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프로 야구 출범 이후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 우승을 시작으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2006년 4강, 2009년 준우승을 기록했고, 아시안 게임에서는 1998년, 2002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에 금메달을 획득하며 강세를 보였다. WBSC 프리미어 12에서는 2015년 우승, 2019년 준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익산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안컵에서 두 번의 3위와 한 번의 5위를 기록했고, 월드컵에는 네 번 참가하여 2016년 부산 대회에서 슈퍼 라운드에 진출한 대한민국 대표 여자 야구팀이다. -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사무라이 재팬'은 일본을 대표하는 야구팀으로, WBC에서 세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에서 두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야구 일본 대표 마케팅 위원회를 통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중화 타이베이 야구 국가대표팀
중화 타이베이 야구 국가대표팀은 중화민국을 대표하여 '차이니스 타이베이' 명칭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시아 야구 선수권 4회 우승, 아시안 게임 금메달, 올림픽 은메달, 그리고 2024년 WBSC 프리미어 12 우승을 기록한 야구 국가대표팀이다. -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사무라이 재팬'은 일본을 대표하는 야구팀으로, WBC에서 세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에서 두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야구 일본 대표 마케팅 위원회를 통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 -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미국을 대표하여 올림픽,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SC 프리미어 12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준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연맹 | 한국야구소프트볼협회 |
국제 연맹 | 아시아 야구 연맹 |
감독 | 류중일 |
주장 | 송성문 |
별칭 | 푸른 물결 |
WBSC 최고 랭킹 | 2 |
WBSC 최고 랭킹 달성 시기 | 2021년 8월 |
WBSC 최저 랭킹 | 8 |
WBSC 최저 랭킹 달성 시기 | 2014년 12월 |
![]() |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C) | |
출전 횟수 | 5 |
첫 출전 | 2006 |
최고 성적 | [[파일:Silver medal world centered.svg|16px|은메달]] 2위 (2009) |
올림픽 | |
출전 횟수 | 4 |
첫 출전 | 1996 |
최고 성적 | 16px 금메달: 1 - 2008 |
WBSC 프리미어 12 | |
출전 횟수 | 2 |
첫 출전 | 2015 |
1위 횟수 | 1 |
1위 최근 | 2015 |
야구 월드컵 | |
출전 횟수 | 14 |
첫 출전 | 1976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 world centered.svg|16px]] 1위 (1982) |
대륙간컵 | |
출전 횟수 | 14 |
첫 출전 | 1975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 world centered.svg|16px]] 1위 (1977) |
아시안 게임 | |
출전 횟수 | 7 |
첫 출전 | 1994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 asia.svg|16px]] 1위 (5: 1998, 2002, 2010, 2014, 2018) 2023)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27 |
첫 출전 | 1954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 asia.svg|16px]] 1위 (8: 1963, 1971, 1975, 1983, 1989, 1997, 1999, 2015) |
2. 역사
1982년 한국 프로 야구가 출범하면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아마추어 선수 중심에서 프로 선수 중심으로 변화를 겪었다.
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에서 김재박의 개구리 번트와 한대화의 역전 쓰리런으로 우승을 차지한 이후, 1998년 아시안 게임에서 박찬호, 김병현 등 메이저리거를 포함한 프로 선수들이 합류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구대성의 활약으로 동메달을 따내며 올림픽 사상 첫 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도 금메달을 차지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2006년 제1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에서는 해외파 선수들의 활약으로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야구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2009년 제2회 WBC에서는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을 구성하여 결승까지 진출,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제1회 WBSC 프리미어 12에서 초대 챔피언에 등극하며 국제 대회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2018년 아시안 게임 3연패,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준우승을 통해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지만,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4위에 그쳤다. 2023년 제5회 WBC에서는 1차 라운드에서 탈락했지만, 중국전 대승으로 다음 대회 예선 면제권을 획득했다.
2. 1. 프로화 이전
1982년 한국 프로 야구가 출범하면서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 결승전에서 김재박의 개구리 번트, 한대화의 역전 3점 홈런으로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3] 이 대회 우승은 프로야구 인기를 높이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1980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준우승, 198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우승 당시 선수들 대부분이 병역특례 혜택을 받았다.[23]1990년대 중반, 프로야구 방위병 제도가 폐지되면서 선수들이 야구를 하면서 병역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상무 외에는 거의 없어졌다. 이때부터 아마추어 선수로만 구성되던 국가대표팀은 프로 선수들로 바뀌어 선발되기 시작했다.
2. 2. 프로화 이후
1990년대 중반, 한국 프로 야구의 방위병 제도가 폐지되면서, 상무 외에는 야구를 통해 병역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사실상 사라졌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로만 구성되던 국가대표팀은 프로 선수 중심으로 전환되었다.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는 박찬호, 김병현, 서재응 등 메이저리거와 다수의 프로 선수들이 참여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국제 대회에 프로 선수 출전이 허용된 이후 처음으로 구성된 프로 선수 대표팀이었다.[19]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구대성의 완투승으로 일본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 올림픽 야구 사상 첫 메달을 기록했다.[19]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최종 예선을 겸한 2003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중화 타이베이와 일본에 패하며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병역 비리 사건이 터지면서 대한민국 야구는 침체기를 겪었다.
2006년 제1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에서는 박찬호, 김선우, 봉중근, 구대성, 김병현, 최희섭, 서재응 등 해외파 선수들이 대거 참가하여 일본에 2연승을 거두는 등 4강에 진출했다. 비록 준결승에서 일본에 패했지만,[18] 메이저리거들이 소속된 국가들을 꺾고 4강에 진출한 성과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병역 특례를 받았다.
2007년 베이징 올림픽 아시아 예선에서는 일본에 패해 탈락했지만, 세계 최종 예선에서 2위를 차지하며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1차 리그부터 무패로 결승에 진출, 쿠바를 꺾고 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 제2회 WBC에서는 추신수, 임창용을 제외한 대부분의 선수들이 한국 리그 소속으로 구성되었고, 젊은 선수 위주로 팀이 꾸려졌다. 징병 면제 폐지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결승에 진출, 일본과 연장 접전 끝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3년 제3회 WBC에서는 이대호를 제외한 한국 리그 선수들로 구성되었으나, 네덜란드에 패배하고 득실차에서 밀려 1차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같은 해 조별 리그 B조에서 대한민국은 2승 1패로 중화 타이베이, 네덜란드와 승점이 같았고, 승자승(HTH)까지 같았지만 득실차(TQB)에서 밀려 조 3위로 2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2015년 제1회 WBSC 프리미어 12에서는 우승을 차지하며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2017년 제4회 WBC에서는 이스라엘, 네덜란드에 패하며 1차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는 1패를 기록했지만 우승하며 대회 3연패를 달성했다.[19]
2019년 제2회 WBSC 프리미어 12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출전권을 획득했다.
2021년에 열린 2020년 도쿄 올림픽 본선에서는 준결승에서 일본, 미국에 연이어 패하고, 3·4위전에서도 도미니카 공화국에 패하며 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023년 제5회 WBC에서는 한국계 선수 토미 에드먼을 최초로 대표팀에 합류시켰으나, 호주, 일본에 연패하며 1차 라운드 탈락이 확정되었다.[21] 그러나 중국과의 경기에서 WBC 역대 최다 팀 득점(22-2)으로 콜드 게임 승을 거두며 다음 대회 예선 면제권을 획득했다.[22]
3. 논란
2009 WBC 대회 직전,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금메달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1회 WBC의 아쉬움과 함께 군 미필 선수들은 병역 혜택 또한 기대했다. 그러나 대표팀 감독 선임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선수단 포상금 문제로 KBO와 선수들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25][26][27][28][29]
3. 1. 2009년 WBC 감독 선임 문제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금메달 획득으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상황에서, KBO는 2009년 WBC 대표팀 감독 선임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25][26] 2008년 KBO 리그 준우승 팀 두산 베어스 감독이자 올림픽에서 전승 우승을 이끈 김경문 감독이 1순위였으나, 베이징 올림픽 당시 장기간 팀을 비웠다는 이유로 고사했다. SK 와이번스는 김성근 감독의 WBC 감독 차출을 승인했지만, 김성근 감독은 2008년 11월 5일 인터뷰에서 건강 문제를 이유로 감독직을 거절했다. 결국 여론은 1회 WBC 감독이었던 김인식 감독에게 쏠렸고, 뇌경색 수술 후 다리가 불편한 상태에서 WBC 대표팀을 맡게 되었다. 이로 인해 김인식 감독이 이끌던 한화 이글스는 2009년 프로야구에서 최하위인 8위에 그쳤고, 김인식 감독은 재계약에 실패하고 구단 고문직에 앉게 되었다. 여론은 김성근 감독에게 비판적이었으나, 김성근 감독은 침묵으로 일관했다.[25][26]3. 2. 2009년 WBC 선수단 포상금 문제
추신수, 이대호, 이용규, 이진영, 손민한, 김현수 등 2009년 제2회 WBC 대회에 참가한 28명의 국가대표 선수들이 KBO를 상대로 포상금 문제로 소송을 제기했다. KBO는 선수들에게 상금 100만달러에 한해서 포상금으로 지급한다는 방침이며 선수 1인당 돌아가는 금액은 3200만원이다. 하지만 선수들은 준우승 상금 등으로 받은 300만달러에서 경비와 세금을 제외하고 선수 1인당 9200여만 원씩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27][28][29]4. 대회 기록
1982년 한국 프로 야구 출범과 함께 서울에서 개최된 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에서 김재박의 개구리 번트와 한대화의 역전 쓰리런 홈런으로 일본을 꺾고 우승했다.[23] 이 대회 우승은 프로야구 인기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80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준우승, 198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우승 당시 대부분의 선수들이 병역특례 혜택을 받았다.
1990년대 중반 프로야구 방위병 제도가 폐지되면서, 상무 외에는 야구를 하면서 병역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어졌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 선수 중심이었던 국가대표팀은 프로 선수 위주로 전환되었다.
1998년 아시안 게임에는 박찬호, 김병현, 서재응 등 메이저리거와 다수의 프로 선수들이 참가하여 우승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구대성의 활약으로 동메달을 획득, 올림픽 야구 사상 첫 메달을 기록했다.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도 우승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그러나 2004년 하계 올림픽 예선 탈락과 병역 비리 사건으로 대한민국 야구는 침체기를 겪었다.
제1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박찬호, 김선우, 봉중근, 구대성, 김병현, 최희섭, 서재응 등 해외파 선수들이 참가하여 일본에 2연승을 거두는 등 선전했지만, 준결승에서 패하며 4강에 머물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2년 FIFA 월드컵 4강 진출 당시처럼 병역 특례를 제공하여 총 11명이 혜택을 받았다.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2승 1패를 기록했지만, 중화 타이베이, 네덜란드와 승점이 같고 승자승 원칙에서도 동률을 이뤘으나, 득실차(TQB)에서 밀려 조 3위로 2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1]
4. 1. 올림픽
본선 | 최종예선 | ||||||||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경기 | 승 | 무 | 패 |
1984년 | 4위 | 5 | 2 | 0 | 3 | 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 우승 | |||
4위 | 5 | 2 | 0 | 3 | 개최도시 | ||||
1992년 | 예선 탈락 | 1991년 아시아선수권대회 3위[24] | |||||||
1996년 | 조별(8위) | 7 | 1 | 0 | 6 | 1995년 아시아선수권대회 준우승 | |||
2000년 | 3위 | 9 | 5 | 0 | 4 | 1999년 아시아선수권대회 우승 | |||
2004년 | 예선 탈락 | 2003년 아시아선수권대회 3위1 | |||||||
2008년 | 우승 | 9 | 9 | 0 | 0 | 7 | 7 | 0 | 0 |
2020년 | 4위 | 7 | 3 | 0 | 4 | 2019년 WBSC 프리미어12 준우승 | |||
합계 | 6/8 | 42 | 22 | 0 | 20 | 7 | 7 | 0 | 0 |
-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프로 선수들로 팀을 구성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선수를 프로 선수로 꾸려, 3·4위전에서 일본을 꺾고 올림픽 사상 첫 메달인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최종 예선을 겸한 2003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중화 타이베이, 일본에 패하여 올림픽 티켓을 놓쳤다.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1차 리그부터 무패로 결승 토너먼트까지 진출, 결승전에서 쿠바를 3-2로 꺾고 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9년 WBSC 프리미어 12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2020년 올림픽 야구 출전권을 획득했다.
- 2020년 도쿄 올림픽 본선에서는 준결승에서 일본, 이어서 미국에 패했고, 3·4위전에서도 도미니카 공화국에 패하여 4위로 마감,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4. 2.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C)
본선 | 예선 | ||||||
---|---|---|---|---|---|---|---|
년도 | 결과 | 경기 | 승 | 패 | 경기 | 승 | 패 |
2006년 | 4강 | 7 | 6 | 1 | 없음 | ||
2009년 | 준우승 | 9 | 6 | 3 | 없음 | ||
2013년 | 1라운드 | 3 | 2 | 1 | 자동참가 | ||
2017년 | 1라운드 | 3 | 1 | 2 | 자동참가 | ||
2023년 | 1라운드 | 4 | 2 | 2 | 자동참가 | ||
합계 | 5회 진출 | 26 | 17 | 9 |
제1회 WBC에는 메이저리거 5명을 소집하여 일본과의 두 차례 대결을 포함해 2차 라운드까지 전승을 거두었으나, 준결승에서 일본에 패하여 4강에 머물렀다.[18]
제2회 WBC에서는 추신수와 임창용 두 명을 제외하고는 한국 리그 소속 선수들로 구성되었으며(박찬호, 이승엽 등은 선발되지 않음), 젊은 선수 위주의 멤버 구성에 징병 면제 폐지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 하위 평가를 받았지만, 이를 뒤엎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일본을 상대로 9회말 2사 후 동점을 만드는 등 투지를 보여줬지만 준우승에 머물렀다.[2]
제3회 WBC에서는 메이저리거는 선발되지 않았고 이대호(오릭스 버팔로즈)를 제외하고는 한국 리그 선수들로 구성되었다. 1차 라운드에서 네덜란드에 패했고, 이후 두 경기에서 승리했지만 득실차로 인해 1차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제4회 WBC에서는 1차 라운드에서 이스라엘, 네덜란드에 패해, 지난 대회와 마찬가지로 1차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제5회 WBC에는 최초로 대한민국 국적을 소지하지 않은 한국계 선수인 토미 에드먼을 대표팀에 합류시키는 등 준비를 했지만, 호주, 일본에 연패했다. 경기 결과에 따라 준준결승 진출 가능성이 있었던 호주 대 체코전에서 호주가 체코에 승리하면서 1차 라운드 탈락이 확정되었다[21]。 그러나 중국전에서 WBC 역대 최다 팀 득점인 22-2 스코어로 콜드 게임 승리를 거두며 다음 대회 예선 면제권을 획득했다[22]。
4. 3. WBSC 프리미어 12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제1회 WBSC 프리미어 12에서 우승을 차지하여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제2회 WBSC 프리미어 12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출전권을 획득했다.
4. 4. 아시안 게임
1990년대 중반, 프로야구의 방위병 제도가 폐지되면서, 야구를 하면서 병역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상무 외에는 사실상 사라졌다. 이때부터 아마추어 선수로만 구성되던 국가대표팀은 프로 선수들로 선발되기 시작했다.199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박찬호, 김병현, 서재응과 같은 메이저리거와 다수의 프로 선수들이 참여하여, 당시 아마추어 선수들만 참여하던 아시안 게임에서 손쉽게 우승을 차지했다.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대회 2연패에 성공하였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대학생·사회인 야구 선수들이 주로 출전해 왔으나, 우승하면 병역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었기에 1998년 방콕 대회 이후로는 일류 프로 선수들을 주축으로 한 대한민국 대표팀이 출전해 왔다. 이후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까지 6개 대회 중 5번 우승했고(2006년 도하 대회 제외), 당시 병역 의무를 수행하지 않은 대표 선수들에게 면제 혜택이 주어졌다.[19]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1패를 기록했지만 우승하며 3연패를 달성했다.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
1994년 | 준우승 | 4 | 3 | 0 | 1 |
1998년 | 우승 | 6 | 6 | 0 | 0 |
-- 2002년 | 우승 | 6 | 6 | 0 | 0 |
2006년 | 3위 | 5 | 3 | 0 | 2 |
2010년 | 우승 | 5 | 5 | 0 | 0 |
-- 2014년 | 우승 | 5 | 5 | 0 | 0 |
2018년 | 우승 | 5 | 4 | 0 | 1 |
2022년 | 우승 | 6 | 5 | 0 | 1 |
합계 | 8/8 | 47 | 42 | 0 | 5 |
4. 5.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4. 6.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1983년에 대한민국은 우승을 차지했으며, 당시 대부분의 선수들이 병역특례 혜택을 받았다.[23]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역대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
1954년 | 3위 | 3 | 1 | 0 | 2 |
1955년 | 3위 | 6 | 2 | 0 | 4 |
1959년 | 준우승 | 6 | 4 | 0 | 2 |
1962년 | 준우승 | 6 | 3 | 0 | 3 |
1963년 | 우승 | 6 | 5 | 0 | 1 |
1965년 | 준우승 | 6 | 3 | 1 | 2 |
1967년 | 준우승 | ||||
1969년 | 4위 | ||||
1971년 | 우승 | ||||
1973년 | 준우승 | ||||
1975년 | 우승 | ||||
1983년 | 우승 | ||||
1985년 | 준우승 | ||||
1987년 | 3위 | ||||
1989년 | 우승 | ||||
1991년 | 3위 | ||||
1993년 | 준우승 | ||||
1995년 | 준우승 | ||||
1997년 | 우승 | ||||
1999년 | 우승 | ||||
2001년 | 준우승 | ||||
2003년 | 3위 | 3 | 1 | 0 | 2 |
2005년 | 4위 | 3 | 1 | 0 | 2 |
2007년 | 준우승 | 3 | 2 | 0 | 1 |
2009년 | 3위 | 3 | 1 | 0 | 2 |
2012년 | 3위 | 5 | 3 | 0 | 2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최종 예선을 겸한 200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중화 타이베이, 일본에 패하여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07년 베이징 올림픽 아시아 예선을 겸한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도 일본에 패하며 올림픽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201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B조 예선에서 중국에 패하고, 파키스탄과 필리핀에 승리하여 2승 1패를 기록했다. 슈퍼 라운드에서는 중화 타이베이와 일본에 패했으며, 3위 결정전에서 중국에 다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경기일 | 상대 | 결과 | 라운드 | 구장 |
---|---|---|---|---|
10월 14일 | 중국 | 패 | B조 | 타이중 야구장 |
10월 15일 | 파키스탄 | 승 | B조 | 더우류 야구장 |
10월 16일 | 필리핀 | 승 | B조 | 더우류 야구장 |
10월 18일 | 중화 타이베이 | 패 | 슈퍼 라운드 | 타이중 야구장 |
10월 19일 | 일본 | 패 | 슈퍼 라운드 | 타이중 야구장 |
10월 20일 | 중국 | 패 | 3위 결정전 | 타이중 야구장 |
4. 7. 야구 월드컵
다음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한 야구 월드컵의 역대 성적이다.[2]
4. 8. 인터콘티넨털컵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1977년 대회에서 우승하였고, 2002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2]5. 역대 감독
-- 금메달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준우승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11위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 금메달
2020년 도쿄 올림픽
4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