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프랑스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리아-프랑스 전쟁은 1920년 프랑스가 시리아 지역에 대한 위임통치를 확립하기 위해 벌인 일련의 무력 충돌을 의미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이 붕괴되고, 영국과 프랑스가 레반트 지역을 분할하면서 프랑스 군정이 시작되었다. 시리아 민족주의 세력은 아랍 왕국 건설과 완전한 독립을 추구하며 프랑스에 저항했다. 1920년 시리아 아랍 왕국이 수립되었으나, 산레모 회담에서 프랑스 위임통치령이 결정되면서 프랑스와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마이살룬 전투에서 시리아군이 패배하고 다마스쿠스가 점령되면서 전쟁은 종결되었고, 프랑스 위임통치 체제가 확립되었다. 이 전쟁은 시리아와 레바논의 정치 지형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프랑스 전쟁 - 다마스쿠스 공방전 (1920년)
1920년 다마스쿠스 공방전은 프랑스군이 마이살룬 전투에서 승리한 후 시리아 아랍 왕국의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파이살 1세를 추방하여 친프랑스 정부를 수립하며 시리아 아랍 왕국을 해체한 사건이다. - 1920년 분쟁 - 시베리아 출병
시베리아 출병은 제1차 세계 대전 말 러시아 혁명으로 혼란한 시베리아에 연합군이 개입한 사건으로, 특히 일본이 공산주의 확산 방지, 지정학적 이익, 이권 탈취 등의 동기로 대규모 병력을 파병하여 붉은 군대와 싸웠으나, 저항과 민심 이반으로 실패하고 철수하여 일본에 큰 손실과 정치적 분열을 야기했다. - 1920년 분쟁 - 연합군의 러시아 내전 개입
연합군의 러시아 내전 개입은 1918년부터 1920년까지, 그리고 일부 지역에서는 1922년까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 혁명으로 혼란에 빠진 러시아에 연합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한 사건으로, 볼셰비키의 지배를 강화하고 연합국과 소련 간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시리아-프랑스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명칭 | 시리아-프랑스 전쟁 |
시기의 부분 | 전간기 |
시기 | 1920년 3월 8일 – 1920년 7월 25일 |
장소 | 시리아 아랍 왕국 및 OETA |
결과 | 프랑스의 승리 |
결과 상세 |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수립 파이살 1세가 이라크로 추방됨 요세프 트룸펠도르가 텔하이 전투 중 사망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공화국 |
교전국 1 상세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교전국 2 | 시리아 왕국 |
교전국 2 상세 | 아랍 민병대 |
교전국 3 | 하쇼메르 하가나 |
지휘관 | |
프랑스 | 알렉상드르 밀랑 앙리 고러드 마리아노 고이베트 조르주 클레망소 |
시리아 | 파이살 왕 유수프 알아즈마 이브라힘 하나누 수브히 바라카트 살레흐 알 알리 아흐메드 이븐 알리 w 모함마드 이븐 탈루트 |
하쇼메르, 하가나 | 요세프 트룸펠도르 |
병력 규모 | |
프랑스 | 프랑스 군인 70,000명 |
시리아 | 아랍 민병대 5,200명 |
사상자 | |
시리아 | 5,100명 사망 |
하쇼메르, 하가나 | 8명 사망 |
결과 | |
영토 변화 | 시리아 아랍 왕국 해체 |
주요 전투 | |
국제적 사건 |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오스만 제국이 붕괴되면서 시리아 지역에는 권력 공백이 발생했다. 1918년 9월 30일, 에드먼드 앨렌바이가 이끄는 영국군이 다마스쿠스를 점령했고, 10월 3일에는 아랍 반란을 이끌던 파이살 1세가 다마스쿠스에 입성했다. 파이살은 앨런바이 장군의 허가를 받아 1919년 10월 5일 다마스쿠스에 아랍 헌법 정부 수립을 발표했다.
그러나 1916년 영국과 프랑스가 비밀리에 체결한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레반트 지역은 프랑스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 프랑스는 앙리 구로 장군을 중동 지역 대표 겸 레반트 육군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시리아에 대한 군정을 실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알 파타트와 같은 시리아 민족주의 단체들은 파이살 1세를 중심으로 아랍 왕국의 완전한 독립을 추구했다. 1919년 6월 3일, 시리아 의회 첫 회의가 열렸고 하심 알-아타시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시리아 의회는 파이살을 국왕으로 하는 독립 국가 수립과 미국의 지원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8]
하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영-불 협정을 체결하여 시리아에서 영국군을 철수시키고, 프랑스가 시리아에 대한 단독 권한을 갖도록 했다. 결국 파이살은 1920년 1월 클레망소와 협상을 통해 프랑스가 시리아의 존재를 인정하는 대신, 프랑스군 주둔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타협안을 받아들였다.[10] 그러나 이 소식은 시리아 민족주의자들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왔고, 이들은 파이살에게 협약 파기를 압박했다.
2. 1. 오스만 제국의 붕괴와 열강의 개입
제1차 세계 대전 말, 에드먼드 앨런바이가 이끄는 영국군과 아랍 반란군은 1918년 9월 30일 다마스쿠스를 점령했다. 1918년 10월 3일, 아랍 반란을 이끌던 하심가의 파이살도 다마스쿠스에 입성했다. 1919년 10월 5일, 앨런바이 장군의 허가 하에 파이살은 다마스쿠스에서 아랍 제헌정부 수립을 선포했다.1916년 영국과 프랑스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 오스만 제국의 영토를 분할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레반트 지역에는 프랑스 군정이 수립되었고, 앙리 고러드가 프랑스 레반트군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2. 2. 시리아 민족주의의 대두와 독립 시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인 1918년 9월 30일, 에드문드 앨렌바이가 이끄는 영국군이 다마스쿠스를 점령했고, 10월 3일에는 아랍 반란을 이끌던 하심가의 파이살 1세가 다마스쿠스에 입성했다. 1919년 10월 5일, 파이살은 앨렌바이 장군의 허가 하에 다마스쿠스에서 아랍 제헌정부 수립을 선포했다.그러나 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레반트 지역에 프랑스 군정이 수립되었고, 앙리 고러드가 프랑스 정부 대표 겸 레반트군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알파타트와 같은 시리아 민족주의 세력에게 국가의회 수립의 촉매제가 되었다. 이들은 하심가의 파이살 1세 지배하에 아랍 왕국의 완전한 독립과 아랍 세계 통일을 주장했다. 1919년 6월 13일 시리아 의회 첫 회의가 열렸고, 하심 알 아타시가 대통령으로 추대되었다.[18] 6월 25일에는 킹-크레인 회의가 다마스쿠스에 도착하여 "독립 아니면 죽음을!"이라는 전단지를 배포했다. 1919년 7월 2일, 시리아 의회는 파이살을 국왕으로 하는 완전 독립적인 입헌군주국 수립, 미국의 지원 요청, 프랑스의 권리 거부 등을 결의했다.[18]
그러나 영국-프랑스 협정으로 영국군이 시리아에서 철수하면서 파이살의 희망은 사라졌다. 결국 1920년 1월, 파이살은 클레망소와의 협상을 통해 프랑스가 시리아 정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시리아에 병력을 배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19] 그러나 이 협약 소식은 반프랑스 독립주의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들은 파이살에게 협약 취소를 압박했다.
3. 전개
1920년 1월 클레망소 협상 이후, 시리아 전역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산발적인 공격이 발생했다. 같은 해 3월, 시리아 의회는 파이살 1세를 시리아의 국왕으로, 하심 알 아타시를 총리로 하는 아랍 시리아 왕국을 공식적으로 수립했다. 이는 통치 방식을 둘러싼 프랑스와의 분쟁이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즉시 이를 부인했고, 국제 연맹은 1920년 4월 산레모 회담을 소집하여 시리아에 대한 프랑스의 위임 통치를 확립했다.
이에 시리아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위임 통치를 거부하고 프랑스와 전쟁을 벌였다. 텔 하이 전투와 사마크 습격과 같은 사건들은 프랑스에 대한 국제적인 지지를 강화했다.
국제 연맹이 프랑스에 시리아 위임 통치를 부여하자, 프랑스 장군 구로(Gouraud)는 시리아 정부에 군대 해산과 프랑스 통제 수용을 요구하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 프랑스와의 전쟁 결과를 우려한 파이살 국왕은 1920년 7월 14일 항복했다.[8] 그러나 그의 국방 장관 유수프 알-아즈마는 국왕의 뜻을 무시하고, 마이살룬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전사했다.
3. 1. 전국적 봉기

1920년 1월 클레망소와의 협상의 여파로 시리아 전역에서 프랑스군과의 물리적 충돌이 산발적으로 일어났다. 1920년 3월 시리아 의회가 소집되어 파이살을 시리아의 국왕으로, 하심 알 아타시를 총리로 한 시리아 아랍 왕국이 정식으로 수립되었다. 1920년 3월 8일 다마스쿠스에서 시리아 아랍 왕국이 독립을 선포하였으며, 이는 프랑스와의 분쟁을 본격화시켰다.
이러한 독립 선언은 영국과 프랑스의 반발을 불러왔고, 1920년 4월 국제 연맹의 주최로 열린 산레모 회담을 통하여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가 정식으로 수립되었다. 곧바로 신생국가 시리아 아랍 왕국 전역에서 시리아 아랍 민족주의자와 프랑스군 사이에 대대적인 전쟁이 발발하였다. 텔하이 전투와 같은 아랍 민병대의 여러 폭력사태는 프랑스가 국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국제 연맹은 시리아에 대한 프랑스 위임통치를 계획대로 진행하도록 하였고, 프랑스 장군 앙리 고너드는 시리아 정부에 군대를 해산하고 프랑스 통치하에 전권을 넘기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프랑스와의 장기간 혈전에 대해 걱정한 파이살은 1920년 7월 14일 항복했으나[18] 파이살의 항복 의사는 고너드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시리아의 국방장관인 유수프 알아즈마는 왕을 무시하고 시리아 아랍 왕국을 프랑스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마이살룬으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다마스쿠스 하심가 정부는 마지못해 프랑스의 최후통첩을 받아들이고 모든 군대를 해산했다.
3. 2. 마이살룬 전투
파이살 1세 국왕이 프랑스의 최후통첩을 마지못해 수락했음에도, 유수프 알아즈마는 굴복을 거부했다. 그는 해산된 군대와 민간인들로 구성된 소규모 부대를 소집했는데, 이들은 현대적이고 잘 갖춰진 전문 프랑스군에 비해 무장이 빈약했다. 그는 이들을 이끌고 마이살룬으로 향했다. 알 아즈마는 전투의 결과를 전혀 낙관하지 않았지만, 아랍 시리아가 싸우지 않고 항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여 프랑스 점령에 어떠한 정당성도 부여하지 않기를 원했다.[1] [2] 7월 24일에 벌어진 마이살룬 전투는 시리아의 처참한 패배로 끝났다. 마리아노 고베 장군이 지휘하는 프랑스군은 시리아군을 손쉽게 격파했다. 유수프 알 아즈마는 전투에서 사망했다.[2]3. 3. 종전

1920년 7월 24일, 프랑스군이 저항 없이 다마스쿠스를 함락시키면서 전쟁은 최종장으로 돌입했다.[20] 다음날 시리아 아랍 왕국은 해산했으며 프랑스의 행정부가 다시 수립되었다.[20]
4. 여파
산레모 회담과 마이살룬 전투 이후, 시리아의 파이살 왕정이 무너지면서 앙리 구로는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를 수립했다. 위임통치령은 다마스쿠스국, 알레포국, 알라위국, 자발 드루즈국, 알렉산드레타 산자크 자치령, 대레바논의 6개 주로 분할되었으며, 이는 이후 시리아와 레바논의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1. 프랑스 위임통치 체제 확립
앙리 구로는 산레모 회담과 마이살룬 전투에서 파이살 왕의 군대가 패배하여 시리아 왕국이 붕괴된 이후, 시리아 지역에 프랑스 위임통치령 행정부를 수립하였다. 프랑스 위임통치령 지역은 다마스쿠스국(1920년), 알레포국(1920년), 알라위국(1920년), 자발 드루즈국(1921년), 알렉산드레타 산자크 자치령(1921년), 대레바논(1920년)의 6개 주로 분할되었다.4. 2. 시리아-레바논 지역의 현대사 영향
산레모 회의와 마이살룬 전투에서 시리아의 파이살 왕정이 패배한 후, 프랑스 장군 앙리 구로는 시리아 지역에 민간 행정부를 수립했다. 프랑스 위임통치령은 6개 주로 분할되었는데, 다마스쿠스국(1920년), 알레포국(1920년), 알라위국(1920년), 자율 자발 드루즈국(1921년), 자치 알렉산드레타 산자크(1921년) (현대 터키의 하타이)와 이후 현대 레바논이 된 대레바논(1920년)이었다.[4]참조
[1]
서적
Resort to war: a data guide to inter-state, extra-state, intra-state, and non-state wars, 1816-2007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0-07-01
[2]
서적
The Middle East Toda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4-09-03
[3]
문서
Benny Morris. Victims. the date of the first attack of Arabs against French interest on March, 1st.
[4]
문서
Tom Segev in One Palestine. Complete. the date of the first attack of Arabs against French interest on March, 1st.
[5]
서적
The Formation of Modern Syria and Iraq
https://books.google[...]
[6]
서적
Struggle in the Levant: Lebanon in the 1950s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4
[7]
서적
The Formation of Modern Syria and Iraq
https://books.google[...]
[8]
서적
The Formation of Modern Syria and Iraq
Frank Cass and Co. Ltd.
1995
[9]
서적
Britain, the Hashemites and Arab Rule: The Sherifian S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11-23
[10]
서적
England and the Middle East: The Destruction of the Ottoman Empire 1914-1921
Mansell Publishing Limited
1987
[11]
뉴스
The Franco-Syrian War of 1920 Participants: France vs. Syrians Dates: March, 1920, to August 7, 1920 Battle-Related Deaths: France—3,500; Syria—unknown; Where Fought: Middle East Initiator: France.
https://books.google[...]
[12]
뉴스
Peretz "In the meantime in 1919 Faisal's Arab force began to clash with French troops. In March 1920, the Syrian congress in Damascus directly challenged France by proclaiming Syria- including Lebanon, Palestine and Transjordan - independent and offering Faisal the crown... both sides immediately began to prepare for war."
https://books.google[...]
[13]
문서
Benny Morris. Victims. the date of the first attack of Arabs against French interest on March, 1st.
[14]
문서
Tom Segev in One Palestine. Complete. the date of the first attack of Arabs against French interest on March, 1st.
[15]
서적
The Formation of Modern Syria and Iraq
https://books.google[...]
[16]
서적
Struggle in the Levant: Lebanon in the 1950s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4
[17]
서적
The Formation of Modern Syria and Iraq
https://books.google[...]
[18]
서적
The Formation of Modern Syria and Iraq
Frank Cass and Co. Ltd.
1995
[19]
서적
England and the Middle East: The Destruction of the Ottoman Empire 1914-1921
Mansell Publishing Limited
1987
[20]
서적
Divided Loyalties: Nationalism and Mass Politics in Syria at the Close of Empi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