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브가툴라 모자데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브가툴라 모자데디는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으로, 1992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1925년 카불에서 태어나 2019년 사망했다. 그는 이집트 알 아자르 대학교에서 유학했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 교사로 활동하며 정치적 독립을 옹호했다. 소련에 대항하여 투옥되기도 했으며, 아프가니스탄 구국 민족 전선을 설립하여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무자헤딘을 지원했다. 1992년 대통령에 취임했으나, 이듬해 사임했다. 이후 2003년 로야 지르가의 의장, 2005년 메슈라노 지르가 의장을 역임했으며, 아프가니스탄 평화 안정 촉진 위원회의 의장으로 활동했다. 2006년 암살 시도를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상원 의원 - 모하마드 파힘
모하마드 파힘은 아프가니스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활약하고 탈레반 정권 축출 후 부통령 겸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아프가니스탄 정치에서 타지크족의 주요 인사로 평가받는다. - 아프가니스탄의 반공주의자 - 굴부딘 헤크마티아르
굴부딘 헤크마티아르는 아프가니스탄 출신 파슈툰족 정치인이자 군벌로, 이슬람 근본주의 운동 참여, 헤즈베 이슬라미 아프가니스탄 결성,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아프가니스탄 내전에서의 악명,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정부와의 평화 협정 및 대통령 선거 출마 등의 행적을 거쳤다. - 아프가니스탄의 반공주의자 - 아흐마드 자히르
아흐마드 자히르는 1946년 카불에서 태어나 1979년 사망한 아프가니스탄의 가수이자 작곡가로, 팝, 록, 재즈 등 다양한 음악을 결합하여 아프가니스탄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프가니스탄의 망명자 - 모하마드 자히르 샤
모하마드 자히르 샤는 1933년부터 1973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마지막 국왕으로, 국제 관계 증진, 현대화 추진, 입헌군주제 도입 등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했으며, 쿠데타로 망명 후 귀국하여 국부로 존경받다 2007년에 사망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망명자 - 모하마드 나지불라
모하마드 나지불라는 아프가니스탄 민주인민당 서기장과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공포 정치를 통해 권력을 강화하고 국민 화합 정책을 추진했으나 소련 붕괴와 무자헤딘의 저항으로 몰락하여 탈레반에 의해 처형되었다.
시브가툴라 모자데디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시브가툴라 모자데디 |
출생 | 1926년 9월 27일 |
출생지 | 카불, 아프가니스탄 에미레이트 |
사망 | 2019년 2월 11일 |
사망지 | 아프가니스탄, 카불 |
정당 | 국민해방전선 |
직업 | 정치인, 무자헤딘 지도자 |
경력 | |
직책 |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권한대행 |
임기 시작 | 1992년 4월 28일 |
임기 종료 | 1992년 6월 28일 |
이전 | 압둘 라힘 하티프 (권한대행) |
이후 | 부르하누딘 라바니 |
직책 | 상원 의장 |
임기 시작 | 2005년 12월 |
임기 종료 | 2011년 1월 29일 |
이전 | 공석 |
이후 | 파젤 하디 무슬림야르 |
2. 생애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정권 시절인 1979년 초, 그의 씨족 21명이 처형되는 비극을 겪었다. 같은 해 3월, 파키스탄으로 건너가 아프가니스탄 구국 민족 전선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3월 12일에는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정권에 대한 지하드를 촉구하는 파트와를 발표했다. 이후 5월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군사 원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시기인 1989년 2월, 파키스탄 페샤와르에서 열린 반소련 야당 회의에서 망명 정부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잠정 정부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2년 4월 24일, 페샤와르에서 열린 무자헤딘 지도자 회의에서는 2개월 임기의 임시 무자헤딘 회의 의장(지하드 회의 의장)으로 승인받았다. 이에 따라 1992년 4월 28일부터 6월 28일까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임기가 끝난 후에는 부르하누딘 랍바니에게 권력을 이양하고 다시 파키스탄을 거쳐 덴마크로 출국했다.
이후 집권한 탈레반 정권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했지만, 정기적으로 협상을 진행하기도 했다.
2001년 말 탈레반 정권 붕괴 후 아프가니스탄으로 귀국하여 국가 재건 과정에 참여했다. 2003년 12월 15일에는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로야 지르가의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2005년에는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 산하 화해 위원회 의장을 맡아 국내 갈등 해결에 힘썼다.
2005년 12월,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에 의해 원로 의회(상원, 메슈라노 지르가) 의원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달 20일에는 상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2011년에는 상원 의원으로 재선되었다.[29] 2015년 8월 26일에는 '성전과 국민 정치 평의회'(The Council of Jihad and National Political Parties)라는 새로운 정치 조직을 결성했다.[31]
2019년 2월 11일, 카불의 한 병원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9][32]
2. 1. 초기 생애
시브가툴라 모자데디는 1926년 9월 27일 (일부 자료에서는 1925년 4월 21일[29])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태어났다.[4][5][6][7] 그의 가족인 모자데디 가문은 카불의 저명한 종교 학자 가문으로,[8] 16세기 이슬람 학자이자 나크쉬반디 수피인 아흐마드 시르힌디의 후손으로 알려진 파슈툰족 가문이다.[5][6][9][10] 그는 나크쉬반디 교단 지도자의 후손이자 무자디디 씨족의 장이기도 했다.[29]1944년 카불의 마드라사를 졸업하고 카불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이후 이집트 카이로의 알 아자르 대학교로 유학하여 1948년부터 1953년까지 이슬람 율법과 법학을 공부하고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5][6][30] 이집트 체류 중 무슬림 형제단과 관계를 맺었고, 이로 인해 1954년 이집트에서 추방되었다.[30]
1952년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와 고등학교와 카불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5][6], 1954년부터는 카불의 각종 학교에서 신학 강사를 맡았다.[30] 그는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적 독립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인물로 알려졌다.[5][6]
1959년(또는 1960년) 당시 소련 총리였던 니키타 흐루쇼프의 아프가니스탄 방문 시 암살 음모를 꾸몄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기소되었다.[5][30] 일설에 따르면, 그의 좌익 성향 형제인 라흐마툴라 모자데디가 시브가툴라의 계획(카불 다리 폭파를 통한 소련 대표단 공격) 정보를 바브라크 카르말을 통해 정부에 전달했다고 한다.[11] 모자데디는 재판 없이 1964년까지 수감되었다.[5]
석방 후 교직에 복귀하는 것이 금지되었고[30], 아프가니스탄 내 소련의 영향력 확대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면서 결국 망명길에 오르게 되었다.[5][6] 1966년 잠시 아프가니스탄으로 귀국하여 1970년 초 카불에서 대규모 시위를 조직하고, 1971년에는 무함마드 울라마 협회(자미아트-울리-울라마 무함마디)를 창설하기도 했다. 그러나 같은 해 다시 아프가니스탄을 떠나 파키스탄과 미국 등지를 거쳐 망명 생활을 이어갔다. 1977년부터 1979년 2월까지는 덴마크 코펜하겐의 모스크 원장이자 이슬람 센터 지도자로 활동했다.[5][6]
3. 정치 활동
3. 1. 아프가니스탄 저항 운동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들어선 공산주의 할크 정권은 모자데디의 형제를 포함한 여러 친척을 살해했다.[12] 1979년 초에는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정권에 의해 모자데디 가문 인사 21명이 추가로 처형되었다. 이러한 탄압을 피해 파키스탄 페샤와르로 망명한 모자데디는 아프가니스탄 구국 민족 전선(جبهه ملی نجات افغانستان|제브-에 네자트-에 멜리ps)을 설립하고 지도자가 되었다.[10]1979년 3월 12일, 그는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정권에 대한 지하드를 촉구하는 파트와를 발표했으며,[10] 다음 날인 3월 13일에는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에 대항하는 전국적인 ''지하드''를 공식적으로 촉구했다. 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공산 정권에 대한 저항을 공식적으로 촉구한 첫 사례였다. 같은 해 5월, 그는 미국으로 건너가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그는 아프간 무자헤딘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가 이끄는 민병대는 특히 쿤라르 주에서 활발히 활동했다.[13] 모자데디는 전쟁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정치 체제로 이슬람 공화국 또는 군주제 복원을 구상했다. 그는 이슬람 근본주의에는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며, 서방 세계에 대해 비교적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14]
1989년 2월, 파키스탄 페샤와르에서 열린 아프가니스탄 야당(무자헤딘) 회의에서 아프가니스탄 임시 정부의 수장(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5] 1992년 4월 24일, 페샤와르에서 열린 무자헤딘 지도자 회의에서는 2개월 임기의 임시 무자헤딘 회의(지하드 회의) 의장으로 추대되었다. 이에 따라 1992년 4월 28일부터 6월 28일까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임기 종료 후 부르하누딘 랍바니에게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했다. 이후 그는 파키스탄을 거쳐 덴마크로 출국했다.
3. 2.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1992)
1992년 4월, 소련의 영향력이 사라진 후 아프가니스탄의 새로운 정부 수립을 위해 결성된 이슬람 지하드 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3] 같은 해 4월 28일, 그는 많은 군중의 환영 속에 카불에 입성하여 새로운 이슬람 공화국의 출범을 선언하고 대통령직에 올랐다. 그는 퇴위한 대통령 모하마드 나지불라를 제외한 모든 아프가니스탄인에게 일반적인 사면을 제안하며, 나지불라의 운명은 "대중"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그의 정부는 굴부딘 헤크마티아르가 이끄는 헤즈베 이슬라미 굴부딘을 제외한 모든 무자헤딘 파벌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헤크마티아르의 군대는 수도 카불을 향해 로켓 공격을 시작했고, 정부군과 헤크마티아르 군대 사이에 내무부 건물 근처에서 격렬한 충돌이 발생했다. 모자데디는 굴부딘 헤크마티아르에게 무기를 내려놓을 것을 간청하며 "헤크마티아르 씨는 우리의 형제였다. 우리는 그런 행동을 예상하지 못했다. 종교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전통에 따르면 그에게 이런 일을 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라고 호소했다.[12]
대통령 재임 중, 모자데디가 탑승하여 카불로 향하던 아리아나 소속 비행기가 카불 국제공항에 착륙하던 중 RPG 공격을 받았다. 다행히 비행기는 인명 피해 없이 안전하게 착륙했다.[16][17]
모자데디는 1992년 4월 28일부터 6월 28일까지 약 2개월간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3개월로 언급하기도 한다.)[3][18] 1992년 5월, 부르하누딘 라바니가 새로운 지도력 평의회를 설립하면서 모자데디의 리더십은 약화되었고, 결국 그는 대통령직에서 사임하고 라바니가 이끄는 평의회에 권력을 이양했다.[3][18] 이후 그는 파키스탄을 거쳐 덴마크로 출국했다.
3. 3. 대통령직 이후 정치 경력
2001년 탈레반 정권이 붕괴된 후, 파키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귀국했다. 2003년에는 아프가니스탄의 새 헌법을 승인한 의회인 로야 지르가의 의장을 맡았다. 그는 연설 과정에서 말랄라이 조야를 "공산주의자"와 "불신자"라고 공개적으로 지칭하여 논란을 일으켰고, 이후 사과했다.[19] 국제 앰네스티는 모자데디와 로야 지르가 지도부가 충분한 서명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국호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에서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으로 변경하자는 투표를 거부하고, 이에 서명한 대표들을 공개적으로 "불신자"와 "배교자"라고 부르는 등 의회 내 언론의 자유를 억압했다고 밝혔다.[20][21][19] 2005년에는 대통령 부속 화해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2005년 12월 21일, 아프가니스탄 국민 의회의 상원 격인 메슈라노 지르가 의장으로 선출되어 5년 임기를 시작했으며,[5] 2011년에는 메슈라노 지르가 의원으로 다시 임명되었다.[5][29]
그는 아프가니스탄 고위 평화 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22] 아프가니스탄 평화 안정 촉진 위원회(Afghanistan Commission for Strengthening Peace and Stability : ACFSPS) 또는 아프가니스탄 평화를 위한 독립 국가위원회(Independent National Commission for Peace in Afghanistan : INCFRIA)로 알려진 평화 위원회의 의장을 지냈다.
2015년 8월 26일에는 새로운 정치 연합인 '지하드 및 국민 정당 협의회'(The Council of Jihad and National Political Parties)를 출범시켰다.[23][31]
4. 암살 시도 (2006)
2006년 3월 12일, 시브가툴라 모자데디가 아프가니스탄 상원 의원이자 탈레반 전 구성원과의 화해 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던 중, 카불에서 두 명의 자살 폭탄 테러범에 의한 공격을 받았다.[24] 공격자들은 모자데디가 탄 차량이 거리를 지나갈 때 그 옆에서 폭발물을 실은 차량을 터뜨렸다.[25] 이 공격으로 인해 길을 가던 시민 4명이 사망했으며, 모자데디는 얼굴과 손에 화상을 입는 등 경미한 부상을 입고 생존했다.[24]
5. 사망
2016년 2월 9일, 모자데디가 사망했다는 잘못된 보도가 있었다.[26] 그러나 이후 2016년 2월 15일에 열린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27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것이 확인되었다.[27]
2019년 2월 11일, 카불의 한 병원에서 향년 93세로 사망했다.[29][32]
참조
[1]
웹사이트
سوانع مختصر پروفیسور حضرت صبغت الله مجددی ریس دولت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 / نگارنده شاآغا صدیق مجددی
http://archive.org/d[...]
"[کابل] : انجمن فرهنگی ومطبوعاتی جبهه ملی نجات افغانستان، [1375؟]"
1979-02-11
[2]
뉴스
Former Afghan President Sibghatullah Mojaddedi dies
https://www.khaama.c[...]
2019-02-11
[3]
간행물
2001
[4]
서적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https://archive.org/[...]
DIANE Publishing
2013-07-20
[5]
웹사이트
Who is Who in Afghanistan: Mojadedi, Sibghatullah Hazrat Sahib Mujadidi Mojadidi
http://www.afghan-bi[...]
2012-12-30
[6]
웹사이트
Profile: Sibghatullah Mojaddedi
http://www.zmong-afg[...]
2012-12-30
[7]
서적
An Enemy We Created: The Myth of the Taliban-Al Qaeda Merger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2002
[9]
서적
Power Struggle Over Afghanistan: An Inside Look at What Went Wrong-And What We Can Do to Repair the Damage
https://archive.org/[...]
Skyhorse Publishing Inc.
2013-07-20
[10]
간행물
2003
[11]
웹사이트
Afghanistan
https://publishing.c[...]
[12]
뉴스
Rebels' Leader Arrives in Kabul And Forms an Islamic Republic
https://www.nytimes.[...]
1992-04-29
[13]
웹사이트
Concise Biography of Prof. Sibghatullah Al-Mojaddedi by Rahimullah Mojaddedi
https://www.afghan-w[...]
2018-04-09
[14]
서적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https://archive.org/[...]
Diane Publishing
[15]
간행물
2003
[16]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Tupolev 154M YA-TAP Kabul
http://aviation-safe[...]
1992-05-29
[17]
웹사이트
Afghanistan: Blood-Stained Hands: III. The Battle for Kabul: April 1992-March 1993
http://hrw.org/repor[...]
[18]
간행물
2007
[19]
웹사이트
From Sufi Sheikh to President: Historic mujahedin leader Mujaddedi passes away
https://www.afghanis[...]
2019-02-13
[20]
웹사이트
Afghanistan: Freedom of expression an essential right - Afghanistan
https://reliefweb.in[...]
2004-01-02
[21]
웹사이트
Mujaddedi callsdelegates 'infidel'
https://www.dawn.com[...]
2004-01-02
[22]
뉴스
Afghan 'peace council' draws fire
http://www.washingto[...]
2012-12-30
[23]
뉴스
Mojadedi announces the establishment of a new political council
http://www.khaama.co[...]
2015-08-27
[24]
간행물
2007
[25]
뉴스
Former Afghan President Survives Bomb, Blames Pakistan
http://www.rferl.org[...]
[26]
뉴스
"صبغت الله مجددی" رئیس جمهور اسبق افغانستان در گذشت
http://www.aftabir.c[...]
2016-02-09
[27]
뉴스
http://www.bbc.com/p[...]
2015-02-15
[28]
웹사이트
Former Interim President Sibghatullah Mujaddedi Passes Away
https://www.tolonews[...]
2019-02-12
[29]
뉴스
Former Interim President Sibghatullah Mujaddedi Passes Away
https://www.tolonews[...]
2019-02-12
[30]
뉴스
対ソ連戦争直前のアフガニスタンにおけるイスラーム運動
http://www.tufs.ac.j[...]
東京外国語大学
2012-12-14
[31]
뉴스
Mojadedi announces the establishment of a new political council
https://www.khaama.c[...]
2019-02-12
[32]
뉴스
Former Afghan president Sibghatullah Mojaddedi dies at 93
https://www.pakistan[...]
2019-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