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사매거진 258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사매거진 2580》은 1994년 2월 27일 첫 방송을 시작하여 MBC TV에서 일요일 밤에 주로 방영된 시사 프로그램이다. 방송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MBC 파업, 주요 사건/사고 뉴스 특보 등으로 인해 결방되기도 했다. 2000년 7월 23일 300회 특집을 시작으로 100회 단위 특집 방송을 진행했으며, 2016년 7월 31일 1000회 특집 방송을 진행했다. MBC 시사제작국 소속 기자들이 제작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탐사보도 - 프로퍼블리카
    프로퍼블리카는 권력 남용 고발과 공공의 이익 기여를 목표로 2007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 탐사보도 매체로, 심층적인 탐사보도를 통해 사회 문제를 조명하고 여러 차례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데이터 기반 저널리즘을 강화하고 있다.
  • 탐사보도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 1994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긴급구조 119
    긴급구조 119는 119 소방공무원들의 구조 활동을 다룬 프로그램으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2003년에 방송되었으며 소방 관련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
  • 1994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마지막 승부
    《마지막 승부》는 1994년 농구를 소재로 젊은이들의 열정, 우정, 사랑, 꿈을 그린 드라마로, 주요 인물들의 농구 경기와 갈등, 성장 과정, 그리고 라이벌 관계가 핵심 줄거리를 이루며 높은 인기를 얻었지만 제작 과정 및 주제가 표절 논란도 있었다.
  • 문화방송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 문화방송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MBC 100분 토론
    MBC 100분 토론은 1987년 일요토론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과 방송 시간 변경을 거쳐 1999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방송되고 있으며, 대담한 주제 선정과 토론을 지향하는 MBC의 토론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시사매거진 2580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원제News Magazine 2580
장르탐사보도
방송 기간1994년 2월 27일 ~ 2017년 8월 13일
방송 횟수1044
방송 국가대한민국
방송 채널MBC TV
기획박성준 (시사제작2부장)
제작MBC 시사교양본부
프로듀서차주혁
권희진
출연자본문 참조
고화질 방송 여부HD 제작 · 방송
닫는 곡김창영의 2580
후편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외부 링크공식 웹사이트

2. 방송 시간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
MBC TV1994년 2월 27일 ~ 1995년 10월 15일일요일 밤 9:40 ~ 10:30
1996년 10월 27일 ~ 1998년 4월 12일
1995년 10월 22일 ~ 1996년 1월 14일일요일 밤 10:40 ~ 11:30
2004년 10월 10일 ~ 2005년 10월 9일
2006년 1월 15일 ~ 2006년 12월 17일
1996년 1월 21일 ~ 1996년 10월 20일일요일 밤 9:40 ~ 10:40
2005년 10월 23일 ~ 2006년 1월 8일일요일 밤 10:50 ~ 11:40
2007년 1월 7일 ~ 2008년 5월 25일
2008년 3월 23일일요일 밤 11:00 ~ 11:50
1998년 4월 19일 ~ 2000년 5월 14일일요일 밤 9:50 ~ 10:35
2000년 5월 21일 ~ 2003년 4월 27일일요일 밤 9:45 ~ 10:35
2003년 5월 4일 ~ 2004년 10월 3일일요일 밤 9:45 ~ 10:40
2008년 6월 1일 ~ 2009년 8월 30일
2009년 9월 6일 ~ 2010년 10월 31일일요일 밤 10:45 ~ 11:40
2010년 11월 7일 ~ 2017년 8월 13일일요일 밤 11:10 ~ 12:05


3. 방영 목록

자세한 방영 목록은 시사매거진 2580의 에피소드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2000년 7월 23일 300회 특집을 시작으로 100회 단위 특집 방송을 진행했으며, 2014년 3월 9일에는 20주년 특집 방송, 2016년 7월 31일에는 1000회 특집 방송을 진행했다.

4. 제작진


  • '''기획''' : 박성준(시사제작2부장)
  • '''취재데스크''' : 차주혁, 권희진(차장)
  • '''취재기자''' : 김시현, 강나림, 노경진, 김정환, 정영훈, 정성기, 김성우, 안형준, 유재광, 박범수, 김수영, 홍수선, 권순표, 윤도한, 조상휘, 김종화, 임흥식, 정일윤, 고대석, 안성일, 신용진, 성경섭, 김동섭, 김경중, 이우호, 홍예원, 정경수, 김상수, 김성수, 배대윤, 송기원, 김상철, 이장석, 최일구, 윤영무, 이효동, 이연재, 조동엽, 윤병채, 유상하, 김장겸, 성장경, 최용익, 김원태, 지윤태, 이상현, 김주태, 이성주, 고일욱, 박성제, 전동건, 이성일, 박주린, 박찬정, 박태경, 이선호, 송재종, 황희만, 이선재, 정관웅, 최창영, 신경민, 민경의, 이진희, 이진호, 이호인, 손관승, 임태성, 김효엽, 조창호, 김석진, 윤용철, 민병우, 전영배, 이주훈, 허무호, 노재필, 이정신, 박충희, 김병헌, 장미일, 성지영, 홍은주, 윤성철, 김승환, 최창규, 김현경, 박장호, 여홍규, 홍기백, 허유신, 민병호, 강민구, 홍상원, 황헌, 이태원, 고주룡, 양찬승, 서민수, 김재용, 배선영, 임영서, 조문기, 이세옥, 이주승, 최혁재, 박재훈, 박영회, 현영준, 이재훈, 오정환, 조승원, 김대경, 김대근, 홍순관, 김혜성, 김연국, 정상원, 정연국, 김은혜, 신강균, 김경태, 김정호, 오해정, 김필국, 도인태, 박상규, 박성호, 금기종, 김주만, 심원택, 전영우, 고현승, 박승진, 김연석, 강명일, 박민주, 왕종명, 정승혜, 이진숙, 연보흠, 최형문, 김세용, 김소영, 이동애, 이언주, 현원섭, 신기원, 문소현, 박용찬, 박상권, 지영은, 이상호, 박진주, 김재경, 공윤선, 양효걸, 김세의, 양윤경, 양효경, 백승우, 문호철, 허지은, 조윤정, 조효정, 박종욱, 박새암, 조의명, 한수연, 이지수, 황의준

5. 연혁

날짜주요 내용
1994년 2월 27일첫 방송
2000년 7월 23일300회 특집 방송
2002년 8월 18일400회 특집 방송
2004년 9월 12일500회 특집 방송
2006년 11월 19일600회 특집 방송
2009년 5월 10일700회 특집 방송
2011년 7월 31일800회 특집 방송
2014년 3월 9일20주년 특집 방송
2014년 6월 1일900회 특집 방송
2016년 7월 31일1000회 특집 방송
2017년 8월 13일MBC 파업으로 인해 중단되었던 방송 재개
2020년 1월 30일 ~ 2020년 2월 24일섹션TV 연예통신의 코너에서 특별판이라는 부제로 방송됨


6. 결방 및 편성 변경 안내


  • 1994년 7월 10일 : 김일성 사망 관련 뉴스특보 편성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 2012년 1월 22일부터 8월 12일까지 : MBC 파업으로 인해 장기간 결방되었다.
  • 2013년 4월 28일 : 이탈리아 페사로 월드컵 리듬체조 선수권 대회(손연재 선수가 출전한 곤봉과 리본 경기) 중계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 2013년 7월 7일 : 아시아나 항공기 추락사고 관련 뉴스특보 편성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 2014년 4월 20일 :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특집 편성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 2014년 5월 4일 : 2014년 FIFA 월드컵 D-39 스페셜 '꿈을 그리다' 편성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