 용병 부대를 넘어, 당시 유럽 군대의 경기병 운용 방식과 발칸 출신 이민자 공동체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2. 1. 기원

스트라디오트(Stradiot)라는 용어는 후기 동로마 제국 시대에 그리스어 στρατιώτες (''stratiotes'') 또는 στρατιώται (''stratiotai'', 병사)에서 유래한 이탈리아어 표현이라는 가설이 있다. 이 용어는 본래 프로니아(pronoia)라는 봉토를 소유한 기병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5][3] 고대 그리스에서도 군대의 일원인 병사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쓰였다.[4]
다른 가설에 따르면, 이 용어는 이탈리아어 단어 ''strada''("거리")에서 유래했으며, "방랑자" 또는 "여행자"를 의미하는 ''stradioti''가 되었고, 비유적으로는 방랑하는 기병으로 해석된다.[5] 이탈리아어로는 ''stradioti, stradiotti, stratioti, strathiotto, strathioti'' 등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었다. 알바니아어로는 ''stratiotë'' (정의형: ''stratiotët''),[2] 프랑스어로는 ''estradiots'',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는 ''stratioti, stradioti'', 스페인어로는 ''estradiotes''라고 불렸다.
많은 스트라디오트가 특정한 모자를 착용했기 때문에, 베네치아에서는 처음에 ''cappelletti''(단수형 ''cappelletto'', 작은 모자)라는 이름이 ''stradiotti'' 또는 ''albanesi''(알바니아인)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했다.[6][7]
동로마 제국의 군대는 초기에 중장보병(스쿠타토이, ''skoutatoi'')가 주력이었으나,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등장 이후 레기온이나 프라이토리아니 같은 중장보병 중심에서 카타프락토이(''cataphractus'')나 클리바노포로스(''klibanophoros'')와 같은 중장기병 중심으로 변화했다. 그러나 제국 분열과 혼란 속에서 군대 편성에 필요한 인력과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자, 각지에 설치된 테마 제도에 기반하여 무장 가능한 현지 자유 농민으로 군대를 편성하게 되었다. 이는 서유럽의 봉건 제도 안에서의 기사, 더 정확히는 미니스테리알레(ministeriale)나 서전트(sergeant)와 유사한 제도였다. 이러한 제도에 속한 병사들이 스트라티오티스(stratiotes)로 불리게 되었다. 동로마 제국에는 이와 별도로 제국의 핵심부를 방어하는 타그마타(''tagmata'', 중앙군)라는 황제 직속 군대도 존재했다.
2. 2. 민족 구성
스트라디오트는 본래 알바니아(슈키페리아) 출신으로 시작되었으나, 그리스(엘라다), 달마티아, 세르비야 등지에서도 징집되었고 나중에는 키프로스에서도 형성되었다.[8][9][10][11] 현대 역사가들은 스트라디오트의 대다수가 알바니아인이었다는 데 동의한다. 그리스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남아있는 스트라디오트 병사들의 이름을 분석했을 때 약 80%가 알바니아 기원이었으며, 슬라브 기원은 소수였다.[15] 반면 장교들 중 상당수는 그리스 기원이었다.[15]
스트라디오트의 민족적 정체성은 주로 펠로폰네소스 반도 출신의 알바니아인과 그리스인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 현대 학계의 결론이다. 장교 중 그리스계 성씨로는 팔라이올로고스, 스판두니오스, 라스카리스, 랄레스, 콤네노스, 프센다키스, 마니아티스, 스필리오티스, 알렉소풀로스, 프사리스, 자카로풀로스, 클리라코풀로스, 콘도미티스 등이 있었다. 이들 중 팔라이올로고스나 콤네노스 가문처럼 몰락한 동로마 제국 귀족 가문 출신도 포함되어 있었다.[16] 소이미리스, 블라스티미리스, 보이차와 같이 남슬라브족 기원으로 보이는 이들도 있었다. 알람브레시, 바스타, 부아, 멕시, 카푸치마디, 크레시아, 레네시 등 유명한 알바니아계 스트라디오트도 존재했다. 스트라디오트 이름 연구에 따르면, 이들 대부분은 알바니아 본토에서 직접 왔다기보다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지배하던 그리스 남부 및 중부 지역 출신이었다. 이는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모레아 전제 공국의 군주였던 테오도르 1세 팔레올로고스와 테오도르 2세 팔레올로고스가 오스만 제국의 확장에 맞서기 위해 알바니아인들을 군사 정착민으로 펠로폰네소스에 초청했던 역사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스트라디오트의 민족적 정체성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16세기 중반에는 상당수의 스트라디오트가 헬라화(그리스화)되었고, 일부는 이탈리아화되기도 했다. 이러한 헬라화는 알바니아계 스트라디오트가 이탈리아로 이주하기 전, 여러 세대에 걸쳐 그리스 땅에 정착하면서 이미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많은 스트라디오트가 그리스인 지휘관 아래에서 복무하거나 그리스인 동료들과 함께 활동하면서 이러한 동화 과정은 더욱 촉진되었다. 이탈리아에 정착한 스트라디오트와 그 가족들이 그리스 정교회나 유니에이트 교회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도 동화의 중요한 요인이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탈리아 등 유럽에서의 군 복무는 일부 그리스 알바니아인(아르바니테스)에게는 헬라화 과정을 늦추거나 오히려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했다. 이탈리아로 이주한 이들은 그리스 본토에 남은 아르바니테스보다 자신들의 정체성을 더 쉽게 유지할 수 있었고, 이탈리아 내 아르베레쉬인 공동체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었다.[17]
베네치아 공화국 내에서는 알바니아인과 그리스인 스트라디오트 집단 간의 관계가 복합적이었다. 일부 가문은 서로 통혼하기도 했지만, 1525년처럼 각 민족 집단이 자신들의 지휘관 아래에서만 복무하기를 요구하며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22] 나플리오(나폴리 디 로마냐)의 베네치아 사령관 바르톨로메오 미니오(1479–1483)는 보고서에서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의 충성심을 의심하며 그리스 부대를 더 신뢰한다고 기록하기도 했으나, 다른 보고서에서는 알바니아인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22] 한편, 1589년 크레타에 남아있던 베네치아 스트라디오티 부대에 대한 보고서에서는 이들이 "진정한 알바니아인"과는 다르며, 군사 경험이 부족한 키프로스인이나 현지 주민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베네치아 측 기록은 이들을 "스트라디오티라기보다는 농부"에 가까우며 그리스어를 사용한다고 묘사했다.
2. 3. 동로마 제국 멸망 이후
1453년 비잔틴 제국의 멸망과 1450년대 모레아 전제 공국의 해체는 알바니아와 그리스 출신 스트라디오티가 베네치아 공화국으로 피난처를 찾고 용병으로 고용되는 주요 계기가 되었다.[8][9][10][11] 이들은 이전 비잔틴 제국과 발칸 지역의 기병 전투 전통을 이어받았으며,[12] 15세기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동안 베네치아 군대에 합류했다. 베네치아는 스트라디오티를 주로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 투입했으며, 1475년경부터는 프리울리 국경 지대 방어에도 활용했다. 이 시점부터 스트라디오티는 베네치아 군대의 경무장 기병을 거의 대체하게 되었다.
스트라디오티는 주로 펠로폰네소스 반도 출신의 알바니아인과 그리스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약 80%가 알바니아계였으며, 나머지는 대부분 그리스인이었고 소수의 슬라브계(크로아티아인)도 포함되었다.[15] 팔레올로고스, 코메노스와 같은 비잔틴 귀족 가문 출신 장교들도 있었다.[16] 이들 중 상당수는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모레아 전제 공국의 통치자들이 오스만 제국의 확장에 맞서기 위해 알바니아인들을 군사 정착민으로 초대한 이후 펠로폰네소스에 정착한 이들의 후손이었다. 이탈리아로 이주하기 전 그리스 땅에서 여러 세대를 거치며 많은 스트라디오티가 그리스 문화에 동화되었고, 일부는 이탈리아화되기도 했다. 이들은 이탈리아의 그리스 정교회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정체성을 유지하려 했으나, 군 복무 환경은 이러한 동화 과정을 늦추거나 되돌리기도 했다. 이탈리아로 이주한 그리스 알바니아인들은 그리스 본토에 남은 아르바니테스보다 자신들의 정체성을 더 오래 유지하여 이탈리아 아르베레쉬인 공동체의 일부를 형성했다.[17]
포르노보 전투(1495)에서는 알바니아계뿐만 아니라 그리스계와 이탈리아계 스트라디오티도 베네치아 동맹군 소속으로 참전했다.[18] 이들은 주로 기독교인이었지만, 일부 무슬림도 포함되어 있었다.[19] 1511년에는 베네치아의 스트라디오티들이 동방 정교회 교회인 산 조르지오 데이 그레치[20]와 그리스 공동체 건물(스쿠올라 데이 그레치) 건설을 청원하기도 했다.[36] 스트라디오티의 비정통적인 전술과 효율성에 주목한 다른 유럽 강대국들도 점차 이들을 용병으로 고용하기 시작했다.
베네치아는 첫 번째 오스만-베네치아 전쟁(1463–1479) 이후 모레아 지역에서 스트라디오티 부대를 운용했으며, 아르고리스 지역의 나폴리 디 로마냐(나플리온)에 알바니아인들의 정착을 허용하기도 했다.[21] 그러나 알바니아계와 그리스계 스트라디오티 사이, 그리고 이들과 베네치아 행정부 사이의 관계는 복잡했다. 때로는 두 집단 간의 결혼도 있었지만, 1525년처럼 각자 자신들의 지휘관 아래에서만 복무하겠다고 요구하며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22] 일부 베네치아 보고서는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티의 충성심을 의심하기도 했으나,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했다. 베네치아가 오스만 제국에게 모레아 영토를 상실하면서 스트라디오티의 수는 점차 감소했다.[22]
1589년까지 크레타에는 4개의 베네치아 스트라디오티 부대가 남아 있었지만, 베네치아 측 기록은 이들이 "진정한 알바니아인"과는 다르며, 군사 경험이 부족한 키프로스인이나 현지 주민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스트라디오티라기보다는 농부"에 가까웠고 그리스어를 사용했다고 기록되었다.
수십 년간 베네치아 영토에 스트라디오티가 존재하면서, 이들은 베네치아인들이 알바니아인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서유럽에 정착한 스트라디오티 부대는 베네치아를 비롯한 이탈리아와 달마티아 도시들에서 그리스 정교회 공동체가 확산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3]
동로마 제국 멸망 이후 등장한 용병 스트라디오티는 주로 오스만 제국의 경기병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된 경기병이었다. 이들은 합성궁, 만곡도, 메이스, 아세가이(투창 겸용 창) 등으로 무장했다. 용병 부대의 특성상 기창 돌격과 같은 직접적인 백병전보다는 투창을 이용한 간접 공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경기병이었지만 때로는 이탈리아제 갑옷을 착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발칸 반도 출신의 경장 기병들은 당시 유럽에서 점차 중요성이 커지던 경기병의 한 형태로 여러 국가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2. 4. 유럽 각국의 스트라디오트

루이 12세 치하의 프랑스는 포르노보 전투 2년 후인 1497년에 약 2,000명의 스트라디오트를 고용했다. 프랑스에서는 이들을 '에스트라디오트'(estradiots|에스트라디오트프랑스어)와 '아르골레'(argoulets|아르골레프랑스어)라고 불렀다. "아르골레"라는 이름은 그리스의 도시 아르고스(Argos)에서 유래했거나[24], 활(arcus)과 아르퀘부스(arquebuse)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일부에서는 아르골레와 에스트라디오트가 같은 의미라고 주장하지만, 차이가 있다는 견해도 있다. G. 다니엘은 M. 드 몽고메리를 인용하여 아르골레와 에스트라디오트가 투구를 쓴다는 점 외에는 동일한 무장을 했다고 기록했다.[25] 다른 설명에 따르면 "에스트라디오트"는 알바니아인 기병, "아르골레"는 그리스인 기병을 의미하며, 크로아티아인은 "크라바트"(cravate|크라바트프랑스어)라고 불렸다.[26] 아르골레는 검, 곤봉(금속 곤봉), 짧은 아르퀘부스로 무장했다. 이들은 샤를 9세 치하에서도 존재했으며 드뢰 전투(1562년)에 참전한 기록이 있다. 아르골레 부대는 1600년경 해체되었다.[27] "카라빈"(carabin|카라뱅프랑스어)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에스트라디오트 및 아르골레와 유사한 기병 및 보병 부대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29] 카라빈 부대는 적어도 18세기 초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30] 또한, 로렌 공국은 1587년에 500명의 알바니아 기병을 모집했으며, 1588년부터 1591년까지 5명의 알바니아 경기병 대위를 고용했다.[31]
나폴리 왕국은 18세기에 활동했던 경보병 부대인 왕립 마케도니아 연대(Reggimento Real Macedone|레지멘토 레알 마체도네it)에 알바니아인, 그리스인, 세르비아인을 고용했다.[32] 스페인 역시 이탈리아 전쟁 등에서 이 부대를 고용했으며,[33]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는 "그리에고스 에스트라디오테스(griegos estradiotes|그리스인 스트라디오트es), 정예 기병" 200명을 거느렸다는 기록이 있다.
잉글랜드의 연대기 작가 에드워드 홀은 1513년 스퍼스 전투에서 스트라디오트를 묘사했는데, 그들은 짧은 등자, 작은 창, 비버 모자, 터키식 검을 갖추고 있었다.[28] 1514년, 잉글랜드의 헨리 8세는 스코틀랜드 왕국과의 전투를 위해 알바니아 및 그리스 스트라디오트 부대를 고용했다.[36][37] 1540년대에는 서머셋 공작 에드워드 시모어가 스코틀랜드를 상대로 한 원정에서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를 활용했다.[38] 영국에 스트라디오트가 있었다는 사실은 코르푸 출신 니칸드로스 누키오스의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1545년경 누키오스는 비전투원으로 잉글랜드의 스코틀랜드 침공에 동행했는데, 당시 잉글랜드 군대에는 아르고스 출신의 그리스인 부대가 아르고스의 토마스 지휘 하에 있었다. 누키오스는 토마스의 "용기, 신중함, 전쟁 경험"을 칭찬했다.[39][40] 아르고스의 토마스는 헨리 8세의 명령으로 1546년 불로뉴 전투에 파견되어 550명의 그리스인 대대를 지휘했으며, 이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다.[41] 국왕은 불로뉴에서의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상당한 금액으로 포상했다.
18세기 중반, 신성 로마 제국의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는 프로이센 및 프랑스 군대에 맞서 싸운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를 고용했다.[42]
3. 전술 및 관습
''스트라디오트''는 당대 경기병 전술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16세기 초 유럽 군대의 경기병은 주로 베네치아 군대의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 헝가리 후사르, 독일 용병 기병대(슈바르츠라이터)를 모델로 삼아 개편되었다.[43]
이들은 기습 공격, 매복, 위장 후퇴 및 기타 복잡한 기동 전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이러한 전술은 오스만 제국의 시파히나 아킨지와 유사한 면이 있었으며,[44] 특히 15세기 비잔틴 전쟁의 영향으로 방어적 성격이 강했던 아킨지와 더 닮은 특징을 보였다.[45] 스트라디오트는 이탈리아 전쟁 동안 프랑스 중기병을 상대로 여러 차례 주목할 만한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44]
스트라디오트는 전투에서 죽거나 포로로 잡힌 적의 머리를 베는 관습으로도 유명했다. 코미네스에 따르면, 이들은 잘린 머리 하나당 지도자로부터 금화 1두카트를 받았다고 한다.[46]
4. 장비
스트라디오트는 다양한 무기를 사용했는데, 기본적으로 투창, 검, 철퇴, 쇠뇌, 활, 단검 등을 갖추었다.[47] 용병으로 활동하면서는 합성궁, 만곡도, 메이스, 자루 끝이 창날 형태인 창(아세가이) 등도 사용했다. 15세기 말부터는 화약 무기도 도입하여 사용했다.[49]
갑옷은 초기에 단순한 사슬 호버크를 착용했지만, 점차 더 무거운 갑옷으로 대체되었다.[47] 경장 기병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제 갑옷을 착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머리에는 스페인어 단어 'casco'에서 유래한 'chaska'라고 불리는 헬멧을 썼다.[48] 또한, 스트라디오트는 알바니아 민족 지역인 라베리아의 전통 모자와 유사한 특별한 모자를 착용하기도 했다. 이 모자는 원뿔 모양에 작은 연장 부분이 달린 형태로,[50] 여러 겹의 종이를 붙여 내부를 강화하여 상당한 방호력을 갖추었다. 이 모자는 프랑스어로 chapeau albanois|샤포 알바누아프랑스어(알바니아 모자)라고 불렸다.
복장은 전통적으로 오스만 제국, 비잔틴 제국, 유럽 양식이 혼합된 형태였다.[47]
5. 주요 인물
- 아르고스의 토마스: 잉글랜드의 헨리 8세 시대에 영국군에서 복무한 그리스인 스트라디오트 부대 대장이다. 아르고스 출신으로, 1545년경 스코틀랜드 침공 당시 영국군 내 그리스인 부대를 지휘했다.[39][40] 코르푸 출신 니칸드로스 누키오스는 토마스의 "용기, 신중함, 전쟁 경험"을 칭찬했다.[39][40] 1546년 불로뉴 포위전에 550명의 그리스인 대대를 이끌고 참전하여 1,000명 이상의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했으나 전투 중 부상을 입었다.[41] 헨리 8세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상당한 금액으로 보상했다.
- 조르조 바스타: 아르버레셔 출신의 이탈리아 장군, 외교관, 작가이다.
- 피터 부아: 모레아에서 활동한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 대장이다.[51]
- 메르쿠리오 부아: 피터 부아의 아들로, 스트라디오트 대장이다. 1489년부터 1559년까지 이탈리아 전쟁의 주요 국면에서 활약했으며, 베네치아 공화국,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 스포르차, 프랑스 왕국,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 등을 섬겼다.[52][53][54][55]
- 테오도르 부아: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 대장이다.
- 데메트리오 카푸치마티: 플랑드르와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 대장이다.
- 테오도로 크레시아: 이탈리아, 플랑드르, 독일에서 활동한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 대장이다.
- 파나기오티스 도크사라스: 베네치아군 소속의 그리스 기병이자 화가 (1662–1729)이다.
- 마르크 지니: 베네치아군 소속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 대장이다.
- 크로코데이로스 클라다스: 스트라디오트 대장이자 군사 지도자이다.
- 페트로스 란차스 (1608년 사망): 그리스 스트라디오트 대장이다.
- 마이클 타르카니오타 마룰루스: 그리스 르네상스 학자, 시인, 인문주의자이다.
- 에마누엘 모르모리스: 16세기 지휘관이다.
- 그라이차스 팔레올로고스: 그리스 스트라디오트 지휘관이다.[56]
- 조반니 레네시 1세 (1568–1590년 활동): 나폴리 왕국에서 복무한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이다.
- 조반니 레네시 2세 (1567–1624): 달마티아와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활동한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이다. 반 오스만 제국 첩보 및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 데메트리오 레레스: 알바니아 스트라디오트 대장이자 귀족이다.
참조
[1]
인용
[2]
서적
Historia e popullit shqiptar: Përgatitur nga një kolektiv punonjësish shkencorë të sektorëve të historisë së kohës së lashtë dhe të kohës së mesme
Enti i teksteve dhe i mjeteve mësimore i Krahinës Socialiste Autonome të Kosovës
[3]
기타
Grande Enciclopedia Italiana
[4]
서적
Venice and Thessalonica, 1423–1430: The Venetian documents
https://books.google[...]
Unipress
2002
[5]
인용
[6]
웹사이트
cappelletto
https://www.treccani[...]
[7]
인용
[8]
기타
Nicolle, 1989.
[9]
기타
B. N. Floria, "Vykhodtsy iz Balkanakh stran na russkoi sluzhbe," Balkanskia issledovaniia. 3. Osloboditel'nye dvizheniia na Balkanakh (Moscow, 1978), pp. 57-63.
[10]
기타
Hungary and the fall of Eastern Europe 1000–1568 by David Nicolle, Angus McBride: "John Comnenus [...] settled Serbs as ''stratioti'' around Izmir..."
[11]
서적
Byzantium and Venice: A Study in Diplomatic and Cultur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기타
Pappas, 1991, p. 7: "The stratioti continued the Byzantine and Balkan traditions of cavalry warfare, which emphasized ambushes, hit-and-run assaults, feigned retreats, counterattacks and other tactics little known to western armies of the time. Indeed, when the Venetians introduced stradioti into Italy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they caused sensation among the condottieri and their warriors, principally because their tactics were so effective even against heavy cavalry. A number of military historians, including Paolo Iovio, Coriolano Cippico, Mario Sanudo, Erculi Riccoti, and Daniel E. Handy have described the activities of the stradioti in the West, and some military historians even attribute the reintroduction of light cavalry tactics in Western armies to the influence of the stradioti in Venetian armies."
[13]
인용
[14]
기타
Kondylis, 2006, p. 152: "Δεν είναι γνωστό από πότε η Βενετία ενσωμάτωσε στο στρατό της αυτούς τους οπλοφόρους. Πάντως, ήδη από το 1371, διατάγματα επέτρεπαν τη στρατολόγηση Ελλήνων των κτήσεων στον τοπικό στρατό" [It is unknown when Venice incorporated these armed men into its army. However, as early as 1371, decrees allowed Greeks to join the local army.]
[15]
인용
[16]
기타
Nicolle, 2002: p. 16
[17]
인용
[18]
인용
[19]
인용
[20]
인용
[21]
기타
Kondylis, 2006, p. 171: "Οι Αλβανοί του Ναυπλίου ήταν εγκατεστημένοι έξω από την πόλη, ανάμεσα στο ανατολικό τείχος και στο λόφο του Παλαμηδίου, περιοχή που ονομαζόταν «teraglio et sasso»" [The Albanians of Nauplion settled outside of the city... "
[22]
기타
Kondylis, 2006, p. 156
[23]
기타
Pappas, 1991, p. 34: "Although the stradioti who settled in the West gradually lost contact with the Levant , they were instrumental in founding and maintaining Greek Orthodox and Uniate communities in Venice and other Italian and Dalmatian cities.
[24]
웹사이트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françoise, vol. 1
https://books.google[...]
[25]
웹사이트
Daniel R.P.G. (1724) Histoire de la milice francoise, et des changemens qui s'y sont ... , Amsterdam, vol. 1, pp. 166-171.
https://books.google[...]
[26]
웹사이트
Virol M. (2007) ''Les oisivetes de monsieur de Vauban'', edition integrale, Champ Vallon, Seyssel, p. 988, footnote 3.
https://books.google[...]
[27]
기타
La Grand Encyclopedie, Eole-Fanucci, Paris (undated), vol. 16, article "''Argoulet''"
[28]
기타
Hall, Edward, ''Chronicle'' (1809), p. 543, 550
[29]
웹사이트
Bonaparte N. ''Études sur le passé et l'avenir de l'artillerie'', Paris, 1846, vol. 1, p. 161
https://archive.org/[...]
[30]
웹사이트
Boyer Abel (1710) The history of the reign of Queen Anne, year the eight, London, p. 86.
https://books.google[...]
[31]
인용
[32]
서적
Serbia's Historical Heritage
https://books.google[...]
East European Monographs
[33]
서적
Hellenism and the first Greek war of liberation (1821–1830): continuity and change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Balkan Studies
[34]
웹사이트
Historia del Rey Don Fernando el Catolico: De las empresas y ligas de Italia, book V, p. 3.
http://ifc.dpz.es/re[...]
[35]
웹사이트
LA GUARDIA REAL
https://web.archive.[...]
2010-11-28
[36]
서적
2000
[37]
서적
1972
[38]
서적
2003
[39]
웹사이트
Nicander Nucius, The second book of the travels of Nicander Nucius of Corcyra
https://archive.org/[...]
London
1841
[40]
문서
[41]
웹사이트
Nikandros Noukios
http://xantho.lis.up[...]
Pandora
1856-08-15
[42]
서적
2009
[43]
서적
1992
[44]
서적
1989
[45]
서적
Cross and Crescent in the Balkans: The Ottoman Conquest of Southeastern Europe (14th – 15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Pen & Sword Military
2010
[46]
문서
Lettres et Negotiations
https://archive.org/[...]
V. Devaux et Cie. Bruxelles
1868
[47]
서적
2002
[48]
문서
2006
[49]
문서
2006
[50]
서적
2016a
[51]
간행물
Restoration, Reconstruction and Union: memories of home in the stratiot poetry of Antonio Molino
https://hrcak.srce.h[...]
2019
[52]
서적
Le metamorfosi del ritratto
https://books.google[...]
L.S. Olschki
[53]
간행물
Andrea Gritti and the Greek Stradiots of Venice in the Early 16th Century
https://books.google[...]
2021-04-16
[54]
웹사이트
a produzione letteraria di Jacopo Trivolis, nobile veneto-corfiota
https://www.porphyra[...]
Porphyra
2021-04-19
[55]
간행물
Byzantium after Byzantium? Two Greek Writers in Seventeenth-Century Wallachia
https://brill.com/vi[...]
2017-01-01
[56]
서적
1989
[57]
문서
ヒース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