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펀지 (텔레비전 프로그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펀지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이휘재, 김경란 등이 진행을 맡았으며, 퀴즈 형식을 통해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했다. 초기에는 시청자 제보를 바탕으로 퀴즈를 출제하고,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흥미로운 사실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03년 방송 시작 직후 일본의 트리비아의 샘 표절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마술 비법 공개, 혐오스러운 실험 묘사, 성차별적인 내용 등으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S 연예대상 최고의 프로그램상 수상작 - 개그콘서트
개그콘서트는 1999년 첫 방송 후 2023년 시즌2로 재개된 대한민국 최장수 개그 프로그램으로, 공개 코미디 형식을 도입하고 '개그' 용어 대중화, 콘서트 무대 연출 등 획기적인 시도를 통해 대한민국 코미디 역사를 대표한다. - KBS 연예대상 최고의 프로그램상 수상작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 KBS 연예대상 - 김숙
김숙은 1995년 KBS 희극 배우로 데뷔하여 '따귀 소녀'로 인기를 얻은 후 다양한 예능, 라디오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2020년 KBS 연예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 KBS 연예대상 - 신봉선
신봉선은 2005년 KBS 공채 20기로 데뷔하여 개그우먼, MC, 배우, 가수로 활동하며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과 라디오, 영화, 드라마, 뮤지컬, 음반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다. - 2003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긴급구조 119
긴급구조 119는 119 소방공무원들의 구조 활동을 다룬 프로그램으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2003년에 방송되었으며 소방 관련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 - 2003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완전한 사랑 (2003년 드라마)
2003년 SBS에서 방영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완전한 사랑은 차인표, 김희애, 이승연 등이 출연하여 복잡한 남녀 관계와 가족 간의 갈등을 그린 드라마로, 선정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김희애가 연기대상을 수상했다.
스펀지 (텔레비전 프로그램)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프로그램 명칭 | 스펀지 |
다른 이름 | 스펀지 2.0 스펀지 0 |
장르 | 예능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채널 | KBS2 |
방송 기간 | 2003년 11월 8일 ~ 2012년 9월 21일 |
방송 횟수 | 441회 |
방송 시간 | 약 60분 (회당) |
제작진 | |
연출 | 이황선 |
진행 | 이휘재 김경란 |
프로듀서 | 이황선 |
제작 | KBS 예능본부 |
연출 | 이선민 하병훈 정희섭 김종윤 김도윤 이재우 |
각본 | 김형순 양선진 박소영 김미진 하승현 정보람 서지영 권소진 황우희 |
책임 프로듀서 | 김영도 |
2. 역사
는 2003년 가을 개편으로 신설되어 2003년 11월 8일에 첫 방송되었다. 초기에는 이혁재[21], 이휘재와 황수경, 김경란[22], 고민정, 이정민 등 KBS 아나운서들이 진행을 맡았다. 이휘재에 앞서 이경규가 메인 MC 물망에 올랐지만[23] 고사했다.
2007년 11월, 기존의 네모 퀴즈 형식을 폐지하고 재연 드라마 형식으로 개편되었다. 2009년 봄 개편부터 방송 시간이 금요일 밤 8시 50분으로 변경되었고, 김경란 아나운서가 다시 진행을 맡았다.[1]
2010년 봄 개편 때 프로그램 명칭을 《스펀지 0》(제로)로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3일, 프로그램 제목을 다시 《스펀지》로 환원하였다.[2] 2012년 9월 21일, 소재 고갈 등의 문제로 최종 폐지되었다.[3]
2. 1. 초기 (2003년 ~ 2007년)
2003년 가을 개편으로 신설되어 2003년 11월 8일에 첫 방송되었다. 이혁재[21], 이휘재와 황수경, 김경란[22], 고민정, 이정민 등 KBS 아나운서들이 진행을 맡았다. 이휘재에 앞서 이경규가 메인 MC 물망에 올랐지만[23] 고사했다. 패널들이 주어진 문제의 빈칸을 맞추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일반인들이 잘 모르고 있는 재미있는 사실들을 인터넷을 통해 제보받아 소개하고, 전문가들의 조언을 얻거나 직접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방송이 인기를 끌면서, 동아일보에서 문고판 판형의 단행본으로 출판되었으며, 만화로도 나왔다. (유행어: 빛나라 지식의 별~!! [하트 특집 유행어: 빛나라 사랑의 하트~!!])2. 2. 《스펀지 2.0》 (2007년 ~ 2010년)
2007년 11월, 기존의 네모 퀴즈 형식을 폐지하고 재연 드라마 형식으로 개편되었다.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에 변화를 주었으나, 시청률과 화제성은 하락세를 보였다. 2009년 봄 개편부터 방송 시간이 금요일 밤 8시 50분으로 변경되었고, 김경란 아나운서가 다시 진행을 맡았다.[1]초대 진행자는 황수경, 2대 진행자는 김경란, 3대 진행자는 고민정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KBS 아나운서 출신이다.[1]
2. 3. 《스펀지 0》(제로) 및 《스펀지》로의 복귀 (2010년 ~ 2012년)
2010년 봄 개편 때 프로그램 명칭을 《스펀지 0》(제로)로 변경하였다. 프로그램의 질 저하와 여러 논란으로 인해 시청률 부진이 계속되었다.[1] 2012년 2월 3일, 프로그램 제목을 다시 《스펀지》로 환원하였다.[2] 2012년 9월 21일, 소재 고갈 등의 문제로 최종 폐지되었다.[3]3. 역대 진행자
4. 방송 시간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KBS 2TV | 2003년 11월 8일 ~ 2005년 4월 30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40분 ~ 7시 50분 |
2005년 5월 7일 ~ 2006년 11월 18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45분 ~ 7시 55분 | |
2007년 5월 5일 ~ 2007년 11월 3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45분 ~ 7시 55분 | |
2005년 7월 9일 ~ 2005년 10월 29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40분 ~ 7시 55분 | |
2006년 11월 25일 ~ 2007년 4월 28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35분 ~ 7시 55분 | |
2007년 11월 10일 ~ 2008년 3월 29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35분 ~ 7시 55분 | |
2008년 11월 22일 ~ 2009년 4월 18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35분 ~ 7시 55분 | |
2006년 3월 18일 ~ 2006년 11월 18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30분 ~ 7시 55분 | |
2008년 4월 5일 ~ 2008년 8월 16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40분 ~ 7시 55분 | |
2008년 8월 30일 ~ 2008년 11월 15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40분 ~ 7시 55분 | |
2009년 4월 24일 ~ 2009년 10월 16일 | 매주 금요일 밤 9시 ~ 9시 55분 | |
2009년 10월 30일 ~ 2010년 5월 7일 | 매주 금요일 밤 8시 50분 ~ 9시 55분 | |
2012년 3월 2일 ~ 2012년 9월 21일 | 매주 금요일 밤 8시 50분 ~ 9시 55분 | |
2010년 5월 14일 ~ 2011년 11월 4일 | 매주 금요일 밤 8시 50분 ~ 9시 50분 | |
2011년 11월 11일 ~ 2012년 2월 24일 | 매주 금요일 밤 8시 55분 ~ 9시 55분 |
5. 포맷
방송은 퀴즈 형식으로 진행된다. 먼저 일부가 공란으로 가려진 트리비아가 소개된다. 가수, 코미디언, 배우 등의 게스트 답변자는 공란에 들어갈 단어를 생각한다. 전원이 답변을 보인 후, 공란에 들어갈 정답이 발표되고, 이어서 그 트리비아가 진실임을 증명하는 "확인 VTR"이 방송된다.[12]
50명의 일반인 심사위원은 비디오를 보고 트리비아의 흥미로움을 별(1개 ~ 5개)의 수로 평가한다. 별 5개를 받은 트리비아를 투고한 시청자에게는 100만원이 증정된다.[12]
〈스펀지 2.0〉은 이전 버전과 다른 형식을 갖추고 있다. 시청자가 아이템을 제출하는 대신,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흥미롭고 재미있는 사실들을 영상과 함께 제공한다. 50명의 심사위원 대신, 100명의 사람들을 초대하여 무대 투표 및 시연을 돕는다. 연예인 패널은 그대로 유지된다.[12]
5. 1. (구) 스펀지
스펀지 연구소는 어느 한 가지 주제를 깊게 분석하는 코너였다. 미스터리 실험실, 초간단 스펀지 - 너 그거 아니?, 액션 스펀지, 셀프 스펀지, 스펀지 인기 검색어 등의 코너도 있었다. 셀프 스펀지는 시청자들이 직접 동영상을 만들어 올린 것을 방송하는 코너였고, 스펀지 인기 검색어는 한 주간 네이버에서 가장 많이 검색한 단어를 방송하는 코너였다.[12]시청자 제보를 받아 50인의 감정단이 별점으로 평가했는데, 10명이 동의하면 별 1개, 5명이 동의하면 별 반 개였다. 별 5개를 받은 제보자에게는 100만원의 지식개발금을 지급했다. 중간에 연예인 패널들이 지식을 평가하는 형식으로 바뀌어, 한 사람당 최대 10개까지 줄 수 있었다. 만점은 50개로 100만원과 1개당 1만원의 지식 개발금을 주었다. 그 뒤 다시 원래 형식으로 바뀌었다.[12]
5. 2. 스펀지 2.0
〈스펀지 2.0〉은 이전 버전과 다른 형식을 갖추고 있다. 시청자가 직접 아이템을 제출하는 대신,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흥미롭고 재미있는 사실들을 영상과 함께 제공한다.[12] 50명의 심사위원 대신, 이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무대 투표 및 시연을 돕는 100명의 사람들을 초대한다. 연예인 패널은 그대로 유지된다.〈스펀지 2.0〉에서는 두뇌를 개발하고 자극하는 방법으로 에피소드가 마무리된다.
5. 3. 스펀지 0
- 황당 궁금 황금 제보
- 스마트 검색어 (Google|구글영어코리아 제공)
- 스펀지 네모 로드: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주제와 관련된 신기하고 놀라운 것을 찾는 코너로 2주에 걸쳐 방송된다. 초기에는 박철이 출연하였으며, 중도에는 허준이 출연하였다.
- 도전! 지식 제보금 100만 원: 8명 중 6명의 패널들이 시청자들의 제보를 보고 OX로 감정하는 코너다. 제보자는 최소 1원과 최대 100만원을 받는다.
- 뉴 황금 제보: 시청자들의 다양한 제보를 실험하는 코너다. 중반부 때는 황금제보를 보고 진실인지 거짓인지 감정하는 형식이었다. 8명의 패널들이 만장일치로 인정하면 그 제보를 보내 준 제보자에게는 황금바를 받는다.
- 인펀지: 인간 내면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인간 실험 코너로 누구나 감추고 있지만 숨길 순 없는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를 해보는 기획 코너다.
5. 4. (신) 스펀지
- 최신판
- 스펀지 미궁
- 한 점 승부
- 코리아 스펀지
- 밝히는 스펀지
- 스펀지 종지부
- 스펀지 하우
각 퀴즈는 빈칸이 있는 문장으로 제시된다. 가수, 코미디언, 배우 등 패널 출연진은 빈칸을 채우려고 시도한다.[12] 출연진이 추측을 한 후, 정답이 공개되고, 퀴즈가 사실임을 보여주는 증거가 제시된다.
영상 증거 이후, 50명의 심사위원단이 해당 퀴즈의 흥미도를 평가하여 별 1개에서 5개까지의 등급으로 평가한다. 별 5개를 받은 아이템을 제출한 사람에게는 100만원의 현금 상품이 수여된다.
그러나 새로운 버전인 스펀지 2.0은 다른 형식을 갖추고 있다. 시청자가 아이템을 제출하는 대신,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흥미롭고 재미있는 사실들을 영상과 함께 제공한다. 50명의 심사위원 대신, 이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무대 투표 및 시연을 돕는 100명의 사람들을 초대한다. 연예인 패널은 그대로 유지된다.
6. 논란
2003년 《스펀지》 방영 이후 일본 후지 TV는 이 프로그램이 2002년 10월 처음 방송된 자사 프로그램 《뇌! tv 컬쳐쇼》를 표절했다고 주장했다.[13] KBS는 이 주장을 부인했지만, 후지 TV는 두 프로그램의 유사성에 대한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후지 TV는 처음에는 KBS를 상대로 법적 조치를 고려했으나,[14] 이후 법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15] 한국방송위원회 조사 결과, 표절 주장은 증거가 부족한 것으로 결론났다.[16]
6. 1. 표절 논란
トリビアの泉 〜素晴らしきムダ知識〜일본어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소개된 지식 중 상어가 건전지를 피한다는 내용은 일본 프로그램인 《트리비아의 샘》을 통해 소개된 것과 같다는 의혹이 일면서 표절 비난이 있었다.[28][29] 2003년 《스펀지》 방영 이후 일본 텔레비전 방송국 후지 TV는 이 프로그램이 2002년 10월 처음 방송된 자사 프로그램 《뇌! tv 컬쳐쇼》를 표절했다고 주장했다.[13] KBS는 이 주장을 부인했지만, 후지 TV는 두 프로그램의 유사성에 대한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후지 TV는 처음에는 KBS를 상대로 법적 조치를 고려했으나,[14] 이후 법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15] 한국방송위원회 조사 결과, 표절 주장은 증거가 부족한 것으로 결론났다.[16]"스펀지"가 "새로운 타입의 선정적이지 않은 버라이어티"로 방송을 시작하자마자 한국 시청자들 사이에서 일본 후지 TV의 트리비아의 샘 〜훌륭한 쓸데없는 지식〜에서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트리비아의 샘"은 "스펀지"보다 앞선 2002년 10월부터 방송되었고, 2003년 여름 황금 시간대로 이동하여 인기 프로그램이 되었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알려져 있었다. "트리비아를 소개하고 재현 VTR로 실증한다"는 프로그램의 컨셉이나 VTR의 낮고 느린 내레이션 목소리의 톤 등 여러 면에서 매우 흡사하다는 지적이 있었다.[17]
이에 후지 TV도 관심을 보이며, 11월 중순에 표절 여부에 관한 질문서를 팩스로 KBS 측에 보냈지만,[18] 11월 19일, KBS 프로듀서는 1998년에도 KBS에서 유사한 트리비아 프로그램을 제작한 적이 있으며, 유사점은 우연의 일치일 뿐이라고 말하며 의혹을 부인했다.[19]
6. 2. 마술 비법 공개 논란
2008년 초, 《스펀지 2.0》은 마술 비법을 공개하는 코너를 신설하여 여러 마술의 비법을 공개했다. 그러나 이는 고급 마술 기법에 대한 저작권 침해 논란과 마술 비법 공개로 인한 관객들의 흥미 상실 등 마술계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이에 한국마술협회는 《스펀지》에 출연하여 마술 비법을 공개하던 마술사 최현우를 영구 제명 조치하며 항의했다. 마술계의 거센 항의가 이어지자, 《스펀지》 제작진은 마술계에 공식 사과하고 해당 코너를 폐지했다. 한편, 1978년생 프로 마술사 최현우는 1986년생 마술사 최현우와 동일인물로 오해받아 항의를 받는 해프닝도 있었다.6. 3. 기타 논란
2010년 3월 12일 방영된 325회에서는 존 스텀프가 작곡한 〈죽음의 왈츠〉를 실제로 연주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이때 빠른 템포의 배경음악으로 일본 동인 게임 시리즈 동방프로젝트 중 동방홍마향 보스 테마곡인 《U.N.오웬은 그녀인가?》의 어레인지곡 《최종귀축 여동생 플랑드르 S》가 사용되었다. 이 방송 이후 《최종귀축 여동생 플랑드르 S》를 죽음의 왈츠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28]2010년 6월 4일 336회 방송에서는 한 네티즌의 실제 경험담을 바탕으로 한 미역 괴담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 미역 괴담은 건미역을 먹은 후 뱃속에서 불어난 미역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와 병원에 실려 간 경험담이다. 실험 결과, 75g의 건미역이 물에 불어 1149.5g으로 15배 이상 팽창했다. 전문가는 "많은 양의 건미역을 먹으면 위에서 부풀어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30] 그러나 재연 과정이 지나치게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쳤다. 시청자들은 "혐오스럽다",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31]
2011년 11월 11일 404회 〈인펀지〉 코너에서는 여자가 실수로 고가 상품을 파손했을 때 남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실험을 했다. 시청자들은 "여성 편향적이다", "남자를 너무 앞세운다"는 등 실험 내용에 문제를 제기하며 불쾌감을 드러냈다.[32]
참조
[1]
웹사이트
"'스펀지', 447회로 종영..이휘재·김경란 \"시청자께 감사\""
https://www.starnews[...]
2023-11-08
[2]
웹사이트
"'스펀지' 종영 \"소재고갈로 9년만에 폐비 \" 아쉬워"
http://biz.heraldcor[...]
2023-11-08
[3]
웹사이트
"[방송]KBS 지식 발전소 '스펀지' 10월1일 100회 맞는다"
https://www.donga.co[...]
2023-11-08
[4]
웹사이트
"[TV review]'Knowledge'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https://koreajoongan[...]
2023-11-08
[5]
웹사이트
골리앗 '무한도전'에 맞서는 다윗 '스펀지'
https://n.news.naver[...]
OSEN
2023-11-08
[6]
웹사이트
"'스펀지' 마지막회 소재고갈로 종영 '범죄 대처법 소개하고 굿바이'"
https://www.newsen.c[...]
2023-11-08
[7]
웹사이트
KBS'스펀지' 방송 100회 맞아
https://n.news.naver[...]
Yonhap News Agency
2023-11-08
[8]
웹사이트
More Asian Television Awards
https://www.philstar[...]
2023-11-08
[9]
웹사이트
KBS '스펀지' 골든로즈상 본선 진출
https://n.news.naver[...]
Yonhap News Agency
2023-11-08
[10]
웹사이트
KBS '스펀지' 9월 1일 200회 방송
http://www.pdjournal[...]
2023-11-08
[11]
웹사이트
KBS '스펀지', 소재고갈 등으로 '폐지수순'..'내마오' 편성
https://www.chosun.c[...]
2023-11-08
[12]
웹사이트
"[발견 이채널] KBS 2TV ‘스펀지'"
https://www.chosun.c[...]
2023-11-08
[13]
웹사이트
KBS2 신설 오락프로 '스펀지' 첫회부터 표절 논란
https://www.chosun.c[...]
2023-11-08
[14]
웹사이트
"[방송]日후지TV, 표절의혹 한국프로에 법적대응 검토"
https://www.donga.co[...]
2023-11-08
[15]
웹사이트
日후지TV, 표절의혹 부인에 유감표명
https://www.chosun.c[...]
2023-11-08
[16]
웹사이트
방송위 "'스펀지'등 日방송 표절 증거없다"
https://www.joongang[...]
2023-11-08
[17]
웹사이트
KBSの新バラエティが『トリビアの泉』にそっくり? (Chosun Online エンタメコリア | 朝鮮日報)
http://www.chosunonl[...]
[18]
웹사이트
「盗作疑惑」めぐりフジテレビが質問状送付 (Chosun Online エンタメコリア | 朝鮮日報)
http://www.chosunonl[...]
[19]
웹사이트
KBS制作陣「『トリビアの泉』盗作していない」 (Chosun Online エンタメコリア | 朝鮮日報)
http://www.chosunonl[...]
[20]
웹인용
게임 스테이션
http://www.kbs.co.kr[...]
2009-02-15
[21]
문서
이혁재는 방송에서 닥터 리(Dr. Lee)로 불리었다.
[22]
문서
하차 이유는 《[[KBS 뉴스 9|9시 뉴스]]》의 진행을 위해서라고 밝혔지만, 몇 년 후에 《스펀지 0》의 MC로 복귀하게 된다.
[23]
뉴스
"'힐링' 최민식, 놓친 대박작 고백 \"영화 '친구'와 'JSA' 내가 할 뻔\""
https://entertain.na[...]
TV리포트
2023-03-11
[24]
뉴스
개편앞둔 '스펀지', 7.6%로 유종의 미
http://star.mt.co.kr[...]
머니투데이
2007-11-04
[25]
뉴스
김경란 아나, '스펀지 2.0' 복귀‥이휘재와 진행
http://star.mt.co.kr[...]
머니투데이
2009-04-16
[26]
뉴스
"[방송가] 전국 기막힌 자장면을 찾아서"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0-05-14
[27]
뉴스
스펀지 폐지, 10년 방송 동안 '소재 고갈'
http://artsnews.mk.c[...]
아츠뉴스
2012-09-22
[28]
뉴스
KBS 2TV ‘스펀지’ 일(日)방송 표절 논란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9-07-28
[29]
뉴스
후지TV "한국 신문사 문의로 표절 의혹 제기"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7-28
[30]
뉴스
스펀지 제로 미역괴담 실험, 시청자 "구토 장면은 좀..."
http://www.sisaseoul[...]
시사서울
2010-06-05
[31]
뉴스
"'스펀지' 논란되는 '미역 괴담', 시청자 불만 쇄도"
http://news.tvreport[...]
TV리포트
2010-06-05
[32]
뉴스
커플실험 논란, 스펀지 게시판은 불만폭주로 초토화
http://tvdaily.mk.co[...]
티브이데일리
2011-11-12
[33]
뉴스
"[방송]日후지TV, 표절의혹 한국프로에 법적대응 검토"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8-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