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지는 두부 및 두유 생산의 부산물로, 한국어로는 '비지', 일본어로는 '오카라' 등으로 불린다. 수분과 영양 성분이 높아 부패하기 쉬우나, 가축 사료, 비료, 요리, 화장품,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전 세계적으로 가축 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비지찌개, 비지떡 등 요리에 활용된다. 환경 문제로 인해 재활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한국 사회에서는 서민 음식으로 인식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 요리 - 낫토
    낫토는 낫토균으로 발효시킨 끈적한 실이 특징인 일본의 전통 콩 발효 음식으로, 특유의 냄새와 식감으로 호불호가 갈리지만 영양소가 풍부하고 건강에 좋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 콩 요리 - 된장
    된장은 콩을 주재료로 하는 한국 전통 발효 식품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제조되었으며, 전통적인 메주 발효 방식과 현대적인 공장 제조 방식이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재료에 따라 한식된장, 된장, 조미된장으로 분류하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비건 요리 - 베지마이트
    베지마이트는 맥주 효모 추출물을 주원료로 개발된 호주산 스프레드로, 마케팅 전략 수정과 군량 배급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성공적인 캠페인과 높은 영양가로 호주를 대표하는 스프레드가 되었다.
  • 비건 요리 - 아몬드밀크
    아몬드밀크는 아몬드를 물에 불려 갈아 만든 식물성 음료로, 높은 칼슘 함량을 가지나 단백질은 낮으며, 지속가능성 문제가 논의되지만, 미국을 중심으로 두유를 넘어 가장 인기 있는 식물성 우유로 전 세계에서 판매된다.
  • 중국 요리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중국 요리 - 두부
    두부는 콩을 원료로 만들어진 약 2000년 전 중국 한나라 시대에 발명된 것으로 추정되는 식품으로,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지만 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비지 - [음식]에 관한 문서
개요
콩비지
콩비지를 걸러내는 모습
종류두부 생산 부산물
명칭
한국어비지, 콩비지, 되비지
한자豆渣 / 豆腐渣
로마자 표기biji / kongbiji
일본어おから
일본어 (로마자)okara
중국어 (병음)dòu zhā / dòufu zhā
영양 정보
열량464 kJ
수분75.5 g
단백질6.1 g
지방3.6 g
탄수화물13.8 g
수용성 식이섬유0.4 g
불용성 식이섬유11.1 g
총 식이섬유11.5 g
나트륨5 mg
칼륨350 mg
칼슘81 mg
마그네슘40 mg
99 mg
1.3 mg
아연0.6 mg
구리0.14 mg
망간0.40 mg
셀레늄1 μg
비타민 E0.4 mg
비타민 K8 μg
티아민 (B1)0.11 mg
리보플라빈 (B2)0.03 mg
니아신0.2 mg
비타민 B60.06 mg
엽산14 μg
판토텐산0.31 mg
비오틴 (B7)4.1 μg

2. 명칭

한국어로는 '비지한국어'라고 부르며, 콩을 뜻하는 옛말인 '비'와 찌꺼기를 뜻하는 '지'가 합쳐진 말로 추정된다.[17] 사찰 음식이나 가정 요리의 재료로 사용된다.

일본어로는 '오카라'(おから)라고 부르는데, 이는 찌꺼기를 뜻하는 '카라'(滓)에 존칭어 '오'(御)를 붙인 궁중 용어이다. 칼로 자르지 않고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키라즈'(きらず) 또는 '키라스'(きらす)라고 부르기도 한다.[16] 또한, '카라'라는 말이 '공허'를 의미하는 '카라'(空)와 통하여 불길하게 여겨져, 흰색을 띠는 것에서 '으름꽃(우노하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어로는 '豆渣중국어'(더우자, dòuzhā) 또는 '豆腐渣중국어'(더우푸자, dòufuzhā)라고 부른다.[17]

3. 생산 및 구성

비지는 두부두유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다.[1] 1983년 일본에서는 연간 약 70,000톤의 비지가 생산된 것으로 추산된다.[2]

두부박


비지는 수분과 영양 성분이 풍부하여 쉽게 부패한다.[2] 이러한 특성 때문에 비지의 상업적 이용에는 어려움이 있다.[3] 비지의 성분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단단하게 뭉쳐진 비지: 단백질 3.5~4.0%, 수분 76~80%, 고형물 20~24%
  • 수분이 제거된 거친 비지: 지방 8~15%, 조섬유 12~14.5%, 단백질 24% (원료 콩 단백질의 17% 포함)


또한 비지는 칼륨, 칼슘, 니아신과 같은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1][4] 대부분의 콩 아이소플라본은 비지에 남아 있으며, 비타민 B, 콩 레시틴, 리놀레산, 리놀렌산, 피토스테롤, 토코페롤, 비타민 D 등 지용성 영양소도 포함되어 있다.[11]

비지에는 트립신 저해제(대부분 조리 과정에서 파괴됨), 사포닌, 소화가 어려운 콩 응집소 등 항영양 인자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비지를 발효(적절한 종류의 세균 이용)하면 영양소의 소화 및 흡수를 돕고 영양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콩 냄새를 제거하고, 식용 섬유소, 유리아미노산, 당류, 지방산, 비타민 B12, 비타민 B2, 플라보단백질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11]

비지는 두유를 짜고 남은 찌꺼기이지만,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건조된 비지의 성분은 조단백질 약 26%, 조지방 약 13%, 가용 무질소물 약 33%, 조섬유 약 15%로 영양가가 높다.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비지는 약 75~80%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비지에 포함된 조지방(유분)의 약 50%는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레산이다. 또한, 비지에는 뇌의 기억력을 높이는 포스파티딜콜린(레시틴이라고도 함)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아세틸콜린은 기억과 관련된 뇌내 물질인데,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콜린이라는 물질이 필수적이다. 포스파티딜콜린은 콜린의 전구 물질이며, 를 이용한 실험에서 콜린 투여가 기억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

4. 활용

비지한국어두유두부를 만들고 남은 찌꺼기이지만, 영양학적으로 뛰어나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된다.[14] 조단백질, 조지방, 리놀레산, 포스파티딜콜린(레시틴) 등 몸에 좋은 성분들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15]

주로 비지는 가축 사료로 사용되지만, 식품, 비료, 재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사료: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비지는 가축, 특히 돼지와 젖소의 사료로 사용된다.[3] 영양가가 높고, 특히 조단백질이 많아 에너지 함량이 높은 양질의 사료가 되지만,[14] 변질되기 쉬워 보관과 취급에 유의해야 한다.[14] 최근에는 유산균을 혼합하여 부패를 늦추거나,[21] 젖산 발효를 촉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14] INAX는 비지 건조기 "오카라트"를 사용해 비지를 건조시켜 보존성이 높은 사료로 판매하는 기술을 개발했다.[25] 두유 또는 두부 공장 인근의 농장, 애완동물 사료[4], 중국의 양돈장[15] 등에서 비지를 사료로 사용한다.
  • 비료: 비지는 질소 함량이 높아 천연 비료나 퇴비로 사용될 수 있다. 토양 경운을 개선하고, 퇴비에 유기 영양소와 질소를 추가한다. 일본에서는 비지를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만든 '비지 파우더'가 판매되고 있다.[25]
  • 재활용 연구: 생분해성 플라스틱, 화장품, 완충재, 고양이 모래, 바이오 연료 등 다양한 재활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6][27][28][29]


비지 재활용 연구 분야
분야내용
생분해성 플라스틱납두균에서 폴리감마글루탐산 제조[26]
화장품비지 성분 추출, 기초 화장품 개발[27]
완충재발포 폴리스티렌과 같은 완충재 원료로 활용[28]
고양이 모래건조 비지를 사용한 고양이 모래
바이오 연료목질 펠릿, 에탄올 등 바이오 연료 재활용 기술 연구[29]


4. 1. 요리

비지한국어는 콩으로 두유두부를 만들고 남은 찌꺼기이지만, 영양학적으로 뛰어나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14] 조단백질, 조지방, 리놀레산, 포스파티딜콜린(레시틴) 등 몸에 좋은 성분들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15]

한국에서는 주로 비지찌개를 끓여 먹거나, 비지떡, 비지전 등을 만들어 먹는다. 일본에서는 우노하나라는 반찬으로 많이 먹으며, 그 외에도 우노하나국, 우노하나 초밥, 우노하나 무침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오이타현 우스키시에는 키라스마메시라는 향토 요리가 있고, 사이타마현 교다시에는 젤리 플라이라는 음식이 있다.

중국 산둥 요리에서는 젖은 비지 혼합물을 쪄서 만든 '자 도후'를 먹는다.[9] 서양에서는 채식 버거 패티, 시리얼 제품, 소이세지, 비건 키시, 파테 등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4] 일본에서는 비지를 넣은 아이스크림도 개발되었다.[10]

4. 1. 1. 다양한 요리 예시

비지한국어는 찌개로 끓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9]

  • 비지찌개: 콩을 갈아 만든 비지로 끓인 찌개이다.
  • 비지떡: 비지에 쌀가루 등을 섞어 만든 떡이다.
  • 비지전: 비지에 여러 재료를 섞어 부쳐 만든 전이다.


일본에서는 おから일본어간장, 미림, 얇게 썬 당근, 우엉 뿌리, 표고버섯으로 조리한 우노하나라는 반찬으로 사용한다.[5]

  • '''우노하나'''(卯の花일본어, うのはな일본어): 비지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일본 요리이다.


우노하나를 이용한 요리
요리 종류요리 이름 및 설명
우노하나국 - 연어, 방어, 청어 등의 염장 생선, 특히 머리나 뼈를 이용한다.
초밥우노하나 초밥 - 히로시마현, 오카야마현의 아즈마즈시, 에히메현의 마루즈시, 니가타현의 카라스시 등에 사용된다.
우노하나회 - 도미, 삼치, 넙치, 농어, 전갱이, 고등어 등 좋아하는 생선을 회처럼 썰어 조리한다.
우노하나밥 - 우노하나를 조림 육수, 술, 설탕, 소금 등으로 기호에 맞게 볶아 식초를 넣어 밥 위에 올린다.
무침우노하나 무침 - 흰 살 생선 를 간을 한 우노하나로 무친다.
도미 찜 -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에서는 칼집을 낸 도미에 비지를 채워 찐다.


  • '''키라스마메시'''(きらすまめし일본어): 오이타현우스키시의 향토 요리로, 간장 절임 생선을 무친 음식이다.
  • '''젤리 플라이'''(ゼリーフライ일본어): 사이타마현교다시의 향토 요리로, 비지와 삶은 감자를 베이스로, 당근이나 파 등의 채소를 더해 고로케처럼 뭉쳐 튀긴 음식이다.
  • '''비건 오카라 버거''': 채식주의자를 위한 버거로, 비지를 패티 재료로 사용한다.

4. 2. 사료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비지는 가축, 특히 돼지와 젖소의 사료로 사용된다.[3] 영양가가 높고, 특히 조단백질이 많아 에너지 함량이 높은 양질의 사료가 되지만,[14] 변질되기 쉬운 결점이 있어 보관과 취급에 유의해야 한다.[14] 최근에는 유산균을 혼합하여 부패를 늦추거나,[21] 젖산 발효를 촉진하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14] INAX는 비지 건조기 "오카라트"를 사용한 재생 기술을 개발하여 비지를 순식간에 건조시켜 보존성이 높은 사료로 판매할 수 있게 했다.[25]

두유 또는 두부 공장 인근의 농장에서 비지를 사료로 많이 사용하며,[3][4] 애완동물 사료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4] 중국에서는 두부 가게 근처에 양돈장을 만들어 비지를 사료로 이용했다.[15]

4. 3. 기타

비지는 질소 함량이 높아 천연 비료나 퇴비로 사용될 수 있다. 토양 경운을 개선하고, 퇴비에 유기 영양소와 질소를 추가한다. 일본에서는 비지를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만든 '비지 파우더'가 판매되고 있다.[25]

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분야내용
생분해성 플라스틱납두균에서 폴리감마글루탐산 제조[26]
화장품비지 성분 추출, 기초 화장품 개발[27]
완충재발포 폴리스티렌과 같은 완충재 원료로 활용[28]
고양이 모래건조 비지를 사용한 고양이 모래
바이오 연료목질 펠릿, 에탄올 등 바이오 연료 재활용 기술 연구[29]


5. 환경 문제 및 재활용 연구

일본에서는 연간 약 80만 톤의 비지가 두부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여 폐기되면서 환경 문제를 일으킨다.[11] 비지는 대량으로 발생하고 쉽게 부패하기 때문이다.[11] 대부분 산업 폐기물로 처리되며, 2008년 보고에 따르면 처리 비용은 kg당 8 - 15엔이다.[20]

1999년 3월 10일, 일본 최고 재판소는 식품 이외의 비지는 가치가 없는 것으로 버려지고, 처리 비용을 받기 때문에 "산업 폐기물"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19] 전국민이 매일 15g씩 비지를 먹으면 폐기물이 되지 않지만,[19] 현실적으로는 많은 양이 버려지고 있다.

비지 폐기물은 배출된 후 재이용되기까지 부패하는 것이 문제인데, 유산균을 섞으면 부패를 늦출 수 있다.[21] 시리얼 식품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22]

비지를 된장의 원료로 사용하면 숙성 기간이 짧아지고 에탄올 함량은 많아지지만, 글루탐산 함량이 적어 감칠맛이 부족하다는 보고가 있다.[23] 그러나 건조 비지를 사용하면 콩으로 만든 된장보다 글루탐산 함량이 더 많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4]

6. 일화


  • 소라이 두부는 에도 시대의 유학자 오기우 소라이가 젊은 시절 가난하여 근처 두부 가게에서 비지를 얻어 끼니를 때웠다는 이야기가 강담이나 라쿠고의 유명한 연목 중 하나로 전해진다. 소설가 이즈미 쿄카도 가난했던 시절 비지로 연명했다.[16]
  • 1940년 (쇼와 15년) 7월 20일, 전시 쌀 절약 운동이 진행되는 가운데 각 백화점의 식당에서는 밥 제공을 중단했다. 각 회사에서는 쌀 대용으로 비지에 주목, 소고에서는 우노하나 도시락, 다카시마야에서는 참마와 비지 초밥을 메뉴로 채택했다.[31]
  • 중국에서는 부실 공사를 '두부 찌꺼기 공사'(豆腐渣工程, dòufuzhā gōngchéng)라고 표현한다.[32]
  • 2004년 돗토리현 지즈정의 정 의원 선거에서 '오카라'라고 쓰인 투표 용지를 두고 논란이 있었으나, 결국 무효표로 처리되었다.[33]

참조

[1] 간행물 Agriculture Handbook No. 8-16. Composition of Foods: Legumes and Legume Products https://naldc.nal.us[...] USDA Human Nutrition Information Service 1986-12
[2] 서적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on Vegetable Protein Utilization in Human Food and Animal Foodstuffs https://books.google[...]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989
[3] 간행물 Okara: Overview of Current Utilization http://www.soy2020.c[...] Soy20/20 2005-03
[4] 서적 Tofu & Soymilk Production https://books.google[...] Soyinfo Center 1979
[5] 뉴스 The garden of heavenly tofu delights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02-10-20
[6] 웹사이트 How We Make and Eat Tempeh Down on The Farm http://www.motherear[...] Mother Earth News 1977-09
[7] 서적 The Book of Tempeh https://books.google[...] Soyinfo Center 1979
[8] 논문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Neurospora intermedia responsible for oncom fermentation in Indonesia 1986-04
[9] 서적 Oriental Soyfoods CRC Press 1999-04-05
[10] 웹사이트 Awareness about 'okara' and the preference for ice cream with 'okara' added to it http://agris.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1-19
[11] 논문 Soybean Curd Residue: Composition, Utilization, and Related Limiting Factors 2013-09-08
[12]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3]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4] 간행물 「食品製造副産物」の特性・利用について https://www.snowseed[...] 2005
[15] 웹사이트 大豆おからの食品加工技術-栄養価の高い未利用資源の有効利用- https://jifpro.or.jp[...] 国際緑化推進センター
[16] 논문 翻刻「江戸時代料理本集成」に見るおから料理 http://id.nii.ac.jp/[...] 長野女子短期大学出版会 1999-12
[17] 서적 中日辞典 第二版 小学館 2003
[18] 서적 飲食事典 平凡社 1958-12-25
[19] 서적 トリビアの泉〜へぇの本〜 6 講談社 2004
[20] 논문 食品加工残さの燃料ペレット事業化の経済条件に関する一考察 2008
[21] 논문 乳酸発酵によるオカラの腐敗防止方法の開発 2015
[22] 논문 生おからを主原料とした加工食品の開発 2016
[23] 논문 おからの利用に関する研究 : その 1 おから味噌について https://cloud.iliswa[...] 福岡国際大学・福岡女子短期大学 1981-06-30
[24] 논문 おからの利用に関する研究 : その 2. 味噌製造におけるおからの乾燥効果 https://cloud.iliswa[...] 福岡国際大学・福岡女子短期大学 1983-12
[25] 웹사이트 オカラ再生利用事業 https://web.archive.[...] INAX 2005-11-20
[26] 간행물 おからを原料とした納豆菌による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素材:ポリγ-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の開発 https://www.fujifoun[...] 不二たん白質研究振興財団 2010
[27] 웹사이트 経営学部 追手門学院大学 https://web.archive.[...] 追手門学院大学 2006-07-08
[28] 웹사이트 特許のご紹介 http://www.mit.pref.[...] 2002-04
[29] 논문 バイオマス発電の動向 https://doi.org/10.1[...] 電気設備学会 2007
[30] 간행물 おから無排出化による資源の有効活用(ミナミ産業株式会社)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31] 뉴스 芋の寿司も登場、百貨店食堂の米なし献立 大阪毎日新聞 1940-07-17
[32] 서적 わが祖国、中国の悲惨な真実 https://books.google[...] 飛鳥新社 2006-09-03
[33] 간행물 鳥取県広報 号外第143号 https://www.pref.tot[...] 鳥取県 2004
[34] 웹인용 비지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0-09-28
[35] 웹인용 콩비지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0-09-28
[36] 웹인용 되비지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0-09-28
[37] 웹인용 비지 https://opendict.kor[...] 국립국어원 2020-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