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충은 곤충을 식용으로 섭취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인류 역사와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고대 중국, 그리스, 로마 등지에서 곤충을 식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현재도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지의 일부 지역에서 일상적인 식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식량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재조명되어, 곤충 양식 및 가공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곤충은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 가축에 비해 적은 자원으로 생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곤충 식용은 혐오감, 윤리적 문제, 안전성 문제, 음모론 등 다양한 논란을 겪고 있으며, 특히 학교 급식에 식용 곤충이 사용되면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식성 - 시베리아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는 카를 린네가 명명한 호랑이 아종으로, 러시아 극동, 중국 북동부, 한반도 등지에 분포했으나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존 노력을 받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육식성 - 식충생물
    식충생물은 곤충을 주식으로 하거나 섭취하는 다양한 분류군의 생물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생태계에서 곤충 개체 수 조절에 기여하며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곤충, 거미류, 영장류 등이 이에 속한다.
  • 동물행동학 - 보호색
    보호색은 생물이 주변 환경과 유사한 색, 무늬, 형태 등으로 자신을 숨기는 위장 전략으로, 시각적 위장뿐 아니라 후각, 청각적 위장도 포함하며 포식자-피식자 간 공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동물행동학 - 여름잠
    여름잠은 동물이 덥고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신진대사율을 감소시키고 에너지와 수분을 보존하는 휴면 상태로, 달팽이, 곤충,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 등 다양한 동물에게서 나타난다.
식충
개요
멕시코 오악사카에서 판매되는 차풀리네스
멕시코 오악사카에서 판매되는 차풀리네스
정의곤충을 식용으로 사용하는 것
어원그리스어: éntomon(곤충)
그리스어: phagein(먹다)
역사와 문화
일반적 인식많은 문화권에서 일반적이고 자연스러운 식습관임.
서구 문화권상대적으로 드물고 혐오스러운 행위로 여겨짐.
곤충에 대한 두려움이나 혐오감을 나타내는 용어인 'entomophobia(곤충공포증)'와 관련됨.
전통적 식용 곤충전 세계적으로 1,900종 이상의 곤충이 식용으로 사용됨.
딱정벌레, 나비목(나방과 나비), 벌, 개미, 매미, 메뚜기, 귀뚜라미 등이 포함됨.
주요 섭취 지역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식용 곤충의 형태애벌레
번데기
성충
영양
영양 가치단백질, 지방,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 함량이 높음.
종류에 따라 영양소 함량이 크게 다를 수 있음.
일부 곤충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함.
잠재적 이점지속 가능한 식품 공급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 (예: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가축 사육에 비해 토지 및 물 사용량 감소
경제적 측면
잠재력식량 안보 문제 해결에 기여
새로운 산업 및 일자리 창출 가능성
과제대량 생산 및 가공 기술 개발
소비자 인식 개선 및 수용도 증가
관련 법규 및 안전 기준 마련
기타
관련 연구식용 곤충의 영양학적 가치, 안전성, 생산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임.
미래 전망인구 증가와 환경 문제 심화로 인해 식용 곤충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예상됨.
대체 단백질 공급원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가

2. 역사

곤충 섭식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많은 인간 사회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과학적으로 묘사된다.[3] 특정 곤충의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은 선사 시대부터 현재까지 인간에 의해 섭취되어 왔다.[8] 약 3,000개의 민족이 곤충 섭식을 실천한다.[9]

|thumb|곤충 식 통조림 자판기(우에노아메요코)]]

부르키나파소에서 시리나 유충을 섭취하는 모습


곤충 식은 세계 각지에서 행해졌으며, 중국의 『주례』「천관총재[30]」에서 "蚳醢"라고 불린 흰개미의 알 젓갈로 손님을 대접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유럽에서도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 매미 등을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아프리카 여러 국가, 남미의 아마존, 멕시코, 멜라네시아 등의 열대, 아열대 지역 등 많은 지역에서 일상식으로 먹고 있다. 아프리카 북부 등에서는, 종종 사막 메뚜기가 대량 발생으로 농작물을 다 먹어치우는 황충 피해가 발생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농작물 대신 사막 메뚜기를 긴급 식량으로 먹어 기근을 줄인다. 아시아에서도 라오스, 베트남, 태국, 중국에서 게아재비를 먹거나,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서 매미를 먹는 등, 일부 민족, 또는 민족 집단의 일부가 먹는 예가 있다.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군마현, 나가노현, 기후현, 미야자키현 등 일부 지역에서, 지방의 식문화로서 현존하고 있으며, 토산품 등으로도 팔리고 있다[31]

현대 사회에서는, 일부 지역, 민족을 제외하고 공통적, 일상적으로 곤충을 먹지 않는다. 서양 세계의 대부분에서는, 곤충 식은 혐오의 대상이나 원시적인 습관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자민족 중심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70]。 서양 세계에서 곤충 식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이유로는, 다른 가축보다 매력이 적은 것, 온대에서는 곤충의 채집량이 좋지 않은 것, 채집만으로는 불안정한 영양원이기 때문에 경시되었으며, 농업의 발전에 따라 곤충이 해충으로 기피 대상이 되어 왔다는 점이 지적된다.

최근에는 지역 고유의 식문화로서 적극적으로 재평가되는 사례도 있다. 중국과 태국의 도시부에서는 조리된 곤충을 노점이나 레스토랑 등에서 판매하는 광경을 종종 볼 수 있다.

SDGs의 일환으로 곤충 요리가 추진되고 있다.[40] EU에서는 식용 곤충 종류를 조사하고 있다.[41][42] 곤충을 식용 가축으로 간주했을 때, 적은 사료로 생육이 가능하다는 점 등에서 자원이 제한된 우주 등에서도 얻을 수 있는 동물성 식량으로서 뛰어나며, 미래에 인류의 식량으로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43]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세계적인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위기 대책의 일환을 담당하는 식문화로 평가하고 있다.[44]

2. 1. 세계의 역사

곤충 섭식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많은 인간 사회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과학적으로 묘사된다.[3] 특정 곤충의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은 선사 시대부터 현재까지 인간에 의해 섭취되어 왔다.[8] 약 3,000개의 민족이 곤충 섭식을 실천한다.[9]

|thumb|곤충 식 통조림 자판기(우에노아메요코)]]

곤충 식은 세계 각지에서 행해졌으며, 중국의 『주례』「천관총재[30]」에서 "蚳醢"라고 불린 흰개미의 알 젓갈로 손님을 대접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유럽에서도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 매미 등을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아프리카 여러 국가, 남미의 아마존, 멕시코, 멜라네시아 등의 열대, 아열대 지역 등 많은 지역에서 일상식으로 먹고 있다. 아프리카 북부 등에서는, 종종 사막 메뚜기가 대량 발생으로 농작물을 다 먹어치우는 황충 피해가 발생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농작물 대신 사막 메뚜기를 긴급 식량으로 먹어 기근을 줄인다. 아시아에서도 라오스, 베트남, 태국, 중국에서 게아재비를 먹거나,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서 매미를 먹는 등, 일부 민족, 또는 민족 집단의 일부가 먹는 예가 있다.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군마현, 나가노현, 기후현, 미야자키현 등 일부 지역에서, 지방의 식문화로서 현존하고 있으며, 토산품 등으로도 팔리고 있다[31]

현대 사회에서는, 일부 지역, 민족을 제외하고 공통적, 일상적으로 곤충을 먹지 않는다. 서양 세계의 대부분에서는, 곤충 식은 혐오의 대상이나 원시적인 습관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자민족 중심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70]。 서양 세계에서 곤충 식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이유로는, 다른 가축보다 매력이 적은 것, 온대에서는 곤충의 채집량이 좋지 않은 것, 채집만으로는 불안정한 영양원이기 때문에 경시되었으며, 농업의 발전에 따라 곤충이 해충으로 기피 대상이 되어 왔다는 점이 지적된다.

최근에는 지역 고유의 식문화로서 적극적으로 재평가되는 사례도 있다. 중국과 태국의 도시부에서는 조리된 곤충을 노점이나 레스토랑 등에서 판매하는 광경을 종종 볼 수 있다.

SDGs의 일환으로 곤충 요리가 추진되고 있다.[40] EU에서는 식용 곤충 종류를 조사하고 있다.[41][42] 곤충을 식용 가축으로 간주했을 때, 적은 사료로 생육이 가능하다는 점 등에서 자원이 제한된 우주 등에서도 얻을 수 있는 동물성 식량으로서 뛰어나며, 미래에 인류의 식량으로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43]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세계적인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위기 대책의 일환을 담당하는 식문화로 평가하고 있다.[44]

2. 2. 한국의 역사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메뚜기, 누에 번데기, 애벌레 등을 섭취해 왔다.[46] 조선시대 문헌에는 벼메뚜기, 누에, 물방개, 반딧불이, 벌 애벌레 등의 식용 기록이 있다.[46] 일제강점기에는 양잠 산업이 발달하면서 견사를 뽑고 남은 누에 번데기가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1919년 농상무성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에서 식용으로 이용되는 곤충은 55종이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식량난으로 인해 곤충 식용이 장려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일부 지역에서 메뚜기, 말벌 애벌레, 누에, 자나방 등을 식용으로 하는 문화가 남아있다.

최근에는 곤충 식용이 환경 부하가 적은 미래 식량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2019년부터 식용 곤충 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20년 농림수산성은 '푸드 테크 연구회'를 발족하여, 곤충 식량을 포함한 차세대 식량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및 규격 정립에 힘쓰고 있다.[111][120][121][122] 또한, 2020년 내각부는 문샷형 연구 개발 제도를 창설하여 곤충 식량을 포함한 도전적인 연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124][125][126]

2. 3. 종교적 관점

유대교에서는 메뚜기나 귀뚜라미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곤충이 금기로 여겨진다., 알베 메뚜기(상술한 사막 메뚜기) 외에는, 고대 곤충명의 정확한 의미가 사라졌기 때문에, 중세의 주해에서는, 당시에도 이해되는 곤충명으로 설명해 다시 쓴 결과, 여러 유형의 메뚜기나 귀뚜라미를 포함하여 총 8종류가 된다고 한다: 마이모니데스 『미슈네 토라』 제5부 『Holiness』 5.2.에서 인용.}} 이론적으로는 땅을 기어 다니는 곤충은 불가, 뛰는 메뚜기는 가능하다. 이슬람교에서는 일부 학파를 제외하고 곤충식이 기본적으로 금기(할랄의 반대)의 대상이지만, 성전 하디스에 예언자 무함마드가 메뚜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어, 메뚜기는 널리 할랄 음식으로 허용되고 있다.[37][38][39] 기독교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등 특정 종교·종파에 따라 특정 종류를 금지하고 있다.

3. 곤충의 영양학적 가치

곤충은 단백질(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포유류 고기 단백질의 아미노산 구성과 유사하다.[48] 곤충의 혈당은 트레할로스로 영양가가 높고, 곤충의 지방은 현대인이 일상적으로 먹는 기름과 유사하다.[48] 곤충은 인간에게 필요한 비타민의 대부분과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다.[48] 건강에 매우 중요한 칼슘, 구리, 철, 마그네슘, 망간, 인, 셀레늄, 아연과 같은 영양소도 듬뿍 들어 있으며, 소화기 건강에 기여하는 식이 섬유도 포함되어 있다고 여겨진다.[49] 가열하면 잡균 등의 문제도 없어지므로, 식품으로서 섭취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곤충이 먹은 식물의 에너지를 체질량(body mass)으로 변환하는 이차 생산의 효율은 평균 40%로, 어류의 10%나 항온 동물의 1~3%에 비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곤충류는 생태학적 및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동물성 단백질의 공급원이 될 수 있다. 농지 주변에서 곤충을 채집하여 먹는 경우에는 농작물을 키우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농약이 곤충에 잔류,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건강에 미치는 해에 유의해야 한다. 육식성 또는 부식성 곤충에 대해서도, 미리 단식시키거나 내장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으로 내장의 내용물을 제거해두는 경우가 있다.

4. 식용 곤충의 종류와 이용

4. 1. 주요 식용 곤충


  • 딱정벌레목

:* 물방개: 중국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베트남 등에서 물방개속 등 대형 종을 삶거나 볶아 조리한다.[61] 일본에서는 물방개가 일부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된다.

:* 물땡땡이: 태국, 캄보디아 등에서 튀김으로 먹는다.

:* 거저리: 유충 (밀웜)은 작은 새의 먹이로 사용되지만, 사탕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혐오 식품으로 벌칙 게임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

:* 하늘소: 흰점박이하늘소나 별박이하늘소의 유충은 나무 안쪽에 구멍을 내어 자라며, 테포우시라고도 불린다. 세계 각지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며, 크고 맛있다고 여겨진다.

:* 풍뎅이: 태국과 라오스에서는 쇠똥구리아과 등 똥벌레의 번데기가 되기 직전의 유충을 생으로 먹거나 조림으로 먹는다.

:* 사슴벌레과: 뉴기니 섬의 주민들은 파푸아금색사슴벌레의 다리와 날개를 떼어내고 복부를 먹는다.

:* 바구미: 사고야자의 전분을 상식하는 사람들은 사고야자 줄기 안에 사는 야시오오오사 바구미의 유충을 식용으로 한다.

  • 나비목

:* 누에나방: 견사를 생산할 때 나오는 부산물인 번데기를 튀기거나 조림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번데기라고 부르며, 통조림도 잘 팔린다)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식용으로 사용된다.[57]

:* 산누에나방: 남아프리카에서는 산누에나방과 모파네나방(''Gonimbrasia belina'')의 유충을 모파네 웜이라고 부르며 식용으로 한다.

:* 박각시나방: 중국 산둥성에서는 검은점박이박각시의 유충을 "두단" 또는 "두충"이라고 부르며 먹는다.

:* 밤나방 유충: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은 위체티 그래브 (Witchetty grub)라고 통칭하는 애벌레 중 하나를 먹으며, 귀중한 단백질원으로 삼고 있다.

:* 박쥐나방: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은 위체티 그래브의 일종으로 먹고 있다.

  • 벌목

:* : 말벌 등의 유충을 날것으로, 성충은 조림 등으로 먹는다. 일본에서는 벌의 자식 참조.

:* 개미: 성충을 식용, 약용으로 사용한다. 태국, 라오스 등의 동남아시아에서는 성충과 번데기를 사용한 개미 수프가 있다.

:* 잎꾼개미: 태국 북부에서는 유충, 번데기, 성충의 구별 없이, 동시에 날것으로 먹는다.

:* 꿀단지 개미: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이 과자 대신 복부만을 잘라 먹는다.

  • 메뚜기목

:* 메뚜기: 대량으로 채취하기 쉬우므로, 일본을 포함한 각국에서 식용으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벼메뚜기가 많으며, 메뚜기 츠쿠다니로 먹는 경우가 많다.[58]

:* 방아깨비: 대형 종이 있는 지역에서는 메뚜기와 마찬가지로 식용으로 사용된다.

:* 귀뚜라미: 베이징에서는 귀뚜라미를 결투시키는 놀이 "투실"이 있어 양식도 활발하며, 튀겨서 내는 가게도 있다.

:* 땅강아지: 중국 윈난성에서 태국 북부에 걸쳐 귀뚜라미 등과 함께 먹히고 있다.

  • 노린재목

:* 물장군: 주로 타이완물장군 등 대형 종을 사용한다. 베트남, 태국, 중국광둥성, 타이완 등에서 식용으로 사용된다.

:* 노린재: 멕시코에서 인기가 높다. 생식하는 경우가 많다.

:* 매미: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에서는 매미의 성충이나 유충을 먹는 경우가 있다.[54][55]

  • 기타

:* 흰개미: 중국 윈난성에서 태국 북부에 걸쳐 먹고 있다.

:* 바퀴벌레: 한때는 세계 각지에서 식용·약용으로 이용되었으며, 조리법도 다양했다.[62][63]

:* 강도래, 날도래, 뱀잠자리 등: 일본 나가노현 이나 계곡 지역의 일부에서는 "자자무시"라고 통칭하며 츠쿠다니 등으로 조리하여 식용으로 한다.[61]

:* 파리목

::* 치즈파리: 이탈리아의 사르데냐에는 치즈파리(''Piophila casei'')의 구더기를 번식시킨 카수 마르주라고 불리는 반경질 치즈가 있다.

::* 깔따구: 아프리카의 빅토리아호 연안에서는 대량으로 발생하는 깔따구의 일종을 모아 햄버그처럼 굳힌 것을 철판에 구워 먹는다.[59]

4. 2. 한국에서 식용되는 곤충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여러 곤충을 식용해 왔다. 메뚜기는 벼메뚜기를 간장, 설탕 등으로 조린 메뚜기 볶음 형태로, 누에 번데기는 통조림 등으로 가공되어 소비된다. 벌 애벌레, 특히 말벌 애벌레는 날것으로 먹거나 조림으로 먹는다. 강도래, 날도래, 뱀잠자리 등의 수생 곤충 유충은 볶음 등으로 조리하여 섭취한다. 최근에는 식용 귀뚜라미 양식 및 가공 식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귀뚜라미 센베이나 귀뚜라미 초콜릿과 같은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4. 3. 곤충 식품

곤충 분말은 곤충을 분쇄하여 동결 건조한 것이다.[132] 곤충 분말을 원료로 한 햄버거 패티,[133] 집귀뚜라미 분말을 사용한 프로틴 바, 귀뚜라미나 밀웜 분말을 사용한 파스타, 귀뚜라미나 집파리 분말을 사용한 빵[134] 등이 생산되고 있다. 핀란드에서는 2017년부터 귀뚜라미 분말을 사용한 빵을 일반 슈퍼마켓에서 판매하고 있다.[135][136] 그 외에도 스낵, 맥주, 우유 대체품, 아이스크림 등이 있다.[137][138][139]

5. 곤충 양식 및 산업화

## 곤충 양식 및 산업화

전통적인 식충은 천연 곤충을 채집하여 먹는 것이었지만, 양식에 의한 식충은 품질 관리 및 생산 관리가 가능하다.[64][65] 그렇기 때문에, 공업화가 가능하며, 옥내에서 먹이와 환경을 관리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추적성(원재료부터 제품까지의 추적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64][65] 곤충의 먹이에는, "비가식 자원"으로서 식품 가공에서 나오는 밀 밀기울이나 쌀겨, 비지, 가식부 이외를 포함한 폐기 야채, 버섯 생산 후 나오는 폐균상 등, 사람의 식량과 경쟁하지 않는 식품 잔사를 이용하고, 폐기물을 단백질로 재활용하는 생산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58][116][66][67][68][69]

식품·사료로서의 곤충은, 동물성 단백질의 비용 상승, 식품 및 사료의 불안, 환경 압력, 인구 증가, 중간층의 단백질에 대한 수요 증가에 의해, 21세기의 중요한 과제로서 부상했다.[70] 2013년의 "식량 안보와 영양을 위한 삼림에 관한 국제 회의"에서,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는, 곤충은 환경 부하가 낮은 유망한 식량원이라고 하며, 식량 위기의 해결책으로서 식충을 권장했다.[70][71][72] 그 후, 식용 곤충이 세계적인 식량 부족 문제를 완화할 가능성으로부터, 대규모의 식충이 평가받고, 기존의 가축을 대체하는 단백질원으로 주목받게 되었다.[71] 또한, SDGs(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의 노력과도 관계가 있으며, 식용 및 사료를 위해 양식하는 경우의 비용(먹이, 물, 에너지 비용 등)이 식육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환경 부하의 낮음의 관점에서, 이들에 관심이 높은 구미를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71] 곤충은 완전한 단백질원(9종류의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이며, 불포화 지방산, 식이 섬유, 비타민류와 필수 미네랄도 포함되어 있다.[73][74][75][76]

### 지속 가능성 및 환경적 이점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축산업은 기후 변화, 대기 오염, 토지·토양·물의 열화, 토지 이용에 대한 우려, 산림 파괴, 생물 다양성 감소에 "매우 크게 관여"하고 있다.[77] 2050년까지 육류 생산량이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현재의 환경 부하를 유지하려면 생산량 단위당 부하를 50% 줄여야 한다.[77]

곤충 양식은 기존 가축 사육보다 효율적으로 식물 재료를 동물 자원으로 변환한다.[70][79] 단백질 1kg을 생산하기 위해 소는 10kg, 돼지는 5kg, 닭은 2.5kg의 사료가 필요하지만, 귀뚜라미는 1.7kg[70][80]~2.1kg의 사료로 생산할 수 있다.[81] 곤충은 좁은 면적에서 고밀도로 사육할 수 있어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양식할 수 있으며,[152] 식품 폐기물이나 농작물 잔여물로도 키울 수 있어 폐기물을 유용한 단백질로 변환하고, 배설물도 비료로 활용 가능하다.[152]

곤충 생산의 물 소비량 연구는 제한적이지만,[82] 기존 가축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83][84] 밀웜 단백질 1그램 생산에는 23L의 물이 필요한데, 이는 닭고기(34L), 돼지고기(57L), 쇠고기(112L)보다 적다.[85] 축산의 온실 가스는 인위적인 총 배출량의 18%를 차지하지만, 곤충 생산에서 배출되는 양은 돼지와 동등하거나 적으며, 소보다 훨씬 적다. 암모니아 발생량도 기존 가축보다 적다.[70][90]

변온 동물인 곤충은 저온에서 활동하지 않는 상태로 운송하여 생존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도 있다.[152] 또한, 식용 곤충은 가축에 비해 성장·번식 주기가 매우 빨라, 귀뚜라미는 3주에서 1개월 만에 성장하고, 암컷은 3~4주 만에 1200~1500개의 알을 낳는다.[70][91][92] (소는 2년 만에 성우가 되며, 번식은 한 마리당 4마리이다.[92])

체중 증가 1kg당 배출되는 GHG량[90]
이산화탄소
CO2
메탄
CH4
아산화 질소
N2O
(g)(g)CO2 환산(g)(mg)CO2 환산(g)
유럽 집 귀뚜라미1468±9710.0±0.090.0±0.255.3±6.051.4±1.6
밀웜1031±3490.1±0.032.8±0.8425.5±7.706.8±2.04
벼 메뚜기734±1190.0±0.110.0±3.0859.5±104.815.77±27.77
꽃무지1539±5184.9±1.96137.2±54.881.03±1.060.27±0.28
아르헨티나 바퀴벌레337±511.4±0.0339.2±0.845.7±4.051.51±1.07
돼지865-11941.92-3.9853.76-111.44106-345728.09-916.105
육우28351143192N/AN/A



하지만, 곤충 양식의 난방비나 노력이 축산보다 클 수 있고, 먹이에 따라 곤충의 가상 물이 닭이나 돼지와 비슷할 수 있어, 환경 부하가 적다는 점만 강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155] 곤충이 유일한 선택지는 아니지만, 미래 식량 선택지를 늘리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93]

### 산업 현황

전 세계적으로 곤충 양식 및 가공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곤충 식품이 개발, 판매되고 있다.[96][72] 서구에서는 환경 보호와 동물 애호의 관점에서 식용 곤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152][71][97], 대규모 양식에서는 식용 곤충이 엄격한 식품법과 위생 기준 하에 생산되고 있다.[152][140] 곤충은 알에서 유충(밀웜, 레서밀웜) 또는 성충(귀뚜라미, 메뚜기)까지 산업화된 곤충 농장에서 사육되며, 온도 관리를 통해 죽인다.[98][99] 죽은 곤충은 동결 건조되어 통째로 포장되거나, 곤충 가루로 분쇄되어 구운 과자나 스낵 등 다른 식품에 사용된다.[98][99] 곤충은 영양 성분과 소화율뿐만 아니라, 질병에 걸리기 쉬운 정도, 사료 전환 효율, 발육 속도, 세대 교체 등 생산자가 사육하기 쉽도록 품종이 선택된다.[91][100]

북미 최초의 대규모 곤충 양식 회사인 "아스파이어 푸드 그룹"(Aspire Food Group)은 2017년부터 자동화된 기계를 사용하여 부화부터 분말 가공까지의 데이터를 센서와 IoT 기술로 수집하여, 유기농 재배된 유럽 집귀뚜라미를 사육하고 있다.[101][102] 2016년, 미국에서 2014년에 설립된 직원 7명의 건강 식품 회사 엑소(Exo Inc.)는, 스타트업 기업에 투자를 하는 덴츠 벤처스(Dentsu Ventures)로부터 출자를 받았다.[103][104] 엑소는 귀뚜라미 파우더를 사용한 건강 식품을 개발・판매했지만, 2018년에 아스파이어 푸드 그룹에 인수되어[103][105] 아스파이어사의 귀뚜라미 식품 브랜드로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105][106][107]

한국에서는 2019년에 정부 주도로 식용 곤충의 식품 산업을 진흥시키는 방침이 나왔으며[152], 태국에서는 소득 향상책으로 국가 전체가 귀뚜라미 양식을 지원하고 있다.[152][108]

일본에서는 도쿠시마 대학이 약 30년 전부터 귀뚜라미를 연구해 왔지만, 2016년부터 귀뚜라미를 식용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152][109] 2019년부터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도쿠시마 대학 발 벤처 기업 '그리라스'를 설립하여 귀뚜라미 등의 양식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152][109] 무인양품은 그리라스와 협력하여 귀뚜라미 센베이(2020년 5월), 귀뚜라미 초콜릿(2021년 12월)을 출시했다.[109][110] 그리라스는 생산 확대를 위해 밀 쌀겨를 기반으로 식품 잔사(푸드 로스)를 먹이로 사용하고, 간벌재나 발전 시설의 폐열을 이용하는 등 환경 문제 해결에도 힘쓰고 있다.[158][113] 2019년 7월, 다카사키 경제 대학 발 벤처 기업 'FUTURENAUT'가 창업하여 곤충 식품의 개발 및 판매를 하고 있다.[115]

2020년은 '일본 곤충 식량 시대의 개막'이라고 불리며[111][118][117], 닛케이 트렌디·닛케이 크로스 트렌드가 선정한 '2021년 히트 예측 랭킹'에서 귀뚜라미 푸드가 5위에 랭크되기도 했다.[111][118] 일본은 푸드 테크놀로지에 대한 투자에서 다른 국가에 비해 뒤쳐져 있었으나,[111] 2020년, 농림수산성은 민간 기업과 '푸드 테크 연구회'를 발족하고[111], 2022년에는 곤충 비즈니스 연구 개발 플랫폼(iBPF)이 설립되어 업계 가이드라인이 책정되었다.[152][122][153][123] 또한 2020년, 내각부는 문샷형 연구 개발 제도를 창설하여, 곤충 식량을 포함한 최첨단 기술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35][127][128][129][130]

전통적으로 곤충 식용을 하는 중국에서는 생산이 활발하며, 농촌 빈곤 탈피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누에나 메뚜기, 벌 종류 등을 대규모 양식하는 시도가 진행 중이며[152], 일본 시장으로의 수출도 검토되고 있다.[131]

### 식품 안전성 및 규제

유럽과 북미에서는 식용 곤충에 대한 안전성 규제 및 법적 틀이 마련되어 있다. 유럽 연합(EU)에서는 2018년 1월 "EU 신규 식품 규정(규칙 (EU) 2015/2283)" 시행으로 위생 심사를 통과한 식용 곤충을 신규 식품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50][51]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2021~2023년에 걸쳐 밀웜(건조), 집파리(냉동·건조·분말), 풀무치(냉동·건조·분말, 부분 탈지 분말), 유럽 집귀뚜라미(냉동·건조), 갈색 거저리 (냉동/페이스트/건조/분말) 등의 안전성을 확인했고, 유럽 위원회는 이를 신규 식품으로 인가했다. 2022년 11월, 유럽의 "IPIFF(International Platform of Insects for Food and Feed)"는 곤충 관련 규칙을 체계화한 가이드라인을 발행했다. 네덜란드, 프랑스, 벨기에, 덴마크, 오스트리아, 스페인, 영국, 독일, 핀란드, 스위스 등에서도 곤충 양식 및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북미에서는 다른 식품과 동일한 안전성이 요구되며, 캐나다는 동일 기준 및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미국에서는 곤충 식품이 FDA 규격과 식품 표시 규제(알레르기 위험 표시 포함)를 준수해야 한다. 태국은 2017년 식용 귀뚜라미 양식 안전 관리 기준(GAP)을 마련했다. 일본은 2020년 곤충 비즈니스 부회를 설치하고, 2022년 곤충 비즈니스 연구 개발 플랫폼(iBPF)을 설립하여 식용·사료용 귀뚜라미 양식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수입품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후생노동성 검역소에서 심사하지만, 아직 안전성에 관한 명확한 법 규제는 없다. 한편, 곤충에는 선충류나 말꼬리벌레 등 기생충이나 잡균, 바이러스 등 병원체 보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생식은 위험하며 불에 익히거나 완전히 건조시키거나, 훈연이나 염장 등의 살균 처리가 필요하다.

5. 1. 지속 가능성 및 환경적 이점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축산업은 기후 변화, 대기 오염, 토지·토양·물의 열화, 토지 이용에 대한 우려, 산림 파괴, 생물 다양성 감소에 "매우 크게 관여"하고 있다.[77] 2050년까지 육류 생산량이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현재의 환경 부하를 유지하려면 생산량 단위당 부하를 50% 줄여야 한다.[77]

곤충 양식은 기존 가축 사육보다 효율적으로 식물 재료를 동물 자원으로 변환한다.[70][79] 단백질 1kg을 생산하기 위해 소는 10kg, 돼지는 5kg, 닭은 2.5kg의 사료가 필요하지만, 귀뚜라미는 1.7kg[70][80]~2.1kg의 사료로 생산할 수 있다.[81] 곤충은 좁은 면적에서 고밀도로 사육할 수 있어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양식할 수 있으며,[152] 식품 폐기물이나 농작물 잔여물로도 키울 수 있어 폐기물을 유용한 단백질로 변환하고, 배설물도 비료로 활용 가능하다.[152]

곤충 생산의 물 소비량 연구는 제한적이지만,[82] 기존 가축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83][84] 밀웜 단백질 1그램 생산에는 23L의 물이 필요한데, 이는 닭고기(34L), 돼지고기(57L), 쇠고기(112L)보다 적다.[85] 축산의 온실 가스는 인위적인 총 배출량의 18%를 차지하지만, 곤충 생산에서 배출되는 양은 돼지와 동등하거나 적으며, 소보다 훨씬 적다. 암모니아 발생량도 기존 가축보다 적다.[70][90]

변온 동물인 곤충은 저온에서 활동하지 않는 상태로 운송하여 생존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도 있다.[152] 또한, 식용 곤충은 가축에 비해 성장·번식 주기가 매우 빨라, 귀뚜라미는 3주에서 1개월 만에 성장하고, 암컷은 3~4주 만에 1200~1500개의 알을 낳는다.[70][91][92] (소는 2년 만에 성우가 되며, 번식은 한 마리당 4마리이다.[92])

체중 증가 1kg당 배출되는 GHG량[90]
이산화탄소
CO2
메탄
CH4
아산화 질소
N2O
(g)(g)CO2 환산(g)(mg)CO2 환산(g)
유럽 집 귀뚜라미1468±9710.0±0.090.0±0.255.3±6.051.4±1.6
밀웜1031±3490.1±0.032.8±0.8425.5±7.706.8±2.04
벼 메뚜기734±1190.0±0.110.0±3.0859.5±104.815.77±27.77
꽃무지1539±5184.9±1.96137.2±54.881.03±1.060.27±0.28
아르헨티나 바퀴벌레337±511.4±0.0339.2±0.845.7±4.051.51±1.07
돼지865-11941.92-3.9853.76-111.44106-345728.09-916.105
육우28351143192N/AN/A



하지만, 곤충 양식의 난방비나 노력이 축산보다 클 수 있고, 먹이에 따라 곤충의 가상 물이 닭이나 돼지와 비슷할 수 있어, 환경 부하가 적다는 점만 강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155] 곤충이 유일한 선택지는 아니지만, 미래 식량 선택지를 늘리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93]

5. 2. 산업 현황

전 세계적으로 곤충 양식 및 가공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곤충 식품이 개발, 판매되고 있다.[96][72] 서구에서는 환경 보호와 동물 애호의 관점에서 식용 곤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152][71][97], 대규모 양식에서는 식용 곤충이 엄격한 식품법과 위생 기준 하에 생산되고 있다.[152][140] 곤충은 알에서 유충(밀웜, 레서밀웜) 또는 성충(귀뚜라미, 메뚜기)까지 산업화된 곤충 농장에서 사육되며, 온도 관리를 통해 죽인다.[98][99] 죽은 곤충은 동결 건조되어 통째로 포장되거나, 곤충 가루로 분쇄되어 구운 과자나 스낵 등 다른 식품에 사용된다.[98][99] 곤충은 영양 성분과 소화율뿐만 아니라, 질병에 걸리기 쉬운 정도, 사료 전환 효율, 발육 속도, 세대 교체 등 생산자가 사육하기 쉽도록 품종이 선택된다.[91][100]

북미 최초의 대규모 곤충 양식 회사인 "아스파이어 푸드 그룹"(Aspire Food Group)은 2017년부터 자동화된 기계를 사용하여 부화부터 분말 가공까지의 데이터를 센서와 IoT 기술로 수집하여, 유기농 재배된 유럽 집귀뚜라미를 사육하고 있다.[101][102] 2016년, 미국에서 2014년에 설립된 직원 7명의 건강 식품 회사 엑소(Exo Inc.)는, 스타트업 기업에 투자를 하는 덴츠 벤처스(Dentsu Ventures)로부터 출자를 받았다.[103][104] 엑소는 귀뚜라미 파우더를 사용한 건강 식품을 개발・판매했지만, 2018년에 아스파이어 푸드 그룹에 인수되어[103][105] 아스파이어사의 귀뚜라미 식품 브랜드로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105][106][107]

한국에서는 2019년에 정부 주도로 식용 곤충의 식품 산업을 진흥시키는 방침이 나왔으며[152], 태국에서는 소득 향상책으로 국가 전체가 귀뚜라미 양식을 지원하고 있다.[152][108]

일본에서는 도쿠시마 대학이 약 30년 전부터 귀뚜라미를 연구해 왔지만, 2016년부터 귀뚜라미를 식용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152][109] 2019년부터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도쿠시마 대학 발 벤처 기업 '그리라스'를 설립하여 귀뚜라미 등의 양식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152][109] 무인양품은 그리라스와 협력하여 귀뚜라미 센베이(2020년 5월), 귀뚜라미 초콜릿(2021년 12월)을 출시했다.[109][110] 그리라스는 생산 확대를 위해 밀 쌀겨를 기반으로 식품 잔사(푸드 로스)를 먹이로 사용하고, 간벌재나 발전 시설의 폐열을 이용하는 등 환경 문제 해결에도 힘쓰고 있다.[158][113] 2019년 7월, 다카사키 경제 대학 발 벤처 기업 'FUTURENAUT'가 창업하여 곤충 식품의 개발 및 판매를 하고 있다.[115]

2020년은 '일본 곤충 식량 시대의 개막'이라고 불리며[111][118][117], 닛케이 트렌디·닛케이 크로스 트렌드가 선정한 '2021년 히트 예측 랭킹'에서 귀뚜라미 푸드가 5위에 랭크되기도 했다.[111][118] 일본은 푸드 테크놀로지에 대한 투자에서 다른 국가에 비해 뒤쳐져 있었으나,[111] 2020년, 농림수산성은 민간 기업과 '푸드 테크 연구회'를 발족하고[111], 2022년에는 곤충 비즈니스 연구 개발 플랫폼(iBPF)이 설립되어 업계 가이드라인이 책정되었다.[152][122][153][123] 또한 2020년, 내각부는 문샷형 연구 개발 제도를 창설하여, 곤충 식량을 포함한 최첨단 기술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35][127][128][129][130]

전통적으로 곤충 식용을 하는 중국에서는 생산이 활발하며, 농촌 빈곤 탈피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누에나 메뚜기, 벌 종류 등을 대규모 양식하는 시도가 진행 중이며[152], 일본 시장으로의 수출도 검토되고 있다.[131]

5. 3. 식품 안전성 및 규제

유럽과 북미에서는 식용 곤충에 대한 안전성 규제 및 법적 틀이 마련되어 있다. 유럽 연합(EU)에서는 2018년 1월 "EU 신규 식품 규정(규칙 (EU) 2015/2283)" 시행으로 위생 심사를 통과한 식용 곤충을 신규 식품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50][51]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2021~2023년에 걸쳐 밀웜(건조), 집파리(냉동·건조·분말), 풀무치(냉동·건조·분말, 부분 탈지 분말), 유럽 집귀뚜라미(냉동·건조), 갈색 거저리 (냉동/페이스트/건조/분말) 등의 안전성을 확인했고, 유럽 위원회는 이를 신규 식품으로 인가했다. 2022년 11월, 유럽의 "IPIFF(International Platform of Insects for Food and Feed)"는 곤충 관련 규칙을 체계화한 가이드라인을 발행했다. 네덜란드, 프랑스, 벨기에, 덴마크, 오스트리아, 스페인, 영국, 독일, 핀란드, 스위스 등에서도 곤충 양식 및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북미에서는 다른 식품과 동일한 안전성이 요구되며, 캐나다는 동일 기준 및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미국에서는 곤충 식품이 FDA 규격과 식품 표시 규제(알레르기 위험 표시 포함)를 준수해야 한다. 태국은 2017년 식용 귀뚜라미 양식 안전 관리 기준(GAP)을 마련했다. 일본은 2020년 곤충 비즈니스 부회를 설치하고, 2022년 곤충 비즈니스 연구 개발 플랫폼(iBPF)을 설립하여 식용·사료용 귀뚜라미 양식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수입품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후생노동성 검역소에서 심사하지만, 아직 안전성에 관한 명확한 법 규제는 없다. 한편, 곤충에는 선충류나 말꼬리벌레 등 기생충이나 잡균, 바이러스 등 병원체 보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생식은 위험하며 불에 익히거나 완전히 건조시키거나, 훈연이나 염장 등의 살균 처리가 필요하다.

6. 곤충 식용 관련 논란 및 쟁점

곤충 식용은 식량 위기 및 환경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혐오감, 윤리적 문제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2022~2023년에 학교 급식에 식용 귀뚜라미가 사용된 것을 계기로 논란이 확산되었다.[158][156][157] 일부에서는 곤충 식용이 강요되고 있다는 음모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 2022년 11월과 2023년 2월, 도쿠시마현의 한 고등학교에서 조리 실습으로 희망자에게 귀뚜라미 분말을 사용한 급식을 제공하자, 학부모 등의 항의 전화가 쇄도했다.[158][156] 이는 대한민국에서 식용 귀뚜라미가 학교 급식에 사용된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곤충 식용에 대한 논란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2022년 7월부터 ZIPAIR Tokyo 항공사가 귀뚜라미 가루를 사용한 기내식을 제공했으나, 2023년 2월 SNS 등에서 비판이 제기되었다.[161][160]
  • 2023년 2월, SNS에 "곤충 식을 밀고 있는 일본 기업 & 연구 기관 MAP"이 확산되면서, 사카타 마이카에 대한 반발이 커졌다.[163] 이에 사카타 마이카는 귀뚜라미 가루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부인했다.[163][164][165]
  • 2023년 2월, 고노 타로가 귀뚜라미를 시식했다는 뉴스를 계기로 아리모토 카오리와 모모타 나오키는 "귀뚜라미 안 먹는 연합"을 결성했다.[166] 온라인 상에서는 고노 대신이 "귀뚜라미 식의 대표"로 취급되었고, 고노 대신은 트위터를 통해 해명했다.[166][168]
  • 2023년 2월, Pasco (시키시마 제빵)의 귀뚜라미 가루 함유 상품이 논란이 되어 전화 테러 및 불매 운동으로 이어졌다.[171] 시키시마 제빵은 해당 제품이 온라인 한정 판매이며, 별도 공장에서 생산된다고 해명했다.[175][166][170]
  • 곤충 식용 논란은 SDGs 추진에 대한 반발과도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있다.[173] 키무라 타카시는 SDGs 추진에 대한 동조 압력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고 지적했다.[174]
  • "귀뚜라미 양식에 후한 보조금이 지급된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농업 및 축산 전체에 대한 지원이며 귀뚜라미 양식만을 위한 특별 우대는 아니다.[175][166][176] "귀뚜라미 사업에 6조 엔의 예산이 사용된다"는 잘못된 정보도 퍼졌으나, 실제 농림수산 관계 예산은 약 2조 2천억 엔 수준이다.[179][180]
  • "내각부 식품 안전 위원회가 귀뚜라미 식을 위험하다고 경고한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의 문서를 소개한 것일 뿐이다.[185][188] EFSA는 2022년에 유럽 집 귀뚜라미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신규 식품으로 인가했다.[146][190][191]
  • 히로유키가 "곤충 식 콘테스트 우승자가 사망한 것은 곤충에 기생충 등이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으나,[192] 이는 사실과 다르다. 우승자는 질식으로 사망했고, 다른 참가자들은 이상이 없었다.[193][194]

6. 1. 음모론 및 허위 정보

2022년 6월, 캐나다에서 애완동물 사료용 귀뚜라미 공장이 완공되었지만, "정부가 우리에게 몰래 곤충을 먹일 준비를 하고 있다", "인민이 모든 것을 소유하는 것을 막기 위한 '그레이트 리셋' 계획의 일부이다"라는 세계적인 음모론의 대상이 되었다.[29] 이 음모론은 영어와 중국어의 오보를 유포하는 사람들에 의해 확산되었으며, 현직 국회의원이나 보수당 지도자 후보 등 많은 정치인들도 자신들의 의도에 맞춰 각색하여 확산시켰다.[29] 어떤 보수당 의원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에 반대하는 자유의 호송대와 결부된 게시물을 올렸고, 보수당 지도자 후보는 귀뚜라미 공장이 정부의 기존 육류 단계적 폐지라는 큰 계획의 일부임을 시사했다.[29]

2023년 2월, 영국의 환경 운동가가 차를 사용하지 않고 도보로 15분 이내에 어디든 갈 수 있는 도시의 구상을 트윗하자 "빌 게이츠가 사람들에게 곤충을 먹이려고 한다" 등의 "그레이트 리셋" 사상에 기초한 음모론자들의 분노를 샀다.[195] 2월 초에는 여당 보수당의 국회의원인 닉 플레처가 국회에서 이 음모론을 언급하며 15분 도시를 "개인의 자유를 빼앗는" "세계 규모의 사회주의 사상"이라고 칭했고, 2월 중순에는 항의 시위도 열렸다.[195] 이 "15분 도시 음모론"의 뿌리는 2020년에 화석 연료 로비와 관련된 활동가가 퍼뜨리려 했던 "정부가 사람들의 자동차 사용, 육식, 할당된 지구 외 이동을 금지하는 '기후 봉쇄(도시 봉쇄)'를 하려고 한다"라는 발상이며, 2020년 세계 경제 포럼(WEF)의 팬데믹 이후의 격차・기후 위기 대처를 위한 부흥 계획 "그레이트 리셋"에 편승하여 기세를 더했다.[195][196] 2021년 여름 무렵에는 미국의 우파 논객들이 다루었고, FOX 뉴스도 "기후 봉쇄", "그레이트 리셋"을 음모의 요소를 강조하여 보도했다.[195][196]

"그레이트 리셋" 음모론은 "세계의 상식과 통념이 '사악한 정부'에 의해 근본부터 뒤집히려고 한다"는 것으로, 그중에는 "자유주의적인 세계 질서가 곤충 식량을 장려하려고 한다", "세계 엘리트는 자신들만 맛있는 스테이크를 독점하고, 그 외의 사람들에게는 벌레를 식사로 강요하려고 한다", "팬데믹 대책과 백신 접종 의무화 등은 권력을 강화하고 개인의 주권을 약화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자본주의가 끝나고 공산주의가 되려 하고 있다" 등이 있는데, 2022년에 세계 경제 포럼(WEF)이 곤충을 기후 변화를 늦출 수 있는 대체 단백질원으로 주목하는 보고서를 발표한 것도 곤충 식량 음모론을 가속화시켰다.[29][94][197] 이 음모론은 반 봉쇄・반 백신 활동가, 반유대주의자, QAnon 신자, 트럼프 지지자, 기후 변화 부정론자, 극우 등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195][196][198]

그 외에도 "스타벅스의 크림 파이는 우렁이의 알을 모티브로 한 것이며, 이는 곤충 식량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한 음모이다"라는 주장이 있으나, 우렁이는 곤충이 아니라 식용으로 양식되었던 달팽이다.[199] "귀뚜라미는 잡식이니까 어둠(딥 스테이트) 측이고, 일본에서 전통적으로 먹어온 메뚜기는 벼만 먹는 벌레니까 빛 측"이라는 주장도 있다.[199] "세계의 지배층은 파충류 인간이므로, 벌레를 식량으로 하는 것을 발상한다. 지구 온난화도 벌레를 먹이기 위한 거짓말. 로스차일드 가문이 국제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를 조종하고 있다"는 음모론도 존재한다.[199] "성경에서는 벌레를 먹는 것을 금지하고 있지만, 그 반대를 하고 싶어하는 것이 악마 숭배인 지배층"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199]

"구약성서의 레위기에서는 메뚜기 외의 벌레를 먹는 것을 금지하고 있지만, 2017년에 귀뚜라미도 먹어도 좋다고 고쳐졌다"는 주장이 있지만,[200] 레위기의 기술은 히브리어 원문의 해석이 어려워, "먹어도 좋은 4종류의 벌레"에 귀뚜라미를 포함시킬지 여부는 오래전부터 번역자에 의해 견해가 갈리고 있다. 다만, 2017년에 고쳐졌다는 것은 확인할 수 없다.[200] 2017년에 개정된 신일본성서간행회 번역의 『신개역성서』에서는, "메뚜기 종류, 털 없는 메뚜기 종류, 귀뚜라미 종류, 바퀴 종류"로 되어 있지만, 1970년의 구역도 이 부분은 거의 같은 기술로 이전부터 귀뚜라미를 먹어도 좋은 것에 포함하는 해석을 취하고 있다.[200][201] 한편 일본성서협회 번역의 『신공동역』에서는 귀뚜라미를 포함하지 않았다. 1987년의 판에서는 "메뚜기 종류, 날개 있는 메뚜기 종류, 큰 메뚜기 종류, 작은 메뚜기 종류", 2018년의 판에서는 "바퀴 종류, 날개 있는 바퀴 종류, 큰 바퀴 종류, 작은 바퀴 종류"로 되어, 개정으로 해석이 바뀌었지만 어느 쪽이든 귀뚜라미를 포함하지 않는 점은 같다.[202]

"유럽 전역에서, 분말 상태의 귀뚜라미 등의 '벌레 첨가물'을, 피자나 파스타, 시리얼, 비스킷 등에 '반드시 넣는다'라고 결정했지만, 이는 곤충 식량을 기정사실화하여 '너희는 이제 벌레를 먹을 수 있으니, 농장(고기)은 필요 없다'라는 흐름으로 만들기 위해서이다"라는 주장이 있으나, 유럽이 결정한 것은 신규 식품으로 승인하는 것이다.[203] "귀뚜라미의 외골격인 키틴질에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백신으로 면역을 낮춘 곳에 벌레를 먹여, 암 이권을 노리고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 새우갑각류의 껍질에도 키틴질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199]

참조

[1] 간행물 Insectivory https://www.research[...] John Wiley & Sons 2017-04
[2] 웹사이트 Insectivory https://www.scienced[...]
[3] 논문 Nutritional ecology of entomophagy in humans and other primates 2013-01
[4] 서적 Entomophagous insects
[5] 논문 Entomophagous Nematodes
[6] 논문 Biochemical Activities of Entomophagous Fungi 1991
[7] 논문 Anthropo-entomophagy: Cultures, evolution and sustainability
[8] 웹사이트 Entomophagy (Eating insects) http://cisr.ucr.edu/[...] 2014-01-27
[9] 서적 Creepy crawly cuisine: the gourmet guide to edible insects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mpany 2014-04-23
[10] 뉴스 Insects could be the key to meeting food needs of growing global population https://www.theguard[...] 2010-08-01
[11] 논문 Anthropo-Entomophagy: Cultures, Evolution And Sustainability
[12] 웹사이트 Insects for food and feed http://www.fao.org/e[...] 2019-02-17
[13] 논문 Food taboos: their origins and purposes 2009
[14] 서적 Human Biology and Behaviour: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Little Brown & Co.
[15] 서적 Medical Anthropology in Ecologic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6] 서적 Aboriginal Health & Society: The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boriginal Struggle for Better Health Allen & Unwin
[17] 서적 The Eat-A-Bug Cookbook Ten Speed Press
[18] 서적 All Cricket, No Bull... CreateSpace
[19] 뉴스 Want To Help Solve The Global Food Crisis? Eat More Crickets https://www.forbes.c[...] 2013-07-07
[20] 논문 Do Japanese interest in anthropo-entomophagy become really increased? – Analysis on the Japanese interest using Google Trend (preliminary study) https://www.jstage.j[...] 2022-03-31
[21] 웹사이트 Beastly bugs or edible delicacies Workshop considers contribution of forest insects to the human diet https://www.fao.org/[...] FAO 2022-05-22
[22] 논문 食用昆虫の油脂と期待される栄養生理機能 日本油化学会 2022
[23] 웹사이트 Anthropo-entomophagy: Cultures, evolution and sustainability https://onlinelibrar[...] Entomological Research 2023-03-02
[24] 웹사이트 昆虫の食糧保障、暮らし そして環境への貢献 https://www.fao.org/[...] fao 2023-03-02
[25] 웹사이트 Nutritional Ecology of Entomophagy in Humans and Other Primates https://www.annualre[...] annualreviews Vol. 58:141-160 (Volume publication date January 2013) 2023-03-02
[26] 뉴스 『昆虫食 新時代 養殖急増「珍しい」から「環境によい」食べ物へ』朝日新聞 神田明美 2022年1月8日夕刊第4版 1面
[27] 웹사이트 Insects for food and feed https://www.fao.org/[...] fao 2023-03-02
[28] 웹사이트 Insects could be the key to meeting food needs of growing global populati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03-02
[29] 웹사이트 How a London, Ont., cricket plant found itself at the heart of an international conspiracy theory https://www.cbc.ca/n[...] CBC 2023-03-02
[30] 문서 周禮/天官冢宰
[31] 논문 日本における昆虫食の歴史と現状 : スズメバチを中心として https://hdl.handle.n[...] 1999-03-15
[32] 문서 野中[2008:233]
[33] 웹사이트 食品番号: 11241 食品群名/食品名: 肉類/<その他>/いなご/つくだ煮 https://fooddb.mext.[...] 文部科学省 2023-03-05
[34] 웹사이트 食品番号: 11244 食品群名/食品名: 肉類/<その他>/はち/はちの子缶詰 https://fooddb.mext.[...] 文部科学省 2023-03-05
[35] 웹사이트 FAOも推奨 「ムーンショット目標5」に盛り込まれた昆虫食は食糧危機を救うスーパーフード! https://shizen-hatch[...] HATCH 2023-03-05
[36] 논문 昆虫食・昆虫料理をめぐる心理的要因の検討に向けて https://doi.org/10.1[...] 法政大学文学部 2009
[37] 서적 調理師のためのハラール研修Q&A集 https://foodbf.jp/wp[...] 調理技術技能センター 2018
[38] 논문 平成25年度第2回講演会「ハラール食を考える」 http://www.sri.takus[...] 拓殖大学イスラーム研究所 2014
[39] 서적 ハディース サヒーフ・ムスリム 第3巻 https://www.muslim.o[...] 日本ムスリム協会 2013
[40] 뉴스 昆虫食に関心高まる 環境問題解決の糸口にも? 専門家「多様性、子どもに伝えて」 https://www.asahi.co[...] 朝日新聞EduA
[41] 웹사이트 Views wanted on edible insect consumption http://www.food.gov.[...]
[42] 웹사이트 食用昆虫について意見募集 https://uneyama.hate[...]
[43] 논문 閉鎖空間での昆虫利用 https://doi.org/10.2[...] 日本宇宙生物科学会 2007-12
[44] 웹사이트 FAO http://www.fao.org/e[...] 2003
[45] 서적 虫を食べる人びと 平凡社 1997
[46] 서적 昆虫食文化事典 《新訂普及版》 八坂書房 2020
[47] 서적 昆虫食のすすめ 現代語訳 食用・薬用昆虫に関する調査 大正8年 農事試験場特別報告 第31号 昆虫食のentomo
[48] 논문 日本の食用昆虫 https://dl.ndl.go.jp[...] 家屋害虫研究会 2003-11
[49] 간행물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2013年5月28日号) 阪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013-05-21
[50] 보고서 昆虫嗜好性線虫の分類及び生態学的研究 https://www.nougaku.[...] 2023-04-25
[51] 웹사이트 感染症を媒介する昆虫・ダニ類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2023-04-25
[52] 웹사이트 キジラミ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53] 서적 虫食む人々の暮らし 日本放送出版協会 2007
[54] 서적 素数ゼミの謎 文藝春秋 2005
[55] 웹사이트 公園のセミ食べないで!? どういうこと? https://www.nhk.or.j[...] NHK 2023-03-06
[56] 웹사이트 Cooking cockchafer with old-timey Europeans http://www.bugsfeed.[...] 2021-10-04
[57] 뉴스 朝どりケムシさっとゆでて…食べたら桜の味 記者が実食 https://www.asahi.co[...] 2023-04-25
[58] 웹사이트 シンガポール食品安全庁(SFA)、昆虫の規制枠組みに関するファクトシート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3-03-06
[59] 뉴스 大量発生した蚊を集め、蚊100%ハンバーグを作って食べるアフリカの人々 https://karapaia.com[...] 2023-04-25
[60] 서적 The Nature of Paleolithic Ar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1] 서적 昆虫は美味い! 新潮社
[62] 웹사이트 虫を食べるはなし 第18回 食用・薬用としてのゴキブリ類 http://www.jataff.jp[...] 農林水産・食品産業技術振興協会 2017-03-09
[63] 뉴스 昆虫食ブーム!「ゴキブリ」を食べてみたら川エビの味がした https://smart-flash.[...] 2020-09-27
[64] 웹사이트 「昆虫食」という言葉の整理〜自分なりの定義と、知って欲しい昆虫食の事〜 https://plusmirai.co[...] plusmirai 2023-03-06
[65] 웹사이트 昆虫食のための養殖のメリットとデメリット https://semitama.jp/[...] 昆虫食のセミたま 2023-03-06
[66] 웹사이트 産業廃棄物処分業のハーツ、「ミズアブ」で次世代タンパク質製造 https://news.nissyok[...] 日本食糧新聞 2023-03-06
[67] 웹사이트 〈ビジネス交差点〉 エスケー精工(上田市)、食用コオロギ養殖事業を本格化 餌にこだわり おいしさ追求 https://www.shinmai.[...] 信濃毎日新聞 2023-03-06
[68] 웹사이트 令和4年度フードテックビジネスコンテスト 本選出場者紹介 https://foodtech-evo[...] フードテック 2023-03-06
[69] 웹사이트 秋田の新興、シイタケ菌床で昆虫飼育 社会課題を解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3-03-06
[70] 웹사이트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https://www.fao.org/[...] fao 2023-03-01
[71] 뉴스 「コオロギ食」への嫌悪感は「ネオフォビア(新奇性恐怖)」なのか https://news.yahoo.c[...] 2023-03-01
[72] 웹사이트 Large-scale edible insect farming needed to ensure global food security https://www.wur.nl/e[...] wur 2013-05-07
[73] 학술지 Edible insects contributing to food security? 2015
[74] 학술지 Determination of vitamin B12 in four edible insect species by immunoaffinity and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75] 웹사이트 Here’s Why You Should Start Eating (More) Bugs https://www.huffingt[...]
[76] 서적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77] 웹사이트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fao.org/[...] fao 2023-03-01
[78] 웹사이트 Edible insects: Traditional knowledge or western phobia? https://onlinelibrar[...] Entomological Research 2023-03-01
[79] 웹사이트 Here's Why You Should Start Eating (More) Bugs https://www.huffpost[...] huffpost 2023-03-01
[80] 웹사이트 Energy-efficient food production to reduce global warming and ecodegradation: The use of edible insects https://linkinghub.e[...] Volume 15, Issue 9, December 2011, Pages 4357-4360 2023-03-01
[81] 학술지 The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as a novel food: a risk profile
[82] 학술지 Life cycle assessment of edible insects for food protein: a review Springer
[83] 학술지 Alternative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Evolving and exploring alternative protein supplement potential through Entomoceuticals https://www.research[...]
[84] 학술지 Edible insects as future food: chances and challenges Published by Elsevier B.V. on behalf of Beijing Academy of Food Sciences (BAFS)
[85] 학술지 Mealworms for Food: A Water Footprint Perspective
[86] 웹사이트 世界の水資源と穀物生産 http://www.jiid.or.j[...] 丸紅経済研究所 2023-03-17
[87] 학술지 Water Resources: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Issues Oxford University Press
[88] 보고서 Edible insects ?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https://www.fao.org/[...] 2013
[89] 학술지 The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as a novel food: a risk profile
[90] 학술지 An exploration on greenhouse gas and ammonia production by insect species suitable for animal or human consumption 2010-12
[91] 웹사이트 For Insect Farming to Work, Scientists Need to Build a Better Bug https://www.wired.co[...] wired 2023-03-01
[92] 서적 Encyclopedia of Entom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93] 웹사이트 栄養価やアレルギー、安全性など昆虫食の疑問にお答えします https://takeo.tokyo/[...] TAKEO 2023-03-06
[94] 웹사이트 Eww world order: How the right-wing became obsessed with eating bugs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2023-03-03
[95] 웹사이트 昆虫食陰謀論が広まる中思うこと「昆虫を食べることは僕にとって脱毛と同じだ」 https://plusmirai.co[...] plusmirai 2023-03-02
[96] 웹사이트 The insects : an outline of entomology https://archive.org/[...] 2023-03-01
[97] 웹사이트 肉食の時代はもう終わり? 昆虫食・培養肉の未来をジャーナリストに聞いた/女子アナ日下千帆の「私にだけ聞かせて」 https://smart-flash.[...] FLASH 2023-03-01
[98] 웹사이트 Farming The Next Big Food Source: Crickets https://www.forbes.c[...] Forbes 2023-03-01
[99] 웹사이트 How to Breed a Tasty Cricket https://www.theatlan[...] theatlantic 2023-03-01
[100] 학술지 Feed Conversion, Survival and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Four Insect Species on Diets Composed of Food By-Products 2015
[101] 웹사이트 You’re going to be eating crickets, so just get over it https://www.cnet.com[...] cnet 2023-03-01
[102] 웹사이트 12 Burning Questions for the Entrepreneur Trying to Get You to Eat Bugs https://www.entrepre[...] entrepreneur 2023-03-06
[103] 웹사이트 電通ベンチャーズ、健康食品開発の米国「エクソ社」に出資 https://www.dentsu.c[...] 電通 2023-03-05
[104] 웹사이트 電通が運用するベンチャーファンド「電通ベンチャーズ」、クリケットフラワー (コオロギ抽出タンパク)を使用した健康食品開発の米国「エクソ社」に出資 https://dentsu-ho.co[...] 電通報 2023-03-05
[105] 웹사이트 Cricket consolidation: Aspire Food Group acquires Exo https://www.foodnavi[...] foodnavigator 2023-03-06
[106] 웹사이트 Cricket protein companies combine https://www.foodbusi[...] foodbusinessnews 2018-03-08
[107] 웹사이트 高タンパク質のコオロギの粉末でプロテインバーを製造するExoについて解説 https://smartagri.jp[...] 先端農業マガジン 2020-10-06
[108] 웹사이트 昆虫食品の安全性と国内外の動向 http://www.mac.or.jp[...] 食品分析開発センターSUNATEC 2021-12-01
[109] 웹사이트 コオロギが地球を救う? https://www.muji.com[...] 無印良品
[110] 웹사이트 無印良品の昆虫食 第二弾「コオロギチョコ」を発売 https://prtimes.jp/m[...] PR TIMES 2021-12-12
[111] 웹사이트 MUJI’s Cricket Crackers Are Constantly Sold Out. Here Is Why Insect Food Is Suddenly Trendy In Japan https://www.forbes.c[...] forbes 2020-12-17
[112] 웹사이트 無印良品の「コオロギせんべい」誕生秘話 日本で本格化する昆虫食(1) https://project.nikk[...] 日経BP 2020-06-16
[113] 뉴스 【第7回】無印良品で話題の『コオロギせんべい』 良品計画が昆虫食を開発した裏側に迫る https://the-owner.jp[...] 2021-04-20
[114] 웹사이트 コオロギに熱い視線 環境配慮の次世代たんぱく源 昆虫食、1000億円市場へ【けいざい百景】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3-02-22
[115] 웹사이트 フューチャーノートとは https://futurenaut.c[...] futurenaut
[116] 웹사이트 【米ぬかを使った国産たんぱく質】FUTURENAUTとナカリ、クリケット(食用コオロギ)生産に関する共同研究、および産業化に向けた検討を開始しました https://prtimes.jp/m[...] PR TIMES 2022-12-23
[117] 웹사이트 オロギが優れた食材であるこれだけの理由 日本で本格化する昆虫食(2) https://project.nikk[...] 日経BP 2020-06-23
[118] 웹사이트 「コオロギ食」が来年ブレイクへ ラーメンやせんべいが大人気 https://xtrend.nikke[...] 日経クロストレンド 2020-11-18
[119] 웹사이트 おいしい虫がわんさか! 日本初「虫グルメフェス」で昆虫食を味わう https://evenear.com/[...] evenear 2020-12-07
[120] 웹사이트 代替肉や昆虫食など普及へ 農水省がフードテック推進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11-24
[121] 웹사이트 フードテック官民協議会、推進ビジョンとロードマップ案を発表--概要レポート https://japan.cnet.c[...] cnet 2023-03-02
[122] 웹사이트 食用コオロギが食料危機を救う? 拡大する昆虫食市場、日本では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3-03-05
[123] 웹사이트 食料問題を解決?昆虫食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5-26
[124] 웹사이트 ムーンショット型研究開発制度 https://www8.cao.go.[...] 内閣府
[125] 웹사이트 ムーンショット型農林水産研究開発事業について https://www.affrc.ma[...] 農林水産技術会議
[126] 웹사이트 「破壊的イノベーションを創出せよ」内閣府が主導するムーンショット計画とは https://descartes-se[...] HR MEDIA 2021-04-14
[127] 웹사이트 目標5:2050年までに、未利用の生物機能等のフル活用により、 地球規模でムリ・ムダのない持続的な食料供給産業を創出 https://www.naro.go.[...] 生物系特定産業技術研究支援センター
[128] 웹사이트 ムーンショット目標5 2050年までに、未利用の生物機能等のフル活用により、地球規模でムリ・ムダのない持続的な食料供給産業を創出 https://www8.cao.go.[...] 内閣府
[129] 웹사이트 サブプロジェクト4: コオロギ由来食料開発 https://if3-moonshot[...] ムーンショット型農林水産研究開発事業
[130] 웹사이트 土壌微生物叢アトラスに基づいた環境制御による循環型協生農業プラットフォーム構築 https://www.microbe-[...] ムーンショット型農林水産研究開発事業
[131] 웹사이트 「昆虫食」の輸出好調、農村の貧困脱却を後押し 中国・大同市 https://www.afpbb.co[...]
[132] 웹사이트 UK insect farm project for sustainable animal feed awarded £10m https://www.theguard[...] theguardian 2020-10-06
[133] 웹사이트 https://www.foodnavigator.com/Article/2018/10/12/Bugfoundation-s-vision-To-change-the-eating-habits-of-a-whole-continent https://www.foodnavi[...] foodnavigator 2018-10-12
[134] 웹사이트 Finland baker launches bread made from crushed crickets https://www.reuters.[...] Reuters 2017-11-23
[135] 웹사이트 6種類の昆虫が食用としての製造・販売対象に(フィンランド)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18-05-11
[136] 웹사이트 【昆虫食ニュース】フィンランドで11/23、粉末コオロギ入りのパンが販売開始 https://entomo.jp/bl[...] 昆虫食のentomo 2017-12-08
[137] 웹사이트 Future food now: Finnish Bugbites and Norwegian mealworm bread https://www.bugburge[...] Bug Burger 2019-03-11
[138] 뉴스 Hop into a BentSpoke beer made of crickets and flies https://www.canberra[...] Canberra Times 2019-11-22
[139] 웹사이트 Could this insect ice cream convince you to eat bugs? https://www.cnn.com/[...] 2019-07-25
[140] 웹사이트 A review of edible insect industrialization: scales of production and implications for sustainability https://iopscience.i[...] iopscience 2020-12-22
[141]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New Novel Food Regulation https://web.archive.[...] EU 2018-01-03
[142] 웹사이트 Approval of fourth insect as a Novel Food https://food.ec.euro[...] EU 2023-03-05
[143] 웹사이트 昆虫料理研究家が語る、昆虫先進国の日本で「昆虫食」が廃れた理由 https://www.ibm.com/[...] IBM 2018-06-14
[144] 간행물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21/882 of 1 June 2021 authorising the placing on the market of dried Tenebrio molitor larva as a novel food under Regulation (EU) 2015/228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nd amending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17/2470 https://eur-lex.euro[...] EU Commission 2021-06-02
[145] 간행물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21/1975 of 12 November 2021 authorising the placing on the market of frozen, dried and powder forms of Locusta migratoria as a novel food under Regulation (EU) 2015/228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nd amending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17/2470 https://eur-lex.euro[...] EU Commission 2021-11-15
[146] 간행물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22/188 of 10 February 2022 authorising the placing on the market of frozen, dried and powder forms of Acheta domesticus as a novel food under Regulation (EU) 2015/228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nd amending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17/2470 https://eur-lex.euro[...] EU Commission 2022-02-11
[147] 웹사이트 ドイツ連邦食糧農業省(BMEL)、食品に含まれる昆虫に関するQ&A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3-02-02
[148] 웹사이트 欧州で本格化する「代替肉」は昆虫! 900万人の欧州人の舌をとらえる https://project.nikk[...] 日経BP 2021-04-27
[149] 웹사이트 IPIFF Guide on Good Hygiene Practices for European Union (EU) producers of insects as food and feed- updated November 2022 https://ipiff.org/go[...] IPIFF 2023-03-05
[150] 웹사이트 カナダ食品検査庁(CFIA)、食用昆虫に関する一般的な助言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1-09-21
[151] 웹사이트 The Legislative Status of Edible Insects in the World https://link.springe[...] African Edible Insects As Alternative Source of Food, Oil, Protein and Bioactive Components pp 141–148 2020-01-11
[152] 서적 『vesta』 129号 来るべき未来の食 「日本の誇る資源、昆虫(水野壮)」 味の素食の文化センター 2023-01-12
[153] 웹사이트 コオロギの食品および飼料原料としての利用における安全確保のための生産ガイドライン(コオロギ生産ガイドライン) https://www.knsk-osa[...] 昆虫ビジネス研究開発プラットフォーム 2022-07-22
[154] 웹사이트 「コオロギ生産ガイドライン」の公開について https://www.knsk-osa[...] 昆虫ビジネス研究開発プラットフォーム(iBPF) 2022-07-22
[155] 웹사이트 昆虫食 超ぶっちゃけQ&A !! https://entomo.jp/qa 昆虫食のentomo 2023-03-02
[156] 웹사이트 “コオロギ粉末料理”学校で提供 「子どもに食べさせるな」苦情殺到 https://news.tv-asah[...] テレビ朝日 2023-03-01
[157] 웹사이트 食用コオロギ使った料理の味は?高校生が調理実習 小松島市 https://web.archive.[...] NHK 2022-06-16
[158] 웹사이트 〈徳島・コオロギ給食騒動〉コオロギ食品加工会社に「菌は大丈夫?」「補助金をもらってる?」全部聞いた! 高校は「保護者からのクレームは1件もないですが、昆虫食を扱う予定はありません」 https://shueisha.onl[...] 集英社オンライン 2023-03-03
[159] 웹사이트 「子供に食べさせるな」コオロギ粉末給食に苦情殺到 試食2回提供の高校困惑「誤解されている」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23-02-28
[160] 웹사이트 国内初、食用コオロギを使用したメニューが機内食として搭載!「ZIPAIR」国際線4路線にコオロギパウダー使用の料理が登場 https://prtimes.jp/m[...] prtimes 2022-06-22
[161] 뉴스 学校給食に続き「昆虫入り機内食」…JAL子会社も「コオロギパウダー」で炎上、直撃に企業は「今後も変更なく提供していく」 https://www.jprime.j[...] 2023-04-25
[162] 웹사이트 世界初? ZIPAIR Tokyoがコオロギを使った機内食提供開始 すでに7個受注 https://www.traicy.c[...] traicy 2023-07-05
[163] 웹사이트 コオロギ粉末「一切使用していない」 「昆虫食MAP」記載の酒田米菓が憶測否定「想定外の事態」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23-03-02
[164] 웹사이트 「コオロギ粉末は一切使用してない」「補助金や助成金も一切受けていない」 酒田米菓、昆虫食を働きかけとの拡散情報を否定 https://nlab.itmedia[...] ITmedia 2023-03-03
[165] 웹사이트 お問い合わせを多数いただいている件に関してのお知らせ https://www.sakatabe[...] 酒田米菓 2023-03-02
[166] 웹사이트 ひろゆきも参戦「イナゴやざざ虫以外の虫は食べちゃダメ」ネットで高まる「反コオロギ」の巨大な炎「税金使うな!」 https://smart-flash.[...] FLASH 2023-02-28
[167] 웹사이트 SNS「昆虫食」論争が飛び火…河野太郎デジタル大臣 1年前の“コオロギ推し”がヤリ玉に https://www.nikkan-g[...] 日刊ゲンダイ 2023-03-01
[168] 뉴스 コオロギパンはなぜ嫌われる? 今食べなくても良いと思った決定的な理由とは https://joshi-spa.jp[...] 2023-04-25
[169] 웹사이트 「Korogi Cafe(コオロギカフェ)」シリーズ商品について https://faq.pasconet[...] Pasco 2020-11-27
[170] 웹사이트 Pasco未来食Labo Korogi cafe(コオロギカフェ) https://www.pascosho[...] Pasco 2023-03-01
[171] 웹사이트 敷島製パン、コオロギ商品めぐり対応苦慮 デマや陰謀論も拡散...提携企業は法的措置を検討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23-03-01
[172] 웹사이트 FUTURENAUTの食用コオロギに対する考え方 https://futurenaut.c[...] FUTURENAUT 2023-02-21
[173] 웹사이트 コオロギ食が炎上!SDGsゴリ押しを跳ね返す「拒否感」と向き合う正念場 https://diamond.jp/a[...] 2023-04-20
[174] 웹사이트 「コオロギ給食」への批判が珍しく納得できる理由 https://toyokeizai.n[...] 2023-04-20
[175] 웹사이트 Pascoのコオロギパンに嫌悪の声が殺到。コオロギ養殖には手厚い補助金も?謎の市場拡大で逆に募る昆虫食への不信感 https://www.mag2.com[...] まぐまぐ 2023-02-27
[176] 웹사이트 新事業・食品産業部の委託事業・補助事業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03-02
[177] 웹사이트 株式会社BugMo(京都企業紹介) https://www.pref.kyo[...] 京都府 2023-03-26
[178] 웹사이트 ひろしまサンドボックス実装支援事業 採択結果 https://hiroshima-sa[...] 広島県 2023-03-26
[179] 웹사이트 「コオロギ事業に6兆円」昆虫食めぐり“血税が使われている”と拡散した情報は誤り。実際の予算額は? https://www.buzzfeed[...] BuzzFeed 2023-03-02
[180] 웹사이트 令和4年度農林水産関係予算について https://www.mof.go.j[...] 財務省 2023-03-03
[181] 웹사이트 SDGsアクションプラン2021 https://www.mofa.go.[...] SDGs推進本部 2023-03-04
[182] 웹사이트 食用コオロギ国内生産量No.1のグリラスが約2.9億円の資金調達を実施!累計調達額は業界最高額の約5.2億円に到達 https://prtimes.jp/m[...] 2023-03-07
[183] 웹사이트 ECOなたんぱく源「コオロギ」が食のミライを明るくする!世界100億人時代に向けて、持続可能な食料生産システムを実装する昆虫テック「BugMo」 https://fundinno.com[...] 2023-03-07
[184] 웹사이트 昆虫食業界で投資を受けることに成功した企業一覧(調達時期順) {{!}} 昆虫食のセミたま https://semitama.jp/[...] 2023-01-14
[185] 웹사이트 欧州食品安全機関(EFSA)、新食品としてのヨーロッパイエコオロギ(Acheta domesticus)についてリスクプロファイル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18-09-21
[186] 웹사이트 Entomophagy: A Narrative Review on Nutritional Value, Safety, Cultural Acceptance and A Focus on the Role of Food Neophobia in Italy https://www.mdpi.com[...] Eur. J. Investig. Health Psychol. Educ. 2020, 10(2), 628-643; https://doi.org/10.3390/ejihpe10020046 2023-03-02
[187] 웹사이트 コオロギ食が議論 根強い抵抗と不安 専門家は安全性強調「アレルギーには注意すべき」 https://encount.pres[...] ENCOUNT 2023-02-23
[188] 웹사이트 「コオロギ食の危険性を食品安全委員会が指摘」はデマだった!専門家が徹底解説「最大のリスクは甲殻類と同様のアレルギー」 https://smart-flash.[...] 2023-02-24
[189] 뉴스 コオロギを食べて起こるアレルギーは、エビやダニアレルギーと関係する? https://news.yahoo.c[...] 2023-02-25
[190] 웹사이트 欧州食品安全機関(EFSA)、新食品としてのヨーロッパ・イエコオロギ(Acheta domesticus)由来の冷凍及び乾燥調製品(formulations)の安全性を評価した科学的意見書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1-08-17
[191] 웹사이트 欧州食品安全機関(EFSA)、新食品としてのヨーロッパイエコオロギ(Acheta domesticus)の部分脱脂粉末の安全性に関する科学的意見書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2-05-13
[192] 뉴스 ひろゆき氏 昆虫食に〝警鐘〟「謎の寄生虫や細菌や毒がある可能性がある」 https://www.tokyo-sp[...] 2023-02-27
[193] 웹사이트 虫食い競争優勝後に死亡した男性、窒息が原因 米当局 https://www.cnn.co.j[...] CNN 2012-11-27
[194] 웹사이트 「ゴキブリ食いコンテスト」優勝男性、なぜ死んだ ヤスデやミミズも…160匹の虫を完食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2-11-11
[195] 웹사이트 Conspiracy Theorists Are Coming for the 15-Minute City https://www.wired.co[...] wired 2023-02-28
[196] 웹사이트 「15分都市」が世界規模の陰謀論に変容するまで https://www.cnn.co.j[...] CNN 2023-03-04
[197] 웹사이트 Davos conspiracy theories, such as global leaders forcing the population to eat insects instead of meat, have hit the mainstream, researcher says https://fortune.com/[...] fortune 2023-01-16
[198] 웹사이트 ‘Scammer’ behind conspiracy group against Oxford’s green 15-minute cities https://www.opendemo[...] opendemocracy 2023-02-10
[199] 웹사이트 Vol.10 昆虫食陰謀論【不思議食品・観察記】 https://agrifact.jp/[...] agrifact 2023-01-20
[200] 웹사이트 「コオロギは食べてよいと聖書の記述が書き換えられた」昆虫食めぐり「闇が深い」とツイートが拡散→誤り。実際の記述は…? https://www.buzzfeed[...] buzzfeed 2023-02-22
[201] 웹사이트 聖句検索 https://www.seisho.o[...] 新日本聖書刊行会 2023-03-06
[202] 웹사이트 「コオロギは食べてよいと聖書の記述が書き換えられた」昆虫食めぐり「闇が深い」とツイートが拡散→誤り。実際の記述は…? https://www.buzzfeed[...] buzzfeed 2023-02-22
[203] 웹사이트 「欧州が粉砕したコオロギをピザ等に必ず入れると決定」拡散した情報は誤り。昆虫食をめぐって、EUの実際の動きは… https://www.buzzfeed[...] buzzfeed 2023-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