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죠 히데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죠 히데코는 일본의 발레리나이자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배우였다. 1926년에 태어나 1938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입단하여 댄스 전과에서 활동했으며, 1940년 첫 무대에 오른 후 츠키구미에 배속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가극단에 남아 활동을 이어갔으며, 종전 후에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스타로 활약했다. 1950년 댄스 전과로 전속, 1954년에는 이탈리아 영화 '나비 부인'에 출연하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 주요 댄서로 활약했으며, 1970년 퇴단 후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교원을 역임했다. 시라이 테츠조는 그녀를 "발레리나로서 널리 일본 발레계에도 제1인자"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카라즈카 가극단 28기생 - 아사지 시노부
아사지 시노부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출신의 배우로, 영화, 무대,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기는 일본 무용이다. - 다카라즈카 가극단 28기생 - 미야마 시구레
미야마 시구레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28기생으로 1938년 데뷔하여 츠키구미 조장을 역임하고 1976년 퇴단할 때까지 다양한 역할을 맡아 활약한 인물이다. - 교토시 출신 - 유키노 사츠키
1992년 데뷔한 일본의 성우 유키노 사츠키는 애니메이션, 게임, 드라마 CD, 내레이션, 더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2020년부터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여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교토시 출신 - 서준식
서준식은 유학생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사회안전법 폐지 운동을 전개했으며, 《서준식 옥중 서한》을 출간하고 사회주의자임을 선언한 인물이다. - 다카라즈카 가극단 동문 - 소노이 케이코
소노이 케이코는 뛰어난 조연 배우로 인정받으며 다카라즈카 가극단과 신극 무대에서 활동했으나 히로시마 원폭 투하로 사망한, 다카라즈카 가극단과 일본 연극사에 중요한 인물이다. - 다카라즈카 가극단 동문 - 츠키후네 사라라
츠키후네 사라라는 타카라즈카 음악학교 최고 경쟁률을 뚫고 82기생으로 데뷔하여 다양한 작품에서 활동 후 2005년 퇴단, 영화, 드라마, 무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배우이다.
시죠 히데코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시죠 히데코 |
별명 | 만게쓰 히메 (満月姫) |
생일 | 1924년 10월 15일 |
사망일 | 2016년 7월 19일 (91세) |
출신지 | 일본 도쿄도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32년 ~ 2010년 |
배우자 | 오카다 마사유키 (1947년 결혼, 1950년 이혼) 다카하시 무츠오 (1953년 결혼, 1957년 이혼) |
자녀 | 오카다 마리 (장녀) |
상세 정보 | |
장르 |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무대 공연 |
소속 극단 | 신쿄 극단 |
주요 작품 | 영화: 아코 성 단절, 에도 성 총 공격, 에도의 바람 텔레비전 드라마: 수호 겟코 |
수상 | |
수상 내역 | 기쿠타 가즈오 연극상 |
2. 약력 및 인물
1926년, 4자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 교토시립 야에이 소학교(현 히가시야마카이세이칸)를 졸업한 후, 1938년 다카라즈카 음악가극학교에 입학함과 동시에 다카라즈카 가극단 28기생으로 입단하였다.[2][3]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서는 댄스 전과에 소속되었다. 예명은 본가 근처를 동서로 달리는 시조 거리에서 성을, 이름은 아버지의 이름에서 한자를 따서 아오야기 유미가 명명하였다.
1940년, '세계의 시집'으로 첫 무대에 오른 후 츠키구미에 배속되었다.[3] 그 후 차츰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황이 악화되어, 1944년 3월에 다카라즈카 대극장이 폐쇄되었다. 그 외의 전국 대극장도 동시기에 폐쇄되어,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활동은 위문 공연을 중심으로 중소 극장으로 제한되었다. 개별 학생·단원은 여자정신대의 선전 대상으로서, 솔선하여 군수 공장, 봉제 공장으로의 동원을 강요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년배의 대부분의 학생·단원이 퇴단하거나, 혹은 목숨을 잃었지만, 시조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남아 가극 활동을 계속했다.[4][5] 1943년 5-7월, 제2회 만주(중국 동북) 공연에 동행했다. 적어도 종전 직전인 1945년 7월까지의 활동 기록이 남아있다.[6]
종전 후인 1946년,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의 공연이 재개되었다. 시조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스타 중 한 명으로서 '가극' 등에서도 여러 번 소개되게 되었고, 그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1950년, 츠키구미에서 전과(조직 개편으로 후에 댄스 전과)로 전속했다. 댄스 전과 중에서도, 발레에 있어서는 시조가 최고였고, 또한 재능에만 의존하지 않고 항상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고 교사나 연출가로부터 평가를 받았다.[7][8] 1954년 10월, 일이 합작 영화 '나비 부인' 촬영을 위해 이탈리아로 건너갔다. 1960년대 후반이 되자, 주요 댄서로서 다카라즈카의 무대를 지탱하는 존재가 되었고,[9] 1965년 9월, 제2회 유럽 공연에는, 전과의 주요 멤버로 참가했다.[10][11] 1970년 4월 14일, 만박 효과로 들끓는 '다카라즈카 엑스포'70'의 '헬로! 다카라즈카'에서 퇴단했다.[3] 퇴단 후에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의 교원을 역임했고, 1986년 사망했다. 향년 61세.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대표하는 연출가 시라이 테츠조로부터, '''"발레리나로서 널리 일본 발레계에도 제1인자"'''라고 평가받았다.[7]
2. 1. 어린 시절 및 다카라즈카 입단
1926년, 4자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 교토시립 야에이 소학교(현 히가시야마카이세이칸)를 졸업한 후, 1938년 다카라즈카 음악가극학교에 입학함과 동시에 다카라즈카 가극단 28기생으로 입단하였다.[2][3]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서는 댄스 전과에 소속되었다. 예명은 본가 근처를 동서로 달리는 시조 거리에서 성을, 이름은 아버지의 이름에서 한자를 따서 아오야기 유미가 명명하였다.1940년, 「세계의 시집」으로 초무대를 한 후, 츠키구미에 배속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황이 악화되자, 1944년 3월에 다카라즈카 대극장이 폐쇄되었다. 다른 전국의 대극장도 같은 시기에 문을 닫았고,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활동은 위문공연을 중심으로, 중소극장으로 제한되었다.[4] 학생단원들은 여자정신대의 선전 대상으로 앞장서서 군수공장, 부교쇼 동원을 강요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래 대부분의 학생ㆍ단원이 퇴단 또는 목숨을 잃었지만, 시죠는 가극단에 머물며 가극 활동을 계속했다.[5] 1943년 5~7월, 제 2회 만주(중국 동북)공연에 참가하였다. 적어도 종전 직전인 1945년 7월까지의 활동이 기록에 남아있다.[6]
종전 후인 1946년,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이 재개되었다. 시죠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스타 중 한명으로서, 「가극(歌劇)」 등에서도 자주 소개되었고, 그 표지도 장식하였다. 1950년, 츠키구미에서 전과 (조직 개편으로 나중에 댄스 전과)로 이동하였다. 무용 전공 중에서도 발레에 있어서는 시죠가 최고이며, 재능에만 의존하지 않고, 항상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는 고사나 연출가들의 평가를 받았다.[7][8] 1954년 10월, 일본&이탈리아 합작 영화 『나비부인(蝶々夫人)』 촬영을 위해 이탈리아로 건너갔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주요 댄서로서 다카라즈카의 무대를 지탱하는 존재가 되었으며,[9] 1965년 9월, 제2회 유럽 공연에는 전과 주요 멤버로서 참가했다.[10][11] 1970년 4월 14일, 엑스포 효과로 샘솟는 「다카라즈카 엑스포'70」의 「헬로! 다카라즈카」로 퇴단하였다.[3] 퇴단 후에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의 교사로 근무했고, 1986년 사망했다. 향년 61세.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대표하는 연출가 시라이 테츠조로부터 '''"발레리나로서 널리 일본 발레계에서도 제1인자"'''라는 평을 들었다.[7]
2. 2. 초기 활동 및 전쟁 시기
1926년, 4자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 교토시립 야에이 소학교 (현 히사기야마카이세이칸)을 졸업한 후, 1938년 다카라즈카 음악가극학교에 입학함과 동시에 다카라즈카 가극단 28기생으로 입단하였다.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서는 댄스 전과에 소속되었다. 예명은 본가 근처를 동서로 달리는 시죠도오리에서 성을, 이름은 아버지의 이름에서 한자를 따서 아오야기 유우비가 명명하였다.[2][3]1940년, 「세계의 시집」으로 초무대를 한 후, 츠키구미에 배속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황이 악화되자, 1944년 3월에 다카라즈카 대극장이 폐쇄되었다. 다른 전국의 대극장도 같은 시기에 문을 닫았고,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활동은 위문공연을 중심으로, 중소극장으로 제한되었다. 학생단원들은 여자정신대의 선전 대상으로 앞장서서 군수공장, 부교쇼 동원을 강요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래 대부분의 학생ㆍ단원이 퇴단 또는 목숨을 잃었지만, 시죠는 가극단에 머물며 가극 활동을 계속했다.[4][5] 1943년 5~7월, 제 2회 만주(중국 동북)공연에 참가하였다. 적어도 종전 직전인 1945년 7월까지의 활동이 기록에 남아있다.[6]
종전 후인 1946년,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이 재개되었다. 시죠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스타 중 한명으로서, 「가극(歌劇)」 등에서도 자주 소개되었고, 그 표지도 장식하였다. 1950년, 츠키구미에서 전과 (조직 개편으로 나중에 댄스 전과)로 이동하였다. 무용 전공 중에서도 발레에 있어서는 시죠가 최고이며, 재능에만 의존하지 않고, 항상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는 고사나 연출가들의 평가를 받았다.[7][8] 1954년 10월, 일본&이탈리아 합작 영화 『나비부인(蝶々夫人)』 촬영을 위해 이탈리아로 건너갔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주요 댄서로서 다카라즈카의 무대를 지탱하는 존재가 되었으며,[9] 1965년 9월, 제2회 유럽 공연에는 전과 주요 멤버로서 참가했다.[10][11] 1970년 4월 14일, 엑스포 효과로 샘솟는 「다카라즈카 엑스포'70」의 「헬로! 다카라즈카」로 퇴단하였다.[3] 퇴단 후에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의 교사로 근무했고, 1986년 향년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대표하는 연출가 시라이 테츠조로부터 '''"발레리나로서 널리 일본 발레계에서도 제1인자"'''라는 평을 들었다.[7]
2. 3. 전후 스타덤과 댄스 전과
1926년, 4자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 교토시립 야에이 소학교 (현 히사기야마카이세이칸)를 졸업한 후, 1938년 다카라즈카 음악가극학교에 입학함과 동시에 다카라즈카 가극단 28기생으로 입단하였다.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서는 댄스 전과에 소속되었다. 예명은 본가 근처를 동서로 달리는 시죠도오리에서 성을, 이름은 아버지의 이름에서 한자를 따서 아오야기 유우비가 명명하였다.[2][3]1940년, 「세계의 시집」으로 초무대를 한 후, 츠키구미에 배속되었다.[3] 그 후, 점차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황이 악화되자, 1944년 3월에 다카라즈카 대극장이 폐쇄되었다. 다른 전국의 대극장도 같은 시기에 문을 닫았고,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활동은 위문공연을 중심으로, 중소극장으로 제한되었다. 학생단원들은 여자정신대의 선전 대상으로 앞장서서 군수공장, 부교쇼 동원을 강요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래 대부분의 학생ㆍ단원이 퇴단 또는 목숨을 잃었지만, 시죠는 가극단에 머물며 가극 활동을 계속했다.[4][5] 1943년 5~7월, 제 2회 만주(중국 동북)공연에 참가하였다. 적어도 종전 직전인 1945년 7월까지의 활동이 기록에 남아있다.[6]
종전 후인 1946년,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이 재개되었다. 시죠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스타 중 한명으로서, 「가극(歌劇)」 등에서도 자주 소개되었고, 그 표지도 장식하였다. 1950년, 츠키구미에서 전과 (조직 개편으로 나중에 댄스 전과)로 이동하였다. 무용 전공 중에서도 발레에 있어서는 시죠가 최고이며, 재능에만 의존하지 않고, 항상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는 고사나 연출가들의 평가를 받았다.[7][8] 1954년 10월, 일본&이탈리아 합작 영화 『나비부인(蝶々夫人)』 촬영을 위해 이탈리아로 건너갔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주요 댄서로서 다카라즈카의 무대를 지탱하는 존재가 되었으며,[9] 1965년 9월, 제2회 유럽 공연에는 전과 주요 멤버로서 참가했다.[10][11] 1970년 4월 14일, 엑스포 효과로 샘솟는 「다카라즈카 EXPO'70」의 「헬로! 다카라즈카」로 퇴단하였다.[3] 퇴단 후에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의 교사로 근무했고, 1986년 향년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대표하는 연출가 시라이 테츠조로부터 '''"발레리나로서 널리 일본 발레계에서도 제1인자"'''라는 평을 들었다.[7]
2. 4. 해외 활동 및 퇴단
시죠 히데코는 1954년 10월, 일본과 이탈리아 합작 영화 『나비부인(蝶々夫人)』 촬영을 위해 이탈리아로 건너갔다.[7] 1960년대 후반에는 주요 댄서로서 다카라즈카의 무대를 지탱하는 존재가 되었으며,[9] 1965년 9월, 제2회 유럽 공연에는 전과의 주요 멤버로 참가했다.[10][11] 1970년 4월 14일, 엑스포 효과로 샘솟는 「다카라즈카 EXPO'70」의 「헬로! 다카라즈카」로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퇴단하였다.[3] 퇴단 후에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의 교사로 근무했고, 1986년 향년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5. 퇴단 후
1970년 4월 14일, 엑스포 효과로 샘솟는 「다카라즈카 EXPO'70」의 「헬로! 다카라즈카」로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퇴단하였다.[3] 퇴단 후에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의 교사로 근무했고, 1986년 향년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평가
시죠 히데코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남역 출신 배우로, 가극단 재단 시절에는 예능과에 소속되어 있었다. 연기력과 가창력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섬세한 연기력은 다카라즈카 가극단 역사에 남을 명배우로 회자될 정도였다.
4. 주요 출연작
시죠 히데코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무대 공연에 참여했다. 1940년 5월 26일부터 6월 24일까지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하나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세계의 시집」을 시작으로, 1945년 6월 7일부터 20일까지 교토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츠키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희가극 야지키타 군표 이야기」, 같은 해 7월 교토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하나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겁쟁이 타로 힘내라」 등에 출연했다.
1950년대에는 츠키구미 공연인 그랜드 쇼 「스테이지 랜드」, 유키구미 공연인 모던 발레 「블루 인 더 나이트」, 가극 「아라곤의 뿔피리」, 발레 「세 개의 퍼레이드」, 리뷰 「우리들은 사랑한다」, 호시구미 공연인 무용극 「코펠리아」 등에 출연했다.
1964년에는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유키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환상시 『무지개색 텅스텐』 12장, 전과・하나・유키구미 합동 공연으로 상연된 「리뷰 오브 리뷰즈」에 참여했다. 1965년에는 다카라즈카 대극장 특별 공연인 「다카라즈카 춤 그림 두루마리」와 알함브라 모리스 슈발리에 극장에서 상연된 "Japan" Yesterday-Today-Tomorrow에 출연했다.
1966년에는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츠키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일본의 사계절」과 「판타지아」, 제국 극장 개관 기념 공연 「제3부 다카라즈카 가극」에 참여했다. 1968년에는 다카라즈카 대극장과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하나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뮤지컬 발레 「필라르의 꽃 축제」 6장, 1969년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하나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테 키에로」, 1970년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유키구미 특별 공연으로 상연된 「헬로! 다카라즈카」에 출연했다.
=== 영화 ===
1954년 카르미네 가로네 감독의 치네치타, 도호 제작(일본-이탈리아 합작) 영화 『나비부인(Madame Butterfly)』에 출연하였다.[24][25] 1966년에는 미하엘 프레갈 감독의 Die größte Schau der Welt - Die Girls von Takarazuka (TV)에 출연하였다.[26]
4. 1. 무대
시죠 히데코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무대 공연에 참여했다. 1940년 5월 26일부터 6월 24일까지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하나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세계의 시집」을 시작으로, 1945년 6월 7일부터 20일까지 교토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츠키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희가극 야지키타 군표 이야기」, 같은 해 7월 교토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하나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겁쟁이 타로 힘내라」 등에 출연했다.1950년대에는 츠키구미 공연인 그랜드 쇼 「스테이지 랜드」, 유키구미 공연인 모던 발레 「블루 인 더 나이트」, 가극 「아라곤의 뿔피리」, 발레 「세 개의 퍼레이드」, 리뷰 「우리들은 사랑한다」, 호시구미 공연인 무용극 「코펠리아」 등에 출연했다.
1964년에는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유키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환상시 『무지개색 텅스텐』 12장, 전과・하나・유키구미 합동 공연으로 상연된 「리뷰 오브 리뷰즈」에 참여했다. 1965년에는 다카라즈카 대극장 특별 공연인 「다카라즈카 춤 그림 두루마리」와 알함브라 모리스 슈발리에 극장에서 상연된 "Japan" Yesterday-Today-Tomorrow에 출연했다.
1966년에는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츠키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일본의 사계절」과 「판타지아」, 제국 극장 개관 기념 공연 「제3부 다카라즈카 가극」에 참여했다. 1968년에는 다카라즈카 대극장과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하나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뮤지컬 발레 「필라르의 꽃 축제」 6장, 1969년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하나구미 공연으로 상연된 「테 키에로」, 1970년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유키구미 특별 공연으로 상연된 「헬로! 다카라즈카」에 출연했다.
4. 2. 영화
1954년 카르미네 가로네 감독의 치네치타, 도호 제작(일본-이탈리아 합작) 영화 『나비부인(Madame Butterfly)』에 출연하였다.[24][25] 1966년에는 미하엘 프레갈 감독의 Die größte Schau der Welt - Die Girls von Takarazuka (TV)에 출연하였다.[26]5. 주요 게재 잡지
다카라즈카 가극단 출판부에서 발행한 『다카라즈카 춘추』는 1949년 11월 통권 14호와 1950년 7월 22호에 시죠 히데코 관련 기사를 게재했다. 『가극』은 1950년 6월 통권 297호, 1953년 11월 통권 338호, 1987년 9월 통권 744호에 시죠 히데코 관련 내용을 실었다. 특히 1949년 11월 『다카라즈카 춘추』 14호와 1950년 6월, 1953년 11월 『가극』에는 시죠 히데코가 표지 모델로 등장했다.
가극 스타어사에서 발행한 『가극 스타』는 1950년 8월 창간호에서 시죠 히데코를 다루었으며, 스미레 서방에서 발행한 『가극의 벗』은 1950년 9월 92호에서 관련 내용을 게재했다.
참조
[1]
서적
すみれ花歳月を重ねて―宝塚歌劇団90年史―
2004
[2]
서적
すみれの花は嵐を越えて: 宝塚歌劇の昭和史
読売新聞社
1993
[3]
서적
宝塚歌劇100年史虹の橋渡り続けて<人物編>
2014
[4]
기타
前記90年史
[5]
서적
タカラジェンヌと太平洋戦争
新潮社
2004
[6]
서적
近代歌舞伎年表 京都篇 第11巻
八木書店
2005
[7]
간행물
歌劇
[8]
서적
バレエと歩んだ半世紀
文芸社
2000
[9]
기타
前記100年史
[10]
간행물
キネマ旬報 第 394~397 号
黒甕社
1965
[11]
문서
1965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パリ公演
[12]
문서
1940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
[13]
서적
近代歌舞伎年表 京都篇 第11巻
八木書店
[14]
문서
1945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
[15]
문서
1964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
[16]
문서
レビュー・オブ・レビューズ
[17]
문서
1965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
[18]
간행물
キネマ旬報 第 394~397 号
黒甕社
1965
[19]
문서
1966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
[20]
서적
舞台はやめられない
飛鳥新社
2005-10-01
[21]
문서
1968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
[22]
문서
テ・キエロ
[23]
문서
1970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
[24]
웹사이트
Madama Butterfly
https://www.imdb.com[...]
1954
[25]
문서
1954年の宝塚歌劇公演一覧
[26]
웹사이트
Die grösste Schau der Welt - Die Girls von Takarazuka
https://www.imdb.com[...]
1966
[27]
기타
前記100年史
[28]
기타
前記100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