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자승 원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승자승 원칙은 축구와 야구 등에서 두 팀 이상의 순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규칙이다. 축구에서는 승점, 골득실차, 다득점 순으로 순위를 정하고, 이 조건들이 같을 경우 두 팀 간의 상대 전적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야구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승패가 같은 팀이 있을 때, 맞대결 결과로 순위를 정하고, 3팀 이상이 같을 경우 승자승 결과와 득실차를 고려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용어 - 무관중 경기
무관중 경기는 질서 유지, 선수 보호, 징계, 안전 확보, 감염병 확산 방지 등의 목적으로 관중 없이 치르는 스포츠 경기를 의미하며, 특히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었고, 선수 경기력에 영향과 구단 수입 감소를 야기하지만 공공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되기도 한다. - 스포츠 용어 - 퇴장
퇴장은 스포츠 경기에서 심각한 반칙 등으로 인해 선수나 코칭 스태프가 경기에서 제외되는 징계이며, 종목별로 레드카드, 옐로카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출전 정지 등의 추가 징계가 부과될 수 있다.
승자승 원칙 |
---|
2. 축구
축구에서 승자승 원칙은 승점, 골득실차, 다득점이 같은 팀들의 순위를 결정할 때 사용된다. 이 세 항목이 같을 때, 그 팀끼리의 상대 전적을 비교해서 우세한 팀이 더 높은 순위를 받게 되며, 양 팀이 무승부였다면 다음 순위 결정 방식으로 넘어간다.
유럽 축구 연맹(UEFA),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대회에서는 승점 동률 시 골득실차보다 승자승 원칙을 우선 적용하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경우 UEFA 유로 1996부터 이 규칙이 적용되고 있다.
덧붙여, 축구의 골득실과 다득점 계산 방식은 야구의 득실차 계산보다 더 간단하고 다르게 계산된다.
2. 1. 적용 방식
축구에서 승자승 원칙은 흔히 승점, 골득실차, 다득점이 같은 두 팀의 순위를 결정할 때 사용한다. 이 세 항목이 같을 때, 그 팀끼리의 상대 전적을 비교해서 우세한 팀이 더 높은 순위를 받게 된다. 만약 양 팀이 무승부였다면 다음 순위 결정 방식으로 넘어간다.한편, 유럽 축구 연맹(UEFA),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대회에서는 승점 동률 시 골득실차보다 승자승 원칙을 우선 적용한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경우 UEFA 유로 1996부터 승자승 우선 규칙이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추가로 축구의 골득실과 다득점 계산 방식은 야구의 득실차 계산보다 더 간단하고 다르게 계산한다.
2. 2. 예시
A, B, C, D 네 팀이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고, 상위 2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경우를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경기 | 팀1 | 점수 | 팀2 |
---|---|---|---|
1-1 | A팀 | 1 : 2 | B팀 |
1-2 | C팀 | 1 : 0 | D팀 |
2-1 | A팀 | 4 : 1 | C팀 |
2-2 | D팀 | 0 : 4 | B팀 |
3-1 | D팀 | 1 : 3 | A팀 |
3-2 | B팀 | 0 : 3 | C팀 |
국제축구연맹(FIFA)의 타이브레이커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순위 | 팀 | 전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점 | 결과 |
---|---|---|---|---|---|---|---|---|---|---|
1 | A팀 | 3 | 2 | 0 | 1 | 8 | 4 | +4 | 6 | 진출 |
2 | B팀 | 3 | 2 | 0 | 1 | 6 | 4 | +2 | 6 | 진출 |
3 | C팀 | 3 | 2 | 0 | 1 | 5 | 4 | +1 | 6 | 탈락 |
4 | D팀 | 3 | 0 | 0 | 3 | 1 | 8 | −7 | 0 | 탈락 |
A, B, C 팀이 서로 1승 1패씩을 주고받고, D팀은 전패했을 때, FIFA 타이브레이커를 적용하면 A팀과 B팀이 진출한다.
그러나 맞대결에서의 승자승을 먼저 따질 경우, 최하위 팀인 D팀의 결과가 제외된다.
경기 | 팀1 | 점수 | 팀2 |
---|---|---|---|
1-1 | A팀 | 1 : 2 | B팀 |
1-2 | C팀 | 1 : 0 | D팀 |
2-1 | A팀 | 4 : 1 | C팀 |
2-2 | D팀 | 0 : 4 | B팀 |
3-1 | D팀 | 1 : 3 | A팀 |
3-2 | B팀 | 0 : 3 | C팀 |
순위 | 팀 | 전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점 | 결과 |
---|---|---|---|---|---|---|---|---|---|---|
1 | A팀 | 2 | 1 | 0 | 1 | 5 | 3 | +2 | 3 | 진출 |
2 | C팀 | 2 | 1 | 0 | 1 | 4 | 4 | 0 | 3 | 진출 |
3 | B팀 | 2 | 1 | 0 | 1 | 2 | 4 | -2 | 3 | 탈락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과 WBSC 프리미어 12같은 야구에서도 승자승 원칙이 존재한다. 조별 리그에서 두 팀의 승패가 같으면 맞대결(hh)에서 이긴 팀이 선두가 된다. 세 팀 이상 승패가 같으면 승점이 다른 한 팀을 제외하고 나머지 팀들 간의 승자승(HH)을 따진다. 승자승(HH)으로 순위를 가릴 수 없으면 득실차(TQB)로 넘어간다.
이 경우 C팀이 진출하고 B팀이 탈락하는 결과가 나온다.
3. 야구
3. 1. 적용 방식
조별 리그에서 두 팀의 승패가 같으면, 맞대결(hh)에서 이긴 팀이 선두가 된다. 세 팀 이상 승패가 같으면, 승점이 다른 한 팀을 제외하고 나머지 팀들 간의 승자승(HH)을 따진다. 승자승(HH)으로 순위를 가릴 수 없으면, 득실차(TQB)로 넘어간다. 야구의 득실차(TQB)는 득점을 공격 총 횟수로 나누고, 실점을 수비 총 횟수로 나눈 후, 서로 빼서 계산한다. 승점이 같을 때 득실차(TQB)를 계산하는 경우와 최종 순위를 결정할 때 득실차(TQB)를 계산하는 경우는 다르다.
A, B, C, D 네 팀이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상위 두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상황을 예시로 들어보자.
경기 | 팀1 | 점수 | 팀2 |
---|---|---|---|
1-1 | A팀 | 1 : 2 | B팀 |
1-2 | C팀 | 1 : 0 | D팀 |
2-1 | A팀 | 4 : 1 | C팀 |
2-2 | D팀 | 0 : 4 | B팀 |
3-1 | D팀 | 1 : 3 | A팀 |
3-2 | B팀 | 0 : 3 | C팀 |
국제축구연맹(FIFA)의 타이브레이커를 적용하면 A팀과 B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A팀 | 3 | 2 | 0 | 1 | 8 | 4 | +4 | 6 | 진출 |
2 | B팀 | 3 | 2 | 0 | 1 | 6 | 4 | +2 | 6 | 진출 |
3 | C팀 | 3 | 2 | 0 | 1 | 5 | 4 | +1 | 6 | 탈락 |
4 | D팀 | 3 | 0 | 0 | 3 | 1 | 8 | −7 | 0 | 탈락 |
그러나 맞대결에서의 승자승을 우선 적용하면, 최하위 팀인 D팀의 결과가 제외된다.
경기 | 팀1 | 점수 | 팀2 |
---|---|---|---|
1-1 | A팀 | 1 : 2 | B팀 |
1-2 | C팀 | 1 : 0 | D팀 |
2-1 | A팀 | 4 : 1 | C팀 |
2-2 | D팀 | 0 : 4 | B팀 |
3-1 | D팀 | 1 : 3 | A팀 |
3-2 | B팀 | 0 : 3 | C팀 |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A팀 | 2 | 1 | 0 | 1 | 5 | 3 | +2 | 3 | 진출 |
2 | C팀 | 2 | 1 | 0 | 1 | 4 | 4 | 0 | 3 | 진출 |
3 | B팀 | 2 | 1 | 0 | 1 | 2 | 4 | -2 | 3 | 탈락 |
이에 따라 C팀이 진출하고 B팀이 탈락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과 WBSC 프리미어 12와 같은 야구에서도 승자승 원칙이 존재한다. 조별 리그에서 두 팀의 승패가 같으면 맞대결(hh)에서 이긴 팀이 선두가 된다. 세 팀 이상 승패가 같을 경우, 승점이 다른 한 팀을 제외하고 나머지 팀들 간의 승자승(HH)을 따진다. 승자승(HH)으로 순위를 가릴 수 없을 경우, 득실차(TQB)로 넘어간다. 야구에서는 득점을 공격 총 횟수로 나누고, 실점을 수비 총 횟수로 나눈 후, 서로 빼서 득실차(TQB)를 계산한다.
승점이 같을 때 득실차(TQB)를 계산하는 경우와 최종 순위를 결정할 때 득실차(TQB)를 계산하는 경우는 다르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들은 맞대결이 없는 상태에서 승점이 같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승자승을 고려하지 않고 득실차(TQB)로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3. 2. 예시
승자승 원칙이 적용되는 예시를 통해 이 규칙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본다.A, B, C, D 네 팀이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고, 상위 2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 | 팀1 | 점수 | 팀2 |
---|---|---|---|
1-1 | A팀 | 1 : 2 | B팀 |
1-2 | C팀 | 1 : 0 | D팀 |
2-1 | A팀 | 4 : 1 | C팀 |
2-2 | D팀 | 0 : 4 | B팀 |
3-1 | D팀 | 1 : 3 | A팀 |
3-2 | B팀 | 0 : 3 | C팀 |
국제축구연맹(FIFA)의 타이브레이커 방식을 적용하면 A팀과 B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순위 | 팀 | 전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A팀 | 3 | 2 | 0 | 1 | 8 | 4 | +4 | 6 | 진출 |
2 | B팀 | 3 | 2 | 0 | 1 | 6 | 4 | +2 | 6 | 진출 |
3 | C팀 | 3 | 2 | 0 | 1 | 5 | 4 | +1 | 6 | 탈락 |
4 | D팀 | 3 | 0 | 0 | 3 | 1 | 8 | −7 | 0 | 탈락 |
그러나 승자승 원칙을 우선 적용하면, 최하위 팀인 D팀의 결과를 제외하고 계산한다.
경기 | 팀1 | 점수 | 팀2 |
---|---|---|---|
1-1 | A팀 | 1 : 2 | B팀 |
1-2 | C팀 | 1 : 0 | D팀 |
2-1 | A팀 | 4 : 1 | C팀 |
2-2 | D팀 | 0 : 4 | B팀 |
3-1 | D팀 | 1 : 3 | A팀 |
3-2 | B팀 | 0 : 3 | C팀 |
그 결과, C팀이 진출하고 B팀이 탈락하는, FIFA 타이브레이커 방식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
순위 | 팀 | 전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A팀 | 2 | 1 | 0 | 1 | 5 | 3 | +2 | 3 | 진출 |
2 | C팀 | 2 | 1 | 0 | 1 | 4 | 4 | 0 | 3 | 진출 |
3 | B팀 | 2 | 1 | 0 | 1 | 2 | 4 | -2 | 3 | 탈락 |
3. 2. 1. 2팀의 승패가 같은 경우
2팀의 승패가 같은 경우, 맞대결에서의 승자승을 우선으로 따져 순위를 결정한다.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그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미국과 이탈리아는 2승 1패로 승점이 같았지만, 미국이 이탈리아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했기 때문에 조 1위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캐나다와 멕시코도 승점이 같았으나, 캐나다가 멕시코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하여 조 3위가 되었다.순위 | 팀 | 승 | 패 |
---|---|---|---|
1 | align=left| | 2 | 1 |
2 | align=left| | 2 | 1 |
3 | align=left| | 1 | 2 |
4 | align=left| | 1 | 2 |
3. 2. 2. 3팀 이상의 승패가 같은 경우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B조에서는 호주를 제외한 3개국(타이완, 네덜란드, 대한민국)의 승점이 모두 같았다. 이 경우, 승점이 같은 3개국끼리의 맞대결 승패(HH)를 따졌다.3개국 모두 맞대결(승자승)에서 1승 1패로 동률을 이루어, 득실차(TQB)로 순위를 결정했다. 득실차(TQB)는 (득점/공격 이닝) - (실점/수비 이닝)으로 계산한다.
순위 | 팀 | 승 | 패 | HH | 득점 | 공격 이닝 | 실점 | 수비 이닝 | TQB |
---|---|---|---|---|---|---|---|---|---|
1 | 中華台北중국어 | 2 | 1 | 1−1 | 10 | 17.0 | 6 | 17.0 | 0.235 |
2 | Nederlands honkbalteamnl | 2 | 1 | 1−1 | 8 | 17.0 | 8 | 17.0 | 0.000 |
3 | 대한민국한국어 | 2 | 1 | 1−1 | 3 | 17.0 | 7 | 17.0 | -0.235 |
4 | Australia영어 | 0 | 3 | − |
이처럼 복잡한 규칙은 스포츠 경기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지만, 때로는 이해하기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