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레포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포국은 1920년 프랑스 장군 앙리 구로에 의해 선포된, 프랑스의 시리아 분할 통치 계획의 일환이었다. 알레포는 다마스쿠스와의 경쟁을 조장하기 위해 시리아의 비옥한 지역 대부분과 자치적인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를 포함하는 부유한 국가로 설정되었다. 알레포국은 수니파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다양한 민족과 기독교인, 유대인 공동체가 공존했다. 알레포국은 1922년 시리아 연방에 통합되었고, 1925년 시리아국으로 통합되면서 자치권을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레포의 역사 - 아람 다마스쿠스
    아람-다마스쿠스는 기원전 10세기경 아람인들이 세운 국가로, 타나크에 기록된 역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다와 관계를 맺었으나, 하자엘 왕 시기에 북부 시리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이스라엘을 정복하기도 했지만, 이후 아시리아의 공격으로 멸망했으며 헤시온, 타브리몬, 벤 하닷 등의 왕이 있었다.
  • 알레포의 역사 - 1138년 알레포 지진
    1138년 알레포 지진은 사해 단층 시스템의 지각 활동으로 발생하여 알레포를 포함한 주변 지역에 막대한 피해와 인명 피해, 사회적 혼란을 일으킨 강력한 지진이다.
  • 위임통치령 - 남카메룬
    남카메룬은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영국이 통치한 카메룬 지역의 일부로, 1961년 카메룬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나, 영어 사용 인구는 차별 대우를 주장하며 독립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 위임통치령 - 클라이페다 지역
    클라이페다 지역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하며, 독일 기사단 국가의 지배를 거쳐 리투아니아에 병합되었다가 독일로 편입되었고, 현재는 리투아니아의 일부이다.
  • 중동의 옛 나라 - 네지드 토후국
    네지드 토후국은 1824년 투르키 빈 압둘라가 리야드를 중심으로 건국한 사우디 왕조의 두 번째 왕국으로, 와합파 이맘이 국왕을 겸임하며 파이살 빈 투르키 통치 시기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알 라시드 가문의 압력으로 1891년 멸망하여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통일의 전환점이 되었다.
  • 중동의 옛 나라 - 라시둔 칼리파국
    라시둔 칼리파국(632-661년)은 무함마드 사후 네 명의 칼리프가 통치한 시대로, 수니파 무슬림에게 이슬람의 황금기로 여겨지며 급속한 영토 확장과 이슬람 내전, 그리고 칼리프 정통성에 대한 논쟁을 겪으며 우마이야 칼리파국으로 이어졌다.
알레포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정식 명칭알레포국
현지 명칭알레포국 (دولة حلب)
프랑스어 명칭État d'Alep
지위프랑스의 위임통치령
존속 기간전간기
시작1920년 9월 1일
사건 1시리아 연맹
사건 날짜 11922년 6월 28일
종료다마스쿠스국과의 통합
종료 날짜1925년 1월 1일
지도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내에 표시된 알레포국의 위치 (주황색)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내에 표시된 알레포국의 위치 (주황색)
정치
수도알레포
공용어아랍어, 프랑스어
역사
이전 국가시리아 아랍 왕국
계승 국가시리아국
국기
알레포국의 국기
알레포국의 국기

2. 설립 배경

앙리 구로는 마이살룬 전투 이후 시리아를 분할 통치하기 위해 1920년 9월 1일 알레포국을 선포했다. 알레포국에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가 포함되었으며 카밀 파샤 알 쿠드시는 이 지역을 통치했다.[1]

구로는 다마스쿠스와 알레포 간의 경쟁 관계를 이용하여 알레포를 다마스쿠스에서 분리하고, 시리아의 비옥한 지역 대부분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 그리고 바다로의 접근성을 부여하여 알레포국이 다마스쿠스와 재통합되지 않도록 유도했다.

2. 1. 프랑스의 시리아 분할 통치

프랑스 장군 앙리 구로는 1920년 9월 1일 알레포국을 선포하였다. 이는 프랑스가 시리아를 여러 개의 작은 국가로 분할하여 통제하기 쉽게 만들려는 계획의 일환이었다. 프랑스는 마이살룬 전투 이후 통일된 시리아에 대한 생각에 더욱 적대적이 되었다. 알레포국에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가 포함되었으며 카밀 파샤 알 쿠드시는 이 지역을 통치했다.[1]

구로는 알레포를 다마스쿠스에서 분리함으로써 두 도시 간의 전통적인 경쟁 관계를 정치적 분열로 만들고자 했다. 알레포 사람들은 다마스쿠스가 새로운 시리아 국가의 수도로 선택된 것에 불만을 품었다. 구로는 이러한 정서를 감지하고 알레포를 다마스쿠스가 경쟁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고 부유한 국가의 수도로 만듦으로써 이를 조작하려 했다. 프랑스가 그린 알레포국은 알레포 주변의 비옥한 지역과 유프라테스 강의 비옥한 분지를 포함하여 시리아의 비옥한 지역 대부분을 포함했다. 또한 이 국가는 자치적인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를 통해 바다로 접근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시리아 사막 가장자리에 있는 오아시스인 다마스쿠스는 충분한 비옥한 토지도 바다로의 접근도 없었다. 구로는 알레포국이 다마스쿠스와 재통합되기를 원하지 않도록 시리아의 농업 및 광물 자원 대부분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여 잠재적 통치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만들고자 했다.

2. 2. 알레포와 다마스쿠스의 경쟁

앙리 구로는 다마스쿠스와 전통적으로 경쟁 관계에 있던 알레포를 정치적으로 분열시키고자 했다. 알레포 사람들은 다마스쿠스가 새로운 시리아 국가의 수도로 선택된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구로는 이러한 정서를 감지하고 알레포를 다마스쿠스가 경쟁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고 부유한 국가의 수도로 만들어 이를 조작하려 했다.[1]

프랑스가 구획한 알레포국은 알레포 주변의 비옥한 지역과 유프라테스 강의 비옥한 분지를 포함하여 시리아의 비옥한 지역 대부분을 포함했다. 또한 이 국가는 자치적인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를 통해 바다로 접근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시리아 사막 가장자리에 있는 오아시스인 다마스쿠스는 충분한 비옥한 토지도, 바다로의 접근도 없었다. 구로는 알레포국이 다마스쿠스와 재통합되기를 원하지 않도록 시리아의 농업 및 광물 자원 대부분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여 잠재적 통치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만들고자 했다.

3. 알레포국의 성립

알레포국은 1920년 9월 1일 프랑스 장군 앙리 구로에 의해 선포되었는데, 이는 프랑스가 시리아를 여러 작은 국가로 분할하여 통제하기 쉽게 만들려는 계획의 일환이었다. 프랑스는 마이살룬 전투 이후 통일된 시리아에 대한 생각에 더욱 적대적이 되었다. 알레포국에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가 포함되었으며 카밀 파샤 알 쿠드시는 이 지역을 통치했다.[1]

구로는 알레포를 다마스쿠스에서 분리함으로써 두 도시 간의 전통적인 경쟁 관계를 정치적 분열로 만들고자 했다. 알레포 사람들은 다마스쿠스가 새로운 시리아 국가의 수도로 선택된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구로는 이러한 정서를 감지하고 알레포를 다마스쿠스가 경쟁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고 부유한 국가의 수도로 만듦으로써 이를 조작하려 했다. 프랑스가 그린 알레포국은 알레포 주변의 비옥한 지역과 유프라테스 강의 비옥한 분지를 포함하여 시리아의 비옥한 지역 대부분을 포함했다. 또한 이 국가는 자치적인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를 통해 바다로 접근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시리아 사막 가장자리에 있는 오아시스인 다마스쿠스는 충분한 비옥한 토지도, 바다로의 접근도 없었다. 구로는 알레포국이 다마스쿠스와 재통합되기를 원하지 않도록 시리아의 농업 및 광물 자원 대부분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여 잠재적 통치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만들고자 했다.

4. 인구 구성

수니파 무슬림이 알레포 주의 다수를 차지했다. 이들은 주로 아랍인이었지만, 동부 지역에는 쿠르드족을 비롯해 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주한 체르케스인, 알바니아인, 보스니아인, 불가리아인, 튀르크족, 카바르딘인, 체첸인 등 다양한 민족들도 있었다.[2][3] 시아파 무슬림도 알레포에 거주했으며, 네블, 푸아, 알-자흐라, 케프라야, 마라트 미스린과 같은 마을에 살았다.

알레포는 오리엔트에서 가장 부유하고 다양한 기독교인 공동체의 본거지이기도 했다. 12개 이상의 다양한 교단에 속하는 기독교인(주로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 시리아 정교회)이 알레포 시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으며, 이는 레바논을 제외하고 중동에서 가장 큰 기독교인 공동체를 가진 도시였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주의 동부 지역에도 거주했으며, 주로 아시리아인이었다.

1923년, 주의 총 인구는 약 604,000명이었다(동부 지역의 유목 인구 제외).[2][3] 알레포 시에는 상당한 유대인 공동체도 있었다.

1921-22년 프랑스 인구 조사에 따른 알레포 주 인구의 일반적인 분포[4]
종교거주자비율
수니파502,00083.1%
기독교인52,0008.6%
알라위파30,0005%
유대인7,0001.2%
외국인3,0000.5%
총계604,000100%


5. 통치 구조

알레포국은 프랑스의 위임 통치 하에 있었으며, 행정 구조는 총독, 프랑스 대표, 이사회, 대표 의회 등으로 구성되었다.

무스타파 베이 바르마다와 마리 파샤 알 말라흐 등은 총독을 역임했다.[1] 프랑스 대표로는 앙리 펠릭스 드 라모트, 가스통 빌로트, 자크 레클뤼 등이 있었다.[1]

1920년에는 총독 보좌를 위한 이사회가 설치되어 내무, 사법, 상업 및 농업, 재정 분야를 담당했다. 마리 파샤 알 말라, 수브히 베이 알 나이얄, 나스리 에펜디 바카쉬, 빅터 에펜디 아주리 등이 이사회의 주요 구성원이었다.[1] 1923년 시리아 연방 설립 이후 이사회는 폐지되었다.

대표 의회는 입법부 역할을 했으며, 수브히 바라카트, 살림 잔바라트, 파키르 알 자비리 등 친프랑스 성향 의원들이 다수를 차지했다.[1]

5. 1. 총독

무스타파 베이 바르마다, 알레포국의 총독, 1923


재임 기간이름출생-사망
1920–1922카밀 파샤 알 쿠드씨1849–1926
1923–1924무스타파 베이 바르마다1883–1953
1924–1925마리 파샤 알 말라흐1856–1930


5. 2. 프랑스 대표

앙리 펠릭스 드 라모트(Henri-Félix de Lamothe프랑스어, 1843–1926) 장군이 1920년부터 1922년까지 프랑스 대표를 역임했다.[1] 1922년부터 1924년까지는 가스통 빌로트(Gaston Billotte프랑스어, 1875–1940) 장군이 대표직을 수행했다.[1] 1925년에는 자크 레클뤼 씨가 대표를 맡았다.[1]

5. 3. 이사회

프랑스 정부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이슬람-아랍 저항은 프랑스가 해당 지역을 통치하는 데 있어 그들을 통해 협력하도록 강제할 만큼 충분했다. 그리하여 1920년, 총독을 보좌하기 위해 이사회가 창설되었다. 이사회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내무마리 파샤 알 말라
사법수브히 베이 알 나이얄
상업 및 농업나스리 에펜디 바카쉬
재정빅터 에펜디 아주리



1921년 알 말라가 사임한 후, 알 나이얄이 내무부 이사로, 자키 베이 알 고라니가 알 나이얄의 뒤를 이어 사법부 이사로 선출되었다. 1923년, 좌파 성향의 프랑스 정부가 집권하면서 범아랍 시리아 건설을 허용하는 등 정치적 방향을 바꾸었다. 따라서 알레포 이사회는 시리아 연방 설립 이후 폐지되었다.

5. 4. 대표 의회

대표 의회는 입법부 역할을 수행했으며, 의원 대다수는 친프랑스 성향이었다. 주요 의원은 다음과 같다.[1]

인물설명
수브히 바라카트시리아 연방 대통령 역임
갈레브 베이 이브라힘 파샤알레포 시장
살림 잔바라트상공 회의소장
미셸 잔드리변호사
파키르 알 자비리민족주의 지도자 사아달라 알자비리의 형


6. 하나누 봉기

이브라힘 하나누는 알레포 출신의 시리아 국민 회의 의원으로, 1919년에 선출되어 시리아에 대한 프랑스 위임 통치를 거부했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지원을 받은 하나누는 프랑스에 대한 무장 봉기를 시작하여 1921년 체포될 때까지 이어졌다.[1] 그는 알레포 법원에서 재판을 받았으나, 3대 2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1] 이는 당시 법원 주변에 모인 지지자들의 영향으로 추정된다.[1]

하나누는 이후 정치적 반대 입장에 섰으며, 1926년에는 1924년 12월에 설립된 시리아 국가로부터 알레포가 분리되는 것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그는 1935년에 사망했다.[1]

7. 시리아 연방과 시리아국으로의 통합

1922년 6월 28일 앙리 구로 장군은 다마스쿠스, 알레포, 알라위 국가를 포함한 시리아 연방을 창설했다.[1] 1924년 알라위 국가는 연방에서 분리되었다.[1] 1925년 1월 1일, 시리아 연방은 시리아국으로 통합되었다.[1] 중앙 집권화된 새로운 시리아 국가에서 알레포는 자치권을 잃고 다마스쿠스에 종속되었다.[1] 마리 파샤 알 말라가 알레포 지방의 주지사(발리, 장관급)로 임명되었으나,[1] 알레포 주의 식민지 깃발은 1925년 1월 25일에 폐지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Syrian History: Timeline http://www.syrianhis[...]
[2] 웹사이트 Syria: French Levant States 1920-1936 http://www.worldstat[...]
[3]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Volume 2, page 301
[4]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Volume 2, page 301
[5] 웹사이트 Autonomous State of Aleppo 1920-1924 (Syria) http://flagspot.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