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핀 홀 효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핀 홀 효과는 전류가 흐를 때 전자의 스핀이 반대 방향으로 편향되는 현상이다. 1971년 미하일 I. 디야코노프와 블라디미르 I. 페렐에 의해 예측되었으며, 스핀 전류의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 스핀 홀 효과는 스핀트로닉스 소자 개발 및 저전력, 고효율 정보 저장 및 처리 기술에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 효과 - 에드윈 홀
    에드윈 허버트 홀은 홀 효과를 발견하고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며 물리학 교과서를 저술한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 홀 효과 - 양자 홀 효과
    양자 홀 효과는 강한 자기장과 저온의 2차원 전자계에서 홀 전도율이 기본 상수의 정수배 또는 분수배로 양자화되는 현상으로, 정수 양자 홀 효과는 전기 저항 표준 및 미세 구조 상수 결정에 활용되며, 분수 양자 홀 효과는 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고, 란다우 준위 등의 개념으로 설명되며 위상 물질 연구 등에 응용된다.
  • 스핀트로닉스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스핀트로닉스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응집물질물리학 - 띠구조
    띠구조는 결정 내 전자의 에너지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에너지 띠와 띠틈으로 구성되며, 도체, 절연체,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응집물질물리학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스핀 홀 효과
일반 정보
현상 종류스핀트로닉스 현상
발견자M. I. 다야코노프
V. I. 페렐
발견 년도1971년
물리
관련 현상스핀 오비트 상호 작용
스핀 전류
응용 분야스핀 트랜지스터
설명전하 전류를 스핀 전류로 변환하는 현상

2. 역사

스핀 홀 효과는 1971년 러시아 물리학자 미하일 I. 디야코노프(Mikhail I. Dyakonov)와 블라디미르 I. 페렐(Vladimir I. Perel)이 처음 예측했고,[1][2] 1999년 허쉬(Hirsch)가 "스핀 홀 효과"라는 용어를 도입하며 재예측했다.[5] 1983년 아베르키예프(Averkiev)와 디야코노프(Dyakonov)는 반도체에서 광학적 스핀 배향 하에서 역 스핀 홀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3] 1984년 바쿤(Bakun) 등이 이를 실험적으로 시연하였다.[4] 직접 스핀 홀 효과는 최초 예측 후 30년 이상 지나서야 반도체에서 관찰되었다.[6][7]

2. 1. 이론적 예측

스핀 홀 효과(직접 및 역)는 1971년 러시아 물리학자 미하일 I. 디야코노프(Mikhail I. Dyakonov)와 블라디미르 I. 페렐(Vladimir I. Perel)에 의해 예측되었다.[1][2] 그들은 또한 처음으로 ''스핀 전류''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1983년 아베르키예프(Averkiev)와 디야코노프(Dyakonov)[3]는 반도체에서 광학적 스핀 배향 하에서 역 스핀 홀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역 스핀 홀 효과의 첫 번째 실험적 시연은 1984년 바쿤(Bakun) 등에 의해 수행되었다.[4]

"스핀 홀 효과"라는 용어는 1999년에 이 효과를 재예측한 허쉬(Hirsch)[5]에 의해 도입되었다.

실험적으로 (직접) 스핀 홀 효과는 원래 예측 이후 30년 이상 지난 후 반도체에서 관찰되었다.[6][7]

2. 2. 실험적 발견

1983년 아베르키예프(Averkiev)와 디야코노프(Dyakonov)는 반도체에서 광학적 스핀 배향 하에서 역 스핀 홀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했다.[3] 1984년 바쿤(Bakun) 등이 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역 스핀 홀 효과를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시연하였다.[4]

(직접) 스핀 홀 효과는 원래 예측 이후 30년 이상 지난 후 반도체에서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6][7]

3. 물리적 기원

스핀 홀 효과는 전류가 흐르는 시료의 측면에 스핀 축적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시료의 반대쪽 표면 경계에는 반대 부호의 스핀이 존재한다. 이는 자기장 내에서 전류가 흐르는 시료의 반대쪽 측면에 반대 부호의 ''전하''가 나타나는 고전적인 홀 효과와 유사하다. 고전적인 홀 효과의 경우, 경계면에서 전하 축적은 자기장으로 인해 시료 내 전하 운반체에 작용하는 로렌츠 힘에 대한 보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스핀 홀 효과는 순전히 스핀 기반 현상으로, 자기장이 필요하지 않다.

스핀 홀 효과는 스핀-궤도 상호작용에서 기인하며, 강자성체에서 오랫동안 알려진 이상 홀 효과와 같은 계열에 속한다. 스핀 홀 효과는 크게 두 가지 메커니즘, 즉 외인성 메커니즘과 내인성 메커니즘으로 설명된다.


  • 외인성 메커니즘: 전자가 재료의 불순물과 충돌할 때 스핀 방향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산란되는 현상(모트 산란)을 이용한다.
  • 내인성 메커니즘: 재료 자체의 비대칭적인 구조로 인해 전자의 궤도가 휘어지는 현상을 이용한다.

3. 1. 외인성 메커니즘 (Extrinsic Mechanism)

Dyakonov와 Perel이 고안한 외인성 메커니즘은 스핀 의존적인 모트 산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반대 스핀을 가진 전하 운반체(캐리어)는 재료의 불순물과 충돌할 때 반대 방향으로 산란된다.[8] 즉, 전자가 불순물과 충돌할 때, 전자의 스핀 방향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산란되어 스핀 불균형이 발생한다.

3. 2. 내인성 메커니즘 (Intrinsic Mechanism)

내인성 메커니즘은 물질 고유의 스핀-궤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물질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전자의 궤도가 휘어지면서 스핀 불균형이 발생한다.[8] 이는 회전하는 테니스 공이 공기 중에서 휘어지는 마그누스 효과와 유사하게 설명할 수 있다.[23] 고체에서 공기는 물질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유효 전기장으로 대체되며, 자기 모멘트(스핀과 관련됨)와 전기장 사이의 상대적 운동은 전자의 움직임을 왜곡시키는 결합을 생성한다.

4. 수학적 기술

스핀 전류는 2계 텐서 ''q''''ij''영어로 표현되며,[1][2] 여기서 첫 번째 지수는 흐름의 방향을, 두 번째 지수는 흐르는 스핀 성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q''''xy''영어는 ''x'' 방향으로 흐르는 ''y'' 성분 스핀의 흐름 밀도를 나타낸다. 또한 전하 흐름 밀도의 벡터 ''q''''i'' (일반적인 전류 밀도 '''j'''=''e'''''q'''와 관련이 있으며, 여기서 ''e''는 기본 전하이다)를 도입한다. 스핀 전류와 전하 전류 간의 결합은 스핀-궤도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단일 무차원 결합 매개변수 ''ʏ''를 도입하여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9]

5. 스핀 홀 자기저항 (Spin Hall Magnetoresistance)

자기장은 스핀 홀 효과에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표면에서 스핀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충분히 강한 자기장이 가해지면, 스핀은 자기장의 방향을 중심으로 세차운동을 하며 스핀 홀 효과는 사라진다. 따라서 자기장이 존재하는 경우, 정 스핀 홀 효과와 역 스핀 홀 효과의 결합된 작용은 시료 저항의 변화를 초래하며, 이는 스핀-궤도 상호작용의 2차 효과이다. 이는 1971년에 댜코노프(Dyakonov)와 페렐(Perel)에 의해 언급되었고[2][9][24], 이후 댜코노프에 의해 더 자세히 설명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스핀 홀 자기저항은 자기성 및 비자기성 물질(Pt, Ta, Pd와 같이 스핀-궤도 상호작용이 강한 중금속) 모두에서 실험적으로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6. 스핀 전류 교환 (Swapping Spin Currents)

스핀 전류의 변환은 스핀과 흐름 방향을 서로 바꾸는 것(스핀 및 흐름 방향의 ''교환'', ''q''''ij'' → ''q''''ji'')으로, 리프시츠와 디야코노프에 의해 예측되었다.[10] [25] 따라서 ''y'' 방향으로 편광된 스핀이 ''x'' 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x'' 방향으로 편광된 스핀이 ''y''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변환된다. 이 예측은 아직 실험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7. 광학적 관측

직접 및 역 스핀 홀 효과는 광학적 수단으로 관측할 수 있다. 스핀 축적은 방출된 원편광뿐만 아니라 투과(또는 반사)된 빛의 파라데이 (또는 커) 편광 회전을 유도한다. 방출된 빛의 편광을 관찰하면 스핀 홀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직접 및 역 효과가 반도체뿐만 아니라 금속에서도 입증되었다.[26][27][28][29]

8. 응용

스핀 홀 효과는 전자의 스핀을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교반 효과와 결합하면 국소적인 전도 영역에서 스핀 분극을 유발할 수 있다.[30]

8. 1. 스핀트로닉스 소자

스핀 홀 효과는 전자의 스핀을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교반 효과와 결합하여 스핀 홀 효과는 국소적인 전도 영역에서 스핀 분극을 유발한다.[15][30]

8. 2. 정보 저장 및 처리 기술

스핀 홀 효과는 전자의 스핀을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교반 효과와 결합하여 스핀 홀 효과는 국소적인 전도 영역에서 스핀 편극을 유도한다.[15]

참조

[1] 논문 Possibility of orientating electron spins with current http://www.jetplette[...]
[2] 논문 Current-induced spin orientation of electrons in semiconductors
[3] 논문 Current due to non-homogeneous spin orientation in semiconductors
[4] 논문 Detection of a surface photocurrent due to electron optical orientation in a semiconductor http://www.jetplette[...] 2008-06-24
[5] 논문 Spin Hall Effect
[6] 논문 Observation of the Spin Hall Effect in Semiconductors http://www.sciencema[...] 2004-11-11
[7] 논문 Experimental Observation of the Spin-Hall Effect in a Two-DimensionalSpin-Orbit Coupled Semiconductor System http://scitation.aip[...]
[8] 논문 New perspectives for Rashba spin–orbit coupling 2015-09
[9] 논문 Magnetoresistance due to edge spin accumulation
[10] 논문 Swapping spin currents
[11] 논문 Coherence Control of Hall Charge and Spin Currents
[12] 논문 Conversion of spin current into charge current at room temperature: inverse spin-Hall effect
[13] 논문 Direct Electronic Measurement of the Spin Hall Effect
[14] 논문 Room-Temperature Reversible Spin Hall Effect
[15] 논문 Spin polarization control by electric stirring: proposal for a spintronic device https://scholarcommo[...]
[16] 논문 Possibility of orientating electron spins with current http://www.jetplette[...]
[17] 논문 Current-induced spin orientation of electrons in semiconductors
[18] 논문 Current due to non-homogeneous spin orientation in semiconductors
[19] 논문 Detection of a surface photocurrent due to electron optical orientation in a semiconductor http://www.jetplette[...]
[20] 논문 Spin Hall Effect http://link.aps.org/[...]
[21] 논문 Observation of the Spin Hall Effect in Semiconductors http://www.sciencema[...] 2004-11-11
[22] 논문 Experimental Observation of the Spin-Hall Effect in a Two-DimensionalSpin-Orbit Coupled Semiconductor System http://scitation.aip[...]
[23] 논문 New perspectives for Rashba spin–orbit coupling http://www.nature.co[...] 2015-09
[24] 논문 Magnetoresistance due to edge spin accumulation http://link.aps.org/[...]
[25] 논문 Swapping spin currents http://link.aps.org/[...]
[26] 논문 Coherence Control of Hall Charge and Spin Currents http://link.aps.org/[...]
[27] 논문 Conversion of spin current into charge current at room temperature: inverse spin-Hall effect http://aip.scitation[...]
[28] 논문 Direct Electronic Measurement of the Spin Hall Effect https://www.nature.c[...]
[29] 논문 Room-Temperature Reversible Spin Hall Effect http://link.aps.org/[...]
[30] 논문 Spin polarization control by electric stirring: proposal for a spintronic dev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