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냅스후 전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냅스후 전위는 신경세포의 시냅스 후 막에서 발생하는 전위 변화로, 신경세포 간의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온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며,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EPSP)는 세포를 탈분극시켜 활동 전위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억제성 시냅스후 전위(IPSP)는 과분극을 유발하여 가능성을 낮춘다. EPSP와 IPSP는 시간적 및 공간적 합산을 통해 활동 전위 발생에 기여하며, 학습과 기억, 운동 제어, 신경 발달 등 다양한 신경 기능에 관여한다. 시냅스후 전위의 이해는 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 개발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냅스후 전위 | |
---|---|
개요 | |
유형 | 막 전위 조절 |
관련 | 시냅스 |
발견 연도 | 1950년대 |
상세 정보 | |
정의 | 시냅스후 막의 전위차를 조절하는 과정 |
종류 |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 (EPSP) 억제성 시냅스후 전위 (IPSP) |
메커니즘 |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이온 통로 개폐 |
기능 | 신경 신호 전달 시냅스 가소성 조절 |
2. 이온의 역할
이온은 고유한 역전 전위와 각 이온에 대한 막의 투과성으로 인해 흥분성 또는 억제성 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네른스트 방정식과 골드만 방정식은 이온 농도를 기반으로 막 전위 차이를 계산하여 이온이 시냅스 후 전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3] 이온은 확산과 정전기적 반발력이라는 두 가지 주요 힘의 영향을 받는다. 이온은 평형 전위로 향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확산력이 정전기적 반발력과 상쇄되는 상태이다. 막이 평형 전위에 도달하면 더 이상 이온의 순 이동은 없다.[4]
신경 세포는 약 -70 mV의 휴지 전위를 가지고 있다. 신경 전달 물질이 시냅스 후 수용체에 결합하면 이온 채널이 열리거나 닫히면서 이온이 세포 안팎으로 흐르게 된다. 이온 채널이 열리고 나트륨(Na+) 및 칼슘(Ca2+)과 같은 양이온이 세포 안으로 유입되면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 (EPSP)가 생성된다. 반대로 염화물 (Cl-)과 같은 음이온이 세포 안으로 유입되거나 칼륨 (K+)과 같은 양이온이 세포 밖으로 유출되면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PSP)가 생성된다.[5]
2. 1.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 (EPSP)
신경 전달 물질이 시냅스 후 수용체에 결합하면 이온 채널이 열리거나 닫히면서 이온이 세포 안팎으로 흐르도록 하여 막 전위를 변경한다. 이온 채널이 열리고 나트륨(Na+) 및 칼슘(Ca2+)과 같은 양전하 이온이 세포 안으로 유입되면 세포막을 탈분극시키는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가 생성된다. 이는 신경 세포의 전위를 발화 역치(약 -55 mV)에 더 가깝게 만들어 활동 전위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5]신경 전달 물질이 본질적으로 흥분성이거나 억제성인 것은 아니다. 단일 신경 전달 물질은 시냅스 후 신경 세포의 서로 다른 유형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에 연결된 특정 이온 채널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6]
2. 2.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PSP)
신경 전달 물질이 시냅스 후 수용체에 결합하면 이온 채널이 열리거나 닫히면서 이온이 세포 안팎으로 흐르도록 하여 막 전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온 채널이 열리면 염화물 (Cl-)과 같은 음이온이 세포 안으로 유입되거나 칼륨 (K+)과 같은 양이온이 세포 밖으로 유출되어 세포막을 과분극시키는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PSP)가 생성된다. 이는 신경 세포의 전위를 발화 역치에서 더 멀어지게 하여 활동 전위 발생 가능성을 낮춘다.[5]3. 활동 전위와의 관계
EPSP와 IPSP는 막 전위의 일시적인 변화로, 신경 세포의 수상돌기 또는 세포체에 위치한 시냅스후 막에서 발생한다. 특히 시냅스전 신경 세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시냅스에서 발생한다.[7] 단일 시냅스에서의 신경 전달 물질 방출로 인한 EPSP는 시냅스후 신경 세포에서 활동 전위 스파이크를 유발하기에는 너무 작다. 그러나 신경 세포는 수백, 수천 개의 다른 신경 세포로부터 시냅스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구심성 신경 세포의 결합된 활동은 막 전위에서 큰 변동을 일으킬 수 있다. 시냅스후 세포가 충분히 탈분극되면 활동 전위가 발생한다. 활동 전위는 등급이 매겨지지 않으며, 모두 또는 아무것도 아닌 반응이다.
3. 1. 공간적 가중 (Spatial Summation)
인접한 시냅스에서 입력을 동시에 수신하면 시냅스 후 전위가 결합된다. 여러 흥분성 입력이 결합되어 막의 탈분극(더 양성)이 더 커진다. 여러 억제성 입력이 결합되어 막의 과분극(더 음성)을 심화시킨다. 세포가 억제성 및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 서로 상쇄되거나, 하나가 다른 것보다 더 강할 수 있으며, 막 전위는 그 차이만큼 변화할 것이다.[9]3. 2. 시간적 가중 (Temporal Summation)
'''시간적 가중'''(시간적 가중): 단일 시냅스 입력이 시간적으로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전위도 함께 합산된다. 따라서 뉴런이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EPSP)를 수신하고, 그런 다음 시냅스전 뉴런이 다시 발화하여 또 다른 EPSP를 생성하면, 시냅스후 세포의 막은 발화된 모든 EPSP의 총합에 의해 탈분극되어 잠재적으로 활동 전위 발화에 대한 역치에 더 가까워지게 된다.[9]4. 시냅스 후 전위의 소멸
시냅스 후 전위의 종료는 신경전달물질이 수용체에서 분리되어 수용체가 휴지 상태로 돌아갈 때 시작된다. 신경전달물질이 수용체에서 분리된 후 시냅스 틈 내의 신경전달물질은 효소(예: 아세틸콜린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에 의해 분해되거나 재흡수 메커니즘(예: EEAT 글루탐산 수송체)을 통해 시냅스 전 뉴런으로 다시 흡수될 수 있다. 신경전달물질이 더 이상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으면, 수용체 결합에 의해 열렸던 이온 채널이 닫히면서 이온 흐름이 중단된다. 그런 다음 막 전위는 나트륨-칼륨 펌프와 같은 확산 및 능동 수송 메커니즘에 의해 이온 농도가 정상화되면서 휴지 막 전위로 돌아간다.[10]
5. 시냅스 후 전위의 응용
시냅스후 전위는 뇌가 정보를 처리하고, 신호를 통합하며, 복잡한 행동을 조율하는 데 필수적이다. 뉴런 막 전위의 이러한 일시적인 변화는 뉴런이 활동 전위를 발생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며, 이를 통해 뉴런은 신경 회로 내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EPSP)와 억제성 시냅스후 전위(IPSP) 사이의 균형은 신경 안정성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5. 1. 신경 통신 및 통합
시냅스후 전위는 뉴런이 수천 개의 시냅스로부터 입력을 통합하여 뇌 내에서 "의사 결정 단위"로 기능할 수 있게 한다.[11]5. 2. 학습과 기억
신경 가소성은 학습과 기억이 일어나는 핵심 메커니즘이다. 뉴런이 지속적으로 함께 발화할 때, 시냅스 연결이 강화되는데, 이는 헤브의 법칙으로 알려진 원리이다.[12] 장기 기억 증강(LTP)은 반복적인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EPSP)가 발생하여 학습에 관련된 신경 회로를 강화하고, 뇌가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메커니즘이다. 장기 억제(LTD)는 억제성 시냅스후 전위(IPSP)가 발생하여 덜 사용되는 시냅스를 약화시켜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냄으로써 학습을 개선하는 또 다른 메커니즘이다.[13]5. 3. 운동 제어
운동 뉴런의 시냅스후 전위는 뇌와 척수에서 신호를 통합하여 근육 운동을 조율한다. 자발적인 운동 동안,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EPSP)는 운동 뉴런을 활성화시키고, 억제성 시냅스후 전위(IPSP)는 반대 근육 그룹을 억제하여 부드러운 움직임이 일어나도록 한다.[14]5. 4. 신경 발달 및 회복
신경 발달 및 회복 과정에서, 시냅스후 가소성은 신경 경로를 재배선하여 운동 기술 개선, 언어 회복, 적응된 인지 전략으로 이어진다.[15]5. 5. 약리학 및 신경학적 치료
시냅스후 전위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면서, 신경퇴행성 질환, 우울증, 불안 등을 치료하기 위해 시냅스 강도를 조절하는 약물 개발이 이루어졌다.[16][17]참조
[1]
웹사이트
Postsynaptic potential (PSP)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27
[2]
웹사이트
Postsynaptic Potential (PSP)
https://www.jove.com[...]
2024-10-27
[3]
간행물
The Forces that Create Membrane Potentials
https://www.ncbi.nlm[...]
Sinauer Associates
2024-10-28
[4]
간행물
Physiology, Resting Potential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10-28
[5]
간행물
EPSPs and IPSP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24-10-28
[6]
간행물
Excitatory and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s
https://www.ncbi.nlm[...]
Sinauer Associates
2024-10-30
[7]
논문
Postsynaptic Potentials
https://openbooks.li[...]
2021-01-01
[8]
웹사이트
Graded Potential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4-10-27
[9]
간행물
Gap Junctions and Electrical Synapse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4-10-30
[10]
간행물
Neurotransmitter Release and Removal
https://www.ncbi.nlm[...]
Sinauer Associates
2024-10-30
[11]
논문
Postsynaptic Potentials
https://openbooks.li[...]
2021-01-01
[12]
웹사이트
Hebbian Theory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4-12-07
[13]
간행물
Long-Term Potentiation and Depression as Putative Mechanisms for Memory Formation
https://www.ncbi.nlm[...]
CRC Press/Taylor & Francis
2024-12-07
[14]
간행물
Physiology, Withdrawal Response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11-30
[15]
논문
Adaptive Neuroplasticity in Brain Injury Recovery: Strategies and Insights
2023-09-24
[16]
논문
Recent advances in Alzheimer's disease: mechanisms, clinical trials and new drug development strategies
https://www.nature.c[...]
2024-08-23
[17]
논문
Synaptic plasticity and depression: new insights from stress and rapid-acting antidepressants
201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